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전쟁을 통한 의식의 변화양상 비교연구

        방재석(Jai Suk B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6

        Korea and Vietnam have similar histories and geographical features. And, nowadays there is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economic,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s well. The intern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lative thinking of Korea and Vietnam histories is essential to build the desirable relationship continually. Vietnam war was the historical event for the youth of Korea and Vietnam to face each other in the same place. This study pursues the deep understanding of Korea and Vietnam by the dee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youth`s consciousness and behaviors in Korea-Vietnam novels focusing on Vietnam war. As a text, two novels are chosen because they are typical of Vietnam war novels in Korea and Vietnam: Hwang Seokyeong`s 『Shadow of Arms』 and Van Le`s 『If you are alive』.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two main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such as before, during and after war. By having experience of war, their consciousness are changed individually. However,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their consciousness. their ways to overcome war are classified by their nationalities like their motivations to participate in a war. This separ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riginates with the irresponsibility for Vietnam war. However, the matters of Vietnam war should not be restricted to the ethical matters of Korean soldiers. Regardless of their personalities, four main characters have different ways to overcome war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ies. That proves the matters of Vietnam war to be social problems which cannot be solved by each individual. Therefore, the matters of Vietnam war should be settled by both the solidarity from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Vietnam war and the social access to heal the pain of the times.

      • KCI등재

        『토지』의 여성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 ― 서희와 봉순을 중심으로 ―

        전예진 ( Jeon Ye-jin ),방재석 ( Bang Jai-su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0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서 서희와 봉순이 겪는 트라우마와 치유 과정에 따르는 공간 이동을 연구한다. 서희와 봉순은 어린 시절 부모를 잃는 유사한 아픔을 경험한다. 이어지는 조준구의 핍박은 이들에게 트라우마로 다가온다. 서희의 트라우마 증상은 주로 공격적인 성격, 복수에 대한 강박,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결점과 친밀감을 보이지 않는 태도로 나타난다. 봉순은 트라우마로 인해 우울증 증상을 보이고 어느 한 관계나 공간에 정착하지 못하며 아편에 중독된다.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은 트라우마 치유 단계를 “안전”, “기억과 애도”, 그리고 “연결의 복구”라는 세 단계로 구분하는데 이에 따라 서희와 봉순의 트라우마 치유과정을 살펴보면 서희는 모든 단계에서 진전을 보이지만 봉순은 “안전”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좌절을 겪는다. 트라우마 치유 단계에 따라 서희와 봉순의 공간 이동을 살펴보면 각 단계의 수행과 좌절이 공간 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평사리는 두인물에게 외상 사건이 일어난 공간으로 기억되어 그들은 그곳으로 쉽게 돌아가지 못한다. 그러나 두 인물에게 평사리의 의미는 각기 다른데, 서희에게 평사리는 자신의 전유 공간이었지만 봉순에게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정으로 떠나 “안전”을 확보했던 서희는 치유 과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평사리로 회귀한다. 그녀의 “기억과 애도”는 최 참판댁의 수리로 이어지고 그녀가 양현을 평사리로 데려오는 행위는 그녀가 “연결의 복구”를 달성했음을 보여준다. 반면 봉순은 진주와 서울에서 기생으로 자리 잡으며 불안정하게나마 “안전”을 확보 하지만, 용정에서 시도했던 “기억과 애도”에서는 좌절을 겪는다. 그녀는 서울 및 군산으로 이동하면서 상현과 양현과의 “연결의 복구”를 바라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트라우마를 치유하지 못한 봉순은 서희에 의해 평사리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평사리로부터의 도피를 꿈꾸고 결국 자살을 택한다. 서희와 봉순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의 상관관계는 트라우마가 인물의 성격이나 서사뿐만 아니라 소설의 배경과 인물의 공간 이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TSD on the movements of characters in Toji (Land), a novel by Park Kyong-ni.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ymptoms of PTSD of Seo-hee and Bong-soon, and analyzed their movements based on their recovery stages of PTSD. Seo-hee and Bong-soon had witnessed the tragic death of their family, and they could not face their pain because of the arrogation of Jun-gu Jo. For this reason, symptoms of PTSD appeared as they grew up. According to Judith Herman, the recovery of PTSD unfolds in three stages, which are “safety,” “Remembrance and Mourning,” and “Reconnection.” As we observed Seo-hee and Bong-soon`s recovery of PTSD based on these three stages, we found that Seo-hee accomplished the tasks within all stages while Bong-soon experienced frustration within all stages except the first stage, “safety.” Lastly, we analyzed the movements of Seo-hee and Bong-soon according to their recovery in the three stage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three sta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movements. Among those, Pyeongsa-ri is the place where both characters experienced traumatic event and they could not return to the place easily. Seo-hee gradually went back to Pyeongsa-ri as she recovered from PTSD. Bong-soon, on the other hand, failed in the attempts at recovery, which led her to wander different places. In the end, Bong-soon came back to Pyeongsa-ri with the help of Seo-hee, which only cause her to long for an escape and to commit a suicide.

      • KCI등재

        재난을 다루는 SF 소설의 다중시점을 통한 윤리적 서사 연구 : 이경희의 『그날, 그곳에서』와 김보영의 『저 이승의 선지자』를 중심으로

        최수진(Choi, Su-jin),방재석(Bang, Jai-su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1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2 No.-

        본 논문은 이경희의 『그날, 그곳에서』와 김보영의 『저 이승의 선지자』가 지닌 SF적 특성과 다중시점 서술 방식이 현실세계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성찰케 하는 장치임을 살피고 그 윤리적 의의를 연구했다. SF 장르의 대두는 오늘날 재난문학 속 상상력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재난을 다루는 방식은 윤리적 고민과 무관할 수 없다. 프리모 레비의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라는 분류 개념은 윤리적 재현을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구조된 자’의 증언은 구조되지 못해 ‘가라앉은 자’의 경험을 대변할 수 없다. 따라서 재난을 증언하는 문학은 다중적인 구술을 통해 재난의 전모를 윤리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한다. 본 논문은 다중시점 서술방식의 윤리성이 현실세계에 불연속적 변수를 더하는 SF 소설의 속성을 매개해 배가될 수 있음을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으로 검토한다. 『그날, 그곳에서』는 SF 소설이기에 가능한 시간여행 장치를 통해 어머니, 딸, 동생의 시점을 교차하며 재난을 해결한다. 『저 이승의 선지자』는 자아의 분열과 통합으로 배움을 추구하는 사변적 세계관을 통해 타자에 관한 윤리를 탐색한다. 두 작품은 다중 시점과 SF적 요소를 통해 재난에 맞서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현실의 한계와 불가해한 가능성을 함께 성찰케 하며 문학으로써의 윤리를 완수한다. This paper examined that the multiple viewpoints description method of Kyung-hee Lee"s That Day, There and Bo-young Kim"s The Prophet of Mundanity classified as SF novels, is a device that effectively reflects on disasters in the real world and studied its ethical significance. The emergence of the science fiction genre is embodied in today"s imagination in disaster literature. However, the way of dealing with disasters cannot be irrelevant to ethical concerns. Primo Levi"s “The Drowned” and “The Saved” provides clues for ethical reproduction. The testimony of the Saved cannot represent the experience of the Drowned because it is not rescued. Therefore, literature that testifies to disasters seeks an ethical approach with subjective and multiple oral phrases. This paper reviews the fact that the ethical methodology of multi-gwan writing described above can be doubled by mediating the attributes of science fiction novels that add discontinuous variables to the real world. As a SF novel, That day, There solves disasters by intersecting the viewpoint of mothers, daughters, and younger siblings through time travel devices possible. The Prophet of Mundanity explores ethics about others through a speculative worldview seeking learning through self-division and integration. The two works present new solutions to disasters through multiple viewpoints and SF elements. This allows the reader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reality and incomprehensible possibilities together and completes ethics a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