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순사상의 인존(人尊)에 대한 화용론적(話用論的) 해석

        백춘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9 No.-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core concept of Injon (Human Nobility). The concept of Injon is one of the salient fundamental ideas which makes Daesoon Jinrihoe recognizable as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Injon has the basic meaning of ‘human nobility,’ but within the context wherein the nobility of humankind is considered to be greater than the nobility of Heaven and Earth. Although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interpretations of Injon (human nobility) that have developed over time have been quite diverse and abundant, these interpretations are all limited in that they generally as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ity’ to be antagonistic. However, if human nobility is relativized in that manner, it can reduce the potential broader meanings of mutual beneficence and the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These interpretations are grounded in the view of semiotic interpretation. Such interpretations have composed their view point via the semiotic meaning of the words. The semiotic point of view suggests that meanings of words consist in the relation of the word and the object to which it denotes. We will introduce a new view point which can be termed the transcendental view point. This view focuses on how the exact interpretation of words and sentences depends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riad of systematic relations among the word, object, and speaker. In the Daesoon Thought, the Former World is considered to be the world wherein all creations unfold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utual contention. This led to the accumulation of grievances and grudges which condensed and filled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The Former World was dominated by Western material civilization, selfishness, and exclusivism. It was also a world where humans suffered from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plagues, and wildfires. The Former World lost the constant Dao and was overwhelmed with all kinds of disasters and calamities. That world fell into various kinds of wretchedness. The causes which made the Former World so cruel came from humans misunderstanding their relation to nature and life in general; including human life. The anthropocentric modern cosmology insisted that the human race was the only one to have the powers and rights to exercise dominion over na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Later World, which means the ideal and perfect, immanent eternal world for all humankind in Daesoon Thought. This world consists of life, peace, and equality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three typical attributes: goodness, peace, and all kinds of life. All living beings previously struggled for survival, but in the Later World, those lifeforms will embrace each other; even across different realms. In Daesoon Thought, the world and cosmos contain diverse forms of life, and human have both an earthly life and life in the after world should they die before the Later World. There are also the lives of divine beings and animals, and other such living entities. Daesoon Thought subsumes pan-vitalism, which allows they acknowledgement of myriad possible lifeforms. The concept of the Later World in Daesoon Thought, which mainly reveal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 words of Sangje (Kang Jeungsan), suggests that all kinds of life, including humans, animals, and even spirits in the afterworld, can live together in a perfect coming earthly paradise which is immanent. The concept of Injon can be interpreted though the view of transcendental pragmatics as an alternative to the typical views discussed in Daesoon Thought. Thinkers should attempt to improve current discourse on Injon in Daesoon Thought by focusing on the point that all kinds the original teachings demonstrate a value of all lifeforms. Therein, Injon would indicate not only the human nobility and dignity but also the nobility and dignity of divine beings, divine humans, and all other forms of life that have existed across time. The dimension of time allows for recognition of lifeforms from the Former World, the afterworld, and the Later World. This revised appraisal of Injon could further accommodate denizens of the afterworld, animals, ghosts and spirits, the earth and cloud souls of humans, and other lifeforms held to exist in the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인존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대순진리회의 고유 사상이다. 지금까지 인존에 대한 종교적, 사상적 해석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게 이루어졌음에도 기존의 해석들은 대체로 ‘천지’와 ‘인간’의 관계를 대립적 관계로 전제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는 인존의 의미를 상대화함으로써 후천세계가 갖는 대대적 상생의 의미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글은 ‘인존’의 의미를 화용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화용론은 언어의 의미를 언어와 그 지시대상, 그리고 화자의 3중 구조의 맥락에서 해석하려는 담론 철학적 관점이다. 어떤 발화의 의미를 그 의미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그 발화가 이루어진 시ㆍ공간적 환경뿐만 아니라 그 발화를 구성하는 대화 참여자들의 관계, 장소, 시간, 상태 등 언어행위의 구체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인존에 대한 기존 해석은 의미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결과로 나타난다. 의미론적 관점에서는 의미를 결정하는 것이 그 의미가 지시하는 의미대상이다. 이런 관점은 언어 의미의 필증적 이해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써, 이해의 정확을 추구하려 하는 장점은 있으나, 의미해석 범위를 지시대상에만 한정함으로써 언어 의미에 대한 일면적, 단면적 접근에 머무른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 글에서는 의미론적 해석을 넘어 화용론적 관점에서 인존의 의미를 어떻게 볼 수 있는지 연구한다. 대순사상에 따르면, 선천세계는 포원과 상극에 따르는 참혹이 지배하는 세계이다. 서구적 물질문명과 이기심, 배타주의가 지배하는 선천의 세계는 홍수, 가뭄, 역병, 산불 등 갖가지 자연재해에 의해 인간이 고통 받는 세계이다. 이에 반해 후천세계는 선에 따르는 평화와 생명, 풍요의 세계라고 본다. 모든 생명은 죽음을 극복하고 불로불사하며 상극은 해원되고 상생과 평화, 조화의 세상이 열린다. 번뇌와 질명, 고통과 죽음이 사라지고 빈부와 신분의 차별이 없는 지상 선경의 낙원 세상이다. 대순사상의 인간관은 그 천지관에 따라 구분된다. 선천세계의 인간과 후천세계의 인간은 연속성을 갖는 동시에 구분된다. 선천세계의 인간은 인간개조를 통해 후천세계의 인간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선천세계의 인간은 특징은 포원과 상극에 지배되는 가사적 존재라는 점이다. 선천의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연대하지 못하는 고립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이다. 선천의 인간은 불행하고, 고통에 빠진 죽음의 존재이다. 대순사상은 후천의 인간은 선천의 인간과 다르다고 본다. 후천의 인간은 해원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상생 존재이다. 후천의 인간은 다양한 선천 생명들의 대대적 포월을 통해 나타나는 삼계 생명의 신인격적 존재이다. 후천의 인간은 개체적 유한성을 넘어 생명적 신인격을 대표한다. 대순사상의 인존은 단지 개체적 인간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대순사상에서 선천세계는 인류와 신명계로 나누어져 있지만, 개벽을 통한 후천세계에는 이들 세계가 서로 상생한다. 대순사상에서 ‘인존’의 ‘인’은 살아있는 인간생명뿐 아니라 명부생명, 금수생명, 귀신생명, 혼백생명 등 인류와 신명계의 모든 생명이 해원하여 함께 사는 삼계 생명의 신인격을 구상한다.

      • KCI등재

        『전경』에 나타난 생명의 존재론적 위상

        백춘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5 No.-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Canonical Scripture of the Daesoon Thought upon the ontological bases of occidental philosophies; especially upon those of Plato and Bergson. In western philosophy, the word ontology designates investigating the meanings of be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Greek ‘onto (being)’ and ‘logia (logical discourse).’ The various meanings of life have been sought from ancient times all over the world, for these are the critical and vital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Plato had asserted that life, in his word, soul, had three different kinds of aspects of meaning. Immortal, reciprocal, and divine. Plato scheme was such that the soul could die, but after death it could became reborn into another various forms of living creatures. The real inner life of humans, the soul, would live eternally. Henri-Louis Bergson, a famous French philosopher from the 20th century, claimed that life had three different kinds of aspects. Self-identity, Élan vital (vital impetus) and liberty. Bergson insisted especially the real meaning of life had been characterized by “unité multiple et multiplicité une,” “unity as something multiple and multiplicity something singular.” The meaning of life in Daesoon Thought could be said to have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solidarity, earthly immortality and grievance-resolution. Some similarities can be found between certain western ontological meanings of life and those of Daesoon Thought. Namely, the qualities of eternity, reciprocity, and divinity. 이 글은 대순사상에 나타난 생명이 존재론적 관점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존재론이란 있는 것들을 있게끔 만드는 그 ‘있음’이 무엇인지, ‘있는 것들’을 실현하는 가능근거가 있는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인간 사유의 한 분야이다. 생명은 대순사상의 추기이다. 대순사상의 생명은 현재적 인간을 포함한 창생(蒼生)뿐 아니라 신성, 불, 보살, 귀와 신 등 모든 신명(神明)을 포괄하며 현재와 과거, 미래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시ㆍ공간적으로 무한한 우주적 차원으로 확산한다. 고대 존재론의 시초인 플라톤에 있어서 인간은 ‘혼(psychē)을 가진 몸(sōma)’이었다. 그러나 인간에게 ‘몸은 무덤(sōma sēma)’일 뿐이다. 몸은 혼을 가두는 굴레이고 혼을 묶는 사슬이다. 플라톤의 혼의 세 특징은 각각 불사(不死), 상생(相生), 신성(神性)이다. 플라톤의 혼에 대한 생각은 아리스토텔레스를 거쳐, 중세 서양 형이상학과 현대 생명철학자 베르그손에게 이어진다. 베르그손은 생명이란 무화(無化, néantiser)하려는 무(無)를 극복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동일성을 만들어 나가는 힘이다. 베르그손의 생명의 세 가지 특징은 자기동일성, 약동, 자유이다. 대순사상은 선천의 가사적 생명이 해원을 통해 후천의 영원한 생명으로 개벽한다고 본다. 대순사상이 보는 후천 생명의 대표인 지상신선은 이런 대순적 생명성을 잘 보여준다. 지상신선은 불사의 존재이고 영원을 특징으로 하지만 존재 형이상학이 주장하는 부동성은 부정한다. 지상신선은 활동하는 생명 존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