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aroxetine 사용과 연관된 Prolactin 상승 1예

        백대업,조미애,제영묘 대한정신약물학회 2010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1 No.2

        Althoug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have been widely used in both psychiatry and other medicine,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SSRI-related hyperprolactinemia and/or galactorrhea. We experienced one case which showed both galactorrhea and hyperprolactinemia following treatment with paroxetine. In the case, a 37-year-old multiparous woman reported galactorrhea after 8-weeks paroxetine treatment for her depression. After 1 month prescription of bromocriptine, dopamine agonist, as well as switching medication from paroxetine to venlafaxine,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both galactorrhea and hyperprolactinemia was disappeared. Both hyperprolactinemia and galactorrhea has not been observed even after the cessation of bromocriptine prescription. 선택적 세로토닌 흡수 차단제는 높은 치료효과와 더불어적은 부작용 때문에 우울장애 치료의 1차 선택 약제로 평가받고 있다. 약물과 관련된 유루증의 발생은 매우 드문 경우로알려져 있다. 본 증례에서는 우울장애로 진단 후 8주 정도paroxetine을 투여한 이후 유루증이 발생하였고 프로락틴증가가 관찰된 후 venlafaxine으로 약물 교체를 시행하면서동시에 bromocriptine을 투여, 1개월이 경과한 후 유루증이소실되었다. 환자는 임신기를 제외하면 유루증을 경험한 적이 없으며 뇌자기공명영상검사상 이상소견이 없었고 유루증을 유발할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어 약제에 의한 유루증으로 이번에 보고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락틴의 증가와 유루증은 세로토닌에 의한 도파민 차단 작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한 부작용으로는 이 외에도 추체외로 증상, 성기능 및 인지기능장애, 여성형 유방 및 무감동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SSRI 사용 도중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 발생시 상황에 맞는 도파민 효현제의 사용과 유루증의 발생과 연관성이 적은 약물로의 교체를 시도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주요우울장애 환자와 범불안장애 환자의 성격 특성 비교 연구

        백대업,제영묘,김상엽,이대수,김현진,조정녀,최진혁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연구목적: 주요우울장애와 범불안장애는 병발율이 높아 두 질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성격평가 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를 적용하여 두 환자군에서 성격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8월1일부터 2001년 11월 30일 사이에 종합병원 정신과를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의의 면담을 통한 진단과 DSM-Ⅳ 진단 기준에 의한 SCID-Ⅰ을 적용하여 최종 진단된 16명의 주요우울장애 환자 및 12명의 범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성격평가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인상척도(positive impression)가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에서 범불안장애 환자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다. 결 론: "남에게 잘 보이려는 경향"이 범불안장애 환자군에 비하여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에서 많았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i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ose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y using the PAI(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Methods : PAI(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was applied to 16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12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Results : PIM(positive impress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than those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ave more "faking good"tendency than those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KCI등재후보

        주요 우울 장애 환자에 대한 비정형 항정신병제 부가 요법과 항우울제 치료 사이의 후향적 자연 관찰 비교 연구

        조세훈,제영묘,장세헌,이경환,백대업,최진혁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6 우울조울병 Vol.14 No.2

        Objectives : The effects of ADs usually appear several weeks treatment, and AAP augmentation can advance therapeutic responses in some patients. We performed a naturalistic, retrospective trial to compare early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between AD treatment and AAP augmentation in real clinical practice.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out psychotic features and starting treatment for a new major depressive episode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1 and July 2011.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17-item (HDRS-17) scores were collected at baseline, 2 weeks and 8±1 weeks after treatment. Response was defined as a ≥50% reduction from baseline HDRS-17 scores; remission was a score of ≤7. Results : Of 82 patients included, 31 were in the AD group and 51 were in the AAP augmentation group. In baseline, AAP augme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DRS-17 total score than AD group. At 2 & 8 week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onse and remission rate. Conclusion : We could not prove superiority of AAP augmentation to AD treatment in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of depression. However, considering higher baseline severity of AAP augmentation group, we can conclude AAP augmentation made a bigger decrease in HDRS-17 total score than AD group during 8-week treatment.

      • 범물안장애환자와 주요우울증환자 간에 인지적 형태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비교

        김현진,제영묘,이대수,백대업,조정녀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morbid cognitive styl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betwee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which share same genetic factors with high comorbidity rate. Methods; The subjects were 10 patients with GAD and 16 patients with MDD. The questionaires of the scales for anxiety, depression, premorbid dysfunctional attitudes, irrational beliefs, schema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administered. Results; 1) The level of anxiety of GAD was higher than that of MDD, the level of depression of MDD was higher that of than GAD. 2) There was no differences of degree for the premorbid dysfunctional attitudes between two groups. 3) The group of MDD had higher score than group of GAD on accommodation subscale of the premorbid stress coping strategies. 4) There was no differences of degree for the premorbid irrational beliefs between two groups. 5) The group of GAD had higher score than group of MDD on vulnerability subscale of the premorbid schema. Conclusion; The premorbid cognitive styl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between GAD and MDD were more or less different, but seemed to have similarity as a whole. 본 연구는 유전적 공통성과 높은 병발율을 보이는 범불안장애와 주요우울증환자의 발병 전 에 가지고 있던 인지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봉생 병원에 외래 통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DSM-Ⅳ진단기준에 따라, 2명의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기타 질환이 동반되지 않은 범불안장애,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된 환자 가운데서 설문 가능한 범불안장애 환자 10명, 주요우울증 환자 16명 총 26명의 환자에게 얻은 결과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우울척도, 불안척도, 역기능적 태도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 비합리적 신념척도, 인지도식 척도를 한 벌로 묶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형으로 검사하였다.범불안장애 환자와 주요우울증 환자의 첫 증상 발생당시의 불안, 우울 정도와 그리고 증상 발병 이전 평소에 가지고 있던 역기능적 태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비합리적 신념, 인지도식 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1) 주요우울증군의 우울 정도는 범불안장애군보다 높았고 범불안장애군의 불안정도는 주요 우울증군보다 높았다2) 범불안장애군와 주요우울증군 간의 발병 전 역기능적 태도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3) 발병 전 스트레스 대처 방식 비교에 있어서 주요우울증군은 범불안장애군에 비해 동화 (양보)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4) 범불안장애군과 주요우울증군 간의 발병 전 비합리적 신념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5) 발병 전 인지도식(schema)비교에서는 범불안장애군이 주요우울증군에 비해 취약성 척도 가 유의하게 높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조현병 환자에서 성기능 장애의 유병률과 양상에 관한 대조군 비교 연구

        윤지환(Ji-Hwan Yoon),백대업(Dae-Up Back),제영묘(Young-Myo Jae),장세헌(Sae-Heon Jang),이경환(Kyoung-Hwan Lee),최진혁(Jin-Hyuk Choi)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2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7 No.2

        Objectives:Sexual dysfunction is common in both untreated and trea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known a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nd drug complianc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reated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Methods:Subjects were 75 patients who were recruited from outpatients with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ccording to DSM-IV-TR criteria, who had been stabilized on antipsychotic medications for more than three consecutive months. Control group consisted of 76 volunteers without history of any psychiatric disorder were excluded. We assessed for sexual dysfunction by the ASEX. Results:The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 in the patient group was 57.33%,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23.37%. Female gender and the use of antidepressants were best predictors of sexual dysfunction in patient group. Sexual difference at sexual driv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diminished in the patient group. Conclusion: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higher prevalence of sexual dysfunction in patient group than control.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differential sexual dysfunction effects of antipsychotics when prescribing med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