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콘스탄티노폴리스 창건의 지정학적 실익

        배은숙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3 No.-

        사두정치체제를 종결짓고 단독 황제가 된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로마시에 버금가는 도시,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를 건설하고자 했다. 이때 발칸반도 북부의 도시들, 소아시아의 도시들이 후보지로 고려되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비잔티움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칭, 새 수도로 삼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내부적 장점은 도시의 방어에 용이하다는 점이다. 흑해, 보스포러스 해협, 마르마라 해로 이어지는 바다의 유속은 상당히 빨라 적의 접근이 쉽지 않았다. 또 금각만 입구에 쇠사슬이 있어서 허락 없이 들어올 수 없었고, 바다를 면한 삼면에 성벽과 망루가 있어서 성 안으로 들어오기 어려웠다. 서쪽 육로로 들어올 수 있는 곳에는 성벽을 높고 두껍게 축성, 망루와 투척기를 배치하여 방어하였다. 따라서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물과 농지 부족이라는 단점보다 높은 방어력이라는 장점이 더 컸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외부적 장점은 서부의 게르만족과 동부의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항하기 용이하다는 점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군인 가도의 동쪽 종착지이자 폰티쿠스 가도의 출발지였다. 군인 가도에는 다뉴브 강을 따라 전략적인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들이 위치해 있어서 사르마티아족과 고트족에 대응하기 용이했다. 또한 폰티쿠스 가도를 활용하면 다뉴브 강의 하류 지역으로 이어져 고트족의 거주지로 빨리 이동할 수 있었다.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항할 때 해로를 이용하면 다뉴브 강 지역의 군대가 금각만, 헬레스폰트 해협, 에게해를 통해 신속하게 동방으로 갈 수 있었다. 육로를 이용할 경우 당시 로마가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 사산조 페르시아가 조직적 대형 전술을 전개하여 약탈적 게르만족보다 대응할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전술적 차이를 볼 때 보스포러스 해협 서쪽에 있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유익한 군사지리적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도로 설정한 것은 도시 자체의 방어력과 서쪽의 게르만족, 동쪽의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한 대응력이 높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Emperor Constantine, who ended the Tetrarchia and became a sovereign emperor, wanted to build a city equal to Roman city, a city named after him. At this time, the Balkan region, the cities in the north, and the cities in the Anatolian Peninsula were considered candidates. However, finally Byzantium was renamed Constantinopolis and became the new capital. The internal advantage of Constantinopolis is that it is easy to defend the city. The Black Sea, the Bosphorus, and the Sea of Marmara all flowed rapidly and the enemy's approach was not easy. Also, there was a chain at the entrance of Golden Horn and it could not come in without permission. On the three sides facing the sea, there were walls and a watchtower, making it difficult to enter the castle. In the place where it can enter the western land route, it was defended by building a high wall and towers, and installing catapults and ballistae. The external advantage of Constantinopolis is that it is easy to defeat the western Germans and eastern Sassanian Persia. Constantinopolis was the eastern end of Via Militaris, the starting point of Via Pontica. On Via Militaris there were cities that could be used as strategic hubs along the Danube, making it easy to deal with the Sartmatians and the Goths. In addition, Via Pontica led to the downstream area of the Danube and was able to move quickly to the settlement of the Goths. As far as the sea is concerned, the army stationed in the Danube region was able to quickly go eastward through Golden Horn, Hellespont Strait and the Aegean Sea to fight against Sassanian Persia. As far as land is concerned, considering the military situation that Rome had a military advantage over the Sassanian Persia, and the tactical difference that unlike the Germanic tactics that use predatory tactics, Sassanian Persia could have time to respond to Rome by deploying organized tactics, Constantinopolis, west of the Bosphorus, is in a favorable military geographical position. Therefore, Emperor Constantine considered Constantinopolis as the capital city, taking into account the city's own defenses, and the ability to deal with the Germans of the west and the Sassanian Persia.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배은숙,강혜승,이하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204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enrolled at private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to September 10,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in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mediated with sleep quality about SNS addiction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intervention for academic stress an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enhancing sleep quality should be provided for adolescents in order to prevent SNS addiction.

      • KCI등재

        공성전을 통해 본 고대 동서양의 공학기술 활용성 - 로마, 사산조 페르시아, 위진남북조를 중심으로 -

        배은숙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how the civil construction capabilities and the utilization of machines were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focusing on actual battle cases. In this period Roman and Sassanian Persian armies alike achieved the same degree of sophistication as the armies of Caesar or Vespasianus, and brought no particular decline in Roman siege competence at deploying artillery and battering down walls with rams. Since the Persians imitated the Romans' ability to construct castles and the ability to construct tunnels, the Romans were able to utilize the technology to cope with it. The combination of familiarity and equality meant that the sieges between Rome and Persia were finely calibrated. In contrast with the Romans and the persians, it can be inferred tha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tactics such as con/circumvalation and agger were attempted when the offensive army was numerically and strategically superior in Wei and J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the actual battle, the catapult was used as a form of Han, and they also relied on water siege as well as siege machines. Compared to Wei and Jin, Rome and Persia were active i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chinery utilization. The former was evidenced by the castles built with soil, and sieges were seen as the lowest tactic.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ere the castles piled up with stones, imitated siege technology, and plundered the siege machine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engineering technology in siege warfare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actics of friendly and enemy forces,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available to build a castle. 성곽을 조성하거나 적의 성곽을 포위하거나 공격하기 위한 공성로, 포위망, 땅굴을 만들 때 필요한 것이 토목건설 공사이다. 또 적의 성곽을 직접 공격할 때는 공성탑, 파성퇴, 노포, 투석기 등을 장착하는 기계공학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본고는 실제 전투 사례들을 중심으로 로마, 사산조 페르시아, 위진남북조의 토목건설 능력과 기계의 활용성이 어떠하였는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제정 후기에도 포위망이나 공성로, 땅굴과 같은 토목건설 공사를 지속적으로 한 사례들이 많았다. 파성퇴, 노포와 투석기, 공성탑과 같은 공성장비들은 3-4세기의 공성전에서도 여전히 사용되었다. 공성전이 발달했다고 하는 기원전 1-기원후 1세기의 전투 사례와 비교해도 3-4세기 공학기술의 활용성은 떨어지지 않았다. 다만 동부지역에서 로마군과 페르시아군은 공성장비들을 서로 약탈, 모방하는 형태로 공성전을 치루고 있었다. 따라서 동부에서 페르시아와의 전투 양상을 볼 때 로마군은 토목건설 공사나 공성기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였고, 또 그렇게 해야 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토목건설 능력과 기계 활용성을 갖추고 있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강조하였던 위진남북조에 비해 로마와 사산조 페르시아는 토목건설 공사와 기계 활용에 적극적이었다. 전자는 토성이고 공성전을 최하위의 전술로 보았고, 후자는 석성이고 적과 상호 모방하면서 공성전을 치렀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공성전에서의 공학기술 활용성은 아군과 적군의 전술, 성곽의 특징과 재질, 병법서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 KCI등재

        제정기 로마군 공성전에 관한 실증 연구

        배은숙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7 No.-

        This study analyzes a total of 124 siege wars to infer the possibility of the decline of the siege warfare. When analyzing a total of 65 siege battles in the late republican period, 21 battles(32.3%) were just siege battles. When the 14 battles(21.5%) that attacked after establishing the siege network and the 25 battles(38.5%) that immediately started attacking were combined, the number of offensive battles was 39 battles(60%). Of the 59 siege battles between the 1st and 4th centuries, 7 battles(11.9%) were only siege battles, and 45 battles(76.3%) were the battles that either attacked after establishing a siege network or immediately entered into an attack. The fact that offensive battles took up 60% of the late republican period and 76.3% of the imperial period indicates that the t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ege of Rome continued to be directed toward offensive warfare. Although the decline of the siege war can be argued as the siege war has been reduced from 32.3% in the late republican period to 11.9% in the imperial period, it is different when the battlefield is divided into the western part, where Gauls and Germanic enemies are enemies, and the east part, where Parthia and Sassanid Persia are enemies. Of the total 33 siege battles conducted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late republican period, there were 16 (48.9%) siege battles and 5 (45.5%) out of 11 battles during the imperial period, so there is no difference in proportion. In the western region, the siege cannot be said to have declined. On the other hand, Of the 32 siege battles conducted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late Republican Dynasty, siege battles were 5 battles(15.6%). Of the total 48 siege battles during the imperial period, siege battles took place 2 battles(4.2%). In view of this, siege warfare declined during the imperial period rather than the late republican period, and the eastern region tended to prefer offensive warfare. Therefore, although the siege battles of the late Republican period and the imperial period can be regarded as the same offensive battles,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 siege wars are in decline as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nemy. 본 연구는 공화정 후기에서 4세기까지 총 124번의 공성전을 분석하여 포위전의 쇠퇴 가능성을 추론한 것이다. 공화정 후기 총 65번의 공성전을 분석하면 포위전만 한 전투는 21번(32.3%)이었다. 포위망 구축 후 공격한 14번(21.5%) 전투와 곧바로 공격에 들어간 25번(38.5%) 전투를 합하면 공격적인 전투는 39번(60%)이었다. 1-4세기 총 59번의 공성전 중에서 포위전만 한 것은 7번(11.9%)이었고, 포위망을 구축한 후 공격하든 곧바로 공격에 들어가든 공격적인 전투를 한 것은 45번(76.3%)이었다. 공격전을 펼친 것이 공화정 후기에는 60%, 제정기에는 76.3%를 차지한다는 것은 로마 공성전의 전술적 특징이 지속해서 공격전을 지향했다는 것이다. 포위전이 공화정 후기 32.3%에서 제정기 11.9%로 줄어들어 포위전의 쇠퇴를 주장할 수 있지만, 전장을 갈리아족과 게르만족이 적인 서부와 유대, 파르티아, 사산조 페르시아가 적인 동부로 나누어보면 달라진다. 공화정 후기 서부 지역에서 행했던 총 33번의 공성전 중 포위전은 16번(48.9%)에서 제정기 총 11번의 전투 중 5번(45.5%)으로 비율적으로 차이가 없다. 서부 지역에서는 포위전이 쇠퇴했다고 볼 수 없다. 반면 동부 지역에서 행했던 공성전에서 공화정 후기 총 32번의 공성전 중 포위전은 5번(15.6%)에서 제정기 총 48번의 공성전 중 포위전은 2번(4.2%)으로 현격히 감소했다. 이를 볼 때 동부 지역은 공화정 후기보다 제정기에 포위전이 쇠퇴하고, 공격전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공성전을 할 줄 모르는 갈리아족과 게르만족, 로마군을 모방하여 공성 기술을 갖춘 유대와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한 대응 방식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화정 후기와 제정기의 공성전이 동일한 공격전이라고 볼 수 있지만, 적에 따른 지역적 편차가 있으므로 일괄적으로 포위전 쇠퇴라고 주장하기 어렵다.

      • KCI등재

        갈리아 전쟁기 로마군 병참술의 한계

        배은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logistics system is properly prepared in the actual battlefield, as Caesar emphasized the logistic system. Caesar relied on the supply of munitions from the Gauls, allied with Rome. However, Caesar was not well prepared for the betrayal of the allies. One way was to loot food or livestock from local residents. However, looting was a way to refrain from spreading of the hostile Gauls. Harvesting on the battle spot during the harvest season was also a method, but this also had the disadvantage of being highly likely to be attacked by enemies due to loose boundaries due to harvesting. Caesar's lack of munitions led to hasty and improvised operational changes to secure munitions, which led to operational failure. When munitions were transported to battlefields or other garrison sites, it was cheaper and took less time to transport by sea than by land. However, the battlefield of Caesar's army was inland away from the sea or river, so it was not easy to take advantage of the sea route. Mountains, forests, and swamps were used as logistical bases, which made it difficult to connect with the logistics lines behind them. In addition, munitions were kept in one place for the convenience of defense and distribu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unitions may be lost due to an enemy attack. Therefore, there were problems in Caesar's method of transporting and storing munitions and selecting a logistical base. Even if it is a victorious war, it cannot be said that all strategies, tactics, leadership, and military logistics are perfect. Caesar made great efforts to secure military supplies, but suffered from a constant shortage of military supplies. His situation was poor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Punic War, when there was a centralized military logistical system, or the Imperial period when the supply of munitions was constant with the standing army system and the permanent garrison syst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ate republican period had limitations in military logistics compared to the previous or later periods. 본 연구의 목적은 카이사르가 병참 체계를 강조한 것처럼 실제 전장에서 병참 체계가 제대로 갖추어졌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카이사르는 로마와 동맹관계에 있는 갈리아족의 군수물자 공급에 의존했다. 하지만 동맹군은 군수물자를 공급하기로 했다가 반로마로 돌아서서 군수물자를 주지 않을 수 있었다. 카이사르는 동맹군의 배신에 대한 대비책이 미흡했다. 현지 주민의 식량이나 가축 떼를 약탈하는 것도 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약탈은 적대적인 갈리아족을 확산하므로 자제해야 하는 방법이었다. 곡식 수확 시기에 현지에서 수확하는 것도 방법이었지만, 이 또한 수확으로 인해 경계가 느슨하여적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처럼 현지에서 확보하는 것은 다양한 변수가 있으므로 군수물자를 제때 확보하지 못할 때가 많았다. 군수물자 부족은 군수물자 확보를 위한 조급하면서도 즉흥적인 작전 변경을 유발했고, 이는 작전 실패로 이어졌다. 군수물자를 전장이나 다른 주둔지로 수송할 때 해로는 육로보다 수십 배 더 쌌고, 수송 시간도 4배 덜 걸렸다. 하지만 카이사르 군대의 전장이 바다나 강과 떨어진 내륙이어서 해로의 유익성을 활용하기 쉽지 않았다. 게다가 수백 대의 군수물자 행렬은 적의 표적이 되기 쉬웠다. 이동을 적게 하면서 병참선을 연결하는 것이 병참 기지였다. 전장이 내륙이나 산, 숲, 늪지대를 병참 기지로 활용했는데, 이는 강이나 바다를 활용한 배후의 병참선과 연결되기 어려웠다. 또 수비나 배급의 편이성을 위해 군수물자를 한곳에 보관했는데, 이는 적군의 공격으로 군수물자를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카이사르의 군수물자 수송이나 보관 방식, 병참 기지 선정 방식은 한계가 있었다. 승리한 전쟁이라고 하여 모든 전략과 전술, 지도력, 용병술, 병참술이 완벽했다고 볼 수 없다. 카이사르는 군수물자 확보를 위해 큰 노력을 기울였지만, 군수물자 부족 현상에 끊임없이 시달렸다. 그의 상황은 중앙집중식 병참 체계가 있었던 포에니 전쟁기나 상비군과 영구 주둔지 체제로 군수물자 수급이 일정했던 제정기에 비하면 열악했다. 따라서 공화정 후기는 이전이나 이후 시대와 비교하여 병참술에서는 한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아우구스투스의 피린키파투스 확립과 원로원의 성격변화

        배은숙 한국서양사학회 2001 西洋史論 Vol.68 No.1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이들 양자를 적대 관계, 또는 협력 관계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 견해들이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과 그 결과를 소홀히 다룸에 따라 프린키파투스의 확립과 세습이 가능했던 배경을 이해하는데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아우구스투스는 공화정과 원로원의 권위를 회복시킨 프린켑스로 보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프린켑스라는 공화정기의 칭호를 빌어 왔고, 원로원의 승인이라는 형식만 갖추었을 뿐, 실제로는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 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 세습시켰다. 이를 위해 그는 원로원을 장악해 나갔다.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그는 원로원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는 한편으로 원로원 의원의 명부수정이라는 합법적인 방법을 통해 일부 적대적인 의원들을 추방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기사들에게 원로원에 들어올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둘째,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 회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였다. 그는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을 의안으로 상정하여 자신의 견해를 먼저 밝히고 우호적인 의원들의 의견을 청원하는 방법으로 결론을 유도하였다. 그가 원로원으로부터 각종 권한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은 이러한 결론 유도 방식 때문이었다. 셋째, 아우구스투스는 의원들의 행정적 역할을 제한하였다. 로마시와 이탈리아 행정에서 의원들은 특정 부분의 역할만을 부여받았다. 속주에서도 공화정을 지향하는 의원들은 군단이 주둔하지 않는 공공 속주를 다스렸다. 다른 한편으로 아우구스투스는 기사들에게 각종 군사직과 행정직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을 대안세력으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정책은 기원전 19년 프린키파투스가 확립된 후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 및 원로원 자체의 성격에 점점 영향을 끼쳤다. 첫째, 명부 수정의 방식이 달라졌다. 아우구스투스는 더 이상 의원들을 제명하지 않고 가난한 의원들에게 돈을 빌려주면서까지 의원직을 유지하게 해 주었다. 이런 정책 변화는 아우구스투스와 원로원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바뀌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둘째, 의원들이 회의에서 아우구스투스의 견해에 따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두 명의 콘술들 사이에 있는 높은 연단에 앉아서 의원들의 성향이나 회의 분위기를 모두 파악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의원들이 아우구스투스의 의중만을 헤아리려고 하자, 오히려 아우구스투스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거나 참석해도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토론을 유도할 정도였다. 이 또한 양자간의 관계변화와 정책 변화를 의미한다. 셋째, 의원들이 아우구스투스에 대해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다. 많은 권한을 보유한 아우구스투스와 좋은 관계를 가지는 것이 승진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의원들은 점차 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의원들은 점점 출세 지향적,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성향은 일련의 연설가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치세 초기 원로원은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반발의 구심점이었다. 그러나 아우구스투스의 원로원 정책의 결과, 의원들은 제명이나 충원의 과정을 보면서 의원직 유지와 획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사람이 아우구스투스임을 차츰 알게 되었다. 또 그들은 아우구스투스의 권한과 부를 볼 때 각종 행정직과 경제적 안정을 얻게 해 줄 사람도 그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아우구스투스의 지배권 강화는 프린키파투스의 확립을 가능하게 하였고, 그 과정에서 취한 원로원 정책은 원로원의 성격을 의존적으로, 체제 순응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로써 양자의 관계는 적대 관계에서 우호 관계로 발전하여 치세 후기로 갈수록 아우구스투스의 지위에 대한 반발이 거의 없어지고, 프린켑스 지위의 세습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프린키파투스가 확립, 세습된 배경은 아우구스투스의 지배권 강화와 원로원의 순응적 성격에 있었다.

      • KCI등재

        로마제국의 동진 교역로들의 장단점

        배은숙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2 No.-

        Silk is an important commodity in the eastern trade of the Roman Empire. There are three types of trade routes that Chinese silk can come to Rome. The Parthia overland route starts from the Asia Minor and Syria, then through Zeugma to Samarkand and Bactria. The advantage of this overland route is that the transport distance is short, that it is known to the merchants, that transport time and distance can be predicted, and that the camel can reduce transportation costs compared to the carts used on Italian roads.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Rome and Parthia were mostly hostile, which was a serious obstacle to the use of the Parthia overland route. The Red Sea and Indian Ocean oversea route is the route from Alexandria, through the Red Sea to India. The advantage of this route is that it has become a direct deal with India because of the monsoon. It also means that transportation costs and transportation time are reduced. The disadvantage of this trade is that natural disasters, such as storms, and human trafficking of pirates can cause huge losses. The Caucasus overland route goes to the Amisus or Phasis of the Black Sea and along the Caspian coast to Samarkand. This route is shorter than the Parthia overland route, which has the advantage of less transportation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It is also advantageous that direct dealings with Chinese merchants are possible. It is a trade route that can replace the Parthian overland route and the oversea route, though it has the disadvantages of few kinds and quantities of goods. Silk trading was somewhat slowed as Parthia and the Han dynasty, which were the main trading countries of the silk, were destroyed in the 3rd century and the enemy relations between Rome and Sassanian Persia spread to the Caucasus as well as to the Middle East. Later, when the Western Roman Empire has been destroyed and the Byzantine Empire has flourished, trade with the East has been revitalized. 로마와 중국의 직거래를 방해하면서 실크 교역의 독점권을 행사하고 있는 국가가 파르티아라는 주장들이 많았다. 이 견해에 반대하면서 파르티아의 독점권이나 중개인의 지위를 부정하는 주장도 있다. 이들 견해에서 핵심 요소이자 공통 요소는 로마가 파르티아와 대립했다는 것, 그렇다면 파르티아 육로의 이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로마제국이 아라비아산, 인도산, 중국산 상품을 교역하는데 이용하는 교역로들의 장단점을 수송 문제와 관련지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사마르칸트로 이어지는 파르티아 육로는 상인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수송비용이나 수송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육로는 로마와 파르티아 사이의 적대관계로 인해 이용하기 어려웠다. 홍해와 인도양을 통해 인도로 가는 해로는 선박을 이용함으로써 수송비용이나 수송시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폭풍우로 인한 자연 재해와 해적으로 인한 인적 재해로 심각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많았다. 흑해와 카스피해 연안을 따라 사마르칸트로 가는 코카서스 육로는 거리가 짧아 수송비용이나 수송시간을 줄일 수 있고, 중국과 직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주변에 상공업이 발달한 지역이 적어 상품의 종류나 양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시간, 거리, 비용 면에서 파르티아 육로의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 3세기 실크의 주요 교역국이었던 파르티아와 한(漢) 왕조가 망하고, 로마와 사산조 페르시아의 적대관계가 중동 지역은 물론 코카서스 지방까지 확대되면서 실크 교역은 다소 주춤하였다. 이후 서로마제국이 멸망하고 비잔틴 제국이 번영하면서 동방과의 교역은 다시 활성화되었다.

      • KCI등재

        고대 동서양의 군 주둔지와 제철 지역의 병참선 연구 - 로마와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

        배은숙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important when the military sets up its garrison. The northern part of Roman Empire was bounded by the Rhine and Danube rivers, and on the east, it was the boundary of the Euphrates, which served as a military base. Goguryeo, Baekje and Silla all have castles in the Imjin and Yeesong rivers, and they have a common point of making them the bridgehead of the southern region, the base of the advance to the north, and the defense line. Thus, in ancient countries, rivers can be seen as the boundary of dominant territory and the standard of expansion and defense policy. The common point is that the harb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upply lines from the ancient East and West to the military bases. The sea is beneficial in terms of cost and time for transporting iron ore to an army station or a castle that serves as a bas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Rome and the Three Kingdoms emphasized the river considering the defense line and the supply line when setting up the army station. 철제 무구는 중요한 군수품이다. 철은 군사력의 핵심이기 때문에 철을 사용할 줄 아는 것은 문명을 발달시켜 제국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로마는 북쪽에는 라인 강과 다뉴브 강을 경계선으로, 동쪽에는 유프라테스 강을 경계선으로 군사적 거점 역할을 하는 주둔지를 건설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 역시 임진강과 예성강, 한강, 금호강과 낙동강 등 강을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성곽 배치도의 특징을 볼 때 고대 국가에서 강은 지배 영토의 경계선이자 팽창정책과 방어정책의 기준으로 볼 수 있다. 고대 동서양의 제철 지역에서 군 주둔지로의 병참선을 파악할 때 공통점은 해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제철 지역이 강과 하천을 끼고 있거나 그 인근에 있다는 것은 제철 지역과 철제 무구의 주요 생산지이자 소비지인 주둔지나 성곽까지의 병참선을 고려하였다는 것이다. 제철 지역, 강과 하천, 주둔지나 성곽으로 이어지는 병참선은 철제 무구의 수급과 관련하여 중요하였다. “군대의 성공은 군인들의 수와 용맹뿐만 아니라 철제 무구에도 달려있다.”는 베게티우스의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마, 고구려, 백제, 신라는 군사적 거점을 설정할 때 가능한 한 빠른 시간에, 가능한 한 많은 군수품, 특히 철제 무구를 보급하는 것이 전투의 승패에 영향을 준다는 기본 원칙을 이행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들 국가들이 그 원칙을 이행하는 수단, 즉 병참선의 핵심으로 삼은 것은 강과 하천이었다.

      • KCI등재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문제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배은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o history subject among various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s. The researcher grasp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research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invented and utiliz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two questionnaires. In the process of problem development,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problem that requires a complex thinking power as well as a topic to penetrate the history of Greece and Rome. The main theme was the war tha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reece and Rome. As regards Greece, learners should be aware of Herodotus, a criticism of Western supremacy, and the critical view of him and the prisoners of war. As regards Rome, scholars are interested in the purpose of the war.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should provide a concrete and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Second, learners seem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instructor if the problem was clear and simple. Third, after problem-based learning, learners’ level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nd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problem-based learning is lowered. An educational effect is high when intention of the instructor who is inherent in problem is conveyed properly. The instructor should not provide one-sided lectures and answers, but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increase their opportunities to actively seek knowledge.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중심의 학습법 중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역사 과목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문제 개발 과정에서 그리스와 로마의 팽창에 일조한 전쟁을 핵심 주제로 선정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난 후 활동 보고서, 학습 보고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보고서에서 학습자들은 익숙하지 않은 학습 방법에 대해 어색해 했다. 따라서 교수자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충분한 설명을 해 주어야 학습자들의 생소함은 줄어들고 교육적 효과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학습 보고서에서 문제가 명확하고 단선적일 경우는 교수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는 것 같았다. 반면 교수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복합적인 문제일 경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교수자의 의도와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해결 방법, 문제의 시간적, 공간적 상하한선, 보고서의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학기 초에 비해 학기 말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 습득량, 교육목표 달성 정도가 높은데 반해,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낮아졌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보다 실제 학습을 하면서 난이도나 학습량이 훨씬 높고 많다는 것을 체감한 결과로 해석된다.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본 결론은 현대적인 문제 이면에 시대적 사건이 내포된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역사적 사건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와 한계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 다양한 해결 방법이 있으나 역사적 사례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 등을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자는 일방적인 강의나 해답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원하는 지식을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기회를 늘려주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