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인(匠人)의 ‘일터’ 인식론과 교육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함의

        배영주(Bae, Young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일터에서 살아 움직이는 장인의 앎과 교육을 참조하여 학교 교육의 인식론적, 교육적 전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현대 인식론은 전통적 인식론과 달리, 이론과 실천, 이성과 감성, 마음과 몸, 그리고 앎과 행위가 인간의 삶 속에서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로 작동한다고 말한다. 또한 일상적 삶의 장소에서 수행되는 장인의 앎과 교육활동에서 보듯, 모든 종류의 앎은 암묵적 차원을 지니고 있어서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전달되기 어렵고, 공감적 예시와 장면 서사, 은유 등의 비표상적 언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성적 교수방법에 의해 가르쳐질 수 있음이 지적된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이원론적인 근대 철학의 인식론적 가정에 근거하여 앎은 언어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삶의 체험이나 실천은 이론적 지식 학습에 방해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어, 학습자의 일에 해당하는 학습활동의 실천성을 앗아가게 된다. 연구자는 학교의 인식론적 전제가 근거 잃은 시대착오적임을 지적하고, 일터에서 작동하는 실천의 인식론과 교육을 가능한 만큼 학교에 구현하는 일이 학교교육의 혁신을 도모하는 일일 뿐 아니라, 앎의 상품화, 교육의 도구화, 비인간화와 같은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epistemological and educational presuppositions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tant reference to master's knowing and teaching alive at his workplace. Present epistemological studies state that, contrary to the emphasis of classical epistemology, theory and practice, reason and emotion, mind and body and knowledge and knower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y are integrated as one in actual life situation. Furthermore, present studies emphasize that all kinds of human knowing have their tacit dimension and master’s knowing or abilities to be representative as tacit and ineffable knowing. Such master's tacit knowing can hardly be transferred to his apprentices by traditional linguistic interactions. It can be actively taught through some reflective teaching methods using non-representational languages such as empathetic indication, scene narrative and metaphors. However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several traditional dualistic epistemological presuppositions, and it presupposes that knowing can be expressed in linguistic form and life-experience or practice can be obstacles to learning theoretical knowledge. These epistemological presuppositions of school education are groundless and outdated; academics have to deal with the misdirected school education system.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very useful to think about some concrete ways to totally reform school education and overcome some side effects of school education such as commodification of knowledge, instrumentalization of education and dehumaniz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깊은 학습’(Learning-in-Depth) 실행 사례 분석:

        배영주(Bae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우리의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학습주도력 향상에 좀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캐나다 교육학자 K. Egan이 제안한 ‘깊은 학습’(LiD)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효과적인 촉진 전략을 마련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총 8명 의 초등학교 6학년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5월에서 7월, 실제 ‘깊은 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그 과정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비록 10주라는 제한된 기간내에 진행된 깊은 학습이었지만, 단 1명의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7명의 학생들이 활 동을 끝까지 수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습 주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학습 내용의 점진적 심화, 그리고 학습주도에 대한 자신감 형성 등을 보임으로써 성공 수행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깊은 학습 수행 과정에서 노정된 어려움과 한계점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몇 가지 촉진 방안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깊은 학습이 우리 학교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녔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후속 연구로 이어져 학교교육 혁신에 작은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new concept, Learning-in-Depth (LiD) which proposed by Canadian professor Kieren Egan and explores the feasibility of the concept to Korean students and schools. Egan insists that if you provide students with long-term self-directed learning opportunities(LiD), they will surely earn their deep knowledge and gain academic leadership or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But Egan does not produce empirical evidence on such claims. Will our teenagers be able to properly do learning-in-depth? What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do they have when they perform learning-in-depth? The researcher thought it could be possible to apply for LiD to our school, only if we found the answer the question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made an analysis of the LiD performance cases of eight 6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s that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discovered: First, the students showed sufficient success for LiD, although it was very short period of time. As time passed, they showed making deepen their learning performances. Second, without any teaching or assignments,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fo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y also showed gradual improvements in the solution such as using mind-map style , pretending to know each other . These findings enabled the researcher to verify that if the opportunities for LiD were offered to our teenagers, they would be able to successfully push ahead with that.

      • KCI등재

        ‘포용적’ 평생교육체제 구축의 의미와 방향

        배영주(Bae, Youngju)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최근 진행된 평생교육법 일부 개정을 계기로 주목받게 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단순한 비형식교육 기회의 확충이 아닌, ‘포용교육’의 이념을 수용한 ‘포용적 평생교육’ 체제 구축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평생교육이 통합과 포용을 구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전될 수 있도록 그 구체적인 방향을 탐색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하여 포용교육과 평생교육의 의미를 분석하는 가운데 이른바 ‘포용적 평생교육’ 체제 구축의 의미를 드러내고, 관련 법조항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교육 필요를 확인, 포용적 평생교육체제 구축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포용적 평생학습 인프라 구축, 기초교육의 재개념화, 분리 및 통합에 대한 학습자 선택권 존중과 포용적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그리고 포용적 학습결과 인정체제 구축을 포용적 평생교육 체제 구축의 방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자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가 단순한 장애인의 비형식교육 기회의 확충을 넘어선 이러한 방향의 ‘다문화적’ 체제구축으로 이어져야 함을 강조하였고 이를 위해 해소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Lifelong Education Act was recently revised. The revised law mainly focused on expanding lifelo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Howev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promote such education by establishing a new lifelong educational system, and not simply expand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Method: Based on a literature search, the meaning of ‘inclusion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establishing an ‘inclusive lifelong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relevant legal provisions, the educational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y were identified. Result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building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y via creation of lifelong learning infrastructure as well as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oward this end, four tasks were identified: identification of learning need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re-conceptualization of basic education, respect for learners" choice in education forms, and building a inclusive evaluation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y. Conclusion: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y sh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inclusive’, and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al systems beyond the mere expansion of non-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실천공동체(CoP)적 운영 방안 탐색

        배영주 ( Bae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최근 등장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기여하려는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연구자는 이 사업이 ‘마을교육’을 통해 공교육을 쇄신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마을공동체’를 강화한다는 두 가지 의도에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구조로 추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마을교육’ 수행에 치우쳐 ‘마을공동체’ 차원에서는 이렇다 할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계점이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마을공동체’ 개념과 구체적 청사진 부재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마을교육공동체의 가능한 한 가지 모델로서 ‘실천공동체’(CoP)가 여러 가지 유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한다. 실천공동체로서 마을교육공동체의 구축 및 운영 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개선 방향도 제시하였다. 비록 이 연구가 이론적 차원에서 수행되어 마을의 여러 특수한 상황들을 반영한 구체적 전략 제시에는 이르지 못하였지만, 마을공동체 강화라는 현대사회 난제 해소를 위한 본격적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successful promo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recent project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y proposing a useful concept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a 'village community', noting that the project has not shown any notable achievements in the formation or creation of a village community.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analyzed the communal situation of modern urbanized villages and reflecting the results, argued that the 'community of practice' could have many uses as a model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as a practice community,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creating and operat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ould be articulated and support measures from local governments presented. Althou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theoretical level and could not reflect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site in detail, it is meaningful in helping to confirm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project, which has not yet to be properly oriented, and to lead to a new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will lead to a number of field studies, which will complement the methods and strategies of village community building and operating.

      • 글로벌 시민사회 구축을 위한 교육의 평생교육적 설계

        배영주(Youngju Bae)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敎科敎育硏究 Vol.37 No.2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onstruct global citizenship society which has had some uncertain prospects yet, and focuses on education as a kind of the mechanism for it. While there are so many flows or influences in opposition to conflicting globalization and these bring controversial points, I ha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tress as the way of solving problems. In this context, I try to specifically investigate some roles of global citizenship and I can suggest three them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 blueprint for it, which contains formal,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system and children-youth and adults education system. Granting it to be imperfect and needed some continuous complement, I expect this study to be a new starting point for lifelong educational approach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all.

      • KCI등재

        학습자 자기평가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 내러티브 글쓰기(narrative writing)를 중심으로

        배영주(Youngju B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학습자 자기평가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쉬운 것은, 그와 관련된 연구와 실천의 대부분이 대학에서, 그것도 교수자의 철저한 지도와 관리 하에 시도되고 있는 것들이어서, 중등학교 수준의 교육 장면에서 교수자의 개입 없이도 수행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단서를 찾기 어렵다. 연구자는 학습자 자기평가가 대학 뿐 아니라 중등수준의 교육에서도 구현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그 가능성과 특징을 추출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평생교육적 관점에 터하여 4명의 기술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초․중졸의 학력을 가진 30-40대 성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글쓰기를 통한 자기평가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평가의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 평가의 수행양태를 확인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구명함으로써 촉진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학습자들이 상당한 수준의 자기평가를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의 수행 양태와 국면, 그리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등을 관리해야 하는 ‘평생학습 시대’에 어떻게 자기평가를 촉진할 수 있는가 하는 방안들도 지적하였다. Recently, several countries have paid their attention to learner/student self-evaluation. The learner self-evaluation became the one of the new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s which asked the learners to do the evaluation for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apply this new evaluation method to the college students and they could have reported the successful results of learner self-evaluation. Learner self-evaluation makes the learners act as persons holding a responsible position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this point, learner self-evaluation is not only a kind of new evaluation metho, but also a sort of the new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making learners be a active learners or self-directed learners. for this reason, I placed my expectation for making leaners be more active on their learning. But actually I couldn't be make sure that whether the learners especially on the secondary education could do the self-evaluation to a successful issue. I though doing the self-evaluation could give some good effects for their learning to all the people, so I believed every learner had to be able to do the self-evaluation. To ascertain its po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ten learners who are on the secondary education, 4 high school students and 6 adult learners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o the self-evaluation through the narrative writings. Consequently, I could find that the learners on secondary education were able to do their self-evaluation successfully, although every learner could not. I could als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ir self-evaluation and extract some suggestions for i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 self-evaluation could get to br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would have to deliberate on it.

      • KCI등재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배영주(Bae, Young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지식기반사회,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7인의 대학생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 과정을 추적하여 그 구체적 양태와 특징, 그리고 관련요소 등을 구명함으로써 학습주도 촉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취업 달성이라는 두 가지 배경적 요소가 동기로 작용하는 가운데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로운 탐구와 협력을 지향하는‘개방적 주도’와 효율성과 경쟁을 중시하는‘적응적 주도’, 그리고 의미맥락에 주목하는‘비판적 점검’을 나름대로 조절하며 학습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학년 상승과 함께‘개방적 주도’나‘비판적 점검’대신 오로지‘적응적 주도’로의 선택적 집중을 택하는 경향을 보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학생의 학습주도 양태에 학습자 개인적 요인보다는 대학과 취업난이라는 상황적 요인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점에서 학습을 중심에 두는 대학의 혁신적인 변화가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a knowledge-based society, it stands to reason that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emphasized as one of the new alternative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inciples. Since self-directed learning gives power to control learning to learners instead of teachers, it also c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aimed at gaining superiority whilst in a competition of knowledge. Based on this point, self-directed learning is also important to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university students direct and manage their learning and to propose how to activate or facilitat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or self-directedness. This study employed a general qualitative design incorporating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A sample of seven purposefully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reflected diversity in grade, academic speciality, gender, and learning experiences. Data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practic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forms of ‘liberal directedness’, ‘adaptive directedness’, and ‘critical monitoring’. In relation to this, they choose one or two forms of their personal judge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Low grade students exhibited the tendency to prefer the ‘liberal directedness’ compared to other systems, but upper grade students practiced only ‘adaptive directedness’. An atmosphere of freedom, educational customs in the university and the acute difficulty of getting a job have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innovative change of university educational customs was suggested as a plan for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자유학기를 활용한 중학생의 ‘깊은 학습’(LiD)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배영주(Bae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학습주도력 및 문제해결력 배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에서 연구자는 캐나다 교육학자 K. Egan이 제안한 ‘깊은 학습’(LiD) 개념에 주목한다. 한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주도하는 깊은 학습(LiD) 수행을 통해 학습주도력과 문제해결력 배양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이 연구는 이 개념을 적용한 중학교 자유학기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검증을 시도한다.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에 적용될수 있도록 총 10주, 20시간 분량으로, LiD 활동을 효율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몇 가 지 중요 요소로 구성되었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광주광역시 중학교 1학년 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효과분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단일표본 t-검증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주도와 문제해결력에 전반적 인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주도력의 5개 하위 영역 중 4개 영역에서, 8개 문제해결 영역 중 5개 영역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후 점수가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소수 학생만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 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LiD 개념을 적용한 국내 첫 프로그램개발과 효과검증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보며, 향후 본격적인 연구 수행을 통해 우리 학교에서도 학생주도의 탐구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공간 으로 쇄신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have been emphasized more than 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Learning-in-depth’(LiD) proposed by K. Egan, a well-known Canadian educator, which is expected to be a useful way to improve students’ 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free semester of middle school applying this concept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developed LiD program consists of several important elements that could efficiently facilitate LiD activities, in a total of 10 weeks, 20 hours. The program was applied to 46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single-sample t-testing was carried out through pre-post inspection for eff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an ascertain the overall improvemen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D program.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t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f LiD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More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t a wider and higher level. Through this, the researcher hope our school will be transformed into a dynamic space where student-led explorations take place actively.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새 구상

        배영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1

        해외 이주민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과 공존을 도모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로 우리 사회에도 다문 화교육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다문화교육이 ‘문화적 다원성’ 구현이라는 궁극적 목적달성에 과연 얼마나 충실하게 역할 하였는가 하는 데에는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이 산업사회의 전통적 교육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되고 기획될 때 비로소 그 궁극적 목적인 '문화적 다원성' 구현에 유리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교육을 보는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평생교육은 그동안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이 망각하고 있었던 교육의 전생 애적․전사회적 확장과 통합, 그리고 배우는 사람과 배우는 일을 가르치는 사람과 가르치는 일에 앞서 강조함으로써, 기존 다문화교육의 대상 및 영역을 삶의 영역 전반으로 확장하고 학습자를 문화 체험의 주체로 역할토록 하여, 다른 문화를 외부에서 지시되거나 강요되는 대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과 반성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고 점검하는 방식으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일을 가능케 한다. 연구자는 향후 본격화될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들이 전통적 교육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이른바 ‘다문화평생교육’의 형태로 새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Sudden increase in emigration population gave us new problem of coexistence with other peoples or cultural groups who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or customs. It triggered off the showing u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society. But I'm not sure how faithfully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served till now for realizing its ultimate object, cultural pluralism. In this article, I maintain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cultural pluralism could be possible only when we removed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aradigm and adopted a new educational paradigm, ‘lifelong education' onto it. As a new kind of educational standpoint, lifelong education stresses the life-long and life-wide extension and integration of all the education and put learning and learner to the center of education in place of teaching and teacher. In case of taking this lifelong education as a new paradigm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 think, it could be possible to extend the subject and domain of it to all and let the learner be a person in charge of the new cultural experiences. In this point, I propos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hifted to the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pl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