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자발화 이야기문법 특성

        변주영(JooYoung Byun),신지철(Ji-Cheol Shin),김덕용(Deog Young Kim),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이야기 평가는 중요한 의사소통 평가의 한 구성요소로 여겨지는데, 이는 특정어휘나 문장을 이해하고 산출하는데 따른 언어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회-정서적 능력 등이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 평가 방법 중, 이야기문법은 이야기에서 흔히 발견되는 규칙체계로 6가지 범주를 포함한다. 이 범주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이야기 할 수 있는가는실어증 환자의 이야기 능력을 반영해주는 좋은 지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이야기 만들기에서 이야기문법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유창성 실어증환자 15명과 정상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흥부와 놀부’ 동화이야기 그림을 보고 이야기 만들기를 통해 이야기문법을 살펴보았다. 두 군 간에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점수 및 사용률, 그리고 완전한 에피소드 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이야기문법 점수,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점수, 그리고 완전한 에피소드 수에서 환자군이 정상군보다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별 사용률에서는 내적반응과 반응 범주를제외하고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실어증 환자군이 이야기의 핵심적인 이야기문법 지식과 이야기 구조 개념을 가지고 있긴 하나,정상군처럼 이야기를 의미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핵심적이고명시적인 정보는 잘 산출하지만, 덜 핵심적이고 암시적인 정보는 산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환자들은 이야기문법 하위범주를 고르게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야기 전체 흐름을 더 방해하고 중단하게 하여 완전한 에피소드 산출을 어렵게 하였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이야기문법을 통한 이야기 분석은 평가도구로서 유용하며, 치료 시 치료목표를 위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Objectives: Evaluation of storytelling skills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orytellers’ linguistic knowledge as well a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abilities. One assessment method for storytelling, story grammar includes six sets of rules commonly found in stories. The adequate use of these six categories of story grammar provides insight into the abilities of aphas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ory grammar in fluent aphasic patients through storytelling of a Korean folk tale, ‘Heung-bu and Nol-bu’.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5 fluent aphasic patients with left-hemispheric stroke and 15 adults without any cognitive impairment. We compared story grammar total and subcategory scores, and the percentage of usage of six story grammars as well as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Results: The aphasic groups had lower total story grammar scores , lower subcategory scores, and fewer total number of episodes.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in the subcategories with the exceptions of inner response and response.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aphasic patients may understand the concepts of story structure and core story grammar, they may demonstrate impaired abilities to explain stories in a meaningful way. Aphasic patients are able to provide explicit information but generally have difficulties providing implicit information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변주영(Jooyoung Byun),조은혜(Eunhy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6차년도 자료(2015)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중1 코호트의 6차년도 시기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각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에 활용된 표본 수는 1,366명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은 4가지로 나뉘며 선행연구 및 유형별 프로파일 특성에 따라 자아혼미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진로탄력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아혼미형의 교육포부 수준이 탐색진행형, 진로집중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진로탄력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자아혼미형 순으로 직업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진로탄력형과 진로집중형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유형 간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학술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부처는 교육과정 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내용을 강화하고, 학교는 자아인식 유형별 맞춤 지원을 활성화하며, 학생은 자아인식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진로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연구 대상의 다양화, 교육포부 영향요인에 대한 다차원적 탐색, 진로 및 직업결정 수준 향상을 위한 자아인식 확립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elf-awareness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aspiration and job decision level by type of self-aware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ix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0. The number of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is 1,366. Results First, the self-awareness types of 3rd grade general high-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are self-diffusion type, career identity laden type, search progressive type, and career-resilience laden type. Second, the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self-diffusion typ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and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Third, the level of job decision of each type of self-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the job decision level of career-resilience laden type is the highest, then that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is next, and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that of self-diffusion type is the lowest. Conclusions Practical and academic proposal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t the practical level, ministries need to emphasize self-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curriculum, and schools need customized support for each type of self-awareness. Students need to raise self-awareness and make efforts to develop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t the academic level,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multidimensional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aspiration, and illuminatation of self-awareness to improve career and job decision-making levels.

      • KCI등재

        COVID-19가 초래한 비대면(언택트) 시기, 청소년활동의 재도약 : 청소년 참여를 중심으로

        이윤주 ( Yoon Joo Lee ),최홍일 ( Hong Il Choi ),변주영 ( Joo Young Byun ),김주영 ( Kim Jooyoung ),김다인 ( Dain Kim ),홍정윤 ( Jung Yoon Hong ),이미영 ( Lee Mi You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시기별로 청소년 대상 비대면 교육 및 활동과 관련하여 국내외 원격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ICT 활용 및 변화 환경 수용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8 청소년 역량지수를 중심으로 청소년 정보통신활용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에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시행된 청소년 중심의 비대면 온라인 원탁토론회 사례를 통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블렌디드 형태의 청소년 활동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토대로 오프라인 중심의 활동과 참여가 제한되고 있는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온라인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통해 특정 소수가 아닌 보편 다수의 청소년이 친화적인 참여 공간에서 능동적 시민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활동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Ordinary thing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re not anymore in 2020. Youth activity is one of them. The youth activity program, which had been conducted in various forms in the field, temporarily stopped as the institution was closed. However, local governments, schools, youth institutions and facilities, civic groups, and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attempted to expand offline-centered activities into online spaces. As such, it is now necessary to approach the current situation not a paused time, but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youth activity space through online and offline,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y related to untact education and activities for adolescents by period of COVID-19 outbreak.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dolescents in adapting to the online environment, adolesc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 abilit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2018 Youth Competency Index. In addition, through the case of a youth-centered untact online roundtable discussion recently conducted mainly in the local community,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was sought b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Based on this process, an opportunity of activity will be attempted aiming at rearing general majority of adolescents rather than a specific minority as active citizens in a friendly participating space through expansion to an online platform while overcoming the current difficulties in which offline-centered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re lim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