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존중감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백종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effect of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o offer basic data necessary for after school children’s teaching program and guidance of their lives in child care center institutes. The research problems to deal with in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what is the effect of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against the theoretical backdrop include the following. Hypothesis 1. The self-esteem of the test group applied with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test group applied with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aimed at 28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4 students in the test group and 14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the after school program of child care center institutes located in Chuncheon. This study is experimental research into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test group and of the control group, after offering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to the test group. The test designs involve ‘the pre- and post-tests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s design. With regard to a test tool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adjusted and modified a test paper developed by Choi Bo Ga and Jeon Gui Yeon (1993) in their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a self-esteem scale, which had referred to a self-esteem test for children by Coopersmith (1967), for low school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as per a test tool fo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study used a method for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toward school, by Do Sang Cheol (1982), which was modified for high school students by Son Sun Ja (1993), and of which sub-area was partly modified and used by Seong Mi Ok (2003), and then modified to be suitable for low school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researcher, upon the advice of an adviser. For the self-esteem program, the study used an activity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self-esteem, developed by Palomares (1991), which was adapted and adjusted properly to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Jo Won Seong (1996), and was converted into a workbook form by the previous researcher, Lee Ihn Ja (1997) and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so that it could be utilized for low school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and second graders). Concerning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14.0) program.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pre-test results from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tudy conducted a dual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rformed ANCOVA for the post-test results so as to analyze the test effect by taking the pre-test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Hypothesis 1> was partly supported. In other words, the entire score of self-esteem of the test group that received the treatment of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but the sub-area showed a partial improvement in the ‘school self’ and the 'family self'. Second, <Hypothesis 2> was rejected. That is,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the test group that received the treatment of a self-esteem promotional program did not show an effect as a ru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also in the sub-area.

      • 한국의 테러 대응 정책에 관한 연구

        백종순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1. 연구의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에서도 테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두 번째로 우리나라의 테러대응 시스템과 정책에 대해 분석을 한 다음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테러대응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의 테러환경을 분석하였다. 테러환경은 먼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게 테러를 자행해왔던 북한에 의한 테러리즘 위협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그 방법과 양상은 다르지만 그들 정권이 존재하는 한 남한의 공산화를 위한 국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국내의 자생테러 위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국내 테러발생 가능성으로 사회문화적 요인과 정치·경제적 요인을 분석하였고, 외국인에 의한 테러연계 활동과 사회 불만세력 들에 의한 가능성을 심층 분석 하였다. 다음으로 국제 테러집단에 의한 위협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에 걸맞게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군대를 파병하기도 하고, 여행의 자유보장, 경제활동, 해외유학, 공격적인 선교활동 등 다양한 국가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활등들은 필연적으로 알 카에다, IS 등의 노선과 부딪히게 될 수밖에 없어 한국인을 대상으로 테러행위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늘날 세계에서 발생되고 있는 테러를 뉴테러리즘이라 부른다. 뉴테러리즘은 전통적인 테러리즘에 비해 명확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테러대응 시스템과 정책분석을 위해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법령, 조직, 시스템과 거버넌스 측면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국내에서 발생한 북한에 의한 탈북자 대상 테러사례와 국가의 중요행사 시 안전대책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외사례는 미국의 9·11테러와 영국 런던의 7·7테러 사례도 법령, 조직, 시스템,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테러대응에 있어서 다양한 경험이 있고 대응시스템에 대한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국내·외의 사례분석을 토대로 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테러대응에 있어 효과적인 정책방향은 법령정비, 조직정비, 통합형 시스템 구축, 거버넌스 구축 등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법령 면에서 테러방지법이 통과되어 테러관련 업무가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국가정보원의 기능과 권한 강화에 대한 우려와 기본권 보장에 대한 형평성 문제, 인권침해 소지, 테러의 정의, 법안 내용과 관련 문제 등 보완해야할 사항이 있다고 하겠다. 조직체계 면에서 국무총리실에 대테러센터를 두고 테러를 총괄하는 조직체계의 형태이다. 하지만 대통령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볼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없고 예산지원이나 집행의 효율성 면에서 문제가 많다. 따라서 대통령실 직속기구로 대테러 업무를 총괄하는 별도의 조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테러대응 기구 간 지휘체계 면을 분석하였는데, 앞서 조직체계면에서 언급 하였듯이 미국의 국토안보부와 같은 일원화된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국가적인 재난으로 세월호 참사가 발생 했을 때 현장의 다양한 조직을 지휘하는 것도 문제가 많았고, 범정부차원의 통합된 지휘도 명확하지 않아 국민들의 혼선과 불안만 키워주는 결과를 만들어 국민들이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에 대해 신뢰를 하지 않게 되는 불행한 결과를 낳게 하였다. 따라서 테러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의 지휘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의 일원화된 지휘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테러대응 시스템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2016년 6월에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에 의해 최상위기구인 국가테러대책위원회를 두고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있으며 총리실에 대테러활동을 총괄하는 대테러센터를 두고 있다. 아울러 테러가 발생하면 테러의 발생지역과 유형을 고려하여 테러사건대책본부를 두어 관계 장관이나 경찰청장이 본부장을 맡도록 하였다. 또한 국내외 테러정보를 종합하고 전파하기 위해 국가정보원에 테러정보 통합센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테러 대응체계는 분야별로 노력이 분산되고 테러대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가 미흡한 부분이다. 또한 테러 대응에 있어서 거버넌스는 잘 구축이 되어 있는지 국제적 거버넌스와 국내적 거버넌스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국제적 거버넌스 분석은 한국정부가 UN이나 미국 주도의 다양한 대테러 조약에 가입하고 조약 당사자의 의무를 다하고 미국 주도의 대테러 전쟁에 참여하면서 테러정보를 공유하는 등 정부차원에서 참여가 있었으나 민간차원이나 공공단체, NGO, 학교기관, 연구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협력적 파트너 십은 찾기가 쉽지 않았다. 국내적 거버넌스 면에서도 앞서 살펴본 정부의 테러대응 기구에 참여하는 국가기관간의 협력의 필요성과 협력적 관계는 확인하였으나, 테러에 대응하는 모든 조직과 시민, 사회단체, NGO, 연구소, 언론 등이 통합된 거버넌스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따라서 중앙과 지방정부가 중심이 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긴밀하게 협력하고, 정책의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 탈냉전기 미국의 군사ㆍ안보전략과 대북정책 :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 행정부를 중심으로

        백종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국의 고위 외교관들과 국제정치 전문가들은 9. 11테러이후 세계가 변했다는 것을 서슴없이 주장하고 있다. 랄프코사(Ralph A. cossa) CSIS 퍼시픽 포럼소장은 이를 "탈-탈냉전(post-post cold war)"시대라고 명명하였으며 파월 미 국무장관도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머뭇거리지 않고 있다. 랄프코사 소장은 미·러 및 미·중관계의 근본적 변화나 일본의 역할 증대를 탈-탈냉전시대로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을 하고 있다. 9.11테러이후 미 부시 행정부의 외교노선은 클린턴 시대의 '다자주의'로 복귀할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부시 행정부의 입장은 분명하였다."미국의 가치는 정당하며, 다자주의를 추구하되 결정적 행동에 나서야 하는 순간에는 다자주의에 발목을 잡히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탈-탈냉전의 전략적 환경이 한반도와 북한에 주는 메세지는 결코 장미빛이 아니다. 부시 행정부가 반테러 외교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바로 이순간에 북한은 여전히 테러지원국 명단에 들어 있으며, 대량살상무기 확산국으로 지목을 받고 있다. 1994년 6월 북한의 IAEA 탈퇴, 국제사찰단 추방, 그리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등으로 한반도에서는 전쟁 분위기가 감돌았다. 그러나 카터 전 미대통령과 북한의 김일성주석은 북한핵의 동결과 경수로 대체에 합의함으로써 일촉즉발의 위기가 해소되는 듯 하였고 10월의 제네바 협정으로 미·북, 남·북관계는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탈냉전과 더불어 집권한 클린턴 행정부는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에 최우선 정책순위를 부여하였다. 오늘날 부시 행정부의 외교정책의 최우선과제는 반 테러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테러지원국에다 대량살상무기 확산국으로 의심받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으로 하여금 국제사회의 반테러 연대와 협조하여 친구가 될것인가? 아니면 적으로 남을 것인가에 대한 분명한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 서기 2002년은 1994년의 상황과 매우 유사한 위기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을 다 가지고 있다. 몇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부시 행정부는 다자주의를 선호하였던 민주당 클린턴 행정부와 달리 일방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아프카니스탄에서의 반테러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국제적 지지가 확보되자 유엔의 안보리 결의없이 즉시 보복전쟁에 돌입 하였다. 둘째, 한반도 주변국들도 테러문제에 관한한 핵문제를 다루었던 1994년보다는 훨씬 더 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북한으로서는 더 이상 러시아와 중국이 보호막이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셋째, 한반도 위기 발생시 1994년에 막대한 역할을 해낸 카터에 견줄만한 중재자가 출현할 것인가도 생각해 볼 문제이다. 카터는 개인 자격으로 방북하여 행정부에서 위임받지 않은 사안에 대해서도 합의하는 월권을 범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생방송에서 기정사실화하기까지 하였다.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근본적인 차이점이 존재한다. 우선 두 행정부는 전통적으로 국제문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클린턴 행정부는 다자주의와 국제주의 노선에 따라 '개입과 확산'의 군사안보 전략에 입각하여 대북정책을 추구하면서 남한 정부와의 공조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대북포용정책으로 북한을 연착륙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994년 10월 북·미 간 제네바합의에 의거 핵, 미사일문제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반면 부시 행정부는 공화당의 전통이념인 미국적 국제주의에 입각하여 미국의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일방주의적 외교노선으로 대북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클린턴시대 대북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사안에 따라 철저한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추진해 나가되 북한정권에 끌려 다니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미국 양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북한의 입장은 클린턴 행정부 시절 타결되었던 상태에서부터 북미협상이 재개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부시 행정부는 약속 이행 여부를 철저하게 검증한 가운데 다시 시작하겠다고 하면서 북·미 대화를 위한 3가지 의제를 선정하였는데 첫째, 북한의 핵사찰 의무 이행, 둘째, 북한 미사일 수출 및 개발중단, 셋째, 북한은 재래식 군사적 위협 제거였다. 불편한 북·미관계는 남북관계와 한·미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은 한국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을 지지한다고 하면서도 남·북간 급속도로 밀착됨으로써 이로 인해 한·미 동맹관계와 주한미군의 위상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이러한 세계 및 동북아 질서의 변화와 전략적 환경을 제대로 이해한 후에 우리가 선택해야할 대응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한국의 국가안보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국 양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비교해 봄으로써 "탈-탈냉전기"에 우리 민족의 생존전략이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