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창조적 상상력 : 미디어 아트에 대한 이공계 학생들의 반응

        백경미(Kyong-Mi Pae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1

        세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들어서면서 분야 간 “융합”과 “통섭”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예술과 과학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고 있어 앞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현장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21 세기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지향하는 시각예술교육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 최근 개발·시행하고 있는 시각예술 교육과정의 교육 결과와 그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예술과 과학의 융합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융합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주장하는 최근의 담론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지난 한 세기에 걸친 과학 기술의 발전과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배경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개발·운영해 오고 있는 시각예술 교육과정을 통해 수집된 미디어 아트에 대한 이공계열 학생들의 반응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이것이 디지털 시대의 창의적 인재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Moving into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 creativity" and “ integration" become key word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role of visual art education demanded by the 21 st Century digital age. To this end, it first reviews the context and scholarly discussions that brought social attention to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education. Then, it overview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cience by reviewing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ctivities in the world of arts made possible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occurred during the last century. Lastly, it presents a few outcomes of science-majoring students who took a recently developed visual art course, Arts and Creativity, offered at a newly open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The students' responses to media art are discuss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omoting creative imagination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예술현장의 교육적 가능성: 금천예술공장의 작가-학생 공동예술프로그램 사례연구

        백경미 ( Kyong Mi Pae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이 글에서는 현대미술기반 교육사례를 통해서 예술현장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최근의 사례연구에서 파악한 미술창작·전시공간 입주작가들이 고등학생들과 함께 진행했던 공동예술작업의 특성과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예술현장기반 공동예술프로그램 실행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먼저 세 가지 범주: 창작공간의 환경 특성, 작가-학생 공동예술작업의 특성, 그리고 이 공동 작업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분석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1) 전문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에 의해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인 교류가 활성화되는 일종의 사회적인 공간으로서, 창작공간은 학생들의 워크숍 경험을 독특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과 2) 창작공간의 작가들은 다른 교육공간들의 교육실행자들 보다 공동 작업을 더욱 상호작용적이며 역동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 따라서 3) 창작공간의 예술창작경험은 다른 교육공간의 유사한 활동보다 공간, 과정, 나눔과 협력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현장기반 공동작업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자들이 현대미술세계의 작업개념들과 실제들의 변화에 대해 민감한, 좀 더 사회적으로 반응하는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주목하도록 한다. 이 연구는 현대미술세계 안에서 생성되고 있는 다양한 예술 공간들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연구들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reative art space by reviewing a ca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recent collaborative art program carried out in an art center in Seou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ite were first arranged into three categori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artist-student collaborations, and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collaborative works. Then the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a previous study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1) creative art space, as a social space where social interactions and cultural exchanges are activated by the creative activities of professional artists, can make the students’ experience in the workshop unique; 2) the practicing artists in the creative space can make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works more interactive and dynamic than the practitioners in more formal educational spaces do and therefore, 3) the art-making experience in a creative art space can encourage more participation in the creative space, processes, sharing, and exchanging, compared with similar activities in other educational spaces. The study’s outcomes can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collaborative activities in creative art spaces. In addition, it draws educational attention to the need for a more socially responsive art education practice that is sensitive to changes in ideas and practice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The study supports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diverse forms of art space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 KCI등재후보

        현대 한국문화예술교육 실제에서의 도전과 기회 : 문화기관의 실행자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백경미(Kyong-Mi Pae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과 교육 Vol.13 No.1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재정을 기반으로 추진되어 온 문화 정책에 히입어 개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문화기관들의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들은 현대 한국문화예술교육 분야를 빠르게 확장시켜 왔다. 한편 최근 문화예술교육정책 시행 주체들이 현 정책과 그동안의 사업성과에 대한 사회적 혐력과 지지 기반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야에 대한 실제 상황 검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현대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지형 변화를 이끌고 있는 여러 문화 기관들의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실제 안에 생성되고 있는 도전과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정한 문화기관의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안에서 움직이고 있는 교육 실행자들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에 대한 실행자들의 직업적인 요구와 가능성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미래지향적인 기회로 발전시키기 위해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검토하였다. 교육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문제나 가능성들을 조명하는 이 질적 사례연구는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실제에 대한 비평적인 교육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The landscate of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changing rapidly since June 2006, whe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ing Act took effect. This political act significantly encourage and supports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unconventional and innovati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grams in many cultural institutions across nation. This change has affected the traditional practices of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art centers and cultural foundations, whose educational missions had not been publically recognized as importnat. In the past few years, with the growth of new 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organized by cultural institutions, significant numbers of new practitioners have been trained and employed to carry on these programs designed to enrich the cultural expreiences of diverse community menbers. From a year of involvement i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in a leading cultural institution, the author can recognize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this emering group of practitioners are distinct from those of teachers working in traditional discipline-based education systems.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that explores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have emerged from collaborative practices in cultural institutions. Five visual art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a cultural institution's nine-month after school arts educational program were interviewed. This study focuses on: 1) individual practitioners' experiences related to the type of program, content structure, educational miss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2) how these practitioners developed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2)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emerged from these individual practices. This analysis helps educators recognize unconventional ways of learning and emerging professional needs and gain critical insight into the context of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예술이음’ 정책에 의한 학교예술교육의 변화

        백경미 ( Paek Kyong-m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육부가 학교-지역사회 간 협력 네트워크조성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예술이음’ 정책의 사회적 의미와 이 정책의 학교 교육현장 적용과정에서 부상할 실행상의 문제점과 개선 및 발전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새 정책의 보다 실효성 있는 현장적용을 위해 선정·지원하고 있는 ‘예술이음’ 연구학교들의 1차년도 운영현황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연구학교 현황에 대한 맥락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먼저 연구학교 운영과정에서 부상했던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고, 이어서 각 연구학교들이 경험한 문제점과 발전가능성, 그리고 남겨진 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이 예술이음 정책이 지향하는 학교현장의 변화가 새 정부의 교육개혁안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보면서 그 사회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학교들의 운영현황 검토결과, 예술이음 정책이 현시대의 급속한 사회문화적 활동 경관의 변화에 부응하는 사회적 가치를 담고 있다는 점과 실제 학교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하며 개별 학교의 환경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이 새로운 정책이 현장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행정적 지원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issues and possible area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that have been identifi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Yesul Ieum policy, a principle of action which was introduc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OE) to encourage collaborative networking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the paper reviews the operational processes and outcomes of six pilot schools that were appointed and supported by the MOE in order to find more viable and effective methods for employing the Yesul Ieum policy.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se pilot schools’ First year practice,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major issues that have emerged during each pilot school's operations. It then discusses these schools’ problems, their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the work that remains to bring them in line with the Yesul Ieum policy’s goals. Finally, it reviews the social meaning of the Yesul Ieum policy by assessing how changes to school practice are related to the Korean government's plan for educational reform. The study’s outcomes confirm that the Yesul Ieum policy contains a social value that is responsive to the rapidly changing landscape of sociocultural practice of our time, that the policy can be applied to real school settings and that it can be diversely realized according to the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s of individual schools. This paper also recognizes the need for additional discussion into methods that can be taken to establish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that aids in the policy’s proper integration into schools.

      • KCI등재

        시각예술 심화교육프로그램 구성방안 고찰

        백경미 ( Kyong Mi Pae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한국에서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공포·시행되면서 영재교육을 위한 교육연구개발이 본 격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교육연구개발이 활발한 과학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개발지 원이 미진한 시각예술영역에서의 재능발달을 위한 심화교육 지원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먼저 미술영재교육현황과 요구사항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구성에 필요한 인지심리학 분야의 재능발달 이론들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각예술영역에서의 심화교육과정 개발방향 및 프로그램구성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와 같은 시각예술영역에서의 재능발달을 위한 심화교육프로그램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는 근래 에 추진되고 있는 창의적 인재양성이나 과학·예술융합인재교육을 위한 교육논의의 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Korea,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continued to grow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2002. This paper looks at visual arts, an area where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in terms of gifted education, and considers ways of supporting advanced curriculum development in relation to talent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consider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gifted art programs and their needs. Then it reviews theories of talent development and recent discussions in regard to artistic development related to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and educational psycholog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seeks ways of developing and supporting enrichment programs for talent development in the visual arts. The proposed direction for developing enrichment programs examined in the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cent discussions on educating creative individuals for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공교육 내 문화예술교육 실행자들의 인식: 현황과 과제

        백경미 ( Kyong-mi Pae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지난 십년 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국규모의 설문조사들을 실시하면서 <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중앙의 진흥원 차원에서 실시해 온 양적연구들이 파악하지 못했던 지역별 교육실행 현장의 복잡한 상황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질적인 연구방법에 의해 수행된 예술 강사 인식조사결과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공교육 내 문화예술교육 실행현황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 울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 강사 다섯 명을 면담 조사 분석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였다. 먼저 여섯 개의 영역(교육실행 환경, 수업, 학교와의 관계, 직업 여건, 직업적 정체성, 지역 센터의 지원)으로 분류한 면담내용을 검토하면서 그 안에 내재된 교육실행상의 문제점들과 요구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앞으로 개선과 지원이 필요한 부분들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 실행상의 문제점들은 특히 네 가지 부문 (예술 강사의 교내지위와 역할; 추가 업무 부담과 지원미비; 교내 소속감과 소통문제; 예술 강사 지원사업의 운영구조)에서 발견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는 첫째 학교선정과 강사배치 시점에서 요구되는 행정적 지원방안 마련, 둘째 학교 담당자와 예술 강사들 간의 상시적인 소통 및 논의의 장 마련, 셋째 강사들의 학교파견기간 중 (학기 중) 필요한 행정적인 지원방안 마련, 넷째 강사자율연구모임 활성화를 통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 마련, 다섯째 이러한 모임활동을 예술 강사들의 직업적 발전기회 확대로 유도하는 방안 마련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특정지역의 예술 강사지원 방안에 대한 질적인 논의는 사업 내 교육실행 현장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를 돕고, 나아가 지역특성을 고려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면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정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Over the past ten years, the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KACES) has conducted several quantitative studies based on nation-wide surveys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grams (SACESP). This paper examines some of the under-recognized complex lo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practice of teaching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SACESP. To this end, it reviews the results of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five teaching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SACESP in the Ulsan region were interviewed. The outcomes of the review are presented in two categor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SACESP divided into six areas (school environment, classroom activity, relationships with school teachers, working conditions, professional identity, and support from the local center) and the problems in the classroom practice of teaching artists divided into four areas (the status of teaching artists in schools, pressure of the additional workload,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cation problems, and operational structure of the SACESP). Based on the professional concerns and the needs identified in this review, this paper suggests five methods of support the local center should consider for teaching artists working in schools. These include administrative support and more a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not only between school teachers and teaching artists but also among teaching artists. This paper contributes to policy development and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these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