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C.를 이용한 作業管理시스팀(Ⅰ)

        姜鎬郁,金炅模,徐有振 慶尙大學校 工科大學 附屬 生産技術硏究所 1986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2 No.-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ersonnel-computer program for THERBLIG analysis and FLOW-PROCESS analysis which are kinds of work methods design. All programs are written in BASIC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extended to other work methods design and reduce 50% in clerical effort.

      • 심도 20m Nitrox 포화잠수에 있어서 수면의 심리적 영향

        서유진,박영만,박광박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96 硏究論文集 Vol.9 No.-

        세 종류의 시뮬레이션된 20m Nitrox 포화잠수 상태하에서 수면 구조에 대해 조사했다. 그리고, 장기간의 포화잠수에 대해 12명의 다이버들을 참가시켜서, 연속된 180일간의 밤 동안 분석했다. 3가지 잠수 모두, 감압 전야(前夜)부터 postdive 4일째 밤에 걸쳐서는 전체 수면시간의 단축, 중도 각성 시간의 증가, 입면잠시(入眠潛時)의 연장을 수반한 수면의 혼란함을 조금 보였다. 감압 속도가 빠른 NitroxⅡ에서는, 감압하는 밤부터 postdive 3일째 밤에 걸쳐서 4단계 수면만 조금 감소했다. 20대와 30대에서는 전체 수면 변수에 크게 다른 것은 보이지 않았지만, 50대의 다이버에서는, 해저 생활 후반부터 postdive 3일째 밤에 걸쳐서, 배뇨를 위한 각성 시간이나, 이른 아침의 각성, 입면 잠시의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감압과 폐쇄 환경하에서의 장시간 구속에 의한 심리적 스트레스의 면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 심도 180m와 230m상당압의 He-O 포화잠수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박영만,박광박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96 硏究論文集 Vol.9 No.-

        심도 180m와 230m의 고압 He-O₂ 환경하에서의 두 종류의 simulated된 잠수 실험에 있어서, 4명의 다이버들에 대해서 각각 표준적인 polysomnograms를 총 188일의 밤에 걸쳐서 기록했다. 두 종류의 잠수 조건에 있어서 해저의 감압하에서는 전체 수면 시간의 단축, 수면 효율의 감소, 수면으로 들어가는 시간의 증가, 중도 각성 회수와 수면 단계 이행 회수의 증가, 1단계 수면의 증가, 더욱이 4단계 수면의 감소를 보였지만, 어느 쪽도 뚜렷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230m 잠수에 있어서의 수면은 180m 잠수에 비해서 4단계 수면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두가지의 잠수 조건 모두 잠수 기간 중에는 각성하기 쉬운 상황이었고, 기초적인 수면 패턴의 혼란은 없는 것으로 추측 되었다.

      • 연령과 크로노타이프에 의한 근로자의 수면습관

        박영만,서유진 경남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0 硏究論文集 Vol.18 No.-

        1,038명의 남성 근로자들에게 한국판 아침-저녁형 설문지와 수면 습관조사를 하여 생체 리듬의 위상차의 시점에서 연령과 크로노타이프가 수면습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했다. 평균 ME득점과 그 분포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졌다. 취침 · 기상시각은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순으로 늦어지고, 연령이 높을수록 빨라졌다. 습관적인 시각보다 선호 취침 · 기상시각이 크로노타이프에 의한 차이가 크게 났다. 수면이 부족하고, 기상시 기분이 나쁘고, 취침시각과 수면시간의 변동성이 크다는 사람은 고령자보다 젊은층에서 그리고 아침형보다는 저녁형에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아침형으로 전이하고 1일 주기의 생체리듬의 위상이 전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습관적인 수면시각보다는 선호시각이 개개인의 생체리듬을 보다 더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Korean version of the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and sleep habits inventory were tested to 1,038 Korean male daytime workers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chronotype to determine how these factors reflect on the sleep habit in the view of phase difference of circadian rhythm. The mean and distribution of scores on the MEQ moved significantly toward the morning type with aging. Bedtimes and waking times were progressively later from the mornine, intermediate, to evening types, and it was also earlier with aging. Preferred bedtimes and waking times showed more distinct differences than did the habitual times in each chronotype. The percentages of subjects who answered that sleep length was 'short', mood upon waking was 'bad', and variabilities of bedtime and sleep length were 'large' were greater in the young and evening type than in the elder and morning type,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ubjects were shifted toward the morning type and the phase of circadian rhythm had moved forward with aging. Preferred bedtime and waking time were better reflection of individual circadian rhythms than habitual bedtime and waking time.

      • 한일학생 및 일본 근로자에 대한 아침-저녁형과 수면습관에 대한 비교

        박영만,서유진,박광박,Kazuya, Matsumoto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96 硏究論文集 Vol.9 No.-

        한국대학생 533명 및 468명의 일본 대학생, 동일 연령대의 311명의 일본근로자에 대해 아침-저녁형 설문지 및 생활 습관 조사를 실시했다. 점수분포는 정규 분포였으나, 일본대학생 그룹은 약간 야간형으로 기울어진 분포를 보였다. 세 그룹 전부 기상시각 및 취침시각은 아침형,중간형,저녁형 순으로 늦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국대학생이 일본 대학생 보다 빠른 기상시각을 보였다. 근로자 집단은 학생보다 빠른 기상과 취침을 보였다. 세개 그룹 모두 아침형,중간형,저녁형 순으로 취침기상시각 및 수면시간의 변동성이 크고, 입면시각이 길고, 기상시 기분이 나빴다. 한국대학생이 일본 대학생 보다 약간 아침형으로 지우쳐 있지만 양국학생의 전반적인 수면습관은 비슷했다. 그리고 아침형 보다 저녁형의 수면 습관이 불규칙했다. 그리고 일본 근로자의 점수가 일본 학생 집단보다 약간 높고, 수면습관도 조금 달랐다. 이것은 사회생활의 제한으로 인한 수면습관의 변화가 M-E점수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The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MEQ) and life habits inventory were carried out with the three groups of 533 Korean students, 468 Japanese students, and 311 Japanese workers in the same age level. The distributions of score for these three groups look like normal, but the Japanese students distributions of is skewed to evening type. The self-reported waking times and bedtimes for the three groups was late the order of morning type, intermediate type, and evening type. However, generally the Korean students woke up earlier than the Japanese students. The workers always went to bed and woke up earlier than the students. For all the three groups, the variation in bedtime, waking time, and sleep length was large, the sleep latency was long, and the mood at waking was bad in the order of morning type, intermediate type, and evening type. The scores of the Korean student group on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more to morning type than the Japanese student group, but sleep habits of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were similar. The subjects of the evening type had more irregular sleep habits than those of the morning type. In comparison with the student group, the Japanese workers of the same age had higher scores on M-E and slightly different sleep habits. This means the change of sleep habits as a result of the demands of employment cause the change in the sc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