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저영향개발 기법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전문가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현지,이정아,유수진,전진형,Lee, HyunJi,Lee, Junga,You, Soojin,Chon, Jinhyu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전 세계적으로 도시내 물관리 정책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상지의 자연적인 물순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이용 현황과 정책적 접근 방법, 개선사항 등에 대한 전문가적 견해의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표본을 추출을 위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는 31명의 LID와 관련된 공무원, 실무자, 연구원, 교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모든 응답자는 28개의 Q-sort 진술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 결과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유형은 해당 진술문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로 구분되었다: 정책시행 중시형, 전문가 이해 중시형, 매뉴얼 중시형, 그리고 실효성 중시형.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을 위한 정책적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 확대 및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방법론 특성상 정량적인 연구결과 해석 시 연구자의 관점이 개입된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므로, 향후 정책 의사결정에 있어 유형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ID(Low-Impact Developmen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urban water management. The spread of LID technologies as a natural drainage system has led to a rise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policy in Korea.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ts' perception about utilization, applicability of policy, and improvements of LID by using Q-methodology. The sample included 31 experts who were government employees, landscape architects, researchers, and professors related to LID.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28-statement Q-sort task. Data was analyzed by using QUANL computer softw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distinct experts' perceptions about LID are identified: Policy Enforcement Oriented Type, Expert Understanding Oriented Type, Manual Oriented Type, and Effectiveness Oriented Type.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directions related to LID technologies, and it is helpful to apply the domestic type's LID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D in Korea.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in which the viewpoint of the researcher intervenes: a complementary searcher is needed to verify the validity by type in policy decision-making.

      • KCI등재

        게임 디스플레이 종류와 안경착용 여부에 따른 영상의 인지된 특성,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의 차이

        이현지,정동훈,Lee, Hyunji,Chung, Donghu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7 No.6

        3D 영상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3D 영상이 적용됨으로써 유망한 산업 분야 중 하나가 게임이다. 2D에서 3D 그래픽으로 그리고 현재는 3D 입체영상으로 진화하면서 이용자에게 깊이감을 제공함으로써 더 큰 즐거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중절반이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정도로 안경 착용자가 많은 환경에서 3D 영상을 즐기기 위해서 또 다른 안경인 3D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것은 큰 불편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서의 입체영상 및 안경 착용여부가 영상의 특성, 프레즌스 그리고 피로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실험결과 디스플레이와 안경착용의 상호작용효과는 프레즌스 구성요소 중 시간관여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D 영상에서는 안경 착용자가 높은 반면 3D 입체영상에서는 안경 비착용자가 높게 인지하였다. 그리고 인지된 특성과 피로도 변인에서는 영상 여부의 주효과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특성 구성요소 중 선명도에서는 3D 입체영상 보다 2D 영상의 화질이 좋다고 평가하였으며, 피로도는 2D 영상 보다는 3D 입체영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D images and videos are required viewers to wear 3D glasses. According to the data, about half of Korean people wear glasses or contact lens and this implies 3D video viewers may have a trouble due to putting a pair of 3D glasses atop their g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am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presence, and fatigue according to video gaming display (2D vs. 3D) and glasses whether wearing or not.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display and wearing glas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ived presence, and the main effect of the displa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and fatigue.

      • KCI등재

        모바일 정보 콘텐츠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이현지(Lee, Hyunji),정동훈(Chung, Dongh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정보 콘텐츠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모바일 정보 콘텐츠 채택 연구에 이용된 주요 이론 및 변인의 검토와 비판적 고찰 ,그리고 새로운 변인 탐색을 통해서 네 가지 구조를 이끌어 내었다. 모바일 정보 콘텐츠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으로 행동 기대, 결과 기대, 준거 판단, 콘텐츠 특이성을 선정하였다. 이중 행동 기대와 결과 기대에는 다차원적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데, 행동 기대는 이용 용이성과 이용 유연성으로, 결과 기대는 신뢰성, 플로우 경험, 그리고 시의성으로 구성하였다. 리서치 회사를 통해 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행동 기대 측면에서 이용 유연성이, 결과 기대 측면에서는 플로우 경험이, 그리고 콘텐츠 특이성이 이용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의성, 신뢰성, 콘텐츠 특이성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새롭게 등장할 모바일 정보 콘텐츠 설계 및 마케팅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variables to influence on users’ intention to use of mobile information content. The current research reviewed major theories and variables used in mobile information content adoption studies and led to four major structures by critical review. It is composed of conduct expectancy, output expectancy, reference judgement, and content uniqueness as the antecedents of intention to use of mobile information content and there were multi-dimensional components in conduct expectancy and output expectancy respectively. 206 participants joined this research onlin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lexibility of use in conduct expectancy, flow experience in output expectancy, and content uniqueness directly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use, and timeliness, trust, and content uniqueness had moderating effects. It provides that when the mobile information content is provided, what must be more considered during users’ adoption behaviors.

      • KCI우수등재
      • 조선시대 掖庭署의 왕명 전달 활동과 그 의미

        이현지 ( Lee Hyunji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3 韓國史論 Vol.69 No.-

        본 논문은 承政院 및 內侍府 중심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체계 속에서 掖庭署가 수행한 비공식적 왕명 전달 활동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기구는 승정원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층위의 왕명을 승정원에서 모두 출납하는 것은 불가능했으므로, 실제로는 승정원 承旨뿐 아니라 내시부 承傳色과 액정서 司謁 역시 왕명 전달 업무를 분담했다. 단 내시부와 액정서의 업무는 왕명 전달 체계 속에서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액정서는 내시부의 속사가 아닌 국왕 직속 관서로서 업무를 수행했다. 조선 초기의 액정서는 관서의 명칭과 직명 등 여러 면에서 고려시대의 掖庭局과 유사했다. 개국 초 宮殿별로 인력이 나뉘어 있었던 액정서는 세종대와 세조대를 거치면서 점차 국왕과 왕비, 왕세자를 중심으로 통합되어갔다. 액정서 관원들은 궁중의 다양한 잡무를 수행했지만, 傳謁은 신료들의 계사 및 알현 요청과 그에 대한 국왕의 답변을 전달하는 업무로서 최고위직인 정6품 사알에게만 부여되었다. 사알은 外庭과 內庭 간의 연결이 요구되는 거의 모든 자리에 동원되어 군신 간의 소통을 보조했다. 조선 전기의 액정서 논의는 주로 실무적인 문제, 즉 사알이 승지와 승전색 사이에서 왕명 전달에 개입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졌다. 왕명 출납에 직접 관여하는 실무자들을 제외하면, 국왕과 일반 신료들은 대체로 승지와 승전색 중심의 왕명 출납을 선호했으며, 사알은 중요도가 낮은 사안만 제한적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는 액정서 관련 논의 역시 대개 일회성 언급에 그쳤을 뿐 확대되지 않았다. 반면 17세기에는 公私 인식의 문제가 더해지면서 국왕 대 신료의 대립 구도 속에서 액정서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신료들은 宮府一體論을 내세워 액정서의 공사를 승정원을 경유해 처리할 것을 요구했고, 그 결과 인조대 이후로는 사실상 승정원에서 액정서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제출된 柳馨遠과 丁若鏞의 액정서 개편론은 액정서를 비롯한 국왕의 사적 영역을 최대한 국왕과 신료들이 공유하는 공적 영역으로 포섭하고자 했던 조선 후기 신료집단 공통의 지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액정서를 국왕의 사적 영역으로 간주하고 경계했던 신료들과는 달리, 조선 후기 국왕들은 직속 기구인 액정서를 각별하게 대우했다. 액정서 관원들이 문제를 일으킬 때면 국왕은 啓聞治罪의 관행을 내세워 직속 인력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반면 신료들은 이러한 국왕의 논리를 私意라고 비판하며, 공정한 사건 처리를 요구했다. 18세기의 국왕들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한층 적극적으로 액정서 관원들을 옹호했는데, 정조는 여기에 더해 傳命司謁을 신설함으로써 액정서의 기능을 더욱 강화했다. 정조는 직제 개편을 통해 기존에 없던 전명 기능을 사알에게 공식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액정서가 공적 체계 속에서 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전명사알은 정조대의 정책 기조를 계승한 고종 연간에 이르러 법제화되었으며, 이후 甲午改革으로 전면적인 관제개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운영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livery of royal decrees(王命) by Aekjeongseo(掖庭署)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s implications. In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承政院) was the official organization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royal decrees. However, since it was impossible for Seungjeongwon to manage all the orders, not only Seungji(承旨) of Seungjeongwon but also Seungjeonsaek(承傳色) of Naesibu(內侍府) and Saal(司謁) of Aekjeongseo shared the task of delivering royal decrees. The duties of Naesibu and Aekjeongseo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monarchical decree transmission system. Aekjeongseo performed its work under the king's direct control, not as a subordinate office under Naesibu.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performed various chores of the royal court. Still, the mission of Jeonal(傳謁), the duty of conveying the king's response to the requests of courtiers, was assigned only to the highest-ranking official: Saal. Saal played its role in almost all places that required a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chambers(外庭·內庭) and assist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Discussions regarding Aekjeongse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mainly focused on practical matters, such as the issue of Saal intervening in the transmission of royal decrees between Seungji and Seungjeonsaek. Except for some officials directly involved in the delivery of royal proclamations, the king and general officials commonly preferred the transfer of royal decrees centered on Seungji and Seungjeonsaek; they believed that Saal should only deliver less critical issues. Therefo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iscussions related to Aekjeongseo were usually limited to one-time problems and did not expand fur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17th century,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公私) recognition emerged, Aekjeongseo started to be discussed within the argumentative structure between the king and the officials. The courtiers called for the works of Aekjeongseo to be processed through Seungjeongwon, citing Gungbuilcheron(宮府一體論). As a result, Seungjeongwon finally got control of Aekjeongseo after King Injo's reign. The ideas submitted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Aekjeongseo clearly show the common aspiration of the courtiers'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sought to bring the king's private area, including Aekjeongseo, over to the public space shared by the king and his courtiers as much as possible. Unlike the courtiers who regarded Aekjeongseo as the king's private area, the k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a pleasant attitude toward Aekjeongseo. When officials at Aekjeongseo caused problems, the kings stood up for them by emphasizing respect for the servants under their direct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courtiers criticized the king's logic as private thoughts(私意) and demanded fair handling of the case. Based on the enhanced royal authority, the kings of the 18th century were more active in defending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In addition, King Jeongjo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Aekjeongseo by establishing a new post called Jeonmyeongsaal(傳命司謁). King Jeongjo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rivate use of Aekjeongseo in the public system by officially granting the unprecedented function of Jeonmyeong(傳命) to Saal. Jeonmyeongsaal finally got legisl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ho aimed to inherit the politics of King Jeongjo; it continued to operate within Aekjeongseo until the Reform of 1894(甲午改革).

      • 강우의 시간분포에 따른 농경지 침수 확률 분석

        이현지 ( Hyunji Lee ),강문성 ( Moon Seong Kang ),김지혜 ( Jihye Kim ),김석현 ( Seokhyeon Kim ),곽지혜 ( Jihye Kwak ),김시내 ( Sinae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기후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국지성 호우 등과 같은 극한기상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농경지의 침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침수피해도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농경지 침수 예측을 통한 농경지 침수 피해 저감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측강우를 이용하여 침수 예측을 하는 경우엔 강우에 대한 유역 반응이 빠른 지역은 침수에 대한 대비가 불가능하다. 농경지의 선제적 침수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예보강우를 통한 침수 예측이 필수적이다. 예보강우를 침수 분석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1시간 이하 단위의 강우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1시간 초과 단위 예보강우의 시간분포 상세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강우의 시간분포에 따라 침수 모의 결과가 크게 달라지므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예보강우의 시간분포 해석 및 시간분포에 따른 농경지 침수 확률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2021년 6월 30일부터 기상청에서 1시간 단위 예보강우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단기예보와 (신)단기예보 강우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예보강우의 시간분포에 따른 농경지 침수 확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예보강우의 시간분포에 따른 농경지 침수확률을 분석하기 위해 예보강우를 통계학적 강우 시간 분해 모형인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RC) 모형을 이용하여 1시간 단위로 분해하여 1000개의 모의강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역 유출량 산정, 하천 수위 모의를 하였다. 이후 GATE2018 모형(현 K-HAS)을 활용하여 농경지 침수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시설물 운영에 따른 농경지 침수 확률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강우의 시간분포와 배수시설물의 운영에 따라 농경지의 침수 확률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침수 확률 산정 기법은 농경지 배수시설물 운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Correlates of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이현지(HyunJi Lee),남현주(Hyun-Joo Na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2

        본 연구는 재가 장애노인의 영성이 죽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영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죽음 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D시와 G지역에 거주하는 재가 장애노인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죽음 불안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은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노인의 영성은 죽음불안과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영성을 경험하는 장애노인일수록 자신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우울 수준을 낮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장애노인의 영성과 우울과의 관계에 죽음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성과 죽음불안이 장애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우울을 경험하는 지역사회 장애노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함의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among the disabled elderly. A survey was conducted of 268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of spirituality and death anxiety with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using Baron and Kenny’s (1986)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spirituality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nd disabled elderly with greater spirituality experienced less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death anxiety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Findings indicated the spirituality and death anxiety could be important resources for alleviating depression of community dwelling disabled elderly. Consequently, interventions for disabled elderly with depression need to be considered their spiritual needs with death anxiety.

      • KCI등재
      • KCI등재

        정신건강을 위한 보건시설체계에 관한 연구

        이현지 ( Hyunji Lee ),채철균 ( Choul Gyun Chai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3 의료·복지 건축 Vol.19 No.4

        Purpose: Currently meaning and the needs of the times for the mental health are extensively changing. Contemporary needs for mental health has led to a change in the mental health policy and mental health facilities. But Change on Most of the mental health facilities have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increase. So, changes in mental health facilities due to changes in mental health policy are needed for the study. This study investigate to the mental health facility system through this changes.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the flow of Mental health policy in Korea the mental health laws and repor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Korea`s mental health policy has changed from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ill to the prophylaxis of all the people. So, mental health facilities are changing form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e private sector to public mental health center. Especially, mental medical institutions and mental health center are changing to requirement for the needs of the times. Mental medical institutions are changing from inpatient to outpatient and mental health center are changing from the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ill to the prophylaxis of all the people. Implications: Understand the flow of mental health policy,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the corresponding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