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문 : 미성숙 탱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심규 ( Kyu Bong Shim ),이은주 ( Eun Ju Lee ),주은영 ( Eun Young Joo ),이양숙 ( Yang Suk Lee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2 대한미용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water (PTW) and ethanol (PTE) extracts from Poncirus trifoliata immature fruit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For the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PTW was 4.66 mg/g and 42.63 mg/g, while PTE was 15.79 mg/g and 21.85 mg/g, respectively. The PTW showed the highest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71.43% and PTE was 59.42% at 2.0 mg/mL.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PTW and PTE were over 90% at 1.0 mg/mL, representing an excellent activity compared to the ascorbic acid (88.89%).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TW was 95.23% at pH 1.2 and 78.59% at pH 3.0. As a result, PTW had higher values of polyphenol conten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This results suggest that PTW is a potentially useful antioxidant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product, medicine, and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꿀풀 추출물과 그 활성 화합물인 카페인산의 Na+ /H+ exchanger 1 (NHE1) 발현 조절을 통한 피부 pH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박노준,봉심규,박상아,박기현,고영철,김혜원,김수남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substances that regulate skin surface acidification using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cell lines, an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moisturizing ability and skin barrier function of the stratum corneum. Prunella vulgaris (P. vulgaris) is an herb widely distributed in Northwest Africa and North America that has been studied for its anti-apoptot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research on the regulation of NHE1 expression and the restor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has not been conducted. Analysis of P. vulgaris revealed the presence of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as active ingredients, which were tested for toxicity in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cell lines (HaCaT), and showed no toxic effects were observed at high concentarion (100 μg/mL or 100 μM). It is known that sodium-hydrogen ion exchange pumps (NHE1) decrease in expression in aging skin to maintain the acidic pH of the stratum corneum, and it is hypothesized that this decre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paired restoration of skin barrier function in aging skin. P. vulgaris extract and caffeic aci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NHE1 in keratinocyte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precursor filaggrin and ceramide synthesis enzyme serine palmitoyl transferase (SPT). In addition, P. vulgaris and caffeic acid decreased the extracellular pH of keratinocytes, indicating a direct effect on skin pH regul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vulgaris and caffeic acid can regulate skin pH through NHE1 modulation, and may help to restore skin barrier function by increasing NMF and ceramide synthesis.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honeysuckle and caffeic aci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kin health, and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kin protection products using them. 본 연구는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의 산성화를 조절하는 물질을 발굴하고, 이를통해 각질층의 보습 능력 및 피부 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꿀풀은 아프리카 북서부및 북미에 널리 분포하는 허브 중 하나로 세포사멸, 항산화 및 항염에 대한 효능이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NHE1의발현 조절 및 피부 장벽기능 회복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꿀풀의 피부 pH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꿀풀의 활성 성분 분석 결과 로즈마린산과 카페인산이 검출되었다. 꿀풀과 이것으로부터 검출된 성분인 카페인산은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에 고농도(100 μg/mL 또는 100 μM)를 처리한 결과 독성을 보이지않았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각질층의 산성 pH를 유지하기 위한 나트륨-수소 이온 교환 펌프(NHE1)의 발현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노화 피부에서 나타나는 피부 장벽 기능 회복의 저하에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꿀풀 추출물 및 카페인산은 각질형성 세포에서 NHE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자연 보습 인자 전구체인 필라그린과 세라마이드 합성 효소인 serine plmitoyl transferase (SPT)의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pH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 세포 내/외 pH 수치를 측정한결과 꿀풀과 카페인산은 세포 외부 pH를 감소시켰다. 위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꿀풀과 카페인산은 NHE1 조절을 통해 피부 pH를 조절할 수 있고, 자연 보습 인자(NMF)와 세라마이드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장벽 기능회복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꿀풀과 카페인산이 피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를 활용한 새로운 피부 보호 제품 개발에 대한 토대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섬유아세포에서 프로모터 다형성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에 관한 연구

        이진우,정유정,봉심규,박노준,이상헌,노민수,임경민,김수남,Lee, Jin Woo,Jung, Yujung,Bong, Sim-Kyu,Park, No-June,Lee, Sang Heon,Noh, Minsoo,Lim, Kyung-Min,Kim, Su-Nam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피부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TNF-α를 처리하면 세포에 따라 MMP-1의 발현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것이 MMP-1 프로모터의 다형성에 의해서 나타남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판하는 23 종의 primary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MMP-1 프로모터의 -1607 부위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6 개의 1G/1G 유전형, 10 개의 1G/2G 유전형, 7 개의 2G/2G 유전형을 가진 섬유아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Hs68과 Detroit 551 세포주는 1G/2G 유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G/1G 유전형은 TNF-α 처리에 의해 대조군에 비해 MMP-1이 2 배 높게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1G/2G 유전형의 경우는 TNF-α 처리에 의해 MMP-1이 2.45 배 높게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1.4 배 MMP-1이 발현되었다. 2G/2G 유전형의 경우는 TNF-α 처리에 의해 MMP-1이 1.35 배 발현되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는 2.5 배로 높게 발현되었다. 즉 1G 유전형은 TNF-α에 의해, 2G 유전형은 자외선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1607 위치에 하나 더 삽입된 G에 의해서 Ets 전사인자가 결합할 수 있는 site가 만들어져서 MMP-1의 발현이 증가한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피부 노화와 관련하여 섬유아세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전혀 진행되어 있지 않아서 향후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피부는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기관이므로, 피부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타겟으로 MMP-1의 발현을 분석할 경우에는 실험 조건에 적합한 유전형을 가지는 세포를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The skin fibroblasts of different origins showed different expression levels of MMP-1 in response to TNF-α treatment or UV irradiation. We hypothesized that this is caused by polymorphism in the MMP-1 promoter region. To elucidate it, first of all, we analyzed and classified the genotype of the -1607 site of the MMP-1 promoter in 23 commercially available primary fibroblasts, and then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MMP-1 by TNF-α or UVB stimulation for each classified geno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broblasts with 6 1G/1G genotypes, 10 1G/2G genotypes, and 7 2G/2G genotypes were identified. Hs68 and Detroit 551 cell lines were confirmed to have 1G/2G genotypes. In the 1G/1G genotype, MMP-1 was expressed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control group by TNF-α treatment, and was hardly expressed by UV light. In the case of the 1G/2G genotype, MMP-1 was expressed 2.45 fold higher by TNF-α treatment, and 1.4 fold by UV light than the control. In the case of the 2G/2G genotype, MMP-1 was expressed 1.35 fold by TNF-α treatment, and was highly expressed by 2.5 fold by ultraviolet rays compared to control. It can be estimated that MMP-1 expression is better induced in the 1G genotype by TNF-α and in the 2G genotype by UV light. In addition, it can be presumed that MMP-1 expression is increased by creating a site where the Ets transcription factor can bind by another G inserted at the -1607 position. These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at all in fibroblasts in relation to skin aging, so it is an area that needs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since the skin is an organ that is affected by both intrinsic aging and photoaging at the same time, when analyzing the expression of MMP-1 as a target for improving skin aging, it is necessary to select cells with a genotype suitable fo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서수정(Soo Jung Seo),심규(Kyu Bong Shim),김남우(Nam W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various Nandina domestica fruits extracts. Organic fractions, including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N. domestica fruits.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EE fraction was 922.22 mg/g.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 was highest in the EB fraction (282.49 mg/g).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highest (93%) in the WA and EH fractions at 0.1 mg/mL. The SOD-like activity was showed the highest in the EA fraction (56.36%), and EH and EC both showed higher than 50% activity.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the EC fraction at 1.0 mg/mL under pH 1.2 conditions was 82.03%.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ll the fractions, except WE, were higher than 90% at 0.5 mg/mL.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was highest in the WE fraction (46.7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 domestica fruits fractions contained high level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s, along with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s. This suggests that N. domestica fruit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