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국방정책의 2014년 회고와 2015년 전망

        부형욱(Hyeong-Wook, Boo)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5 전략연구 Vol.65 No.-

        2014년 한 해 동안 우리가 처한 대내외적 환경은 매우 격동적인 것이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국방정책도 변화와 복잡성을 특징적으로 보여주었다. 협력과 견제가 동시에 진행되는 미중관계에 적절히 대응해야 했고, 보통국가화 경향을 노골화한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역학관계의 새로운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했다. 군사적 긴장을 한껏 고조시킨 북한에는 물론, 군 내부적인 각종 사건·사고에도 대응해야 했다. 2014년에 대응해야 했던 대내외적 변수들 대부분은 2015년에도 연속성을 가지고 한국에게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2014년 한국의 안보환경과 국방 이슈들을 대외, 남북, 대내의 범주에서 정리·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년 안보환경 및 국방정책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마지막 부분에는 필자 나름의 향후 국방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at South Korea have face in 2014 was very turbulent. Responding to the turbulent environment makes defense policies unpredictable and complex. South Korea had to adapt to US-China relations that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t also had to be alert to other newly arose regional dynamics of Northeast Asia such as Japanese bold attempts toward normal state. Responding to North Korean military threats that have reached exceptionally high frequency caused difficultie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lso has to address many scandalous accidents within the military. Most of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that South Korea had to address last year will be continued in 2015. In this paper, I discussed and evaluated South Korea"s security environment and major issues of 2014 defense policies which are categorized as external, inter-Korean, internal issues. And, with those assessments, forecast of 2015 security environment and defense policies is presented. Lastly, I provide opinion regarding future direction of defense policy in 2015.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발생 가능한 테러시나리오와 군의 대테러 능력발전 방향

        부형욱 ( Boo Hyeong-wook ),이현지 ( Lee Hyunji ),설인효 ( Seol In-hy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시나리오 접근법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발생 가능한 테러 유형을 살펴보고, 테러사태 발생 시 군의 능력을 활용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도 북한에 의한 테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국가중요시설 파괴로 인한 혼란유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테러방지법이 제정 이후 우리의 대테러 시스템이 어느 정도 모양을 갖춰지고 있지만 그 수준은 아직도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우리 군은 안보현실을 감안하여 테러 사태 발생시 군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법적 보장의 불비, 장비의 노후화, 정치적 지원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에 의한 복합위기 조성, 테러를 포함한 하이브리드전 감행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분위기를 고려할 때, 국방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대테러 능력발전을 위해 노력 할 필요가 있다. The article develops various scenarios of terrorist outrages which can happen in South Korea by applying scenario planning approach, and argues the necessity to utilize the capabilities of Armed Forces of South Korea to counter terrorism. It is because the most possible terrorist attack in this country is still estimated to be the one launched by North Korea. Indeed, North Korea still tries to cause confusion in South Korean society by destroying major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s. While institutions to counter-terrorism have been systemized after the anti-terrorism law was legislated in 2016, the respons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overall system is suspicious as ever. Considering this and sever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South Korea`s Armed Forces should be ready to provide possible aids to civilian counter terrorism efforts. However, there still exist many barriers including lack of proper legalization, overall deterioration of equipments, and stable political supports for counter-terrorism.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increasing possibility North Korea would try to conduct various hybrid warfares including terrorism, authors argue that South Korean Armed Forces should make more contributions to counter terrorism efforts.

      • KCI등재

        안보위협의 진화와 우리 군의 임무: 다재성을 갖춘 적응군 건설을 위한 시론적 논의

        부형욱 ( Hyeong Wook Boo ),이강규 ( Kang Kyu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2 국방연구 Vol.55 No.1

        새롭게 제기되는 안보위협과 기존에 존재하던 안보위협의 변이는 우리 군에게 도전적인 안보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현재 우리 군은 위협의 성격이 새로워진 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처하면서, 글로벌화된 비전통 안보위협에도 대응해야 하는 다중적 역할·임무상황에 놓여있다. 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한국군의 기존역량의 확충은 물론이고,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대응도 동시에 요구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안보환경의 진화상황에 대응하는 우리 군의 임무를 제시하는데 있어 다재성과 적응군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전통적 안보위협의 변이에 대한 대처에는 범용성을 갖는 군사능력의 확보를 의미하는 다재성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고, 갈수록 심화되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에는 적응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군의 관료화가 문제시되고, 경제위기로 검약이 요구되는 시대에 다재성을 갖춘 적응군 논의는 한국군의 임무를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ROK Armed Forces has been witnessed challenging security environments that are characterized by emergence of new security threats and variation of existing security threats. In other words, the roles and missions of ROK Armed Forces are multi-dimensional. ROK Armed Forces should respond to continuously renewing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while dealing with globalize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onsidering these, the author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versatility and adaptive military as a way of answering the call for responding to the evolution of security environment. In dealing with the vari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the authors argue that versatility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since the concept has to do with building military forces that can be applied to varying situations. Meanwhile, responses to deepening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need the development of adaptive capacit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austerity due to global economic crisis and we have observed heated debates about bureaucratization of the armed forces. That being said,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daptive military having versatility should be regarded seriously.

      • KCI등재

        사이버 안보의 주요 이슈와 정책방향: 국방 사이버 정책 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부형욱 ( Hyeong Wook Bo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3 국방연구 Vol.56 No.2

        사이버 위협의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적, 국내적 차원에서 집합적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구체화된 정책이나 공감대가 형성된 규범의 정립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국 제적 차원에서는 개별 국가들의 사이버 안보관련 구상이 국제규범으로 조직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도 사이버 안보와 관련한 큰 틀에서의 정책방향을 정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상황을 반영한 사이버 안보전략과 국방분야 사이버 정책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사이버 안보관련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우리의 가장 큰 위협인 북한으로부터의 사이버 위협에 대해서 살펴 본 후, 우리의 사이버 안보전략의 큰 틀을 제안하고 국방분야 사이버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Even though there have been collective efforts from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as responses against increasing cyber threats, we have observed very slow progresses in establishing specified policies and consensual norms· In inter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suggested their own cyber initiatives, however, consensus have not been made in organizing these initiatives into international norms· Also, in domestic level, many countrie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cyber security policy and its directions· As an exploratory efforts, this study tries to establish cyber security strategy and defense ministry`s cyber policy that reflect South Korea`s security environment· In order to do this, the author discusses major issues of cyber security and assesses cyber threats posed by North Korea· Then, the author suggests a larger framework for cyber security strategy of South Korea and discusses policy directions of defense ministry`s cyber policy·

      • KCI등재

        신속 파병을 위한 시스템 발전방안 -PKO 활성화 논의와 신속 파병 시스템 발전방안의 연계-

        고성윤 ( Sung Youn Ko ),부형욱 ( Hyeong Wook Bo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0 국방연구 Vol.53 No.3

        최근 국제사회는 PKO 파병의 신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UN 상비체제(UNSAS)와 고도즉응상비여단(SHIRBRIG) 구성은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려는 국제사회의 집합적 노력의 산물이다. 이러한 국제적 동향에 비추어 볼 때 한국 PKO 현실은 다소 답답한 수준이다. PKO 파병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여전히 존재하고 파병이 이슈화 될 때마다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곤 한다. 본고에서는 신속 파병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PKO 활성화를 포함한 보다 근원적인 문제에 천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국적 현실에서 양자는 따로 떼어 놓을 수 없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주로 거시적(macro)이고 개념적 논의를 진행했다. PKO 개념 재정립, PKO의 안보자산으로서의 인식 고취, PKO 거버넌스 능력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정치적이고 법리적 논쟁을 피해가면서 신속 파병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PKO 거버넌스 능력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Rapid deployment of peacekeeping forces to conflict ridden areas have been widely discussed within international community. UN Standby Arrangement System (UNSAS) and Standby High Readiness Brigade (SHIRBRIG) are two examples of international collective actions for rapid response. Meanwhil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regarding PKO does not meet the international initiatives for rapid deployment. There are negative sentiments for PKO and Korean society has paid much societal costs in handling the issues of oversea deployment. 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Korea has to shed light on fundamental issues like how to invigorate PKO if it wants to establish a rapid deployment system. It is because these two issues cannot be discussed separatel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PKO.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macro and conceptual issues of Korean PKO. The authors suggest that redefining PKO concept, seeing PKO as an asset of national security, and strengthening PKO governance should be taken seriously for the establishment of a rapid deployment system. Especially, PKO governance could be better agenda for actions since it does not entail any political and legal controver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