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구관계의 질이 사회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의 조절효과

        배민영 ( Min Young Bae ),신현숙 ( Hyeon Sook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친구관계의 질이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487명에게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부적 관계가 유의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불안이 낮았다. 둘째,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긍정적 친구관계와 주관적 안녕감 간 정적 관계가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노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강력하였다. 즉, 자기노출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긍정적 친구관계의 질이 높을 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노출이 친구관계의 질과 사회불안 간 관계 그리고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조절함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거나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의 친구관계가 긍정적일지라도 사회불안을 낮추고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려면 적절한 자기노출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and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87 5th- and 6th-grader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low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hip quality on subjective well-being was stronger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an in the low self-disclosure group. That is, in the high self-disclosure group, the higher the friendship q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 of friendship quality to social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be moderated by self-disclosu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who are socially anxious or low i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crease self-disclosure of those who, despite positive friendship, suffer from heightened social anxiety and reduce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 변화 양상 및 예측요인

        배민영 ( Bae Min-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또래애착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 변화 양상에 대한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가정 요인(부모학대, 부모 방임) 및 환경 요인(교사와의 관계)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2차, 4차, 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또래애착은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애착에 대한 영향요인을 조사한 결과,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에 영향을 미친 예측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이었다. 다음으로, 초기값에만 영향을 미친 예측요인은 부모 학대, 부모 방임 및 교사와의 관계로 확인되었으며 통제변인인 성별 역시 또래애착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또래애착의 변화율에만 영향을 미친 예측요인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arly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the effects of the predictors(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parent abuse, parent neglect, and teacher relationship) on the trajectories, using data from 5th grade elementary through 1st grade middle to 3rd grade middle school years(the 2nd, 4th, and 6th wave of longitudinal panel data). The data, collected by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and was analyzed by means of latent growth curv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inear increase in early adolescents` peer attachment from 5th elementary school years to 3rd middle school years and significantl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rajectories. Second, th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influenced both the intercept and the slope of the trajectories. In addition, the parent abuse, parent neglect, teacher relationship, and gender influenced the intercept of the trajectori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Topic Signature를 이용한 댓글 분류 시스템

        배민영(Min-Young Bae),차정원(Jeong-Won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12

        본 논문에서는 토픽 시그너처(Topic Signature)를 이용하여 댓글을 분류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토픽 시그너처는 자질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문서요약이나 문서분류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댓글은 문장의 길이가 짧고 띄어쓰기가 거의 없으며 특수문자들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댓글을 7개의 음절로 나누고 이를 다시 Tri-gram으로 나누어 분류의 기본단위로 본다. 이 Tri-gram을 토픽 시그너처를 이용한 학습 단위로 사용하고, 학습한 자질을 베이지안(Bayesian) 모델을 사용하여 분류한다. 다양한 방법의 모델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구현한 시스템의 성능이 기존의 방법보다 상승되었음을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In this work, we describe comments classification system using topic signature. Topic signature is widely used for selecting feature in document classification and summarization. Comments are short and have so many word spacing errors, special characters. We firstly convert comments into 7-gram. We consider the 7-gram as sentence. We convert the 7-gram into 3-gram. We consider the 3-gram as word. We select key feature using topic signature and classify new inputs by the Naive Bayesian method.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s, we can se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outstanding over the previous method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의 중다매개효과

        배민영 ( Bae Min Young ),신현숙 ( Shin Hyeon 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이 중다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G광역시와 J도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90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이 사회적 기술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여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경합모형(완전매개모형)에 비해 더욱 양호하고,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이매개변인으로 추가될지라도 사회적 기술과 주관적 안녕감의 정적 관계가 여전히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적 기술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친구관계 질의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적 기술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의직렬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이 자기노출의 수준을 높이고, 자기노출이 친구관계 질을 향상시키며, 친구관계 질이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기술, 자기노출, 친구관계 질,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안에서 자기노출과 친구관계 질의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기술이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이면기제를 밝혔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sclosure and friendship quality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subjective well-being. Three hundred ninety 5th- and 6th-grader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procedur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addition,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kills on subjective well-being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self disclosure and friendship quality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mediator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disclosure was not significant but that of friendship quality was significant. Thir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friendship quality was found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skills increase self-disclosure, which in turn improves friendship quality, which eventually enhances subjective well-being. Such findings prove an integrative framework describing the role of self-disclosure and friendship quality as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social skills influenc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지지 벡터 기계와 토픽 시그너처를 이용한 댓글 분류 시스템 : 언어에 독립적인 댓글 분류 시스템

        배민영(Minyoung Bae),은지현(Jihyun En),장두성(Dusung Jang),차정원(Jeong-Won Cha)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댓글은 일반적인 글에 비해 작성가능한 문장의 길이가 짧고, 띄어쓰기나 마침표를 잘 쓰지 않는 등 비정형화된 형식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댓글의 악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장을 n-gram으로 나누고 문서요약이나 문서분류에서 자질 선택에 많이 사용되는 토픽 시그너처(Topic Signature)를 이용하여 자질을 추출한다. 또한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s)을 사용하여 댓글의 악성 여부를 판별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과 영어 댓글에 대한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실험을 통하여 복잡한 전처리과정을 요구하는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ments are short and not use spacing words or comma more than general document. We convert the 7-gram into 3-gram and select key features using topic signature. Topic signature is widely used for selecting features in document classification and summarization. We use the SVM(Support Vector Machines) as a classifier.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s, we can se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outstanding over the previous methods. The proposed system can also apply to other languages.

      • KCI등재
      • KCI등재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비유창성 특성

        배민영(Bae, Minyoung),심현섭(Sim, Hyunsub),박희영(Park, Hee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언어적 복잡성이 다양한 발화과제를 이용하여 경도 지적장애(MID) 청소년의 비유창성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5명의 MID 청소년(만12-14세)과 생활연령 및 교육년수를 일치시킨 일반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읽기, 이야기 다시 말하기, 그림 설명하기의 세 가지 과제에서 집단 간 또는 과제 간 총비유창성(TD)과 정상적인 비유창성(OD), 비정상적인 비유창성(SLD)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MID 청소년들은 세 가지 과제에서 TD와 SLD의 빈도가 일반 청소년들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OD의 빈도는 읽기를 제외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일반 청소년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과제 간 비교에서 MID 청소년은 읽기보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TD와 OD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SLD 빈도는 과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OD와 SLD의 하위유형 중 주저, 다음절단어/구반복, 부분낱말반복, 연장, 깨진 낱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MID 청소년들이 읽기를 포함한 발화과제에서 일반 청소년들 보다 비유창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MID 청소년의 구어적 비유창성은 낮은 인지수준에서 언어를 계획하고 형식화하여 산출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MID 청소년들의 비유창성 개선을 위해 언어적 중재를 바탕으로 구어산출의 유창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 중재의 고찰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peech disfluency in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MID). Method: Fifteen MID students and thirteen contr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aged 12 to 14 years. They were matched for age and years of education.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ading,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Speech disfluency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as other disfluencies (OD) or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Results: MID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total disfluenices (TD) and SLD across the three speech production tasks with more OD on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than the control group. The frequencies of TD and OD in MI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compared to reading performance, although the frequency of SLD did not differ across tasks. In OD and SLD subtypes, MID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hesitations, multi-syllable/phrase repetitions, part-word repetitions, prolongations, and broken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dolescents with MID have speech disfluencies in speaking performance including read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low levels of cognitive and linguistic processing in MID students may negatively influence their disfluent verbal production.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소수자-되기"를 위한 노인 미디어교육 연구 -노인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강진숙 ( Jin Suk Kang ),배민영 ( Min Young B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소수자-되기(becoming)’를 위한 노인 미디어교육을 탐구하여 노인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논의로서 소수자들의 다양한 사유와 실천을 통한 주체화과정과 생성의 흐름들을 독특한 논리로 접근하고있는 들뢰즈 (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주요개념과 사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를전제하는 이유는 기존의 양적 기준으로 정의되었던 소수자와 소수성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할 뿐아니라 소수자로서의 노인들의 ‘욕망’을 ‘-되기(becoming)’라는 생성의 차원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 미디어교육 교사와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보다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들을 수렴 분석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ways in which senior citizens to autonomously participate media education by exploring senior media education for ``becoming minority.`` As theoretical discuss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re concepts and the thoughts of Deleuze and Guattari who uniquely approach the autonomous process and creation flow through various thoughts and practices of minorities. Not only the need to reevaluate about minority which has defined by quantitative standard, but the need to revive senior citizens` desire to the new dimensionally creation of ``becoming`` are the reasons of premising these thought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ever realistic opinions of environment by depth interview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of senior media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