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출산의 의료화에 대한 여성 산파의 대응 -새러 스톤(Sarah Stone)의 전략을 중심으로-

        배혜정 ( Bae¸ Hyejeong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18세기에 조산술에서 낯선 풍경이 펼쳐진다. 해부학 지식과 분만 겸자로 무장한 ‘남성’ 산파가 급성장하여 조산술을 산‘과학’으로, 여성의 분야를 남성의 분야로 변모시킨 것이다. 기존 연구는 어떻게 남성이 조산술 분야를 지배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부분 집중해 왔다. 즉, ‘승자’에 초점을 맞출 뿐 ‘패자’에게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 산파 새러 스톤의 『완벽한 조산술 실무』를 중심으로 출산의 의료화 및 남성화에 대한 여성 산파의 대응과 전략을 면밀히 검토했다. 이 책에는 영국 최초로 여성이 쓴 증례집이라는 가치 이상의 목적과 대안이 담겨 있었다. 스톤은 여성산파에 대한 일방적 폄하에 맞서 그들의 능력을 옹호하는 한편, 해부학 지식만 믿고 출산을 외과적으로 접근하는 남성 산파의 문제점을 폭로한다. 하지만 스톤의 방식은 문제 제기에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숙달된 조산 기술과 지식을 다른 산파와 공유함으로써 모든 산파의 경쟁력을 높이는 쪽으로 나갔다. 그래서 해부학과 출산 도구도 조산술 발전에 유용하다면 마다하지 않았다. 다만, 의학과는 구별되는 조산술 고유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이어야만 했다. 출산은 상처를 도려내거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새 생명을 얻는 ‘자연적인 일’인 탓이었다. 이처럼, 계몽된 산파였던 스톤은 여성의 몸을 분만 행위에서 유리시키는 출산의 의료화에 반대하면서도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겸비한 산파술, 곧 질적으로 전문화된 조산술을 지향했던 것이다.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he man-midwife armed with anatomy knowledge and the obstetrical forceps had grown rapidly, shifting a midwifery into a science and women’s field into men’s one. The existing studies on the subject have mostly focused on the question of how men came to dominate the field of women. In other words, they only focused on the “winner” but didn’t pay much attention to the “loser.”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wives’ responses to the medicalisation of childbirth, focusing on Sarah Stone’s A Complete Practice of Midwifery. The significance of Midwifery goes beyond that it is the only book of case notes published by a female midwife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First of all, Stone wanted to share her skill,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other midwiv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ll midwives. Moreover, anatomy and childbirth tools were acceptable if they wer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midwifery. However, she emphasiz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idwifery which were distinct from medicine. In Stone’s view, childbirth is not about cutting out a wound or treating a disease, but about getting a new life. In short, Stone opposed the medicalisation of childbirth that separates women’s bodies and minds from delivery and aimed for qualitatively specialized midwifery.

      • KCI등재

        파멜라 논쟁``의 승자: 18세기 영국 중간계급의 여성담론- 『파멜라』(1740) 대 『샤멜라』(1741)를 중심으로

        배혜정 ( Hyejeong Bae )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30

        본 연구의 목적은 ‘파멜라 논쟁’의 포문을 연 사뮤엘 리차드슨의 『파멜라』(1740)와헨리 필딩의 『샤멜라』(1741)를 분석하여, 논쟁 전체를 관통하는 18세기 중간계급의 여성담론을 추적하는 것이다. 친파멜라와 반파멜라로 갈라진 ‘파멜라 논쟁’의핵심쟁점은 파멜라가 보여준 미덕의 진정성 문제였다. 여주인공이 순수함과 순결함으로 신분상승까지 성취하는 모습을 그린『파멜라』에 대해 『샤멜라』는 그 미덕이 위선이라고 폭로한다. 이런 풍자와 대립 구도는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오히려 이 두 작품의 공통분모이다. 당대의 ‘파멜라 논쟁’ 에서는 파멜라의 미덕이 진짜인가 가짜인가가 쟁점이었지만 본 연구자의 관심은‘그 미덕이란 무엇인가’이기 때문이다. 『파멜라』는 여성의 성공스토리를 기조로 하여 중간계급 남성의 신분상승 욕망을 충실히 반영하는 한편, 그 이면에는 순결한 처녀, 순종적이고 근검절약하는 아내, 섹슈얼리티가 제거된 어머니라는 중간계급의 이상적 여성상을 구현했다. 필딩은귀족의 시선으로 『파멜라』에 드러난 미덕의 위선과 신분상승 플롯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지만, 필딩의 샤멜라 역시 결국 여성의 미덕을 실천하지 못한 부도덕한여성일 뿐 여성의 미덕이란 곧 정절이라는 편협한 중간계급의 도덕성 자체를 의문시하지 않았다. 기실 ‘집안의 천사’로 상징되는 정숙하고 순결한 여성성 신화가 활개를 친 빅토리아 시기 여성담론을 감안해 볼 때 ‘파멜라 논쟁’에서 최종승자는 일찍부터 이런여성상의 전조를 보여준 파멜라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반파멜라 진영의 힘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여성에 대한 그들의 태도 또한 친파멜라 진영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탓이 컸다. 필딩은 리처드슨이 그리는 여성상에는 직접적으로 도전하지 않았기때문에, 의도치 않게 근대적 여성성 신화가 탄생하는 데 공모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middle class’ discourse on women in 18th century England by examining the main texts of ‘the Pamela Controversy’, Samuel Richardson’s Pamela (1740) and Henry Fielding’s Shamela (1741). The main dispute between “pro-” and “anti-Pamelists” was a controversy over the virtue of Pamela. While an innocent and chaste Pamela succeeded in raising her status, Shamela exposed her hypocrisy. I focus not on the differences but on the common points between the two texts. That is not ‘whether the virtue of Pamela is real?’ but rather, ‘What is that virtue?’ Pamela reflected the middle class’ desire for higher status on the basis of the success stories of women but also embodied the middle class’ ideal woman: an innocent virgin, a thrifty and obedient housewife, and an asexual mother. Indeed, in thinking that the myth of chaste and obedient women and the ideology of maternity were predominant in the 19th century, the winner of the Pamela Controversy was Pamela. I don’t think this was because anti-Pamelists were weaker than pro-Pamelists. The former’s view of women is no different from the latter’s view. Unintentionally, Fielding also took part in creating the modern myth of women for he did not question Richardson’s view of women but agreed with the womanly virtues that Richardson described.

      • KCI등재

        19세기 말 자전거 복장 논란과 여성의 대응(들)

        배혜정 ( Bae Hyejeong ) 영국사학회 2021 영국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사상 최초로 자전거 열풍이 분 1890년대 영미권에서 여성의 자전거 복장을 두고 벌어진 논란과 이에 대한 여성들의 다양한 대응 및 전략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세기말 요동치는 젠더 담론의 양상을 파악하고 초창기 페미니즘 운동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것이 목표다. 기존 연구처럼, ‘여성이 자전거를 탈 때 얼마나 바지를 입었는지’ 같은 양적 결과만을 본다면 여성과 자전거를 둘러싼 당대의 복잡한 시대상을 그려낼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자전거 복장에 대한 여러 엇갈리는 주장과 반응을 두루 살피는 한편, 여성의 사이클링을 지지하면서도 바지류의 ‘합리적 복장’에는 의견이 갈리는 대목에 특히 주목했다. 19세기 말 자전거를 탄 여성 대다수가 합리적 복장을 꺼리고 치마를 입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이 당대의 젠더 규범을 묵묵히 따랐다고 단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어떤 이는 ‘신여성’의 상징인 자전거를 사회적으로 ‘안전하게’ 타기 위해 치마를 입었고, 또 다른 이는 자전거를 더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품위와 명예를 담보한다는 기존 여성복을 내세웠다. 그리고 소수지만 합리적 의복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여성도 있었다. 자전거를 발판으로 복식개혁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쪽이었다. 여성에게 전에 없는 활동성을 부여한 자전거를 통해 여성의 몸을 해방하는 ‘자유의 옷’을 홍보한 이들의 목표를 고려하면, 합리적 차림의 여성이 비율상 소수일지라도 페미니즘 역사에서 의미가 적지 않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troversy over women’s cycling dress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bicycle craze which star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o find the various responses of women cyclists to 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early feminist movemen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several conflicting arguments about women’s cycling dress. It was the skirt that remained the dominant form of dress adopted by women cyclists at the turn of the centu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women cyclists followed or maintained the gender norms just because they adopted traditional clothing or gave up ‘rational dress’ for bicycling. This is because they used various strategies through bicycling dress. Some wore skirts to ride “safely” a bicycle as a symbol of a ‘new woman’, while others insisted on conventional clothing that signalled femininity and respectability in order to promote cycling to women more widely. And there were also a few women who stuck to rational dress to the end. They strove to expand dress reform movement using women’s cycling dress as a foothold. Even if there are small number of women cyclists in rational dress, their cause is significant in feminist history.

      • KCI등재

        집단적 기억 개념을 통한 동시대 한국 미술 사례 분석 - ‘만들어진 전통’의 전복과 비물질적 기념비 -

        배혜정 ( Bae Hyejeong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피에르 노라(Pierre Nora)는 『기억의 장소(Les Lieux de Memoire)』의 서두에서 “요즘 우리가 기억에 대해 그토록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기억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에의 요청을 주지하였다. 기억에의 요청은 세월호 사고 이후 상황들과 위안부와 관련된 논쟁 등 근래 한국 사회에서도 공명한다. 이는 기억이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에서는 집단적 기억 연구의 선구자라 할 수 있을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논의를 필두로 기억의 사회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알박스에 따르면 공동의 기억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나아가 근대 이후 위로부터의 정체성 만들기는 도구적 사용으로 ‘만들어진 전통’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에릭 홉스봄(Eric Hobsba um)의 ‘만들어진 전통’ 논의를 통해 전반부에서는 최정화(1961-)와 함경아(1966-) 작가의 몇몇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이들 작가들은 위로부터의 기억 만들기를 통찰하고 이에 대하여 전복을 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후반부는 기념비라는 집단적 기억의 표상 형식을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역사와 함께해 온 기념비 문화는 20세기 초반 사회·역사적 상황과 예술에서의 재현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기억에의 요청은 이러저러한 사회적·자연적 재난의 현장에서 여전히 공명한다. 정연두(1969-)와 백현주(1983-) 작가는 각각 동일본 해일과 세월호 사고를 작품 속에서 다루었다. 이러한 트라우마의 기억은 이들 작업의 기념비적 성격을 통하여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성찰로 나아가는 것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작가의 작업을 ‘비물질적 기념비’로 정의하고 비경험자의 트라우마와 성찰을 고찰한 도미닉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논의를 통해 이 과정을 살펴보았다. Pierre Nora notes in Realms of Memory that “we speak so much of memory because there is so little of it left.” Such a request for memory is also raised in Korean society, apropo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debates of Japanese sex slaves in Korea. For this reason, memory is an issue not at an individual level but at a social one. I want to demostrate a few art works of Korea contemporary art related collective memory and trauma of community. It begins with a discussion raised by Maurice Halbwachs, a progenitor of researching collective memory. He argues that collective memory is essential to maintaining a community’s identity. Also, according to Eric Hobsbaum, since modern times, forging identity from above has had instrumental use as ‘Invention of tradition.’ The artists to be reviewed in the first half of this thesis in regards to this discussion by Hobsbaum are Choi Jeonghwa(1961-) and Ham Kyungah(1966-). These artists seem to have insight into making memory from above and intend to overturn it.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starts from a consideration of ‘monuments’ as a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Monuments has taken on a different form du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early 20thcentury and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in art. However, our request for memory echoes at the scenes of diverse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Jung Yoendoo(1969-) and Heaven Baek(1983-) re-spectively dealt with the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and the Sewol ferry disaster. I want to review the monumental trait of their works as a overcoming the social trauma related such disasters. This process will be reviewed through discussionson ‘historical trauma’ and ‘working through’ by Dminick LaCapra who provides a broad-ranging inquiry into the problem of trauma.

      • KCI등재

        근대 초 영국의 여성 몸 담론 - 월경을 중심으로 -

        배혜정 ( Bae Hyejeong ) 영국사학회 2017 영국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초 영국 여성의 몸에 대한 태도, 특히 월경에 대한 주요 담론들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범한 생리 현상이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탐구한다. 근대 초 영국에서 월경에 대한 종교와 민간전승, 의학 담론은 각 분야의 특성에 맞게 월경을 정의하면서 대체로 부정적인 태도를 공유했다. 이는 담론 생산자들이 거의 전부 남성인 탓일 수도, 아직은 여성 생리학에 대한 이해가 ‘덜’ 과학적인 탓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여성 몸을 상징하는 월경이, 다름 아닌 여성의 지위를 고스란히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종교와 민간전승, 의학 담론은 월경(혈)을 각각 저주, 마법적 힘, 몸의 찌꺼기로 규정하고 이런 해석을 통해 여성을 둘러싼 기존 통념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근대 초 여성은 이런 주류 담론에 짓눌리면서도 서로 월경 경험을 공유하며 여성만의 시각을 일정정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월경이 질병이 아니라 자연스런 생리 과정임을 인식했고, 월경을 임신 가능성으로 여겨 긍정적으로 수용하기도 했다. 결국, 근대 초 월경에 대한 여러 태도는 월경에 대한 인식 변화가 여성 생리학의 진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시사해준다. 곧 여성의 지위 그 자체의 변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iscourses on the female body, focusing on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I traced how the ordinary physiological phenomenon was structured culturally and historically and how woman women in this period experienced menstruation. Religious views, medical explanations, and popular beliefs shared a generally negative attitude towards menstruation, though there were conflicting views also existed. They described menstruation as ‘a god’s curse’, ‘a magical power’, and ‘the impurities in the female body,’ respectively. This was because beliefs about the inferiority of women shaped ideas about menstruation, and beliefs about menstruation helped to reinforce the idea that women were inferior. After all, the fact that negative view of the menstruation, such as a taboo of silence, has not disappeared to this day demonstrates tha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with the status and awareness of women. However, while accepting men’s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women seem to have had their own views on menstruation to the extent that they share menstrual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in early modern England. They were aware that menstruation was not a disease but a natural physiological process, and they accepted menstruation positively as the high possibility of fertility. They also used the taboo for menstruation as an opportunity to have their own time and space, and reversely used the menstrual stimulant as needed. In conclusion, variou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suggest that changes in understanding of menstruation was not solely due to development of female physiology.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not only women’s own efforts but also changes in women’s status must be accompanied to this process.

      • KCI등재

        현대 미술의 비인간-되기와 정동 연구 : 홍이현숙의 근작을 중심으로

        배혜정(Bae Hye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 논문은 한국의 중견 작가 홍이현숙의 근작에서 보이는 비인간에 관한 주목을 정동 개념과 매체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1980년대 이래 활발하게 활동하며 타자와의 연대를 사유해 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고래에서 고양이, 바위에 이르는 비인간을 사유하고 청각, 촉각과 같은 다중의 감각으로 번역해낸다. 이러한 비인간과의 관계 맺기의 경험은 심해의 고래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기능성 녹음기, 고사양의 스피커의 힘을 빌리는 것이자 실시간 CCTV와 같은 통신 도구를 매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의 매개가 비인간-되기의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측면은 레비 브라이언트의 기계지향존재론을 경유하였다. 또한 작품이 제공하는 경험이 정동의 수준에서 우리의 신체에 체현된다는 점에서 브라이언 마수미를 중심으로 그 경험의 성격을 정동 개념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홍이현숙의 작품에서의 경험이 우리의 삶의 선택에 있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힘이 되리라는 점에서 마수미와 제인 베넷의 정동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통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esent works of Korean artist Hong Lee Hyunsook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and media theory. Since her first exhibition in 1988, the artist has used a variety of media, such as installation, moving image and performance to discuss the free and independent subject that resists patriarchal Korean society and perspectives. In resent works, sh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nonhuman by using sense of acoustic and tactile. Moreover, in Ejght Lightvessels and Each One’s Own Ieodo, media allow audiences to relate with nonhuman. I explore this aspect through Levi Bryant’s Machine-oriented Ontology. Also,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s add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focusing on Brian Masumi, in that the experience provided by works is embodied in our body at the level of affect. At last I analyse the affective experience in Hong Lee Hyunsook’s resent works through Massumi and Jane Bennett’s perspectives related political aspect of affect.

      • KCI등재

        코르셋을 입은 ‘집안의 천사’: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과 여성담론

        배혜정 ( Bae¸ Hye-jeong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을 통해 당대 여성(성)을 상징하는 ‘집안의 천사’와 코르셋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다. 이 논쟁은 건강과 미학, 도덕과 섹슈얼리티, 전통과 개혁 등 여러 상반된 주장들이 얽히고설켜, 19세기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복잡한 양상 및 지형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는 크게 볼 때 코르셋이 ‘여성 억압의 기제’라는 주장과 ‘해방의 의미’를 내포했다는 주장으로 대립되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양비론적 해석을 넘어 빅토리아 시기 주류의 여성 이데올로기 속에서 코르셋 논쟁을 재구성한다. 그 가운데 당대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구성에 기여한 코르셋의 상충적인 역할을 밝히는 동시에, 그것이 ‘집안의 천사’라는 여성(성) 신화로 수렴되는 지점을 밝힌다. 수많은 공격에도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의 승자는 ‘코르셋’이었다. 코르셋의 승리는 한편으로는 미학적·도덕적·성적 측면에서 여성성과 여성 섹슈얼리티를 다채롭게 (재)구성하는 코르셋의 능력 때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코르셋 비판의 논리가 왜곡되거나 허약했던 탓도 있다. 특히 코르셋의 폐기가 곧 여성해방의 길이라고 보았던 페미니스트 의복개혁론을 제외한다면, 건강론이든 도덕론이든 ‘반 코르셋 논의’의 상당수는 지배적인 여성 이데올로기 편에 서서, 도리어 주류의 여성성을 강화하는 코르셋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측면이 적지 않았다. 이에 지배적인 여성 섹슈얼리티 담론을 거스르는 코르셋의 전복성도 크게 약화되거나 주류 담론에 포섭되는 것 역시 불가피했다. 이렇게 빅토리아기 코르셋은 ‘집안의 천사’를 미덕에서뿐 아니라 ‘미모’에서까지 완성하는 힘을 발휘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rrelation of corsetry and “the angel in the house” in the Victorian “corset controversy.” This controversy covered a number of conflicting arguments, showing the complexity of discourses on Victorian female body and sexuality. Previous researches were largely divided into claims that corsetry was the “instrument of oppression of women” and that it implied the sexual liberation. This paper revaluated the corset controversy, revealing the ambivalent role of corset in constructing Victorian femininity and female sexuality. Despite numerous attacks against corset made by doctors and feminists, the winner of the controversy was corsetry. On the one hand, the triumph of corsetry may have been due to its ability to reconstruct femininity and sexuality in aesthetic, moral and sexual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s of corset criticism were distorted or weak. In particular, excluding arguments of feminist dress reformers, many of the anti-corset arguments, whether health or moral, stood on the side of the dominant gender ideology, supporting the role of corset in strengthening an appropriate Victorian femininity. It was also inevitable that the subversive character of corsets against the dominant female sexuality discourse would be greatly weakened. In short, the Victorian corset displayed its ability to complete the beauty as well as the virtue of “the angel in the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