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문화상품에 관한연구 : 민화를 이용한 한지지함 디자인 중심으로

        서영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e will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driving force to lead the comprehensive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overall society while accelerating the globalization in the days to come. In the 21st century, during the course of drastic growth and interfacing the world economy and technology, there is a phenomenon so-called ‘Culture Industry’, and this has enabled culture to become the source of driving force for economy to advance. Namely, it implicates that the state with strong culture will be able to become an economic power with the capability of value generation in its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independent cultural capability of Korea,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develop the culture of its own. As a way of finding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t has to be the design that has the foundation in culture, not a fragment design borrowing the formative element of traditional factors of the country only. Culture is an important concept in showing the identity of a country whil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which have its foundation in natural environment or humanistic background in history and culture, flexibly change along with the change of time and society. Therefore, in the research of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e view on formative works of Korea has to be expressed on the basis of studies on the historic recognition on our culture and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reproducing the traditional image, the traditional reproduction is considered as needed along with the folk and ethnic themes in the abstract work of our senti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Korean paper carton to use in practical living with its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artistic beauty and simplistic beauty extracted from the Korean folk painting that contains the aesthetic concept, traditional and formative order of Korea’s own through the subjective view together with the geometric patterns in repetition of basic form in the art deco of 1925s, jig jag and others. The folk painting is the painting that freely expresses the living philosophy and sentiment of Korean people that reflects the live of people in decorative paintings in royal palace and shaman and religious paintings for lay people to form a genre in traditional culture. The folk painting in the artistic aspect has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cept in ‘plainness and delicac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umor, non-attribution(무속성) and non-name(무명성)’ to have the formative properties of ‘repetition, integration, abstract and perspective’ shown in lines, colors and composi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unique sense of beauty of Korean paper crafted products, one of the traditional craftwork which well expresses the Korean beauty along with the folk paintings. And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e products, the Korean paper that can make the best of Korean image based on the color sensation of folk painting is used to make the Korean paper crafted product. Therefore, in this thesis, in order to keep the particularity of Korean culture, it would be prudent to success and develop important culture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generality to meet in the globalization era and develop it as the product available only in the Korean culture. As such, depending on how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while maintaining the cultural identity in tact on the basis of uniqueness and particularity of Korean culture, the national status would be determined in the new centu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long lost cultural identity and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various expressions and designs would be developed to height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products and generate high added-value products. 문화는 정치, 경제, 사회전반의 변화를 포괄적으로 선도하면서 앞으로의 세계화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21세기에 들어서 세계의 경제 및 기술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융합되어 가는 과정 에서 ‘문화산업’이라는 현상이 생겨났고, 이것으로 문화는 경제에 힘을 실어주는 원동력이 되었다. 즉 문화적으로 강한 나라가 자국문화의 가치창출 능력에 힘입어 경제대국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자주적인 문화능력을 키워나가기 위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소중한 우리만의 문화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자국의 전통적인 요소들의 특성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인은 자국의 전통적인 요소들의 형식적 요소만을 차용하는 단편적인 디자인 전개가 아닌 문화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이어야 하겠다. 우리의 삶 속에서 자연적인 환경이나 인문사회적인 역사와 문화에 바탕을 둔 민족적인 특성이나 특질이 끊임없이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하면서 우리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있어서 문화는 중요한 개념이다. 따라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우리의 문화에 대한 역사적 인식, 사회 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의 조형관을 표현하여야 한다. 전통적인 이미지의 재현에 있어서도 토속적, 민속적 소재의 바탕을 둔 전통의 재현뿐만 아니라 우리정서를 추상화시키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고유한 미의식, 전통, 조형적 질서를 담아 낸 한국민화에서 추출한 예술적 색채관을 한국 지공예에 적용하여 현대적인 재해석으로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한지지함을 제작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민화는 우리민족의 생활 철학과 정서가 자유로이 표현된 그림으로 궁중내실 장식화로부터, 서민층 무속 종교화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의 삶을 반영하여 전통문화의 한 장르를 이루고 있다. 예술적 측면의 민화는 전통적인 미의식인 소박함과 담백함을 지니고, 해학성, 무속성, 무명성을 특성으로 하여 선과 구도에서는 반복성, 복합성, 추상성, 원근법적인 조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고 색도 대체로 높은 채도의 원색을 대담하게 사용하고 뚜렷하고 밝은 색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자는 논문에서 민화와 더불어 한국적 미를 잘 나타내고 있는 전통공예품 하나인 한국 지공예품의 조형성 특성과 고유의 미감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민화의 색채관을 바탕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공예품의 문화상품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의 특수성을 지켜 나가기 위해 세계화 시대 에 맞게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중요한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우리만의 문화상품으로 개발해야할 것이다. 이렇듯 한국문화의 민족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문화역량을 어떻게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새로운 세기에 있어 국가의 위상이 결정될 것이다. 지금까지 잊어버린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발견하고 한국의 전통 문화를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다양한 표현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제품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것이다.

      • 홈쇼핑 기업의 중국 진출 성공 요인 : 가치 활동 시스템 맵을 통한 비교 연구

        서영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conomic reform China has employed opens up Chinese markets and positions the country as a future world economic leader. Some examples of the economic reforms are when the Chinese government joine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2001 and when home shopping became a new retail mode in China.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events resulted in a gradual rise in China’s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the home shopping industry has become a highly attractive market. This paper has two purposes. I will first look at how to achieve core competency for sus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s in China’s home shopping industry. After determining those methods, I will explore the reasons behind these home shopping companies’ critical success. In order to examine the Chinese markets though, this paper will use the value chain and theory of the value activity system diagram of the American professor Michael Por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son behind Dongfang CJ’s success is because it entered the market through Shanghai, which is well-known as the biggest commercial city in China. Dongfang CJ is a successful case of adopting Korean shoppertainment. It uses a Korean system and localizes its human resources in Shanghai. Dongfang CJ’s target audience is rich Chinese women, who are vital in upholding the standards of high class consumption and trend. Xiangguoguojiwas able to succeed because it entered the entire Chinese market. As a result, Xiangguoguoji’s core facilities are located in Beijing. It uses commercial advertisement as well known infomercials to display their products. Xiangguoguoji not only develops its own products but also producesits private products. These products have become popular item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Xiangguoguoji also combined the idea of the internet mall, agency and office into a multi-distribution platform. The company, Happigo, succeeded in the Chinese markets because of its start in Hunan, which is located in China’s inland area. Although it started inland, Happigo expanded its market in sixty four different areas. Dealing with these huge areas, the company installed three regional logistic centers and six regional shipping centers. Happigo’s combination of TV home shopping with internet mall, radio, catalog, and magazine became its strength.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trust, Happigo appoints experienced experts and product representatives. They also issue quality control (QC) notes for all products that are sold, which explain in detail about the quality of the reference. This paper analyses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s TV home shopping industry, which is still developing for the future. Entering China’s home shopping market is not only a good opportunity but also a new challenge. We need to keep up to date about the rapidly changing market situations due to modifications in laws and regulations.

      •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영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effects of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Research Question 1-1. What are the effects of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s? Research Question 1-2. What are the effects of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25 five-year-olds from two classes of E Kindergarten in G City(the experiment group contain 12, and the control group 13). Employed to examine the subjects' pro-environmental attitudes was the Inventory of Nature-Friendly Attitude by Heo Yun-jeong(2001) who translated and revised the CATES-PV developed by Musser and Diamond(1999). Before applying the inventory, the investigator revised some of the difficult items for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 two groups were put to experiment treatments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from May 19 to July 9, 2009. The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experiences were made based on the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of 2007 by the investigator. For group game activities, the investigator consulted the collection of kindergarten activity materials, the homepage of Ministry of Environment, books about environ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concerned previous studies.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data were analyzed in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he pre-test and homogeneity test,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the 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experiences, love for and interest in animals and plants, and prefeughce for ture-al environments. And secondly, the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experiences had no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and their attitudes of protecting nature and saving resources. In short, the group game activities through nature-friendly experiences turn out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s pro-environmental attitudes.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문제 1-2.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I유치원 두 학급 만 5세 유아 25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친화적 태도를 살펴보기위해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를 허윤정(2001)이 번안, 수정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에서 유아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일부 문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실험처치는 2009년 5월 19일부터 2009년 7월 9일까지 8주동안 주 2회씩 실시하였다.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은 연구자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근거를 두고 구성하였으며, 집단게임활동은 유치원 활동 자료집, 환경부 홈페이지, 유아환경교육 관련 서적, 관련 선행연구 등을 통해 고안한 활동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전검사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 평균과 표준편차,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동 · 식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의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연보호, 자원 절약의 태도 향상에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자연친화적 체험을 통한 집단게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중 자연친화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남성 소비자의 캐주얼 의류에 대한 태도와 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

        서영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en have more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clothes and clothes-wearing unlike before and as they mind, study and consume fashion mor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uch a desire, their consciousness of fashion grows together. Namely, fashion and dressing up are not women’s exclusive property anymore; especially, men ar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casual clothes and accessory, purchase and portion of casual clothes are increasing compared to suit. As male consumers’ role gets important in fashion market, the research on their clothes and fashion is increasing but the research on the casual clothes of men on their 30~40s who are getting younger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sual wear brands for men in their 30~40s and their characteristics among other men’s wear brands recently appearing in Korea.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method on the men in their 30~40s living in Seoul. In order to extract appropriate questions for this study, I have 310 persons who have ever bought fashion item (casual clothes or accessory) in recent one year period among 1,000 adult men living in Seoul, and performed this survey on them. 234 out of total 310 samples were used in final data analysis, and SPSS Ver19.0 was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Casual clothes can be defined as comfortable and practical clothes that wearer can put on in various T.P.Os (time, place, occasion) in case he doesn’t have to stick to formality. In addition, criteria of dividing men’s casual clothes become more subdivided including town casual, character casual and traditional casual. The men in their 30~40s, targets of this study can be characterized to be faithful to both work and family; they are not stagnant but endlessly struggle to keep up their appearance and life style by using information or communicating with other generations. To sum up the study results; first, for the question to pick brand names that could be men’s casual brands, male consumers in their 30s showed rather clear recognition on the casual brands but it was shown to be relatively insufficient in male consumers in their 40s. Secondly, male consumers’ attitude factors on the casual brands were revealed to be ‘aesthetic factor’, ‘external environment’ and ‘economics’, and the men in their 40s showed a bit higher average value than men in their 30s in ‘aesthetic factor’ and ‘external environment’ but it was in slight leve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ntirely.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their attitude on men’s casual. Third, upon buying men’s casual brand actually, it was found that five characteristic factors of ‘external environment’, ‘functionality’, ‘aesthetics’, ‘symbolism’ and ‘economics’ are considered; men in their 30s showed no big difference in actual purchase characteristics about men’s casual brand with other factors but men in their 40s showed higher degree in‘buying product with noticeable brand logo or trademark’item among‘symbolism’ factors than men in their 30s which has p< .01 of significant difference.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men in their 30~40s living in Seoul.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all include men in their 30~40s living in other areas than Seoul into their targets, and comparative study among regions shall be performed. In addition, a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men in their 30~40s, the follow-up studies shall be performed by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their 20s. 남성들은 예전과 달리 의복이나 착장을 통한 자기표현의 욕구가 커지고 이러한 욕구 증가에 따라 패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소비하며 그에 따른 패션의식도 더불어 진화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제 더 이상 패션, 몸치장이 여성의 전유물만은 아닌 시대가 도래하여 특히 남성의 캐주얼(casual) 의류 및 액세서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정장에 비해 캐주얼 의류 구매 및 그에 따른 구성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패션 시장에서 남성 소비자의 역할이 중요해 지면서 의류나 패션분야에서 그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기는 하나 젊어진 30~40대 남성의 캐주얼 의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는 30~40대 남성 소비자들의 남성복 브랜드들 중에서 캐주얼 브랜드와 그 상품에 대해 나타내는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30~4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을 추출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 거주 성인 남성 1,000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이내 패션 상품(캐주얼 의류나 액세서리) 구매 경험이 있는 310명을 추출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0부 중 총 234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Ver19.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캐주얼 의류의 정의는 착용자가 격식을 많이 차리지 않아도 되는 경우 다양한 T.P.O(time, place, occasion)에 따라 착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실용적인 의류이다. 또 남성 캐주얼은 타운 캐주얼, 캐릭터 캐주얼, 트레디셔널 캐주얼 외에 구분 기준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30~40대 남성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일과 가정에 충실하면서 정체되어 있지 않고 정보나 다른 세대와의 소통 속에서 자기 스스로의 외모나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하는 사람들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성 캐주얼 브랜드라고 생각하는 브랜드 이름을 답하는 질문에서, 30대 소비자는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명확한 편이였으나 40대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 소비자들의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태도 요인은 ‘심미성’, ‘외부환경’, ‘경제성’의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심미성’과 ‘외부환경’에 대해 40대가 30대에 비하여 평균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수준이 미미하여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남성 캐주얼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30대와 40대 연령별 차이는 크게 없다고 볼 수 있었다. 셋째, 남성 캐주얼 브랜드를 실제 구매할 때 고려하는 특성에 대한 요인은 ‘외부환경’,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 ‘경제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으며, 30대에서 남성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실제 구매 특성에 대하여 다른 요인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상징성’요인 중‘브랜드 상표나 로고가 잘 보이는 제품 구입’문항에 대하여 40대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 .01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남성 30~40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서울 특별시 외에 다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0~40대 남성을 포함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지역간의 비교연구도 더불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3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20대 소비자 특성이 포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현장학습으로서의 중국 수학여행 개발방안 연구 : 북경을 사례로

        서영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作为高中汉语教学实地学习的中国修学旅行开发方案研究 以北京为例 韩国外国语大学校 教育大学院 中国语教育专攻 徐姈志 鉴于目前的高中中国修学旅行未切实提供教育活动或体验计划,止步于单纯参观文化遗迹的一次性活动的现状,本研究针对这一问题提供了一个开发方案,以便能够找回修学旅行作为教育活动的原有意义。为了解决这个问题,笔者将中国修学旅行视为汉语教学的实地学习,为学生提供一个能够学习中国文化和练习汉语口语的中国修学旅行开发方案。 本研究共分为5章,各章的主要内容如下: 第1章、绪论。叙述研究的目的、必要性、前人研究、研究的方法及内容。 第2章、考察了修学旅行的相关内容。首先阐明了修学旅行的定义和教育意义。其次指出了修学旅行中通常存在的问题。再次调查了目前国外修学旅行的整体现状。最后分析了汉语教育中体验教育的必要性,并指出了中国修学旅行的有效性。 第3章、以2008年-2010年首尔市高中为例分析了中国修学旅行现状。首先调查了高中中国修学旅行的修学地区,然后按各修学地区分析了到访地点和体验计划。此外,以到中国修学旅行的学校为例探讨了日程及存在的问题。 第4章、设计了能够弥补目前中国修学旅行存在的问题,学习中国文化和练习汉语口语的中国修学旅行。 笔者设计的中国修学旅行特点有三: 第一、按修学旅行的进行阶段分为计划阶段、事先学习阶段、现场学习阶段、事后学习阶段,以便系统地进行修学旅行。 第二、将修学旅行的日程分为参观学习日程、任务日程、体验日程进行。参观学习日程以现有北京修学旅行最常去的地点为重点构成。针对每个文化遗迹提出了事先探访课题。任务日程提供了一个能够直接在目的语环境中应用课堂上学到的汉语口语练习的机会,完成购物、访谈等任务课程。体验日程以让学生们亲身体验中国文化为目的。笔者按学生们的水平,提出了3种易于参与的体验活动,分别是剪纸、制作中国结、绘制脸谱。 最后,分别提出了针对参观学习日程、任务日程、体验日程的事后学习内容,以便能够整理在中国修学旅行中学到的知识。 第5章、结论。整理了本研究中涉及的内容,提出了本研究的意义和局限性。 在目前高中中国修学旅行、学校交流、文化探访等多种国外现场学习计划逐步推广之际,希望本研究能够为实际学校现场应用提供帮助,并希望今后继续进行相关领域的研究。

      •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 기반의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 및 쓰기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영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nglish has been established as the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with a variety of people across borders. As the use of the Internet and mobile becomes popular with globalization, the written language-based communi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gradually becomes as important as the spoken-language based communica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Under this circumstance,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feel pressure of teaching and learning how to write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students also feel difficult to select proper vocabulary of what they want to express as well as to use it correctly in the process of writing. This is because vocabulary is considered to be taught through individual word list for oneself rather than being taught through vocabulary teaching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y as the specific instructional activity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effect on the English vocabulary and the writing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ffective attitude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education utilizing the English Story Flas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78 of three classes in the six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the high-achieving group and low-achieving group through the pre-test. Prior to the experiment, the affective survey on pre-vocabulary and writing was carried out. After finishing the experiment, post-assessment survey and the affectiv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ll three groups. For two experimental groups, the intensified-activity questionnaires were additionally distribu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al research are as follows; Above a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 and the post vocabulary test scores of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centered on the textbook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al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vocabulary skill.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lasses with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vocabulary education of the learners, and more positive education effects were showed when the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were added.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skill per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for the high-achieving group and the low-achieving group both. In contrast, in terms of the score improvement within the groups, the high-achieving group and the low-achieving group with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score improve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the post test scor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can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wiring skill of the learn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high-achieving group of writing. As the result of the post test, the mind-mapping activity after watch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can help the high-achieving students to improve writing skill. Also,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test scores among the groups showed that the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ies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all affect positively on the writing skill of the low-achieving students. Thirdly,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ost assessmen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y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on the affective attitude of the English learn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hree groups in the four areas of interest, self-confidence, necessity, participation level. In the comparison within the groups, they all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toward vocabulary and writing excepting for self-confidence area.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es, teachers should help the learners to get interested in the English classes as well as be exposed into a whol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which are related to the textbook subjects or the learners’ interest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constant classes utilizing the English Story Flashes can be expected to mak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earning skills and the attitudes toward English. In addition, the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learn and realize for oneself beyond the passive education of the excessive English private lessons so the English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home pages can be developed into the opportunity of self-directed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Secondly, the teachers should instruct the learners on the importance of post-writing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after watching the English stories so they can be guided to write the subject-related vocabulary with free-association or to write the contents in the stories with the summarized sentences more than simply reading or listening the stories. As the results of the pre and the post survey and the results of the intensified-activity supplement questionnaires of this experiment said, the group with the mind-mapping and summarizing activity after watching the Internet English Story Flashes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in the affective area. Besides, the group who performed each writing activity showed the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vocabulary and writing education skill. Therefore, the teachers should guide the learners to write down the vocabulary and the contents which the learners initiatively learn so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writing activity by performing post-writing activity after utilizing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the English story in the field of education. 세계화 시대에 영어는 국경을 넘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넷,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사용이 대중화 되면서 말하고 듣는 음성언어 위주의 의사소통만큼 읽고 쓸 수 있는 문자언어로의 의사소통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 영어교육과정에서는 여전히 음성언어 중심의 영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쓰기는 초등 학습자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쓰기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적합한 어휘를 선택하고 사용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어휘는 별도의 교육을 통해 습득되기보다 개인이 스스로 학습해야하는 것이라 여겨지며 이에 따라 어휘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휘를 익히는 것은 외국어 학습의 근간이며 어휘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말하기에서부터 쓰기까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초등 단계에서부터 어휘를 문맥 내에서 이해하고 쓸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최근 세계화·정보화에 발맞춰 인터넷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자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영어 동화 플래시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학습효과를 얻고자 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동화 플래시를 활용하는 연구들 중 구체적인 수업 활동을 통해서 나타나는 어휘와 쓰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수업 활동으로써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수업 활동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및 쓰기 학습과 그들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세 학급 총 78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총 7회의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한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활동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 어휘 및 쓰기 평가를 통하여 상·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실험에 앞서 사전 어휘 및 쓰기에 대한 정의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차시 당 1편씩 총 7편의 영어 동화 플래시를 보여준 후 차시별로 정해놓은 어휘를 목표로 하여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수업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교과서 중심의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인터넷 영어동화 플래시를 시청 후 따로 수업 활동을 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세 집단 모두에게 사후 평가와 함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실험 집단에게는 활동 심화 설문지를 추가로 배부하여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한 수업과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수업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의 사전·사후 어휘 평가 점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 중심의 통제 집단과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 내의 어휘 능력 향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사후 비교를 통해 알아본 결과,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며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수업 활동이 더해질 경우 어휘 학습에 있어서 더욱 긍정적인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준별 어휘 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는 상·하위 집단 모두에게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집단 내 점수 향상에 있어서는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활동을 한 상·하위 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고 교과서 중심의 통제 집단의 경우 하위 집단에게만 어휘 점수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쓰기 평가 점수 비교를 통해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 기반의 마인드맵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집단 간의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지만 쓰기 상위 집단에서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 시청 후 마인드맵 활동 시 쓰기 상위 수준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위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 비교를 통하여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보거나 혹은 인터넷 영어 동화를 활용하여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수업 활동을 하는 경우 하위 수준의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 기반의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수업 활동이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어휘 및 쓰기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필요성, 참여도 4가지 영역에서 세 집단 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내 비교에서는 어휘와 쓰기 태도에서 자신감을 제외한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어휘와 쓰기 상위 집단의 경우 마인드맵 활동을 한 실험 집단에서 정의적 태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하위 집단의 경우 흥미와 자신감 및 참여도에서 집단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였지만 수업 활동을 한 두 실험 집단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어휘와 쓰기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수업 활동을 한 실험 집단에 한해서 사후 심화 보충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신감 영역을 제외한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기반으로 하는 영어 수업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특히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의 경우 마인드맵 실험 집단에 비해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 능력 향상 효과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개방형 설문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하여 수업을 할 경우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더욱 재미있게 영어를 학습할 수 있었으며, 이야기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배울 수 있어서 기억에 더 많이 남는다는 점을 영어 동화 플래시 수업의 장점으로 꼽았다.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활동의 경우 동화 플래시를 통해 보았던 단어와 내용을 한 번 더 복습할 수 있어서 더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사후 활동의 장점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인드맵을 한 학습자들의 경우 알고 있던 단어나 철자가 기억나지 않거나, 어떤 단어를 얼마나 써야하는지를 알 수 없어 활동지 작성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답변도 있었다. 또한 요약하기 활동을 한 집단의 경우 자신의 영어 실력에 비해 요약하기를 한다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기도 하였으며 쓰기 활동을 함에 있어서 마인드맵 활동 집단과 같이 단어 철자가 헷갈려 어려웠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사는 교과서 주제와 관련되거나 혹은 학습자들이 관심 가질 수 있는 주제의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영어 수업에 대해 흥미를 가지면서 총체적 언어 학습 환경에 노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커져가는 실력의 차이에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도가 낮아질 수 있는 하위 집단의 경우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통해서 별다른 수업 활동을 하지 않은 통제 집단과 서로 다른 활동을 한 두 실험 집단 모두에게서 어휘 및 쓰기 영역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꾸준히 영어 동화 플래시를 활용한 수업을 할 경우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 및 영어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영어 동화 사이트를 활용한 영어 학습이 교실 밖의 자기 주도적 학습 기회로 연장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과열화된 영어 사교육 속 수동적인 학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배우고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습자에게 영어 동화를 접하고 난 후 사후 쓰기 활동의 중요성과 학습 효과에 대해 알려주어 학습자들이 이야기를 읽거나 듣는 데서 그치기보다는 주제와 관련 있는 단어들을 연상 되는대로 써보거나 이야기 속 내용들을 요약 문장으로 써볼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본 실험의 사전·사후 설문지 결과와 실험반의 활동 심화 보충 설문지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인터넷 영어 동화 플래시를 본 후 마인드맵 및 요약하기 활동을 한 집단의 경우 정의적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어휘 및 쓰기 학습 능력 향상에서도 통제 집단에 비해 각각의 쓰기 활동을 수행했던 실험 집단에서 더 높은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 현장에서 영어 동화 외에 다양한 자료 활용 후 사후 쓰기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한 어휘와 내용들을 써봄으로써 쓰기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셋째, 마인드맵과 요약하기 활동을 수업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는 주제를 선정하고 활동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관심과 수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잘 고려해야한다. 어휘 학습에 있어서는 목표 어휘의 양을 조절하고 쓰기 학습에 있어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 과업에서 한 번에 많은 쓰기를 요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후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결과에서 요약하기 활동을 했던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위 집단의 학생들과는 달리 어휘 및 쓰기 흥미도에서 다소 낮은 반응을 보였던 점을 고려하면 과업의 양이 많아지거나 난이도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학습자들에게 쓰기 수업 활동이 오히려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높이는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고 학습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활동 과업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 수련(睡漣)의 표현에 관한 연구(-동양화와 서양화의 비교연구를 통한-)

        서영지 대구가톨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과 모네의 작품을 비교 분석하여 동서양의 회화를 융합한 새로운 표현의 장을 열어나가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모네의 수련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수련이란 모티브의 표현에 있어서 동서양 회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또 모네와 동일한 소재인 수련을 본인의 작품에 접목함으로써 공간 개념과 색채와 빛의 표현 및 색채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수련이란 모티브의 표현에 있어서 공통점은 수련의 심상, 수련의 공간, 수련을 표현하는 광선과 대기의 분위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모네와 본인은 동일한 소재인 수련으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자연을 보고 재현하는 방식은 모네의 수련과 동일한 방식이며, 본인의 작품에서도 그렇듯이 하나의 주제를 정하여 자연물의 형태를 주관적 시각을 통해 단순화하여 화면상에서 소재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수련의 공간에서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구도적인 면에서 본인의 작품에서나 모네의 작품에서 연못을 하나의 거울로 삼아 수면과 평면의 이질적인 공간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으며, 이때 허(虛)와 실(實)은 떠있는 수련 외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확장되어가는 공간을 암시해주고, 또 물을 통해 한 없이 깊고 넓은 개방된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모네의 수련은 색채와 빛을 통해 찰나의 순간을 시각적 감각으로 표현하려 했고 그의 주요 관심은 짧은 순간에 시각적으로 처음 지각한 사물을 표현하려 했다. 그 달라지는 빛을 잡아내기 위해 빠른 붓질과 추상적인 표현이 나오게 되었고 본인의 그림에서도 빠른 붓 터치 대신 빠른 먹의 필선으로 수련을 표현하였다. 수련을 해석하는 동서양회화의 차이점은 재료적인 측면과 화폭에 따른 여백의 조형성, 재현과 단순화, 그리고 수련에서의 물의 상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재료적인 면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모네는 유화이고 본인의 작업에서는 캔버스 천이 아닌 광목과 삼베에 염색을 하여 동양화재료와 함께 수련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동양에서 중시하는 여백은 본인의 작품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보여 줄 수 있는 내부와 수련의 이미지를 그리는 외부가 만나는 길을 제공해주고, 모네는 단지 구도상의 공간으로 보았다. 본인의 작품에서 대상을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게 하고 동양의 기법 중의 하나인 형상기억(shap e memory)의 방법으로 수련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또 수련에서의 물의 상징에서 모네는 물을 고정적인 이미지인 생명의 원천으로 보았고 , 본인은 물을 보이지 않는 정신적인 무언가로 보여주기 위해 단순히 채색이 아닌 천에 우연적인 염색을 하여 물을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본인은 모네의 작품세계에 대한 관찰을 통해 그가 추구하였던 작업방식과 색채의 구성적인 회화양식이 본인 작품과 동양회화 속에서도 그 유사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본인의 그림은 자연에서 쉽게 마주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여 보는 이의 마음에 내재한 서정적 풍경을 이끌어 내어주고 있으며, 앞으로의 본인의 작업방향에서도 그렇게 다가 설수 있기를 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new expressive field in the union side of Oriental-Western paintings, by making comparative analysis of my works and Claude Monet's works. Accordingly, the course of research in the concrete is to understand the spatial concept of a serious of water lilies painted by Monet and analyze comparatively a common feature and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Oriental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in the expressive side of water lilies as the motive. And I paid attention t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concept, the expression of color and light, and the difference of colors by grafting the image of Monet's water lily on my works. In result, the expressive common features were light and atmosphere of the air based on the mental image and the spatial sense of water lilies. Monet and I treated an image of water lily as a subject matter, and both representative methods on nature were at one. He emphasized the image of subject matter on the canvas by simplifying the shape of natural object likewise mine. And it originated in painter's subjective vision. In the common feature of the spatial image of water lilies, a lotus pond took a central role as a mirror in composition of a painting and showed a heterogeneous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plane. And it alluded to a extended space from visible lilies to invisible part and showed a boundless world through water. Monet expressed a moment as a visible sense by color and light, and his matter of grave concern was in the capture of thing's impression in a moment. Therefore he had to make quick strokes with a brush to catch such an impressional image. As a result of such works, an abstractive expression came into existence. I also presented water lilies by quick brush strokes. The analytic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n water lily could find in the side of materials, the formative character of space, the representation and the simplification, and the symbol of water in the lilies. There was a radical difference in the side of materials, as it were, Monet used oil colors and I used cotton cloths, Chinese ink, and Oriental dyes. In the side of the space as a main concept in the Oriental painting, Monet grasped it as a mere space of composition and I seized it as a mixtur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Above all things, I expressed effectively their images in order to show as natural and active objects, by applying the method of shape memory to painting. In the symbol of water, he grasped it as the wellspring of life through a fixed image and I seized it as an invisible thing and a spiritual thing through a contingency of dyeing. As a result of such a research, I could certify that his viewpoint relative to the style of compositional painting and the work style was similar to the elements of Oriental painting and my works. I hope that my work will arouse a lyrical scenery from appreciator's abyss by applying an intimate and a natural subject to my painting. Accordingly I am to embody my aesthetic viewpoint.

      • 은행 여직원의 유니폼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영지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ore practical uniform design for female staff of bank, a group wearing uniform most universally,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wearing uniform, their satisfaction at current uniform and their preference for uniform. For attaining the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female employees of bank in the city of Daegu.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y SAS program,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female employees investigated expressed lower satisfaction at the components of uniform. They were not contented with an activity that moved their bodies while sitting down in a chair or handled the duties. However, they showed a high satisfaction at itself in general. Second, the most favored component of uniform ,was function, and most preferred esthetic properties was design. The most favored functional feature was activity, and the most preferred symbolic feature was a sense of belongings. When their preference for uniform subarea was examined, they preferred dark blue, beige, or blue. The favored cloth was cotton with chemical fiber mixed, and they preferred a simple style without figure and a womanly hourglass silhouette. For the collar of upper garment, bow or plat style was preferred. For sleeve, bell or elbowlength style was favored. For skirt, pleat or A line was preferred, and they liked a refined and calm uniform image. Third, the uniform design was changed every two years, but was determined unilaterally by the management. A two-piece suit without pattern was used most, and the most largely used cloth was cotton with chemical fiber mixed or chemical fiber. And the most widely used color was red or dark colo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ree types of design were provided in this study for female employees of bank: a general one, a visual-specific one and an artistic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