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최경호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s the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and investigates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300 students at Hallym University in Korea and 300 students at JiLin Normal University in Chin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than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inancial support and physical care of their parents.. Second, whereas Korean students had higher values on familism and more communications with their parents than Chinese students, Chines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ging. Third, Familism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in both Korea and China. Gender, residential area, and attitude toward aging are significnat factors affecting Chines students'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Fourth, Familism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finan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care of older adults in both Korea and China.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emotional support for their parents in both Korea and China.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on attitude toward supporting older adult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emphasized in benchmarking welfare systems from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와 길림사범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0명 (각 300명)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을 비교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부양의식과 하위영역인 경제적, 신체적 부양의식 모두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주의 가치관은 한국 대학생이 높았고,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도 한국 대학생이 더 원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부양의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가족주의 가치관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거주지역、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부양의식의 하위영역인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부양의식에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중국 모두 가족주의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 중국 모두 부모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학과의 경우 한국 대학생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과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국 대학생의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부양의식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는 중국 대학생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슷한 문화적 맥락을 지닌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복지와 관련된 정책제도와 시스템 도입 등 영역에서 두 나라의 유사성과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고양이 망막에서 5,7- DHT에 의한 신경절세포의 사멸과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

        주우현 한림대학교(한림대학)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neurotoxic effects of 5,7-dihydroxytryptamine (5,7-DHT) on the ganglion cells, an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the cat retin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dult cats of both sex, weighing 2,500 g - 3,500 g. 5,7-DHT(100㎍) dissolved in 0.9% Nac1 was injected into the vitreous body.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one-side eye ; the other side served as the control, which was injected only with 0.9% Nacl.c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21 day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5,7-DHT. Most of the 5,7-DHT accumulating cells were undergone typical dark degeneration. That is, th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widening of the cellular organelles at early stage, and by darkening of the cytoplasm at late stage. The population of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was peak at 14 day after the drug injection, but thereafter slightly decreased at 21 day. Most of the degenerated cells were phagocytosed by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but some removed by astrocytes.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and characterized by a small somata with a few slender processes, which were also extended in the GCL and inner nuclear layer (INL). The intensity of the microglia stained for NDPase was abruptly increased at 7 da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after continuously sustained until 21 day, the last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rocesses of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became more short and thick after ter 7day. Under the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microglial cells i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elongate nucleus with peri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m and the perikaryon was scanty, containing strands of RER(rough endoplasmic reticulum). However, a few hypertrophic glial cells acquired abundant cytoplasm, were frequently found at 3 days after the drug injection. By 7 dya, most microglial cells began to migrate toward the degenerated neurons in the GCL, and the number of microglial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by proliferation as compared with the former group. AT the 14 day, most microglial cells wraped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and a few cells showed active phagocytotic features. By 21 day, most microglial cells were engaged in phagocytotic activity, and their cytoplasm was filled with the phagocytosed matrial. Based on the results, 5,7-DHT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a part of ganglion cells in the cat retina, and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nal death prevailed in early experimental st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as glial reaction to particular type of neuronal death.

      • 청력 기반 노인 맞춤형 일음절어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

        김여주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need for precise objective speech recognition ability and errors was emphasized. However, the current speech recognition test use in clinic focuses only on the average correct percent (%) of the patient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he/she is wrong due to confusion or novel words to them. The study aimed to conduct a speech recognition test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correct response according 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detection similarity and distance. The study results were intended to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for the development of 'A hearing-based personalized monosyllable words error diagnosis system' that classifies and diagnoses recognition factors that are difficult for patient with hearing loss. Methods: Speech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to a total 72 elderly by using total 363 words which consisted of a combination of CVC, CV, V, and VC referring to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dictionary from initial 3,192 words. The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90% correct score of eight adultd with normal hearing. All stimuli were recorded by two trained announcers (male and female), and any inaccurate or over-tuned stimuli were re-recorded to control the reliability of stimuli.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rmal hearing, mild, moderate, and severe hearing loss groups according to the BSA hearing threshold criteria. Stimulus were presented randomly at the MCL of each participant were asked to repeat what they heard. All responses were recorded and directly transcripted. Further, the subject’s incorrect response error rates and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error rate, error type, error pattern, speech perception similarity and distance. Results: As the hearing threshold elevated, the error rate also increased. Out of three phonemes position, initial consonant shows highest error rate and can be seen in various frequency ranges. In all hearing groups, the error rate of diphthong was about 20 to 40% higher than monophthong. In the case of final consonant,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fact, the words with high error rate can be seen mainly influenced by the initial consonant and this influence increased as hearing severity increased. In terms of error type, substitution was the most common error followed by combination of substitution and substitution for all hearing group. However, rapid increase in types of failure errors was seen in severe hearing group. The highest error frequency was found different for each phoneme positions. In initial consonant, normal hearing and mild hearing loss grou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in the middle consonant group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ngue and final consonant according to the obstruent and sonorant way of articulation. With increase in hearing severity, frequency, and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phonemes increased, making it harder to b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ach phoneme. The result of error pattern analysis was in line with speech perception distance analysis that revealed closer distance between the grouped phoneme from error pattern result and this pattern became clearer as the hearing severity increas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we implemented an algorithm on identifying target hearing, setting, and presenting test questions considering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alyzing error patterns, and reporting comprehensive results.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errors and analyze factor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difficulties in recognition. From study results, initial consonan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peech recognition. As highest err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hearing group, individual speech recogn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syllables suggesting that combinations should be used to improve accuracy of the results. The error patter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elderly was confirmed and implemented in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With further clinical trails focusing on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lgorithm, we can expect a fast and more accurate test of speech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of hearing-impaired elderly. 목적: 노인성 난청 환자의 보장구 적합 및 청능재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다 객관화된 어음인지 능력 및 인지 오류 측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현재 임상에서 보편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어음인지검사는 대상자의 평균 정답률(%)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실질적으로 환자가 틀린 단어를 몰라서 틀린 것인지 헷갈려서 틀린 것인지 조차 결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72명의 노인들을 청력 역치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어음인지검사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오류를 보인 단어들을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난청 환자 개개인별로 어려움을 갖는 어음인지 요소들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청력 기반 개인 맞춤형 일음절어음인지오류 진단 시스템’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7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음절어인지검사를 실시하고, 청력 정도에 따른 오류패턴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일음절어 검사 자극음은 「한국어표준발음사전」을 참고하여 CVC, CV, V, VC 조합으로 구성된 3192개의 유의미 및 무의미 음절을 초기 단어로 선정하였다. 자극음은 아나운서 전문 교육을 받은 남여 성우 2명이 각각 녹음하였으며, 부정확하거나 과조음 경향이 있는 자극음의 재녹음 과정을 통해 자극음의 신뢰성을 높였다. 건청 성인 남여 8명을 대상으로 전체 자극음의 선별을 진행하여 정반응률이 90% 이상인 단어를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별된 363개 단어를 검사 단어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인지선별검사, 청각선별검사, 일음절어인지검사 순으로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의 청각 선별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BSA 청력 역치 기준에 따라 정상, 경도, 중도, 고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일음절어인지검사는 청력이 더 좋은 쪽 귀에서 monaural로 TDH-39 헤드폰을 통해 MCL에서 제시되는 자극음을 듣고 따라 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의 응답은 녹음하여 검사가 끝난 후 실시간으로 전사하였으며, 대상자의 응답 자료는 정오반응에 따른 결과 채점 후 오반응한 단어를 오반응률, 오류유형, 오류패턴,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청력 정도에 따른 그룹 별 오반응률 분석 결과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오반응률도 높아졌으며, 특히 모든 그룹에서 초성 위치의 오반응률이 45%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그룹에서 높은 오류를 보인 초성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였으며, 중도 난청 그룹부터 고주파수 대역 초성의 오반응률이 확연히 높아졌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단모음 보다 이중 모음의 오반응률이 약 20~40% 이상 높았으며, 종성의 경우 각 그룹마다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소 간 결합 유형에 따른 오반응률 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오반응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음소는 모든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초성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 유형이었으며, 대치 유형 다음으로 높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대치와 대치 유형으로 나타났다.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였다. 난청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소 간 유사성 빈도와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각 음소 위치에 따라 동일한 음소의 분별 또는 인지에 대한 어려움도 증가하였다. 말지각 거리 분석을 통해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같은 분류에 따른 항목 간에 말지각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력 손실정도가 커짐에 따라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오류 패턴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대상자 청력 파악, 청력 정도를 고려한 검사 문항 설정 및 제시, 오반응 패턴 분석, 종합적인 결과 보고의 과정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결론: 어음인지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력 역치가 상승함에 따라 초성이 오반응률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난청 정도가 중도 이상일 경우 초성이 어음인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음소 간 결합에 따라 높은 오류를 보인 음소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 결과는 어음인지 오류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음절 조합을 자극음으로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오류패턴 분석 결과와 말지각 유사성 및 거리 분석 결과에서는 공통적으로 초성의 경우 모든 청력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에 어려움을 보였다. 중성은 모든 그룹에서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종성은 초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서 장애음과 공명음 내에서 지각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성 난청 환자들의 청력 정도에 따른 특징적인 오류 패턴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향후 임상에 적용한다면 노인성 난청 환자의 어음 인지 및 분별 어려움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평가를 기대할 수 있다.

      • 대학생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 : 생태학적 모형 기반

        유정순 한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This study was a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 study desig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20, 2020 to May 6, 2021, from students across 13 universities in each of the six regions (Seoul/Gyeonggi, Gangwon, Gyeongsang, Jeolla, Chungcheong, and Jeju).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482 students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were made available on the community websites at each university. To obtain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fter completing their questionnaires at a university, where it was possible to conduct face-to-face interviews in an undisclosed region. For data analysis,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37.63 (±8.62), and 77.8% of the students were at high risk user. Having self-awarenes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β=.324, p<.001), autonomy (β=-.258, p<.001),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β=.179, p<.001), being a fourth-year (senior) student (β=.163, p=.010), the motive for smartphone use wa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β=-.150, p=.011), being female (β=-.142, p=.011) and age (β=-.139, p=.023) were the intra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university students. And friends support (β=.134, p=.019) was the interpersonal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was 34.9%. In terms of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factors for male students were the use of 5G (β=.148, p=.016), studying purposes (β=-.188, p=.003), and information search (β=-.126, p=.04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4.4%. In contrast, female students showed friends support (β=.198, p<.001)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use (β=.112, p=.027) as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9.5%.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13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questions from the three areas of ‘motives for smartphone use,’ ‘awareness of smartphone overuse cues,’ and ‘factors affecting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articular, ‘the changes of environment’ in the institutional and community factors identifi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decreased in-community social networks and the imposed restrictions in daily lives due to COVID-19 triggered an increase in the use of smartphone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 trai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external environments surrounding university students, also exerted a crucial influence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to which a student belongs, to prevent and manage students'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his study applied an ecological model for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by includ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community environment factors, which were rare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used a mixed method study to comprehensively present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Keywords: Ecological model, smartphone overdependence,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자 순차적 설명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양적 및 질적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2020년 10월 20일부터 2021년 5월 6일까지이며, 전국 6개 권역별(서울/경기, 강원, 경상, 전라, 충청, 제주) 13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적자료수집은 각 대학별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82명을 모집하였으며, 질적자료수집은 대면 인터뷰 참여가 가능한 G지역 H대학에서 설문지 작성을 완료한 후 인터뷰 참여의사를 밝힌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질적자료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은 평균 37.63점(±8.62)이었으며, 과의존 위험 사용자는 77.8%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자기 인지가 있는 경우(β=.324, p<.001), 자율성(β=-.258,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179, p<.001), 4학년(β=.163, p=.010), 스마트폰 사용 동기가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인 경우(β=-.150, p=.011), 여학생(β=.142, p=.001), 연령(β=-.139, p=.023)이, 대인관계 요인은 친구지지(β=.134, p=.019)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34.9%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은 남학생에서는 5G 사용(β=.148, p=.016), 스마트폰 사용 동기 중 학업을 위함 (β=-.188, p=.003), 정보검색(β=-.126, p=.045)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4.4%였다. 반면 여학생은 친구지지(β=.198, p<.001)와 SNS 사용(β=.112, p=.027)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9.5%였다. 질적자료 분석 결과, 연구질문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동기’, ‘스마트폰 과다사용 신호 자각’,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 요인’ 3개의 영역에서 총 13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특히, 질적연구를 통해 조직·지역사회 요인으로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감소와 COVID-19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한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개인의 특성 뿐만아니라대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대인관계 및 사회적 외부환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개인이 속한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물게 사용했던 지역사회 외부환경 요인에 대한 변수를 포함하여 개인이 속한 환경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려고 시도하였으며, 혼합연구 방법을 통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생태학적 모형, 스마트폰 과의존, 자기결정성, 대학생

      •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간 노인부양의식의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장길종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노인부양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을 계기로 본 연구는 같은 문화권 내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가치지향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한 나라의 사회문제를 같은 문화권 국가와 비교하는 것은 문제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의 대안을 찾는데 있다. 그것은 서로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하여 일부 공통적인 특성이 존재하기도 하겠지만 문화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부분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해 가지는 가치와 이념을 파악하고 장래 가지게 될 부양행동의 실마리를 찾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200명과 중국연변조선족 대학생 20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간의 차이와 같은 문화권 안에서도 성향비교가 가능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중요한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중국조선족 대학생간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효 의식 및 노인부양의식은 모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있어 한국 대학생은 개인주의 성향임이,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집단주의 성향임이 검증되었다(P<0.001). 특히 한국 대학생은 전체사회의 집단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한국사회의 변화방향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중국조선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P<0.001).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연령, 성장지, 형제수, 가정교육엄격성 정도, 경제수준, 부양책임주체, 노후 부양기대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여자이고, 나이가 적으며, 도시에서 성장하고, 형제수가 많고, 가정교육이 자유로우며, 경제수준이 상위이고, 노인부양책임이 자녀에게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노후를 자녀들로부터 기대하지 않는 경우 개인주의 성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여자이면서 형제가 적거나 외동인 경우 개인주의성향을 지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요인에 따라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 의식은 나이가 적고, 읍·면에서 성장하였으며, 형제수가 적고, 가정교육이 엄격하고, 경제수준이 하위권이고, 노인부양책임의 주체가 자녀이고,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고, 집단주의 성향을 지니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자신의 노후에 자녀가 부양해 주길 기대 하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효 의식 정도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부양의식은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확대가족이고(P<0.1), 조부모와 같이 살고 있는 경우(P<0.1)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여자이고(P<0.1),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P<0.05)에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것은 중국 정부가 아들에 의한 부모 부양을 전제로 경제·사회적 정책을 펴고 있는 것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효 의식은 0.484(P<0.001)로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검증되었다. 효 의식을 통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선행요소는 국적과 가족 및 문화적 요인 중 가정교육 엄격성 정도와 노후부양기대이다.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총인과 효과량은 각각 0.226028, 0.044528, 0.0484의 순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효 의식만이 노인부양의식에 직접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연구 결과 한국에 있어서 노인부양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은 현대적인 의미의 실천 가능한 효의 재정립을 통한 효의 자원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가정교육은 무조건적인 복종보다는 세대간에 이해와 대화를 통해 교호적인 관계속에서 자연스럽게 강화되어 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의 강화를 위해서 긍정적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과 조부모 사이에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어머니가 조부모에게 애정과 존경을 가지고 행하는 부양행동의 실천교육이 가정에서 전제되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not sufficiently mad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j the same cultural area. In order to compare the social problems of one country with that of other country in the same cultural area, it is requit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and find an alternative plan.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other region or country cab show different values of supporting the old age due to an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though they may have som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common. This study is focused on looking into what values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about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contributing to predicting their support ac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otal 400 persons including 2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00 Chinese-Korean students living at YanBian, China.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is study has fix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s an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that can be compared even in the same cult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urn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supporting the old age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Korean ones. For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while Chinese-Korean one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P<0.001). Especially,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s a distinguished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from the collectivized sense of the whole society, reflecting the direction of radic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has turned out that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er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nd supporting the old ag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P<0.001). Second, the variable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stor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re sex, age, place where they have been brought up, number of brothers,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expectation of support in their old age,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 to show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at they are women, still younger, brought up in a urban area, have much more brothers, have free or democratic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have better economic conditions, and do not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Whil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ey are women or the only son, Chines-Korean ones show no difference in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according to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family cultur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is younger, brought up in a rural area, much more brothers, in a stern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in poor economic conditions, has a stro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in case that they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On the other side, the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consistent sense of filial piety less influenced by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family cultur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has been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n case they have been brought up in a large family(P<0.l) and live together with grandparents(P<0.l), while the Chinese-Korean students do in case they are women(P<0.l) and have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P<0.05). This reveals an unexpected result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carried out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assume the old age support. Third,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been turned out ti be a parameter to give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amounting to 0.484(P<0.001). Essential prerequisites, which exert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rough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are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and expectation of support in old age. Total amount of cause effect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get higher in the order of 0.226028, 0.044528, 0.0484. However, it has turned out that only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e results of a positive study above stated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rebuild the concept of traditional filial piety in a way that it cab be effectively carried out in a modem society to shape a policy of supporting the old age. For this, home education should adopt a democratic method, which can naturally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versa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instead of enforcing an absolute obedience. Additionally, it is recommendable to experience living together with grandparents to sharpe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t means that a mother should play an intermediate rol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grandparents, giving the students a good example of paying affection and respect to grandparents to carry those precepts into practice.

      • 나이에 따른 전두엽 기능의 변화 : 인지기능의 변화를 중심으로

        염지영 한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전두엽은 출생 이후 10대 후반까지 계속 발달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가장 먼저 그 기능이 퇴화한다. 본 연구는 전두엽의 다양한 기능들이 전 생애에 걸쳐 어떤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가를 인지 과제의 수행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6세 아동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과 9세 아동 30명(남자 13명, 여자 17명), 대학생 30명(남자 14명, 여자 16명), 50대 중년 27명(남자 10명, 여자 17명)및 70대 노인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전두엽 기능 중 집행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배외측 영역을 평가하는 7가지 검사, 내측 영역을 평가하는 1가지 검사 및 복측 영역을 평가하는 2가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두엽의 배외측 영역에서 담당하는 주의집중능력, 작업기억능력, 언어 유창성, 시공간적 추론능력 및 개념형성 능력은 아동기에서 대학생 시기까지 점차 향상되나 그 이후로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같은 배외측 영역이 담당하는 분배적 주의집중능력(divided attention)은 6세부터 대학생까지 수행이 증가하여 중년까지 지속되다가 50대 이후로 노인이 되면서 점차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시각적 자극을 분석하고 구성하는 능력과 규칙을 학습하고 행동을 계획하며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기능들은 6세와 9세 아동기 사이에 향상된 후 대학생시기와 중년기까지 유지되다가 그 이후가 되어서야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동화된 반응을 억제하고 융통성 있게 적절한 반응을 선택하는 전두엽의 내측 영역의 기능은 배외측 영역의 일부 기능처럼 아동기부터 대학생 시기까지 향상되었고, 대학생 이후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반면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과 정서에 입각한 의사 결정 능력을 담당하는 복측 영역의 기능은 대학생시기가 되어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발달하고 중년기까지는 그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이후로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운동 능력 중에서 정교하고 빠르게 손을 움직이는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여 대학생 시기에 최고조에 이른 후 중년까지 유지되다가 노인이 되면서 퇴화하는 반면, 손의 힘은 대학생 시기에 최고조에 이른 뒤 노인이 될때까지도 변화하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나이에 따른 배외측 영역 검사들 간의 상호관련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6세 아동기에서부터 대학생시기까지에는 일부 검사들 간의 상관관계만이 발견되었으나, 중년기와 노년기에서는 검사들 간의 상관관계가 2배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검사들간의 상관관계가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는 사실은 특정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기제가 노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다른 신경기제의 도움을 받는다는 탈분화 가설(dedifferentiation hypothesis; Lindenberger & Baltes, 1994)을 지지한다. 본 연구 결과는 전두엽이 담당하는 인지기능들이 그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하위영역별로 각각 다른 발달경로를 거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러나 같은 배외측영역이 담당하는 인지기능들 중에서 다른 발달 경로를 지닌 세 종류의 인지기능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기존의 하위영역 분류에서 더 나아간 좀 더 세부적인 전두엽 영역의 분류가 전두엽의 인지기능 연구를 위해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frontal lobes begin to develop after birth until the late teens. With aging, however, it is the first to degenerate among all the cortical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ogni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s change across the lifespan. The subjects were 60 aged 6 (15 males, 15 females) and aged 9 (13 males, 17 females) children, 30 college students (14 males, 16 females), 27 middle-aged adults (10 males, 17 females), and 30 older adults (15 males, 15 females). They were given seven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one medial frontal area, and two ventral prefrontal area tests to evaluate executive functions of the frontal lobes. In addition, three motor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otor functions of the frontal lobes. The results for the tests were as follows. In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five abilities (attention, working memory, verbal fluency, visuospatial reasoning, and concept formation abilities) were found to improve from childhood until early adulthood only, and henceforth gradually declined with the age. The development of the divided attention ability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above abtlities, except that the aptitude sustained until middle adulthood before it started to degenerate. Visuoconstructive function, deducing rules, planning of behavior to attain the goal, and self-monitor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only enriched during the childhood and maintained until middle adulthood before they also began to deteriorate. The medial frontal area, which serves the automatized responses and select more appropriate responses abilities, improved from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and then declined gradually with the age. The capabilities of ventral prefrontal area, which are the impulse control and the emotion-based decision making, enhanced starting early adulthood but declined after middle adulthood. For the motor functions, it was found that the fast and dextrous manual movements developed with the age and reached its peak at the early adulthood. It then slowly deteriorated after middle adulthood. However, the hand strength reached its peak during early adulthood and did not change until late adulthoo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ests for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reas showed different featur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In other word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tests were found for the subjects in the childhood and early adulthood. However, they doubled for the middle and late adulthood. This age-related increase in correlations across tests reflect an age-related difficulty in engaging specialized neural mechanism,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edifferentiation hypothesis (Lindenberger & Baltes, 199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gni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s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trend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the frontal lobes that serve the specific cognitive functions. However, among the cognitive functions that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serves, three types of cognitive functions which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trends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new areas classification of frontal lobes which has more details than the previous subarea classification is needed to study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s.|

      • 廣東 國民政府하의 反基督敎運動과 敎會學校의 對應 : 1926年 廣州 嶺南大學 학원소요를 中心으로

        승병철 翰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thesis is aimed to shed a light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in the Nationalist Revolution era. Its character is a tension between linkage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to the Nationalist Revolution and the question of its autonomy. The Anti-Christian Movement to aim at anti-imperialism is regularized after GMD-CCP Alliance(國共合作). By means of anti-church or Restore Educational Rights Movement, Guomindang(國民黨, GMD) could mobilize the people, especially students. But Guomindang's policies transfered to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反文化侵略運勳), for some limits of the GMD's policies were exposed in the Huangsha Church Incident(黃沙敎會事件) December, 1925. Students played crucial role in the Anti-Christian Movement, but Guangdong Communist Youth League(廣東共産主義靑年團) and right-wing students of GMD (representatively Sunism Socienty 孫文主義學會) were in conflict to acquire leadership of the Guangzhou Student Union(廣州學聯) and Guangdong Student Union(廣東全省學聯). The split of these two Student Union brought about or accelerated the split of christian school's students. For instance, Lingnan University(嶺南大學) was applicable to this case. In the Lingnan Univ.'s unrest the school's authorities were opposed to the Canton Nationalist Government(廣東國民政府). The Nationalist Government took the restoration of the Lingnan Univ. into account, on the contrary Lingnan Univ. unyieldingly responded to the Nationalist Government's order. A large portion of the students supported their school's attitude. Why did they support the school's authorities? In every respect, for instance education of English and natural sciences, teaching staff, and strict class, and so on, Lingnan's students obtained so high standard of discipline to support their school's attitude. By May 1925 Lingnan Univ. ha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Nationalist Government. But since Shakee Incident(沙基事件) in June 1925, Lingnan Univ. suffered from a political issue because of American Staff's Resolution for that Incident. This experience had the Univ. to learn a lesson, i.e. the elimination of political factors from its campus. I think the propel of the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 as a product of Lingnan Univ.'s case. For after the Lingnan Univ.'s unrest GMD promoted the Anti-Cultural Invasion Movement in theory and practice. I drew some conclusions from this analysis. First, before and after the Northern Expedition Nationalist Government was in a dilemma between ruling and revolutionary government. Second, I explained why Lingnan Univ. choose the latter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Third, I explained a christian school's view of the Nationalist Revolution. Above all, what is endeavoured to emphasize in this thesis is the character of the Anti-Christian Movement in the Nationalist Revolution era.

      • 인과관계 연결어미 한국어 교욱 방안 연구 :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박진현 한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phased education method of '-(eu)nika', '-aseo/eoseo'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s the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syntactic,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eu)nika' and '-aseo/eoseo'. A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first, there's no restriction in connection between pre-final ending '-eot-' with '-(eu) ika', however there's restriction in connection with '-aseo/eoseo'. Pre-final ending '-get-' has no restriction with connection with '-(eu)nika', however in many cases it is vague whether the meaning indicates the future or supposition, also, in respect of connection with '-aseo/eoseo', there's a limitation when '-get-' has the meaning of future, however partial connection is possible when it has the meaning of supposition. Second, movement of antecedent clause of the composition made of '-aseo/eoseo' is more natural, rather than the composition made of '-(eu)nika'. Third, formation of cleft sentence is available with '-aseo/eoseo', which has relatively less independence. Fourth, there's a restriction in '-aseo/eoseo' when imperative sentence or suggesting sentence comes in the following sentence. As the semantic·practical characteristics, first, generally it is natural when subjective determination of speaker com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eu)nika', and objective content that everybody acknowledges in the antecedent clause of '-aseo/eoseo'. Second, in the conversation situation where asking and answering the reason, it is more natural to answer by using '-aseo/eoseo' rather than answering with ‘-(eu)nika’. Third, the composition of ‘-(eu)nika’ has focus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while the composition of '-aseo/eoseo' in the antecedent clause. '-(eu)nika' and '-aseo/eoseo'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textbook suggested the point of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pre-final ending amo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 and the types of following sentence in common,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degree. In respect of error analysis, error rate of the beginner appeared highest in the sentence that connected two sentences of the vocabulary of beginner's level with '-(eu)nika' and '-aseo/eoseo', however, among them the error rate related to the pre-final ending and following sentence, the syntactic cause appeared higher in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Error rate by semantic·practical cause appeared highest in the beginners, however the error rate of medium·high learners appeared similar, around 36%.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e of error by dividing into the error related to objectivity, subjectivity, and focus of information, and the error related to politeness. Based on the above conte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hased education method suggestion of '-(eu)nika' and '-aseo/eoseo' as follows. A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 the text analysis as the goal sentence structure, the beginner's level showed difference per textbook without distinct standard, however each text showed differ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activity plan that could be utilized as the teacher's guide and task in grammar education that could be the standard. In respect of the restriction of pre-final ending, this research suggested only the restriction of connection between ‘-aseo/eoseo’ and ‘-eot-’. Second, suggested that there's restriction in the sentence that has the speaker's intens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aseo/eoseo', along with imperative sentence, suggesting sentence, and promissory sentence. Lastly, there's a case that divided the greeting words as 'Nice to meet you' separately from the beginner's textbook, this also could be educated by naturally being connected with politeness of '-aseo/eoseo', when teaching this by connecting with causal relations conjunctive endings '-aseo/eoseo'. In medium·high level, this research selected spiral curriculum and suggested to teacher's guide for the medium·high level learners, with the cause of higher result in error rate of learned content from the beginner's level. Firstly, this research made the learners search the rules by themselves in respect that there's a restriction when there are the meanings of command, advice, permission, and appointment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aseo/eoseo', then suggested to explain there's a focus in the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sentence of the sentence that used '-(eu)nika'. After progressing the explanation enough, this research suggested to explain that the antecedent sentence of ‘-(eu)nika’ is followed by the cause of speaker's subjective determination, while the antecedent sentence of '-aseo/eoseo' is mainly followed by the objective cause. Lastly, this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that '-aseo/eoseo' express politeness, based on the point that '-aseo/eoseo' are mainly used in the greeting expression as 'Nice to meet you'. 본고는 인과관계의 연결어미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을 제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사적 특징에서는 첫째, 선어말어 ‘-었-’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아서/어서’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선어말어미 ‘-겠-’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그 의미가 미래를 나타내는지 추측을 나타내는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아서/어서’와의 결합에서는 ‘-겠-’이 미래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제약이 있지만, 추측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부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둘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보다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의 선행절이 이동이 더 자연스럽다. 셋째, 분열문 형성은 비교적 독립성이 낮은 ‘-아서/어서’가 가능하다. 넷째, ‘-아서/어서’는 후행절에 명령문, 청유문이 오는 것에 제약이 있다. 의미·화용적 특징에서는 첫째, 일반적으로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누구나 다 인정하는 객관적인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이유를 묻고 답하는 대화 상황에서는 ‘-(으)니까’를 사용하여 대답하는 것보다 ‘-아서/어서’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셋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은 후행절에,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은 선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목표 문형으로서의 ‘-(으)니까’와 ‘-아서/어서’는 통사적 특징 중에 선어 말어미와의 결합 가능성, 후행절의 문장의 종류에 대한 부분은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었다. 오류 분석에서는 초급 수준의 어휘를 사용한 두 문장을 ‘-(으)니까’와 ‘-아서/어서’로 연결하는 문장에서 오류율은 초급 학습자의 오류율이 가장 높았으나 그 중 통사적인 원인인 선어말어미와 후행절과 관련한 오류는 중·고급 학습자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화용적 원인에 의한 오류율은 초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율은 36% 정도로 비슷하게 나왔다. 오류의 원인은 객관성과 주관성, 정보의 초점과 관련된 오류와 공손성과 관련한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제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급 단계에서는 목표문형으로서의 교재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뚜렷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교재 마다 차이를 보였는데, 표준이 될 수 있는 문법 교육의 교사용 지침서와 과제로 이용 할 수 있는 활동지를 제시하였다. 선어말어미 제약에 관해서는 ‘-아서/어서’와 ‘-었-’의 결합의 제약만을 제시하였다. 둘째, ‘-아서/어서’가 사용된 문장의 후행절에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과 함께 화자의 의도가 들어간 문장까지 제약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말을 초급 교재에서 따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 또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어서’ 관련하여 학습을 시킨다면 ‘-아서/어서’가 가지는 공손성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급 단계에서는 중·고급 학습자에게 초급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의 오류율이 더 높은 결과를 나온 것을 원인으로 하여 나선형 교육 방식을 선택하여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하였다. 먼저 ‘-아서/어서’의 후행절에 명령, 권유, 허락, 약속의 의미가 온다면 제약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게 한 다음에 ‘-(으)니까’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후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설명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는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인 이유가,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원인이 주로 온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 표현에서는 주로 ‘-아서/어서’가 사용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아서/어서’는 공손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