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서수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리적인 압박감 및 불안감으로 인해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지만 성적이 잘 나오지 않고 학생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자는 수년간 수학 교사로 재직해 오면서 종종 수학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과 고통으로 많은 노력에 비해서 수학성적이 부진하여 고생하는 학생들은 보았다. 수학 학습이나 시험에 있어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어려움을 갖는 현상을 수학 학습 불안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학 학습 불안을 체크할 수 있는 설문지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생 중에 수학 학습 불안을 심하게 느끼는 학생 중 수학 실력이 중상, 중, 중하 정도인 3명을 선정하여 설문, 상담, 관찰, 학부모용 설문지 등을 통하여 수학 학습 불안의 원인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학 학습에 대한 불안요인은 다음과 같았다. 기초학습 및 선수학습의 결손, 수학은 어렵다는 선입견, 잘못된 계열 선택, 교사와 학생간의 부정적인 인간관계, 수학교과의 응용성, 부모님과 교사의 지나친 기대, 계속되는 실패로 인한 자신감 상실,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의 연속으로 의욕 상실, 주어진 시간 내에 문제를 풀어야 하는 초조감, 문제풀이식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수업 분위기, 새로운 대입제도(상대평가)에서 오는 부담감, 사교육에의 지나친 의존, 수학교과내용의 형식성과 용어의 추상성, 수학의 직관성과 논리성 등 이었다. 본 연구의 수행 과정과 결론에 따른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수업방법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학생들도 충분히 이해하고 즐겁게 수업에 참가할 수 있도록 이론과 개념은 확실하게 심어주고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을 가지고 학습한 후에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는 수업으로 바뀌어야 한다. 두 번째, 학습결과 뿐만 아니라 학습과정 중심의 평가로 바뀌어야 한다. 중간, 기말 시험은 학생들에게 더욱 긴장을 하게 만들며 압박감을 주어 수학 학습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평소의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교사와 부모의 칭찬과 격려가 충분히 동반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와 부모의 칭찬과 격려가 없다면 학생들은 힘이 나지 않을 것이며, 다음 학생이 이루어 져도 의욕이 생기지 않을 것이며 이로 인해서 수학의 흥미도 저하될 것이다. 네 번째, 수학적 성향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긍정적인 수학적 성향은 자신감에서 비롯되므로 자신의 수학적 지식이나 능력을 사용하는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다섯 번째, 수학에 대한 잘못된 신념을 교정시켜 주어야 한다. 수학에 대한 잘못된 신념이 불안감을 가중시키므로 잘못된 신념을 교정시켜 주어야 한다. 여섯 번째,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의 수학 수업은 아는 것과 의사소통을 구별하여 아는 행위 자체만을 강조한다. 의사소통은 수학 시간에서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교사와의 친밀도를 높이도록 한다. 수학 학습 불안은 교사와의 갈등이나 불안, 위축 등 심리적 어려움 때문에 자기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교사의 전문적 역할도 중요시하지만 아직까지는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더 의미를 두는 것으로 보인다.

      • 수술실 외과의사들의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활동 실태

        서수영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과의사들의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감염관리 활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수술실 간호사 74명을 대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객관적인 관점에서 보는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자 중 여자가 91.9%였고, 나이는 20~29세가 41.9%로 가장 많았다. 수술실 경력은 1년이상 5년이하가 41.9%로 가장 많았다. 주로 근무하는 과는 일반외과가 36.5%로 가장 많았다. 수술실 간호사의 관점에서 보는 외과의의 환자안전보장 활동 23문항에서 전체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33점이었다. ‘시술/수술 전 수술동의서를 받는다’가 4.3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수술실에서 화재발생 시 절차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다’가 2.52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수술실 간호사의 관점에서 보는 외과의의 감염관리 활동 17문항에서 전체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33점이었다. ‘수술/시술 전에 손위생을 한다’가 3.8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장갑(멸균/비멸균) 제거 후 손위생을 한다’가 2.82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수술실 외과의사들의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에 대한 활동 실태는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CaF₂single crystals growth by the modified bridgman-stockbarger technique

        서수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Bridgman-Stockbarger(BS) 성장법은 광학용 단결정 성장을 하기에 우수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4인치 이상의 결정을 성장하기 위한 Bridgman-Stockbarger(BS) 성장장치를 구성하였다. 먼저 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 4.5인치의 형석(CaF2) 단결정을 성장속도 3mm/h, 성장온도구배 12C/cm의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우산형의 Mo 열반사 baffle을 사용하여 다결정체로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Seed를 사용하지 않고 성장한 결정의 성장면은 (111)이었으며, XRD 분석결과로부터 계산된 격자상수(lattice parameter)는 standard 값과 유사한 5.460Å이었다. 또한 XRD 분석결과, 2차상은 분석되지 않았으며, 전위밀도는 1.4×104 cm-2 이었다. 성장된 결정이 UV grade용도로 사용에 적합한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UV 파장영역에서 무반사 코팅없이 91%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시광 및 적외영역에서는 무반사 코팅없이 93%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가시광영역에서 파장에 따른 굴절율과 분산도를 결정하는 Abbe’s constant는 결정 blank의 부위에 따라 균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두번째, multi-crucible set를 이용한 형석결정 성장으로, 본 방법이 형석결정외에 다른 금속할라이드계의 결정을 다양한 구경의 결정과 대량의 결정을 성장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multi-crucible set을 이용한 성장법으로 한번의 성장공정을 통하여, 42, 54, 68mm의 다양한 직경의 형석 단결정을 성장하였으며, 다결정 형성여부 관찰, 전위밀도 및 광학적투과특성으로 결정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투과도는 가시광-근적외광영역에서 93%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세번째, 대구경 성장을 위한 수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결정 형성, 내부의 inclusion, 그리고 고액 계면을 제어할 수 있었다. 6인치의 형석 단결정 성장시, graphite screen과 ceramic warmer를 사용하여, 성장속도 2mm/h, 성장온도구배 14C/cm, 그리고 도가니원추 tip에서의 온도범위 13273C의 조건으로 6인치의 대구경 단결정을 성장할 수 있었다. 또한 내부 inclusion에 의해 발생되는 light scattering 현상은 성장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융액을 회전(7rpm)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형석단결정성장시 발생되는 대표적 결함을 관찰 및 조사하고 이들이 결정의 물성, 특히 광학적 특성(투과도, 굴절율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결정내부의 inclusion은 광학현미경과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성분분석도 시행하였다. Inclusion 중에 bubble내부에는 산화물형태의 석출물이 형성됨이 성분분석(WDX분석)을 통하여 판명이 되었으며, 이러한 석출물들은 주로 결정내부의 cavity 잘 형성되었다. 결정에 육각형태의 negative crystal이 퍼져있는 경우, negative crystal이 입사빔의 scattering 현상을 야기시켜 투과도를 약 2~3%정도 저하시키는 특성을 나타냈으며, 굴절율 또한 저하되었고 균일하지 못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자주빛 색상을 띄는 결정의 경우, 전위밀도가 매우 높았는데, 성분분석결과에 의한 Ca와 F의 원자비 분석결과, 1:1.2인 것으로 보아 F이온의 부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러한 형석결정 내의 자주빛 형성은 F vacancy site의 electron trap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WDX분석과 성장조건비교로 간접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는데, high growth rate와 high cooling rate의 성장조건이 electron trap의 원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형석의 고유특성 중 하나인 형광(fluorescence)현상은 형석 단결정의 전위밀도가 클수록 형광세기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UV영역에서의 고품질의 광학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 전위밀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vacuum Bridgman-Stockbarger(BS) method was adapted for growing CaF2 single crystals with large diameter up to 4 inches. CaF2 single crystals with a good optical quality were successfully grown under the conditions of growth rate of 3mm/h and freezing temperature gradient of 12C/cm. The use of the Mo baffle reflector of umbrella shape was very effective for eliminating the generation of polycrystals. The preferential growing orientation was found to be (111) plane, and the lattice parameter calculated from XRD peaks was 5.460Å. The XRD results confirms that there were no secondary phases formed in the grown crystal.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grown crystal was 1.4 ×104 cm-2 and the crystal quality which the transmittance is 91% up in UV region is estimated to be suitable for optical components of UV applications. Transmittance was up to 93% in the range of 7500~500cm-1, and the other optical properties such as refractive index and Abbe’s constant were very homogeneous through the crystal ingot. The growth method using multi-crucible set is very useful for mass production of optical crystals such as CaF2, LiF and BaF2 etc. CaF2 crystals of various diameters (42, 54 and 68mm) were successfully grown by means of multi-crucible set technique during one running operation. It was found the formations of grain boundary depend on the setting aspects of crucible and the crucible pulling rate in multi-crucible set technique. The qualities of grown crystals were evaluated by observing the number of grains and the dislocation density. And transmittances of blank prepared from 42mm crystals were above 93% in the range of visible to NIR. The modified method (thermal stabilization method, TSM) for large diameter crystal was able to control the poly-grain, the internal cavities and the solid-liquid (SL) interface. CaF2 single crystal of 6-inch diameter was successfully grown under the conditions of growth rate of 2mm/h, vertical freezing temperature gradient of 14C/cm and temperature of 13273C at the conical tip of crucible when a graphite screen and a ceramic warmer were coincidentally adopted. The graphite screen, which was settled between the crucible and the heating element for thermal stabilization, could minimize the radial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melt and crucible wall. In addition, the light scattering phenomena generated by internal cavities were eliminated by decreasing the growing rate and/or as adopting the rotation (7rpm) of melt. The internal defects in CaF2 single crystal were characterized using an optical microscopy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quipped with a wave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The presence of small-sized negative crystals in CaF2 crystals was detrimental to the transmission and refractive index. Also the precipitates of oxide compounds were mainly observed in the internal cavities of crystal. Other precipitates such as metal chlorides and carbon were specially observed in violet colored crystal. It was recognized that the violet color occurred in the grown crystals appeared in the growing conditions of high growth rate and high cooling rate. And it was understand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depends on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grown crystal.

      •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transition metal added ZnO thin-films

        서수영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Spintronics is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manipulating the spin degree of freedom of a single carrier (electron or hole) or of an ensemble of such carriers to provide new functionality for microelectronics devices. Because the spin of a charge carrier may be the last remaining degree of freedom to explore and exploit, numerous research groups have pursued comprehensive knowledge of spin dependent phenomena, and potential technological breakthroughs that may derive from their application. One approach to obtaining practical spintronic applications is to exploit novel materials that show ferromagnetic ordering at above room temperature (RT). Since the suggestion that diluted magnetic semiconductors (DMSs) based on GaN and ZnO doped with 5% at % Mn with an adequate hole concentration (1020cm-3) are promising RT ferromagnetic materials, numerous reports have demostrate ferromagnetic ordering in those materials. However, its origin is still under a lively controversy. The recent “impurity band model” in which bound magnetic polarons cooperate with intrinsic or extrinsic defects to help stabilize ferromagnetic ordering in DMSs has encouraged many researchers to continue their study on wide bandgap ferromagnetic semiconductors. In this study, the most promising wide bandgap ferromagnetic semiconductors, ZnO thin films doped with Fe or Co, were fabricated using reactive RF-magnetron sputtering techniq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rromagnetic ordering and microstructure was carefully ascertained. Moreover, a feasible and effective method of growing thin films is proposed, which has never been employed to fabricate DMSs. Ferromagnetism in Fe-doped ZnO films fabricated by reactive RF magnetron sputtering is strongly influences by intrinsic defects, oxygen vacancies, and Fe content. ZnCoO films showed n-type characteristics,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that increased as carrier concentration increased. This is clear evidence of RT ferromagnetic ordering which is stabilized in part by electrons originating from oxygen vacancies. High-quality Zn1−xCoxO (ZnCoO) thin-films with different Co concentrations were synthesized on Al2O3 (0001) substrates using a reactive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High-resolutio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Zn1−xCoxO (x ● 0.07) films had a hexagonal wurzite structure with no extra phase. The lattice constants of Co-doped ZnO thin-films were slightly greater than in undoped ZnO films.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revealed that Co atoms were randomly substituted for the Zn sites in the films. X-ray photoelectron spectra show incorporation of Co2+ ions inside the ZnO lattice without changing the wurtzite structure. Magnetic measurement reveals that the ZnCoO thin-films are ferromagnetic. The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strongly suggest that ZnCoO thin-films can be used in spintronic devices.

      • 뇌졸중 환자 결과 예측을 위한 다중모델 앙상블

        서수영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세계보건기구 (WHO)의 전 세계 사망원인과 2020년 국내 통계청 사망 주요 원인에서 뇌혈관 질환은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고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뇌혈관 질환은 국내외에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됨에 따라 뇌혈관 질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 방대한 양의 의료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질병을 식별하거나 진단하는 의료 인공지능 모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의료진의 진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의 검사 결과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다중모델 앙상블을 제안한다.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의 환자 정보데이터, 뇌 자기공명영상 판독지 데이터, 심전도 텍스트 데이터, 간호기록 데이터이고 각 데이터에 맞춰서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환자 정보 모델, 셀프 어텐션과 양방항 장단기 메모리를 이용한 뇌 자기공명영상 판독지 모델 그리고 다중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심전도 텍스트 모델, 간호 기록지 모델로 모델링 된다. 모든 자연어 데이터는 버트를 이용하여 인코딩되며, 각 모델 (앙상블 멤버들)의 예측 확률을 평균과 가중 평균을 이용하여 다중모델 앙상블을 구축한다. 결과적으로 다중모델 앙상블의 결과가 앙상블 멤버들의 결과보다 최대 17.8% 향상되었고, 정확도 최대 14.08% 향상되었고, 가중 평균 방식을 이용한 다중모델 앙상블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AUROC 0.9337). 향후 실험 방향은 더 많은 데이터 수를 확보와 앙상블 멤버들의 레이어 결합 방식을 이용한 다중모델 앙상블을 활용하여 더 정교한 뇌졸중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매체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서수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시 창작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창의성과 자율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문학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작 교육의 실천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창작 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체험을 스스로 성찰해 보고, 삶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작 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 창작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 또 이를 수업의 실제에 적용해 매체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효과를 진단해 보고자 한다. 매체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은 학습자에게 친숙한 매체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 유발과 동기화를 촉진해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는 수업 시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하고, 역동적인 수업을 만든다. 특히 영상 매체는 시 창작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발상 단계에서 학습자의 시적 상상력을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또 시의 표현 단계에서는 광고, 대중가요 등을 활용해 시의 운율, 함축성, 비유 등의 원리를 익히도록 지도하고 이를 시 창작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 본고는 익숙하고 친근한 매체를 시 창작 교육에 활용해 전문가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해 온 기존의 창작 교육에 대한 편견을 허물고, 학습자의 가치 있는 경험을 표현하는 시 창작 교육이 실제 수업에서 활발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안하고, 실제에 적용해 보았다. 기대되는 연구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은 학습 동기를 촉진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수업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통해 시 창작 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셋째, 일상생활의 의미 있는 체험을 시 창작으로 표현해봄으로써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고, 문학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시 창작 교육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고 창조적으로 표현할 기회를 얻게 되고, 이는 자신의 삶과 문학을 총체적으로 이해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앞으로 시 창작 경험이 문학의 생활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thesis is to study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vitalization of poem creation education by utilizing various media.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is importantly dealing with practice of creative education as a method for realizing learner-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The creative education has a meaning in a point that a learner can introspect his own experience oneself and recompose a meaning of life. But the research on creative educ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real education sites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resent thesis tries to concentrate my efforts on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poem creation that teachers and learners can valuably utilize in the sites. And the present thesis tries to diagnose effects of poem creation education utilizing media by applying this to real class. The poem creation education utilizing media can promote interest induction and motivation of learners and draw their active participation by utilizing media familiar to learners in class. This makes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ctive during class and makes dynamic class. Especially, video media has an educational value in a point that it raise poetic imagination and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the concept stage that is the most important in poem creation education. And the video media can guide students to learn principles such as a rhythm, implication and a metaphor and others and connect this to poem creation by utilizing advertisement and popular songs, etc. in the poem expression stage. The present thesis devised a model and applied it actually, in order to break prejudice against the existing creative education thinking that only experts can do it by utilizing familiar and friendly media in poem creation education as well as to actively realize the poem creation education expressing valuable experience of learners in real class. If expected research effects are arranged, it is as follows. First, each learners can be a subject because the poem creation education utilizing media promotes learning motivation and induce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poem creation education can be revitalized through a class model capable of being utilized in the education sites. Third, students can raise creative thought ability and build literary ability by expressing meaningful experience of usual life as poem creation. Learners get to obtain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own feeling frankly and creatively through poem cre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various researches should be progressed so that poem creation experience can be connected to life of literature.

      • 한국회화에서의 금(金) 표현기법 연구

        서수영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the discovery of gold, mankind has utilized gold for various purposes. For thousands of years, gold has been used for decoration symbolizing various meanings, besides the main role as the key currency. In this study, the past techniques of gold used in paintings have been surveyed and the meanings of gold also have been considered by looking into the examples of previous Korean paintings in which gold were us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cceed and improve the previous techniques of gold, to look back on the role of gold as a painting material, and to find and analyze how the potential of gold in the painting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aspects. For these purposes, the characteristics of gold in the material aspect, the symbolic meanings, and the method of making gold leaves and particles have been considered. Gold is a special metal that has been used in paintings, which has been sometimes for the case of silver. From ancient times, several methods of making gold as leaves and particles suitable for paint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It was because of the highest ductility and malleability, which are the abilities of solid metal to deform under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 respectively, as well as the high reflectivity and the extreme resistance to corros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old particles and gold leaves used in the previous Korean paintings have been described and the examples were shown too. The painting techniques of gold particles used in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dynasty and Buddhist paintings, landscape paintings, the Four Gracious paintings and the Court Paintings of Joseon Dynasty have been surveyed. Also, the gold techniques used in the murals of Goguryeo tombs were examined and the painting techniques, which utilize both gold particles and gold leaves, used in the portraits of the kings of Joseon Dynasty have been described in historical order. The meanings and background of the usage of gold were also considered and the detailed techniques have been explained with magnified forms of the paintings. Detailed techniques applied to the previous paintings have been studied. The processes of Myo-Geum(描金) method which are shown in previous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s in common and Kingindesrie(金銀泥摺繪) which have been mainly used in Japanese paintings were described and contemporary painting works using gold particle techniques were also considered. One of the new attempts in this study is the succession and applica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he gold particle techniques used in the works have been divided into two parts, Sun-myo(線描) and Boon-myo(分染),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depicted. The painting processes and specific examples of various techniques using gold leaf such as Geum-Il(金一) method, Yip-Boon(立粉), Bal-Geum(拨金), Cho-Geum(雕金), Jeol-Geum(切金), Jeol-Bak(切箔) and Snago(砂子) method have been described and modern paintings adopting gold leaf techniques were also shown as examples. Lastly, the Hommages of the famous Buddhist paintings, <The Painting of Maitreya's Decent to the World(彌勒下生經變相圖)> and <The Painting of the Buddhist Goddess(水月觀音圖)> have been attempted utilizing one of the previous gold leaf techniques, Bok-Bak(伏箔) method. Also, the Yip-Boon method were applied to the new attempts modifying the Real Landscape Paintings of Jung-Sun(鄭敾), who is a famous artist in Joseon Dynasty. The gold leaf techniques and painting processes have been explained in detail to suggest a variety of painting techniques with gold and variegate the visual expression in modern Korean paintings. The methods of Bok-Bak(伏箔), Chup-Geum(貼金), Boo-Bak(腐箔) and Ma-Geum(磨金) and their applications have been described with some samples showing the possibilities of plentiful visual expressions. The Bok-Bak method is a method of pasting gold leaves on the backside of the silk to shimmer through the silk screen, the Chup-Geum is gilding gold leaves on the three-dimensional paper surfaces, the Boo-Bak is a method to reveal the gold leaves beneath the copper leaves by artificial corrosion of copper with ammonia water, and the Ma-Geum is a method of reveal the colors beneath the gold leaves by scraping the surfaces of gold leaves. In this study, mixed use of the above gold leaf techniques and Chinese ink were also applied to some painting works as a new attempt. While gold is shiny but the Chinese ink is calm, they have a same meaning or feeling of eternity in common. Therefore, the control of the brilliance of gold by using the Chinese ink has been tried to deepen the traditional techniques for win-win expression of painting materials harmonizing the gold and black ink. Hopefully, thi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gold as a painting material would giv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expand the boundaries of modern Korean painting techniques. 금(金)이 발견된 이래 인류는 다양한 용도로 금을 사용해 왔다. 금은 고대부터 기축통화(基軸通貨)로서의 주된 기능 이외에도 수천 년 동안 수많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동시에 장식적인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회화에 사용된 재료인 금의 역대 표현기법을 살펴보고 이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으며, 한국회화에서 금이 사용된 예를 찾아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서 현대 한국회화에서 금이라는 재료의 역할을 되돌아보고, 회화작업의 이미지 표현방법에 있어서 안료로서의 금의 잠재성이 어떻게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는지를 연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역대회화에 사용된 금의 재료적 측면에서의 특징과 상징성 및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금은 은(銀)과 더불어 회화재료로 사용되어 온 특별한 금속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높은 반사율과 불변성 이외에도 일반 금속의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연성(延性)과 두드리거나 압착하면 얇게 펴지는 전성(展性)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고대로부터 회화재료로 사용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금분은 금(金)을 아주 미세하게 분말 형태로 부수어 만든 것을 말하며 금니는 물감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아교에 갠 금분을 뜻한다.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금분을 제외하면 고대에는 대부분 금박을 만든 후에 이를 부수어 만드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금분 제조에 관한 고대 인도와 중국의 기록으로부터 이를 확인하였다. 금박을 제조하는 방법은 중세, 근대, 현대의 시대별로 동서양의 기록들을 살펴보았다. 종이 사이에 여러 장의 금박을 넣고 망치질하여 넓어진 금박을 다시 작은 크기로 자르는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두께의 금박을 만드는 방식은 중세로부터 현재까지 완전히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금박을 사이사이에 넣는 종이의 명칭과 종류는 상이하나 그 특징은 반복되는 망치질에도 찢어지지 않는 성질과 금박이 달라붙지 않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는 점, 그리고 현재까지도 일정부분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수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장 큰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분(金粉), 금박(金箔)으로 변형된 금이 역대 한국회화작품에 사용된 예와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금니(金泥)가 사용된 고려시대의 불화(佛畵)와 변상도(變相圖), 조선시대의 불화, 산수화(山水畵), 사군자(四君子) 및 궁중화(宮中畵)에서의 금니 표현기법을 살펴보고, 또한 금박이 사용된 고구려 고분(古墳)벽화를 살펴보았으며, 금니와 금박이 혼용되었던 조선시대 불화와 어진(御眞)에 사용된 기법들을 시대별로 기술하였다. 금니를 이용한 표현기법을 살펴보면, 고려 불화의 경우 금니는 어두운 바탕에 주로 사용하였고, 표현기법은 세밀한 선을 이용하여 치밀하게 표현되었으며, 일정한 농도의 선으로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금박의 사용은 삼국시대의 고구려 고분(古墳)벽화를 중심으로, 금박과 금니의 혼용(混用)은 조선시대 어진과 조선시대 불화에 나타나는 금의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불교가 쇠퇴함에 따라 왕권과 결합되어 주로 사용된 금의 의미를 표현기법과 함께 살펴보았으며, 각 그림 별로 특징적인 표현이 나타난 부분은 확대도를 통하여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작가의 의도와 표현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금니와 금박기법을 이용한 구체적인 응용 표현기법은 역대회화에 사용된 기법을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금니기법으로는 역대 한국·중국·일본회화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묘금법(描金法)과 일본에서 주로 사용된 킨긴데스리에법(金銀泥摺繪法)에 쓰인 금니표현 과정을 기술하고, 금니기법을 이용한 현대회화를 살펴보았다. 묘금법은 금박을 부수어 금니로 만든 후 묘사하는 기법으로 금니를 이용한 가장 기본적인 회화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킨긴데스리에는 나무로 원하는 형태의 문양을 갖는 스탬프를 만든 후 금니를 묻혀 찍어내는 기법으로 반복적인 형태들에 나타나는 금니의 예측할 수 없는 변화가 지루하지 않은 느낌을 주고, 그 다음에 그려지는 마무리 선이 안정적인 화면을 구성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현대회화의 금니그림은 전통회화의 선을 이용한 묘사 중심에서 색으로서의 쓰임이 증가하는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시도된 작품들은 고려시대 변상도(變相圖)와 조선시대 산수화의 기법을 계승하고 응용한 것으로, 선묘(線描)를 이용한 금니기법과 분염(分染)을 이용한 금니기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선묘기법을 이용한 인물화와 문인화를 시도하고 그 특징을 예시하였으며 금니의 농담 변화를 이용한 분염기법은 산수화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역대회화에 사용된 금박을 이용한 다양한 기법들, 금일법(金一法), 입분법(立粉法), 발금법(拨金法), 조금법(雕金法), 절금법(切金法), 절박법(切箔法), 스나고법(砂子法)에 대해 각각의 특징과 제작과정을 상술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작품 예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현대회화에서의 다채로운 금박기법 작품들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금을 이용한 작품 주제의 확장 가능성과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역대 금박기법 중 복박법을 활용하여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彌勒下生經變相圖)>와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의 오마주(Hommage)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입분법을 응용하여 조선시대의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진경산수 중에서 <금강전도(金剛全圖)>와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의 이미지를 차용한 작업을 시도하였다. 또한 작품들에 이용된 금박기법과 제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함으로써 금을 이용한 회화기법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현대 한국회화의 다채로운 응용표현을 시도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비단의 뒷면에 금박을 붙여서 금박 색이 앞면으로 은은히 비치게 하는 복박법(伏箔法), 돌가루 반죽을 임의로 짜내거나 요철을 만든 종이 위에 금박을 입히는 첩금법(貼金法), 붙인 금박 위에 동박을 입히고 암모니아수로 동박(銅箔)을 부분적으로 부식시켜 금박을 노출시키는 부박법(腐箔法), 금박을 갈아내어 밑의 채색이 드러나도록 하는 마금법(磨金法) 등의 응용기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금박기법을 통한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작품의 예를 통해 제시하였다. 입체적인 화면에 금박을 입히는 첩금법은 금이 돌출된 점·선·면 위에 다양한 빛의 각도에 대한 반사면을 주어 시각적인 풍요로움을 제공할 수 있는 공통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부박법은 부식된 동박의 느낌을 변하지 않는 금과 대비시킴으로써 화면 전체적으로는 금이 강하게 돋보이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금만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마금법의 경우는 표면을 금박으로 덮는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 대신 금박을 일부 제거하여 밑에 있는 표면 색깔을 드러내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느낌을 표현하려고 하였다. 금박을 긁어내는 정도와 기법에 따라 화면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어 색깔을 칠한 후에 금분을 뿌리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상기의 여러 금박기법과 담묵의 혼용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금묵법(金墨法)에서 먹과 금이 차분함과 화려함의 상반되는 느낌을 주는 반면 불변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먹을 이용하여 금의 광채를 조절하고 표현의 조화를 이끌어 냄으로써 전통적인 상생적 표현기법을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금이라는 회화 매체의 특성과 기법 및 응용에 대한 본 연구가 현대 한국회화 표현기법의 외연(外延)을 넓힐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네일피아 잡지에 게재된 네일아티스트 작품의 디자인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수영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나라에 네일미용 산업이 자리하게 된 것은 ‘88올림픽’을 전·후하여 외국인들과 해외 교포들이 들어오면서 불과 20여 년의 네일미용 산업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네일미용 산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네일미용 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 것은 네일미용인들의 노력에 의한 것으로 네일미용 교육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꾸준히 대중에게 다가설 수 있는 노력을 진행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네일미용관련 전문 지식 전달의 통로가 되는 것이 네일미용 잡지이며, 그 중 가장 오래되고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네일미용 잡지의 하나가 ‘네일피아(Nailpia)’로 네일아티스트의 작품과 트렌드의 경향을 파악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용산업 중 가장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국내 네일미용 전문잡지인 ‘네일피아’를 통해 지난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변화된 네일아티스트 작품의 디자인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근간으로 네일미용 디자인분야에 대한 트렌드 유추 및 제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네일미용 전문 잡지 중에서 약 10여 년 동안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발간된 네일피아를 선정하여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출간된 8월호를 2002년(18작품), 2004년(17작품), 2006년(4작품), 2008년(7작품), 2010년(8작품)으로 2년 간격으로 5권을 선정하였으며, 5권내에 있는 네일아티스트의 작품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네일미용의 특성상 1년 중 가장 성수기인 8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잡지광고를 제외한 네일아티스트 작품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매 해 네일미용아티스트의 작품 수가 달라 전체적인 분석은 빈도분석으로 결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네일 모양(5가지), 네일 색상(6가지), 네일 액세서리(3가지), 네일 패턴(10가지), 네일 기법(7가지) 총 5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분석유목에 따른 기준은 네일 모양은 총 5가지인 라운드 쉐입(Round Shape), 오발 쉐입(Oval Shape), 포인트 쉐입(Point Shape), 스퀘어 쉐입(Square Shape), 스퀘어 오프 쉐입(Square off Sha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네일 색상은 R(Red), Y(Yellow), G(Green), B(Blue), P(Purple)계열과 N(무채색)계열을 포함하여 총 6개의 색채 계열로 묶어 분석하였고, 네일 액세서리는 크게 보석류와 패브릭류, 장식류의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보석류는 네일아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스톤과 진주로 분류하였고, 패브릭류는 레이스와 스트링, 장식류는 스팽글과 챰, 생화, 댕글, 자개, 글리터로 분류하였다. 네일 패턴은 애니멀, 플라워, 기하학, 밀리터리, 스트라이프, 체크, 일러스트, 캐릭터, 그라데이션, 기본 문양(도트, 별, 하트, 리본)으로 총 10개의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네일 기법은 핸드페인팅, 에어브러시, 디자인 스캅춰, 젤 디자인 스캅춰, 2D/3D Art, 마블, 라인스톤으로 총 7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네일피아 잡지에 게재된 네일아티스트의 작품 변화는, 1. 네일 모양의 전체적인 분석 결과는 2002년 초반에는 스퀘어 쉐입의 경향이 두드러졌으나, 후반으로 가면서 한 가지의 네일 모양을 선호하는 것에서 다양한 네일 모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2. 네일 색상의 전체적인 분석 결과는 N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분석의 특성상 여름에 유행하는 B계열이 선호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3. 네일 액세서리 종류의 분석 결과는 2008년부터 반짝이는 트렌드의 유행으로 인해 스팽글과 스톤 등의 액세서리들을 사용한 작품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4. 네일 패턴 종류의 분석 결과는 기하학과 그라데이션, 플라워의 패턴이 네일아티스트들이 선호하는 패턴으로 분석되었고 그 외에 애니멀과 캐릭터는 네일아트 작품의 패턴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네일 기법 종류의 분석 결과는 2002년 초반에는 디자인 스캅춰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점차 2010년으로 갈수록 젤 디자인 스캅춰 등의 선호 경향도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2008년부터 트렌드의 영향으로 라인스톤 기법의 선호 경향이 눈에 띄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네일피아 잡지에 게재된 네일아티스트 작품의 디자인 특성 결과는, 1. 네일 모양의 디자인 특성은 네일아티스트들은 2002년부터 초반에는 스퀘어나 스퀘어 오프의 네일 모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2010년도로 갈수록 포인트나 오발의 네일 모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여러 가지 변형된 모양의 디자인 시도도 나타나고 있으며, 독특하고 개성 있는 네일 작품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2. 네일 색상의 디자인 특성은 2002년도부터 N계열의 무난하고 모던한 무채색의 선호 경향이 나타났으며, 8월호의 특성상 B계열 또한 높은 선호 경향이 있었다. 3. 네일 액세서리 종류의 디자인 특성은 2002년도에 ‘챰’으로 디자인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2010년도로 갈수록 보석류의 스톤과 장식류의 글리터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4. 네일 패턴 종류의 디자인 특성은 기하학과 플라워가 강세를 보이면서 패션의 패턴과 같은 경향을 보이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sign features and changes in works of nail artists from 2002 to 2010 published in Nailpia, a professional magazine for domestic nail cosmetics, which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cosmetics industries, and thereby utilizes them as basic data for inferring and suggesting future trends in the field of nail cosmetics design.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es: nail shapes (5 types), nail colors (6 types), nail accessories (3 types), nail patterns (10 types), and nail techniques (7 types). Of the five categories, nail shapes was further classified into 5 types: round shape, oval shape, point shape, square shape, and square-off shape. Nail colors were grouped into 6 color series for analysis: R(red), Y(yellow), G(green), B(blue), P(purple), and N(neutral). Nail accessories were classified largely into 3 types: jewellery, fabrics, and ornaments. Jewellery was further divided into stones and pearls; fabrics into lace and string; and ornaments into spangle, charm, natural flower, dangle, mother-of-pearl, and glitter. In terms of nail patterns, a total of 10 analytic frames were used: animal, flower, geometric shape, military, stripe, check, illustration, character, gradation, and basic patterns(dot, star, heart, and ribbon). Finally, nail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7 types for analysis: hand-painting, airbrush, design sculpture, gel-design sculpture, 2D/3D art, marble, and rhinestone.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ly, changes of nail art works presented in Nailpia were as follows: 1. Analysis on nail shapes showed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design square-shaped nails in the early 2002, but then the trend shifted; it went from preferring one nail shape to a tendency to prefer various nail shapes in the late 2002. 2. Analysis on nail colors showed high preference for the N-series; and because of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the study indicated preference for B-series, which usually gains popularity in summer seasons. 3. Analysis on nail accessory types showed plenty of works using spangle and stone accessories, due to the popularity of sparkling accessories since 2008. 4. Analysis on nail pattern showed that nail artists prefer geometric shapes, gradation, and flower patterns; animals and characters were not used as nail art patterns. 5. Analysis on nail technique types showed that while there was a high tendency for preferring design sculpture in the early 2002, preference for gel-design sculpture also increased gradually into 2010. Also, preference for rhinestone technique showed notable growth from the trend from 2008. Secondly, design features reflected in nail art works published in Nailpia were as follows: 1. As for design features of nail shapes, nail artists showed preference for square or square-off shape starting from the early 2002, and for pointed or oval-nail shaped as the years progressed into 2010. Also numerous variations of shapes are being experimented, suggesting unique and characterful nail art designs. 2. As for design features in nail colors, preference for plain and modern N-series were found since 2002 while high preference for B-series was also no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ugust issue. 3. As for design features in nail accessory types, there was a trend for using 'charms' in 2002, followed by a strong trend for stone jewellery and glittery ornaments towards 2010. 4. Design features in nail pattern types showed strong trend for geometric shapes and flower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fashion trend at that time. As checked pattern began to gain popularity in 2008, there was a trend for various pattern types coexisting with others. While character and animal patterns were frequently used patterns in the general nail shop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used in nail art works. 5. Design features in nail technique types showed strong liking for sculpture technique using acrylic at first, but gradually showed increased use of rhinestone and gel-design sculpture. This change can be explained by the rising popularity of transparent, sparkling nail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nail art works and general fashion trends, and that the works of nail artists are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introduced to the general nail cosmetic designers. In addition, with the diversification of nail cosmetic materials and introduction of various nail techniques, nail art continuously developed over time, resulting in drastic improvement of the nail industry as of today. As presented in the works of nail artists, nail art will further develop alongside the fashion trend through a constant stream of efforts for new designs, materials, and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