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 · 후기 의병전쟁 시기 나주 지역 향리층의 동향

        배항섭(Bae Hang-seob)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3

        1905년 을사늑약과 1907년 군대해산 등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의병이 재기하면서 나주 향리층은 위기를 맞게 된다. 의병이 발발할 무렵 나주 향리층 가운데는 主事나 郡守 등으로 친일정부의 관직에 진출해 있던 인물이 적지 않았고, 그러한 관직은 의병들의 주요한 공격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의병활동에 대한 향리층의 대응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의병에 투신한 부류이며, 소수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여전히 일제의 침략정책에 따른 사회질서의 변화에 편승하여 적극적으로 관직에 진출하거나. 사회 · 경제적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가운데는 아들은 의병장으로 활동하고 아버지는 의병의 공격 대상이던 신식학교의 學務委員으로 활동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의병에 가담하지 않은 향리층은 의병과 심각한 대립을 피했다. 이들은 일제가 의병진압을 위해 강제로 결성한 〈自衛團〉에 들어가 활동하기를 꺼렸다. 그 대신 나주의 향리층은 〈羅州郡民會〉 창설하였다. 의병과 극단적인 대립을 회피하고, 〈자위단〉 창설을 요구하는 일제 관헌의 압박도 어느 정도 무마시키려는 의도였다. 또한 나주 향리층과 의병 간에는 서신 교환 등 적지 않은 교류가 있었다. 나아가 이들은 향리출신 의병장에게 총기와 금전, 군량미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의병장들 역시 향리층에게 극단적인 공격을 가하기 않았고, 나주의 유력 인사가 다른 의병부대에 잡혀갔을 때는 주선하여 그를 석방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의병전쟁이라는 격동과 위기의 상황 속에서 의병과의 극단적 대립을 회피하여 그들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나고, 자위단 창설을 요구하는 일제 관헌의 압박도 모면함으로써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나려는 향리층의 노력이 표현된 것으로 여겨진다.

      • KCI우수등재

        朝露 수교(1884) 전후 조선인의 러시아관

        裵亢燮(Bae Hang-Seob) 역사학회 2007 역사학보 Vol.0 No.194

        From Daewongun's rulling period when Joseon and Russia started to get in touch with each other, a fear of Russia was spread out by missionaries and believers in Western Learning. A fear of Russia was also spread out by the book "stratagem of Joseon", However, while Daewongun and King Gojong were individually negotiating, they found out there was no danger that Russia would invade Joseon. As a result, a positive view of Russia, unlike a fear of Russia[Russophobial], was formed and a fear of Russia would have little effect on Joseon's foreign policy. Meanwhile, intellectuals who were supporting Western Civilization considerably responded to a fear of Russia shown in stratagem of Joseon. In spite of the attitude, they were eager to make a treaty of amity with Russia, since they thought that independence from Ching was the most urgent problem. After the treaty of amity between Joseon and Russia in 1884, the king tried to avoid Ching's intervention by concluding a secret treaty with Russia. However, there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world situation or Russia's policy toward East Asia. So that, not only was two rounds of secret treaties between Joseon and Russia failed, but also Joseon's independence was rather ruined, as Ching tightened more control over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를 바라보는 시각

        배항섭(Bae Hang-seob) 역사비평사 2012 역사비평 Vol.- No.101

        This writing will critically review ‘19th century crisis theory’ recently suggested by economic history academia. ‘19th century crisis theory’ finds out the main factors of its crisis from low standard of living and the crisis of survival due to decreasing of land productivity and population decrease. The crisis was enough to destroy itself without suffering aggression by foreign powers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thought about 19th century completely criticizes the beginning of the capitalism theory that argues late Joseon had the factors of aiming modern era and directly relates to modernizing colony theory that argues political/economical management and transplant of modern capitalism done by Japan made 19th century crisis overcome and real modern economy start. This writing will use recent studies to reveal that ‘19th century crisis theory’ is non-exist or exaggerated, and point out its foundation is strong belief, Euro-centrism/Moderno-centrism.

      • KCI등재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배항섭 ( Hang Seob Bae ) 수선사학회 2010 史林 Vol.0 No.36

        This study examines how the historical features of peasant wars changed dur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Tonghak Peasants War of 1894 to the 1920s-1930s. Peasant wars are currently perceived as having been a modern national movement that was anti-feudalistic and antiforeign encroachment in nature. This particular perception contrasts greatly from that of the past.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not only was Ch`oe Cheu, the leader of the Tonghak peasants, executed for the crime of hokse mumin chwado nanjong (惑世誣民 左道亂正, deluding the world and deceiving the people, disturbing society with an evil religion), but the government and ruling class at the time defined the peasant soldiers as little more than bandits and marauding hordes. The current historical perception of peasant wars was formed during the days of the patriotic enlightening movement and the early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More to the point, an image of peasant wars which was very similar with that which prevails today was established during the 1920s 1930s. In this regard, the image of peasant wars that would become a part of the mainstream up to the present was formulated in the 1930s. This perception was in large part motivated by the emergence of socialists engaged in a struggle with the Ch`ondogyo who argued that the organizers of peasant wars were in reality using religion as a cover for their social agenda. This notion of “religion as cover” had first been introduced by Friedrich Engels in his work, <The Peasant War in Germany (Der deutsche Bauernkrieg)>. During this process, the ruling class` perceptions of the Tonghak Peasant War and other peasant wars, which had been defined as the work of bandits and marauding hordes,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On the other hand, this can also be perceived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ft and right wing elites sought to gain total control of the autonomous world and perceptions of the public (minjung), and to drag their experiences and awareness into the historical frameworks that they had respectively created. Finally, this can also be regarded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identity of the public was suppressed and excluded.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무장기포>와 <무장포고문>에 대한 이해의 변천과정 고찰

        배항섭(Bae, Hang-seob)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9

        〈茂長起包〉와 〈茂長布告文〉에 대해서는 농민전쟁 당시 혹은 직후부터 그 사정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자료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이 본격적으로 발굴된 것은 해방 이후, 특히 동학농민전쟁 100주년에 즈음하여 자료에 대한 대대적인 자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부터였다. 식민지 시대에 들어 ‘근대적’ 방법에 의한 역사연구가 시작되면서 고부민란과 농민전쟁을 분리하여 이해하려는 연구가 나오기 시작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무장포고문>의 내용을 인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무장기포>나 <무장포고문>이 무장에서 일어난 일임을 확인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다보하시 기요시의 연구(1940) 이후 <무장포고문>의 발포장소와 시기가 무장인 것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시기가 3월 20일이 아니라, 4월 7일 황토현 전투에서 승리한 농민군이 정읍, 흥덕, 고창을 거쳐 4월 9일 무장을 재차 점령한 이후라는 주장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매우 오래 동안 받아들여졌다는 점이다. <무장기포>와 <무장포고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한우근의 선구적 연구를 거쳐 신용하에 의해 이루어졌다. 물론 현재에도 이와 다른 주장을 제기하는 연구자들이 없지 않으나, 활용하는 자료나 논지의 전개 면에서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Data informing the situation accurately for 〈the Mujang uprising〉 and 〈Mujang declaration〉 at time of Peasants’ War or immediately after that were not a little. But, what these data have been excavated was by the 1970s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lots of new data have been known as the extensive data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for these data on the occasion of the 100<SUP>th</SUP>anniversary of Donghak Peasants War. The research aiming to separated and understand the Gobu riot and Peasants War started to come out as the research of history by the modern method is commenced when it enters the colonial era, most or researchers started to quote the content of 〈Mujang declaration〉. But it needed a long time to identify that 〈the Mujang uprising〉 or 〈Mujang declaration〉 occurred in Mujang. Especiall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time is not March 20, even though the firing place and time of Mujang declaration started to be understood Mujang after the research of Dabohashi Giyoshi, it is the point that the assertion that is after Mujang is occupied again in April 9 as the Peasant army having won the Hwangtohyun battle in April 7 passing through Jeongeup, Heungduk and Kochang has been accepted by lots of researchers for a long time. The accurate understanding for 〈the Mujang uprising〉 and 〈Mujang declaration〉 has been realized passing through the pioneering research of Woo Keun HAN. Of course, even though it isn’t that there are no researchers raising the different assertion at present, it doesn’t seem to have the persuasive power in the aspect of data to be utilized or deployment of point.

      • KCI등재후보

        쟁점 :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 역사인식의 천망(天網)인가 -송호근, 『시민의 탄생』(민음사, 2013)에 부쳐-

        배항섭 ( Hang Seob Bae ) 한림과학원 2014 개념과 소통 Vol.0 No.14

        이 글은 사회학자인 송호근의 저작, 『시민의 탄생』에 대한 비평논문이다. 이책은 『인민의 탄생』의 후속작으로 이 책에서 다루는 시기 역시 『인민의 탄생』에 이은 시기인 말안장시대(1860~1894)와 근대이행기(1894~1910)이다. 저자는 현재 한국사회의 기원을 밝힘과 동시에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회과학분야는 물론 역사, 문학, 철학 분야를 망라하여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와 연구 성과들을 참조하여 개인과 시민이 탄생하기까지의 장대한 역사의 파노라마를 펼쳐 보이고 있다. 역사학을 공부하는 평자의 입장에서 볼 때, 그동안역사학 분야에서 제대로 접근되지 않았던 거시적 관점과 새로운 방법론을 구사하고 있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이 가진 문제의식을 충분히 드러내는 데 실패하고 있다. 저자는 그동안 서양산 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사회과학이 한국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고 주장하였다. 무엇보다 저자는 한국에서 시민이 탄생하는 과정을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비롯하여 막스 베버의 성속의 전환 등 서구적 경험에 입각한 개념이나 분석틀을 이용하여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끊임없이 하버마스나 베버가 정형화해 놓은 서구의 경험과 대비시키면서 조선의 공론장, 그리고 개인이나 시민의 탄생을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유교국가이던 조선사회의 공론이나 ‘공론장’이 형성되고 진전되어 가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This paper is a critical essay about The Birth of the Citizen, by the sociologist Ho Keun Song, a sequel to The Birth of the People. The time covered by this book encompasses early modern reforms and the reign of King Gojong, ending with the Japanese occupation (1860-1910). The author is seeking to show how Korean society has advanced, and to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present-day Korean society. He reveals a panorama of dynastic history leading up to the birth of the individual and the citizen, referring to a huge range of research from the fields of history, literature,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The sheer breadth of this comprehensive overview, together with Song’s innovative methodology, previously unknown in the field of historical science, are the biggest virtues of the book. Unfortunately however, the author’s analysis is ultimately unsatisfactory. Song insists that theoretical frameworks of social science for Korea cannot be based on Western ideas, since these fail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manifest in Korean society. But in characterizing the process by which the citizen was born in Korea, he uses concepts and analysis tools which are intrinsically Western;these include Max Weber’s notions of sanctity and secularity, and Jurgen Haberma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Thus, Song persistently seeks to explain the public sphere of Joseon through the Western experience of Habermas or Weber, applying a standardized methodology to the birth of the individual and the citizen. All things considered, Song’s methods tend to obscure rather than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public opinion was formed in the Confucian society of Joseon.

      • KCI등재

        아관파천 시기(1896~1898) 조선인의 러시아 인식

        배항섭(Bae Hang-seob)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아관파천 시기 조선인의 러시아인식은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조선 정부의 차관지원과 군사교관 요청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러시아 공관으로부터 환궁한 직후 일본이 러일 간의 협정문을 공개하면서 국왕과 관료들의 러시아인식은 악화되어 갔다. 그 협정문은 조선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이 우호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왕이 러시아 공관에 머무르던 동안 러시아에 대해 조선의 독립을 지켜주는 나라로 묘사하던 『독립신문』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독립신문』의 논조 변화는 영국 정보국과 뉴스공급 협정을 맺은 3월 초 이후 영국, 그리고 일본을 통해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 정보들이 속속 입수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1897년 4월 외무대신 로바노프의 후임으로 무라비에프가 취임하면서 러시아의 조선정책도 적극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1897년 9월 슈페이에르가 부임한 후 조선에 대한 간섭이 더욱 강화되면서 러시아에 대한 조야의 반감과 비판이 고조되어 갔다. 또 일본과 영국으로부터 러시아에 관한 과장된 정보가 흘러 들어왔다. 『독립신문』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그대로 전재하였다. 여기에는 러시아의 침략행위가 과장되어 있는 반면, 일본의 조선 침략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고, 영국은 조선독립을 지켜주는 나라로 이해되었다. 이관파천시기의 논조와 비교할 때 러시아와 영국 · 일본에 대한 인식이 극적으로 반전된 것이다. 이후 러시이의 강압적 정책과 『독립신문』에 대한 탄압, 이권침탈이 이어지자 독립협회에서는 1898년 3월 종로에서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반러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국 러시아 군사교관과 재정고문은 해임되어 철수하였고, 한러은행도 폐쇄되었다. 러시아가 이외 같이 전격적으로 조선에 대한 지위를 축소시킨 것은 무엇보다 동아시아 정책의 핵심 목표를 만주로 돌리면서 조선문제로 인한 영국 및 일본과의 갈등을 피했기 때문이다. 러시아에 대해 우호적 내지 중립적 보도 태도를 취하던 『독립신문』의 러시아 인식까지 급격히 반전한 원인으로는 우선 러시아의 조선정책이 강압적으로 변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독립신문』의 러시아에 대한 인식이 영국발 혹은 일본발 정보원에 근거한 경향이 컸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의 하나였다. 이는 이 시기 『독립신분』의 정세인식이나 대외인식이 영국과 일본에 편향된 정보망에 갇혀있었음을 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