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시스템 활용이 고객관계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정혜(Bang, Joung-Hae),강소라(Kang, So-Ra),김민선(Kim, Min-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고객관계 역량을 높이기 위해 정보시스템의 역할을 내부 프로세스 역량과 기업 내의 커뮤니케이 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내부고객의 업무효율성을 개선하여 외부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보시스템의 역 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한 인적자본 기업패널 자료 중 정보시스템 활용, 커뮤 니케이션, 내부 프로세스 역량 및 고객관계 역량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내부 커뮤니 케이션과 프로세스 역량을 증가시키고 내부 프로세스 역량은 고객관계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커뮤니케이션 은 내부 프로세스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formation systems through communication and process competency to increase customer relationship competency.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systems which help internal customers for their work to satisfy the external customer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KRIVET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formation systems, communication, process competency, and customer relationship competency are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information system has an influence on communication and process competency, significantly. Process competency affect customer relationship competency positively while communication does not. However,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ocess competency.

      • KCI등재

        소셜 커머스에서 가격할인, 상품후기, 지각된 위험의 영향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방정혜 ( Joung Hae Bang ),진천 ( Chen Qian ),김민선 ( Min Sun Kim ),이은형 ( Eun Hyung Lee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3 지식경영연구 Vol.14 No.5

        Along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social commerce market is expanding rapidly. As much, understand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becomes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 effects of these determinants(price discount, perceived risk and product review)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sion in social commerce networks.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se factor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sion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ice discount and perceived risk,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ice discount and review were meaningful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indicates that the important factor for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in social commerce is not just price discount but perceived risk, and that review which consumers think is manipulated has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 온라인쇼핑에서 마일리지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방정혜 ( Joung Hae Bang ),정성민 ( Sung Min Jung ),조윤호 ( Yoon Ho Cho ),김민선 ( Min Sun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1 유통정보학회지 Vol.14 No.4

        최근 인터넷 쇼핑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부분의 쇼핑몰에서 고객의 구매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 비율의 마일리지 및 포인트를 포함한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마일리지 프로그램은 여러 이유로 효과적으로 소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소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최근 고객 보상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성의 증진 방안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 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고객 보상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에만 주목하고 있고, 고객 보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수행하는데 앞서 직접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에서 소비자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사용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의 인지 및 수용과 관련이 있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확장하여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함을 통해 소비자의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사용의도에 대한 예측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객 보상 프로그램인 마일리지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데 있어 소비자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Many online shopping malls have been offering the mileage/point program as a reward for those repeat customers. However for many different reasons, those milages/points have not been effectively consumed by online shopp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online shoppers` behaviors on usage of mileage/point earned from online purchas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online shoppers` intention to use mileages/point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lational benefit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ll three factor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are attitude, perceived control, and norm, are all found significant to intention to use mileage/point while among the relational benefits, only confidence benefi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Perceived usefullness is related to the intention directly as well as through attitude while perceived easines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control.

      • 명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태도의 기능이론을 중심으로-

        방정혜 ( Joung Hae Bang ),강소라 ( So Ra Kang ),김민선 ( Min Sun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1 유통정보학회지 Vol.14 No.1

        명품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명품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명품의 매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명품모조품 또한 전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온라인 채널과 관련하여 인터넷은 명품판매에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점차 온라인을 통한 명품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명품판매를 위해 온라인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태도의 기능이론과 신뢰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명품과 관련한 가치표현 태도 및 사회적 적응 태도는 모두 명품 온라인 구매의도와 긍정적인 관계임이 나타났으며, 명품이 개인의 가치와 신념을 표현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는 정도가 클수록 명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려는 경향도 커지며, 명품이 개인의 사회적 위치를 표현하고 인정받고자 하는 태도를 가진 소비자일수록 명품 온라인 구매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제품신뢰 및 온라인 사이트 신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제품신뢰와는 달리 온라인 사이트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들의 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명품에 있어 소비자들이 가치표현 태도를 지닐수록 진품을 보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이기도 하다. 따라서 명품판매의 경우 사이트에서 서비스 품질에 유의해야 함과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리라 본다. Luxury market grows rapidly and the luxury goods become available to a wider range of consumers than ever before. As the sales of luxury goods increase, as much, counterfeits of those luxury brands are spreading over the world. With regard to the online channel, the web has not been very attractive for luxury brands. The sales of luxury brand online, however, have been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factors to influence the purchasing intention of luxury goods online. It is proposed that value-expressive attitude function and social-adjustive func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online and social-adjustive attitude function will have a stronge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nline than value-expressive attitude function will. As well, trust including product trust and website trust will moderate the effects of attitudes. As a result, direct effects of both attitude functions were found significant, while in terms of trust, only product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expressive func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online.

      • KCI등재

        명품과 비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디자인 민감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정혜(Bang, Joung-Hae),김민선(Kim, Min-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패션 제품군에서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에 따라 디자인 민감도가 차이가 날 것인가를 검토하고 디자인 민감도가 브랜드 동일시와 함께 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지를 살 펴보았다. 분석결과 디자인 민감도는 명품과 비명품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는 차이가 있었다. 우선 전체 데이타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의 디자인 가치와 디자인 추구노력, 추구성향이 구매의 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보다는 해당 브랜드의 디자인에 대해 가치 를 높이 평가하고 좋은 디자인의 제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패션제품의 구매의도가 높다는 것 이다. 명품과 비명품으로 구분하여 브랜드 동일시와 디자인 민감도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명품의 경우 루이비통 패션제품의 디자인 추구성향이 높은 사람이 구매의도가 높음이 나타났고, 비명품의 경우 쌈지의 디자 인이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사람일수록 쌈지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품일 경우에는 이미 디자인의 가치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인정되고 인식되어 있으므로 해당 제품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명품의 경우에는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이 가치가 있다는 사실부터 인지되어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혀졌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esign sensitivity of both luxury and non-luxury brand products, and its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sign sensitivity between luxury and non-luxury brand product, but the effect of design sensitivity on purchase intention was found different between luxury and non-luxury brand. It shows that for luxury brand, the people with high design pursuit of the brand have high purchase intention while for non-luxury brand, the people with high design value of the brand have high purchase intention. It indicates that for luxury brands, consumers already recognize the value of its design, which does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For non-luxury brands, it would be important to let consumers recognize their design value.

      • KCI등재

        관계기간과 몰입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동통신산업을 중심으로

        방정혜 ( Joung Hae Bang ),설진영 ( Jin Young Seol ),김민선 ( Min Sun Kim ),이은형 ( Eun Hyung Lee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2 情報시스템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wo components of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and relational equity on loyalty. In addition, The authors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ngth of relationship on the effects of commitments and relational equity on switching intention.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affective commitment made a negative impact on switching intentions and a positive impact on w-o-m. Calculative commitment had no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and w-o-m while it made a negative effect on w-o-m in handset side only. Relational equity appears to bolster a negative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w-o-m. Also length of relationship seems to moderate the effect of relational equity on switching intention.

      • KCI등재

        디자인 경영 연구의 동향 분석

        이은형(Eun Hyung Lee),방정혜(Joung Hae B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k major trends in design management studies from the management perspective, to provide deeper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thodologies, and finally to suggest some research topics for management scholars. Although design management has recently become a buzz word not only for practitioners but also scholars in the area of design and management,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particularly from the management field.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attempts to review existing literature in design management based on the `management perspective` rather than the `design perspective`. Then, this paper attempts to give fresh impetus to the management field to pay more attention to design management. This paper, secondly, focuses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design management studies from business management, sociology, and psychology. Addition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research methodologies based on design disciplines that design management should practically develop and utilize. The primary sources for the meta analysis are the Design Management Review(formerly Design Management Journal) and Design Management Journal Academic Review. Both are published by Design Management Institute(DMI) which was established in 1975. We found that the locus of design management studies has been shifted from "managing design" to "managing change". Researchers from the design field, a large majority, tend to pay more attention "managing design". On the contrary, researchers from the management, a minority, has increasingly paid attention to "strategic role of design in business" such as innovation, change, and creative management. There has been much room for management researchers to contribute to the stream of design management studies by establish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enriching design disciplines for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인적자원개발과 개인차원의 조직성과의 관계: 성별 및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은형 ( Eun Hyung Lee ),방정혜 ( Joung Hae Bang ),강현모 ( Hyun Mo Kang ),정은경 ( Eun Kyung Jou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0 여성경제연구 Vol.7 No.1

        최근 여성 인적자원의 비중이 뚜렷하게 높아지면서 여성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여성인적자원의 인적자원개발 참여 현황을 통해 남성의 인적자원개발 참여현황과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인적자원개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 차이가 있는지 실증 분석해 보았다. 실증분석결과, 인적자원개발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노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효과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40대 이후 인적자원에 있어서는 효과에 대해 성별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40대 이후가 될 때까지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의 경우 인적자원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에 대해서도 남성 못지 않게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유형별 즉 일방형 및 상호교류형으로 나누어본 결과 역시 남성과 여성이 느끼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has magnificently increased recently, our interest of fema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been also growing.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terms of gender,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n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male workers seemed to be more active than female in participat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lso, male workers are found to give more credi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 than female workers.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for their 40s and above.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평가모델(SDES) 개발에 관한 연구

        김귀련(Kwi Ryun Kim),방정혜(Joung Hae B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을 기점으로 실질적인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들이 민간사업분야 및 공공사업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실행되고 있다. 또한 학계에서는 서비스디자인 커리큘럼이 개발되고, 다학제적인 학회 및 협의회의 활동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서 주목할 만한 결과물들이 나오고 있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평가기준이 불분명한 상태이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물이 재무적 성과나 고객 만족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또한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이렇게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서비스디자인 전반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체로 서비스마케팅 분야의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들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 평가가 아닌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를 평가하는 모델은 유럽의 서비스디자인업체들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평가모델들은 사용자만족도 평가나, 예산대비 비용절감 등 한 가지 측면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때문에 서비스디자인 제공자들은 각각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평가 도구들을 조합해서 활용하고 있지만, 일관성 부족으로 그 평가 결과들은 비교하거나 분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의 전체적인 과정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방식의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들을 고려한 평가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영학에서 연구되어온 서비스품질관리 및 평가 방법론, 소비자 행동이론들을 연구하고, 디자인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프로세스 방법론 등을 기존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에 적용시킴으로써 평가모델을 발전시켰다. 서비스디자인의 기본개념수립을 시작으로 하여 선행연구 및 서적, 기존의 서비스 평가방법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SERVQAUL, SERVPERF외에도 Value Opportunity Analysis, VALS Model등 다양한 측정방법들이 활용되었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디자인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연구는 서비스디자인 평가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단계로서 제공자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항목을 제시함으로써 평가시스템의 각 단계를 확인,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service design concept introduced, service design projects have been practiced lively in many different countries in Europe including England o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addition, service design curriculums are developed in the academic worlds, and multidisciplinary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are working actively. Various service design projects are producing noticeable results worldwide, but there is no valid standard to evaluate the results objectively so far. Therefore in order to make service design profitable and satisfying customers as well as to provide users the high-quality services consistently, the need for a valid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 has been increasing. In spite of the necessity, there has been few method available to evaluate overall service design process so far. Mostly used are thos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for service quality in the service marketing fields. Even though European service design agencies are developing those evaluation models for service design, not for service quality evaluation, those models are either only focused on user`s satisfaction or the cost reduction. Due to this reason, service design providers have used various combinations of different evaluation models for each service design project, but because of the lack of consistency, it is difficul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s that can systematically evaluate the process step by step with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This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systems regarding those issues. Service quality evaluation methods and consumer behavior models from marketing field is studied for this paper and various design process methods are applied to the existing service quality measuring models.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the next step is gathering the published books, articles, and papers regarding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cluding SERVQUAL, SERVPERF, VALS and Value Opportunity Analysis, various methods are used for this study and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e new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This model developed is a conceptual study, which will be evolved to develop the service design evaluation index providing the measurement items for both provider and the user`s perspective and evaluating each step and a whole service desig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