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월산대종사 부도탑 및 행적비 설계

        홍광표,서동목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6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2 No.2

        This design is an outcome of efforts to build the stupa and tombstone to pay tribute to great buddhist monk, Wolsan after his passing away at Bulkuksa-temple. A hillside located east of Sacheonwang Gate of Bulkuksa-temple was selected as a venue. The design purpose of the stupa and tombstone was to seek new aesthetic value of sculpture of 21st century that combines tradition with modernism, that best represents the image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and Bulkuksa-temple, and lastly, encourages emotional connection from the public. The design concept was based on theories and motives related to Buddhism and the whole space was built with strategies based on such design concept. The stupa reflects horizontal and vertical mandala. Exterior of the stupa is based on Buddhist idea of a connected space without blockage(圓融无涯) and represents principles of the universe through a sphere with three open sides. Inside, a bell shaped stupa is placed so that outside and inside are consisted of one rock. Surface of the stupa is covered with embossed engravings describing images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and natural elements of Toham-mountain, Also, the tombstone is consisted of 3 traditional parts, Gwibu(龜趺), Bisin(碑身) and Isu(螭首), but has been designed horizontally, instead of vertical, to better accommodate modern sentiment. This design suggests new concept by meaningful placeness through a possible suggestions of physical form for the stupa and tombstone and connection with Toham-mountain within the space. The stupa and tombstone of great buddhist monk, Wolsan opened a new horizon to stupa designs of Buddhism which were mostly bell shaped or octagonal-circle type. Furthermore, horizontal monument of this design allowed more convenient reading experience thus it is evaluated to be more public friendly. 본 설계는 경주 불국사에 주석하시던 월산대종사 입적 후 부도탑과 행적비를 조성하기 위해서 진행된 결과이다. 계획대상지는 불국사 경내 사천왕문 동측부 구릉중턱으로 선정되었다. 부도탑과 행적비의 설계는 형태적으로 전통과 현대의 이중적 결합을 추구하면서 월산대종사의 이미지와 불국사의 이미지에 부합하면서 대중에게 교감을이끌어 낼 수 있는 21C의 새로운 조형미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설계는 불교와 관련된 이론과 모티브를 중심으로디자인컨셉을 찾아내고, 그것을 설계전략으로 삼아 형태를 디자인하고, 전체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부도탑은 수평과 수직적 만다라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외부형태는 원융무애(圓融无涯)라는 불교적 내용을바탕으로 하여 삼면이 뚫린 구체를 통해 우주의 원리를 표현하였고, 그 내부에는 석종형 부도를 안치시켰는데, 외부와 내부가 한 덩어리의 돌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부도의 겉면에는 월산대종사의 이미지와 자연적 요소인토함산의 이미지가 형상화 될 수 있도록 형태를 창안하여 양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행적비는 전통적인 형태인귀부, 비신, 이수의 3부분으로 나누어지되, 현대인의 정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수직의 개념을 수평의 개념으로변화시켜 설계하였다. 본 설계를 통하여 부도탑과 행적비에 대한 새로운 형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토함산과의 상관성이 공간의 질서로 용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장소성을 부여하여 새로운 개념의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었다. 월산대종사의 사리탑 및 행적비는 지금까지 석종형이나 팔각원당형 일색이었던불교계의 사리탑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행적비를 가로로 눕혀서 조성함으로써 그 내용을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친화적인 결과를 낳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부산광역시 내원정사의 관속식물상

        유주한,서필숙,서동목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8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the environment of temple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Naewonjeong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26 taxa including 94 families, 232 genera, 288 species, 29 varieties, 7 forms and 2 hybrids. The planting species were 98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Camellia sasanqua, Dicentra spectabilis, Musa basjoo and so forth. The rare plants were 8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planti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planting), Ilex cornuta (planting), Aristolochia contorta, Campanula takesimana (planting), Allium senescens (planting), Tricyrtis macropoda and Chloranthus fortunei.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planting), Lespedeza maritima, Forsythia koreana (planting), Campanula takesimana (planting), Aster koraiensis (planting) and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planting).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31 taxa, which were 2 taxa of grade Ⅴ, 3 taxa of grade Ⅳ, 5 taxa of grade Ⅲ, 3 taxa of grade Ⅱ and 18 taxa of grade Ⅰ.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Trifolium repens, Senecio vulgaris, Taraxacum officinale and so forth, and the invasive aline plant was Ambrosia artemisiifolia.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9 taxa including Abies holophylla, Pittosporum tobira, Ilex crenata, Arisaema ringens and so forth. 본 연구의 목적은 내원정사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관속식물상은 94과 232속 288종 29변종 7품종 2잡종 등 326분류군이며, 식재종은 은행나무, 애기동백나무, 금낭화, 파초등 98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왕벚나무(식재), 울릉국화(식재), 호랑가시나무(식재), 쥐방울덩굴, 섬초롱꽃(식재), 두메부추(식재), 뻐꾹나리, 옥녀꽃대 등 8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왕벚나무(식재), 해변싸리, 개나리(식재), 섬초롱꽃(식재), 벌개미취(식재), 울릉국화(식재) 등 6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1분류군이며, Ⅴ등급은 2분류군, Ⅳ등급은3분류군, Ⅲ등급은 5분류군, Ⅱ등급은 3분류군, Ⅰ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토끼풀, 개쑥갓, 서양민들레등 32분류군이며, 생태계 교란식물은 돼지풀 1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전나무, 돈나무, 꽝꽝나무, 큰천남성등 9분류군이다.

      • KCI등재후보

        큰갓산(경북 경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김영훈,덩베이지아,천겅,장린린,추이즈리앙,리위,서동목,김영훈,곽수빈,정재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Mt. Keungatsan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70 taxa including 88 families, 249 genera, 323 species, 3 subspecies, 37 varieties and 7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Exochorda serratifolia and Potentilla discolor.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0 taxa comprising 7 taxa of grade Ⅰ, 2 taxa of grade Ⅲ and 1 taxon of grade Ⅳ.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Amorpha fruticosa, Poa compress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큰갓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산림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속식물상은 88과 249속 323종 3아종 37변종 7품종 37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가침박달, 솜양지꽃 3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해변싸리, 병꽃나무, 백운산원추리 4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분류군으로, Ⅰ등급은 7분류군, Ⅲ등급은 2분류군, Ⅳ등급은 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족제비싸리, 좀포아풀 등 50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 교란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