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한 선교사 수양관에 관한 연구 - 각 수양관의 형성배경과 각종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방연상 ( Samuel Y. P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선교사들과 관련된 연구는 대개 한국 선교에서 이룬 `성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선교사들의 일상적인 삶과 관련된 부분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선교사 신분`이었으나 한국 땅에서 가정을 이루고 살았던 선교사들의 일상의 삶으로 시좌를 옮겨 그들의 `여름휴가`를 살펴보았다. 선교사들의 여름휴가는 `선교사 수양관`에서 이루어졌다. 내한 선교사들이 수양관을 설립하여 그 곳에서 여름휴가를 갖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위생문제와 질병발생이었다. 위생과 건강 문제가 가장 컸기 때문에 수양관은 주로 자연친화적인 해변 주변이나 산 속에 설립되었다. 수양관은 개인주택과 공동주택 건축을 비롯하여 각종 편의시설 및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수양관의 운영과 각종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 회사를 설립하거나 협회를 조직하였으며, 협회 아래 여러 위원회를 두어 수양관의 실무를 맡겼다. 선교사 수양관의 설립이나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교단이 있었으나 거의 교파의 구분없이 이용되었고, 성경번역과 성경개역 등과 같은 중요한 선교업무를 수양관에서 수행하기도 하였다. 수양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은 선교사 자녀들의 교육과 선교사들의 친목 및 여가활동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내한 선교사 수양관 안에는 한국선교역사와 관련된 선교사들의 삶의 일부가 담겨 있다. 선교사들의 가족, 여러 종목의 체육활동, 야영, 음악연주회, 사냥과 등산, 사경회, 특별강연, 공동예배, 선교사 자녀들의 주일학교와 한국어 및 일본어수업, 주택건축과 수리, 공동주택관리 등이다. 내한 선교사 수양관의 형성과정과 수양관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고찰은 우리에게 선교사들의 한국에서의 삶의 일부를 보여주고, 선교현장의 소소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한국의 근대문화의 한 부분인 피서와 여가와 체육, 건축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준다. 무엇보다도 파송 국가와 선교 현장의 두 나라에 살고 있는 선교사의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기도 한다. Although the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were foreign in terms of nationality, nevertheless, they lived with family and resided in Korea. Research concerning foreign missionaries usually focuses on their public work and their achievements, without much interest in their daily life in Korea. This research shifts the focus on the life lived by foreign missionarie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ir summer holiday. The missionaries took their summer holidays at missionary retreat centers established mainly for health and sanitary reasons. Missionary retreat centers were open to all missionaries regardless of their denomination allowing them to become places of such important work as Bible translation and missions planning. The various program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ducation of missionary kids as well as promoting fellowship and recreation. The summer retreat centers is a site of Korean mission history, showing life as lived by missionary families: hobbies, diverse sports activities, camping, music concerts, revival meetings, special lectures(Korean and Japanese lessons), joint worship services, Sunday school, housebuilding and property maintenanc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retreat centers show this very rich slice of life, allowing us to step into their daily minutiae as well as to see their influence on modern Korean culture of summer holidays, sports, among others.

      • KCI등재

        레비나스(E. Levinas)의 『존재와 다르게, 본질을 넘어』에 나타난 '말함'과 '말해진 것'에 대한 신학적 성찰

        방연상(Pang Samuel Yunsang),홍정호(Hong Jung H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본 논문은 임마누엘 레비나스(E. Levinas)의 후기 대표작인 『존재와 다르게, 본질을 넘어』에 나타난 '말함'(le dire, saying)과 '말해진 것'(le dit, the said)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학/선교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말해진 것'을 넘어 '말함'으로 나아간다는 것은 타자와의 관계성에서 비롯되는 사건적 참여이다. 하지만 근대 신학과 유럽의 그리스도교는 '말해진 것'의 자기중심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 본 논문은 이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타자와 대면해온 선교학 역시 그들이 만난 타자를 레비나스가 말한 '존재와 다른 것'으로서의 타자가 아닌, 서양신학의 언어를 통해 '말해진 것'으로 환원(reduction)된 타자에 대한 자기인식, 곧 '타아(他我)'로 인식해 왔음을 지적한다. 이는 서양학문의 기초가 된 존재론적 사유, 즉 존재는 의미와 분리될 수 없고 존재의 의미는 결국 (존재론적으로) 말해진 것의 반복에 불과하다는 인식의 연장선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말해진 것'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전달해온 근대적 주체를 비판하고, 의미로 환원될 수 없는 '존재와 다른 것'의 윤리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윤리성을 통해 '내'가 중심이 되는 능동적 결단으로서의 도덕적 행위가 아닌 '타자'가 중심이 되는 수동적 참여로서의 신학과 선교가 가능하리라고 본다. 결국 본 논문은 '말해진 것'에서 '말함'으로, '자기중심성'에서 '타자중심성'으로의 전환을 통해 신학과 선교를 재구성하는 노력에 참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 critical reflection on Christian theology and its implications through the philosophy of Emmanuel Levians, in an attempt to reconstitute the egological-theological subjects in relation with the others. It articulates the traditional theology as the one providing a rational justification on the epistemological violence against the others by putting them into the same category as the Same, ignoring the differences of the other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move theological articulation beyond the totalizing tendency, and to meet the Other(s) in the meontological manner facilitating the event of conversion. In moving beyond the ontological theology, it articulates the difference the 'saying' and 'the said' in Otherwise Than Being or Beyond Essence, to argue against 'the said' being the subject of epistemological violence, imposing itself on the others particularly indicated in the expansion of Christendom, and to argue for 'saying' engaging with the other in its otherness as an event within which the participation becomes ethical; it considers ethics as one being constituted through the event of 'saying,' not 'the said,' and criticized the idea of Heidegger and Husserl as ontology, since the meaning of existence is only the repetition of the said. Therefore, it proposes to reconstitute Christian theology and mission to be articulated me-ontologically to avoid the ontological violence of the past, and to challenge the theological subject to be ethical and to consider the others as a trace of God that takes us to the event of horizon that we cannot fathom to open in the 'saying' with others.

      • KCI등재

        합성생물학 시대에 신학 담론의 위치

        방연상(Pang, Samuel Y.),송기원(Song, Ki-Won),이삼열(Lee, Sam-Yeo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4

        본 논문은 합성생물학 시대에 신학함의 의미와 선교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합성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제기된 사회적 정치적 논점들을 비롯하여 신학적 문제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한 뒤, 합성 생물학의 탄생 배경에는 환원적-기계론적 인간관, 영과 육의 이원론 등이 있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서 탄생한 합성생물학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합성생물학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본 뒤, 합성생물학이 현재 연구하고 있는 분야와 어디까지 발전했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한 뒤 예상되는 문제점을 정리하고, 문제점들에 대한 학계의 대응, 정책입안자들의 대 응 등을 다룬다. 이와 함께 우리가 이러한 새로운 생명과학기술을 이해할 수 있는 신학적 도구로서 이전의 생명신학 관련 담론들을 고찰한 뒤, 필립헤프너의 ‘공동창조자’개념 및 아감벤의 Zoe와 Bios와 같은 생명에 대한 개념들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우리의 신학 함이 합성생물학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과학기술과 대화는 또 다른 선교의 모델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the significance of theology engaging with the science, in particular relation with the rise of synthetic biology. First, this deals with what synthetic biology is and the social, political, theological issue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and technologies. And, it also points out the fact that there is reductivemechanistic view of human nature and dualism of spirit and flesh in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synthetic biology. And, it deals with a history of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and how it has emerged and research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ield of science. As we take this scienc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seriously, the theological dialogue with the scienc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expecially in relation with the life and its politics. Therefore, it projects the potential problems of synthetic biology and attempts a critical dialogue with the science articulating in the public theological discourse and space. In other to engage a meaningful dialogue, it proposes the notion of 'Created Co-Creator' suggested by Philip Hefner, and idea of “Zoe and Bios” by Giorgio Agamben is introduced to begin a new of theological discourse. It suggest that only through the meaningful engagement of theology in a flesh way, can prevent the potential problem of synthetic biology that may have a lasting effect on human life. Therefore, in the time of rapid science-technological development,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science/technology as a significant part of theological discourse, and to find the way in which the dialogue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theology can be pro-actional strategy to the talk of “life.”

      • KCI등재

        세계기독교: 새로운 신학의 패러다임을 향하여

        방연상(Samuel Y. Pang),이만형(Manhyung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세계기독교’는 선교학에 유례없는 도전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 세계 복음화와 이와 동반된 근대화가 초래한 기독교의 세계화와 세계의 기독교화는 복음의 전달과 수용이라는 선교학적 자명성의 근저를 뒤흔들고 있다. 본고는 남반구기독교론을 극복하고, 세계기독교를 하나의 현상이며 동시에 연구방법으로서 21세기 기독교와 선교의 패러다임으로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세계기독교는 선교학적으로 지니는 의미가 큼에도 불구하고, 국내 선교학계에서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세계기독교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와 관련하여 이뤄진 신학적, 성서학적, 종교학적, 인류학적, 사회학적, 문화학적연구 성과들을 비교·통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세계기독교 내에서 한국기독교의 위치와 위상에 대한 재평가도 미룰 수 없다고 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남반구기독교론’을 비판하고, 세계기독교를 선교실천은 물론 선교학의 방법론과 신학적 재구성을 포함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패러다임은 기독교의 전지구적 확장뿐만 아니라, 이른바 세속화를 아울러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점에서 한국기독교를 세계기독교의 하나의 사례일 뿐만 아니라 가장 주목할 만한 현장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한국기독교는 선교대국이 면서도 교회의 쇠퇴를 목격하는 와중에 있다. 세계복음화의 전진기지이 면서도, 동시에 서구형의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는 모순적인 상황이다. 패러다임으로서의 세계기독교는 한국기독교의 이런 역설을 설명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본다. This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World Christianity as a missional discourse, and to initiate serious theological discussions about this emergence of World Christianity. And, it also suggest to evaluate the status of Korean church and her position in World Christianity. Having realized of the reality that Korean missionary activ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ends of World Christianity, the new theological articulation of conciliation of mission studies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thers studies like Theological Studies, Biblical Theology, Religious Studies, Anthropology, Sociology and Cultural Studies has been suggested in an attempt to explore a new direction. Therefore, this is, through the critical reflection on “Non-Western Christianity,” to suggest World Christianity as a new missionary paradigm, and to re-construct the missional practic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It is expected for this new paradigm to be able to explain the global expansion of Christianity and so called “seculariza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attempts to suggest that the Korean Church as a typological example of world Christianity, and to understand it as the prominent research subject. As witnessed, the Korean church is a strong missionary enterprise, yet it is at the threshold of decline. In other words, the Korean church is at the front of Christian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Korean churches have to come to consider taking the western idea of “missional church” seriously.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idea of World Christianity as a new paradigm would provide a perspective to explain the mystery of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

        선교학의 회심

        방연상(Samuel Y. Pang),이만형(Man Hyung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본 논문은 ‘회심’에 대한 기존 선교학의 이론과 이에 대한 기독교 인류학적 재성찰을 다룬다. 최근까지도 회심, 그리고 회심에 관한 이론들(회심론)은 선교학의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로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탈식민주의 사조와 남반구기독교의 성장, 그리고 서구 세속주의의 심화 등과 같은 새로운 물결은 회심에 대한 논의를 거북하게 만들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학의 본질은 ‘그리스도로의 회심’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기에 회심론은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는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선교학에서 다루어져 왔던 회심론에 대한 역사적 · 서사적 고찰을 통하여 회심이 선교학의 연구주제로서 다루어지지 않게 된 배경과 지금까지의 회심론이 갖고 있던 주체중심적 · 서구중심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앞선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회심론이 현대에 다시금 대두하게 된 배경으로서 세계기독교 현상과 기독교인류학의 회심에 대한 세속학적 연구방법론을 소개한다. 세계기독교 현상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갖고 있던 서구 중심적 회심에 대한 개념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기독교 인류학과 세속인류학은 우리에게 회심론에 관한 연구대상을 ‘회심’한 개인이 아닌 회심한 ‘개인’으로 옮길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선교학은 이러한 요구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새로운 과제들을 갖게 된다. 회심과 삶의 변화와의 상관관계, 참된 회심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재정의 문제, 에큐메니칼 운동의 회심 개념,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회심 문제, 성화와 의화의 관계 정립 등 회심론은 단순히 실천적인 영역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는 기독론에까지 이르는 기독교의 핵심적인 문제임이 드러난다. 그리고 인류학적 방법론은 이러한 회심에 대한 선교학의 재고찰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결국 회심론은 희망의 인류학이며 이 희망의 종착역은 그리스도의 회심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죄 없음에도 불구하고 죄를 고백하는 세례의 장면은 진정한 회심의 의미를 우리에게 일깨우는 역설적인 변화의 사건임을 상기시키고, 이 사건은 선교학이 다시 한 번 회심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flect the idea of conversion from the Anthropology of Christianity. Although ‘conversion’ has been the main agenda in the study of missions, the current academic trends of the postcolonial discourse and the rise of Southern Christianity including the secularization of the West have hindered to articulate the question of conversion. However, since the study of Christian mission and its goal is to articulate the idea of “conversion to Christ,” the theory of conversion should be remained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theory of conversion within the mission studies in the past, and to point out the reason why the conversion has not been seriously articulated. It will also articulate the problem of subjectivity, particularly the Western subjectivity and its problem in the study of conversion. And, although the study of conversion has its problematic nature, the study of conversion has re-emerged as an important subject within anthropology. In this way,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thropological methodologies as a way to re-evaluate the traditional theory of conversion, and to suggest anthropology of Christianity to be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conversion; the subject of study is to move from the “conversion” of the individual to the “individual subject” who has converted. Therefore, the mission studies is required to answer to new agendas: “the correlation between conversion and the change of life;” “what is true conversion?” and etc. It also need to articulate the idea of conversion not only in terms of individuality, but also within the socio-political life of individuals; it suggests that the idea of conversion also should be articulated in terms of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It also suggest that the idea of conversion is argued not only the area of praxis, but at the end, it should to be connected the idea of Christology. Therefore, it suggests to take the anthropological methodology and approach as an alternative way of doing the mission studies, since it provides new perspective to reflect the idea of conversion in theology.

      • KCI등재

        기독교가 군산 지역에 미친 사회적 영향 - 남장로교 선교사 편지를 중심으로 -

        방연상 ( Pang Samuel Y ),송정연 ( Jungyun So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科學 Vol.111 No.-

        남장로교는 기존에는 선교사들과 조선인들에 의해 주목받지 못하던 군산지역에서 선교를 시작함으로써,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의료 활동을 선점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1899년 개항 이후 일본인에 의해 주변부로 밀려나던 한국인들의 힘이 되었다. 군산은 일본에 의해, 거의 강제적으로 근대화 된 장소였기 때문에, 근대 교육과 근대 의료를 받지 못하는 한국인은 도시의 발전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는 상태였다. 이러한 현상은 조선 전반에서 일어났지만, 특별히 군산은 교육받고 부유한 일본인들의 거리와 가난한 조선인들의 거리가 한 눈에 구별되는 곳이었다. 따라서 스테이션을 통한 교회, 근대 교육, 근대 의료라는 전형적인 선교 방식은 군산 지역에서 환영받을 수 밖에 없었고, 이러한 방식은 효과적인 선교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남장로교의 선교적 태도는 그들의 장점이며 단점이기도 하였다. 남장로교 선교사들은 선교를 최우선으로 하였기 때문에, 복음을 가르치기 위해서 때로는 학교의 발전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반면에 선교를 우선하는 그들의 태도는 신사참배와 같은 반민족적인 태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도 하였다. 또한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선교 방식은 일본인들의 간섭을 최대한 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민족주의자들이 활동할 수 있는 터전을 제공하였다. 반면에 그들의 제한적 선교범위는 군산과 군산 지역인들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군산 지역의 의료와 교육이 대부분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차별없는 의료와 교육을 행했던 선교사들의 열정과 헌신은 군산 지역인들이 기독교인이 되는 계기로서 작용하였고, 일제에 의해 근대 도시로 변모하는 군산의 문화적, 교육적 수준에서 조선인들이 소외받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기독교는 군산의 근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 was able to prevail in the education and medical activities for Koreans by starting missions in the Gunsan region, which had not been noticed by missionaries and Koreans. Through this work, it encourage the Koreans who were pushed to the peripher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opening of port in 1899. Since Gunsan was almost a compulsory modernized place by Japan, Koreans who could not receive modern education and modern medicine had to fall behind in the development of the city. This phenomenon occurred in the entire Joseon Dynasty, but especially in Gunsan, where the street of educated and wealthy Japanese people and the street of poor Koreans were totally different at a glance. Therefore, the typical mission method of establishing church, modern education, modern medical through station was inevitably welcomed in Gunsan area, and this method became effective way. The missionary attitude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 has the strength and disadvantage. Presbyterian missionaries have shown missionary abandonment to teach the gospel because they thought missions has a top priority. On the other hand, their attitude of giving priority to missions opened the way to escape from the anti-ethnic attitude such as shrine visits. In addition, their mission-centered approach to the station opened the way for the Japanese to avoid interference as much as possible, providing a place for nationalists to anti-Japan Imperialism work. On the other hand, their limited range of missions was insufficient to affect the whole of Gunsan and Gunsan area. However, the mission and the devotion of missionaries who did medical education and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the situation where medicine and education in Gunsan area were mostly targeted to Japanese. This missionary movement as an opportunity to become Christian in Gunsan area,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level of Gunsan, which has been transformed. Therefore, Christianity c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modernization of Gunsan.

      • KCI등재

        공교육 안에서 종교교육의 목적에 대한 고찰

        방연상 ( Samuel Y. Pa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4 No.-

        이 논문은 공교육 안에서 수행되고 실천되어야 할 종교교육의 윤리적 역할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의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공교육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있다. 왜냐하면 교육의 본질적인 차원이라 할 수 있는 영성적 차원의 윤리성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 공교육 안에서의 종교교육이 갖고 있던 정체성과 목적에 관한 다양한 입장들이 충돌하면서 종교교육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교육적 가치의 의미가 축소되거나 왜곡되어 버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종교교육 과정 변화의 양상과 이에 관한 학적 논의들을 정리하면서 오늘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공교육 차원의 종교교육은 어떤 것인지 살펴본다. 공교육에서 종교교육의 필요성은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되살리는 것과 긴밀히 연관되며, 이는 종교성을 교육적으로 함양하도록 돕는 교육 곧, 종교적 교육을 실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교육에서 실천되어야 할 종교교육이 교육의 종교적 차원을 인식하고 이를 다양하게 계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하며, 이는 신앙교육, 교단교육, 교리교육의 한계를 넘어, 영성교육, 인격교육, 교양교육, 시민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에 대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교육적 수행과 실천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종교적 교육의 방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초월을 추구하는 반성을 의미하는 `성찰성`, 대화적 관계를 통해 초월을 가능하게 하는 `의식화`, 타자 이해를 통한 자기 변화와 구조의 재창조 이끄는 `타자성`, 공적 공간의 확대와 자유의 실현을 위한 사회 참여를 추구하는 `변혁성`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al sector. It has become the true reality that the secondary education is facing serious challenges, and has lost the fundamental characters like humanity,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as well as religiosity. And, due to the conflicts of opinions and its diverse stands, the core value of religious education has been reduced or distorted within the secondary education.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religious education as a public discourse, demanded by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to articulate the change and trend of curriculum on the base of critical consciousness in the religious education. The necessity of religious educatio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vival of the value/meaning of religious education; and it is to promote the religiosity pedagogically, as the praxis of religious education. This study argue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to recognize and develop its public dimension and role. It also demands religious educations to transcends the limits of education based on sectarianism and dogma, and move to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and personality and for citizenship as the answers to the social demands. In order to implement this public role of religious education, it argues for the critical reflection to transcend the limit, and for the conscientization to make the dialogical relationship possible, as well as for the otherness to transform and reorganize oneself, and finally for the transformation (ality) to expand the public space for the praxis of freedom.

      • KCI등재

        현대 신학 담론에 대한 ‘트리컨티넨탈리즘’ 의 도전

        방연상(Pang Samuel Y.)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3

        이 글은 기독교 선교의 결과로 비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세계 기독교에 대한 논의 및 이해를 포스트 식민담론(postcolonial discourse)을 통해 모색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기독교 선교의 담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남반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기독교의 등장은 기독교 신학의 지형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담론을 제시한다. 기독교의 새로운 중심으로 등장하는 포스트 식민주의 주체에 대한 논의와 이를 통하여 기독교의 서구 중심성을 비판하는 한편, 새로운 신학적 지도를 작성하고 위치를 재설정하여, 다름(difference)과 타자들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형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해석의 도구로 사용하여 새로운 인식체계와 구조를 제안하고, 존재론과 본질론에 내재되는 폭력성을 지적하면서,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통한 ‘혼종적 혹은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정치’ 를 제안한다. 이는 정체성을 투쟁과 저항의 도구로써, 한편으로는 조합과 대화, 그리고 연대의 도구로 사용하여 이를 윤리적인 주체의 원동력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시대에 대한 저항과 대안의 담론으로 트리컨티넨탈 신학을 제안한다. This is to articulate about the emerging World Christianity in the non-Western world, as a result of modern missionary movement, and to reflect the future Christian missions through Tricontinetal (Africa • Asis • Latin America) postcolonial discourse. And it is to indicate that the emergence of Christianity in non-Western world has brought a radical shift in the theological terrain, suggesting a new discourse on Christian identit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articulate the postcolonial subjects as new subjects, in critically evaluating the euro-centric ideology within Christianity, and to suggest a new map for theological imagination creating a space for 'others and differences.' For this, it attempts to facilitate the postcolonial discourse as a hermeneutical tool to expose the innate structural violence within the essentialism and ontology,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doing theology. Therefore, in this sense, by articulating 'the politics based on hybrid or diasporaic identity' as the mean of resistance as well as of dialogue and mutual cooperation in solidarity, new tricontinental subject is constructed to resist the dominant ideology of "nee-liberal globalization"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theology today.

      • KCI등재
      • KCI등재

        African Black Experience and Hermeneutics

        Samuel Y. Pang(방연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5 신학논단 Vol.82 No.-

        이 논문은 흑백분리 정책 종결 후의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계속적인 해방 노력과 이에 대한 신학을 후기 탈식민 담론의 입장에서 고찰한 것으로, 정치적 민주화라는 이름 아래 갇힌 흑인 의식과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인류학적이고, 신학적인 고찰을 통해서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교회와 신학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흑인의 흑인성과 흑인의 해방을 위한 노력을 신학의 주제와 성서의 해석학적인 도구로 제시한다. 특히 Allen Boesak과 Itumeleng J. Mosala의 논의를 신학과 성서학적인 주제로 설정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해방을 정치적인 해방을 넘어 사회 문화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확장하여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흑인성을 하나님 나라의 통치에 대한 신학적이고, 인류학적인 도구로 제시하며, 이를 신학적인 사고의 시발점으로 제지한다. 또한 신학의 백색 신화를 거부하고 흑인성과 흑인의 경험에 대한 진정한 논의를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새로운 신학의 재탄생의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 논문은 흑백분리 정책 종결 후의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계속적인 해방 노력과 이에 대한 신학을 후기 탈식민 담론의 입장에서 고찰한 것으로, 정치적 민주화라는 이름 아래 갇힌 흑인 의식과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인류학적이고, 신학적인 고찰을 통해서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교회와 신학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흑인의 흑인성과 흑인의 해방을 위한 노력을 신학의 주제와 성서의 해석학적인 도구로 제시한다. 특히 Allen Boesak과 Itumeleng J. Mosala의 논의를 신학과 성서학적인 주제로 설정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해방을 정치적인 해방을 넘어 사회 문화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확장하여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흑인성을 하나님 나라의 통치에 대한 신학적이고, 인류학적인 도구로 제시하며, 이를 신학적인 사고의 시발점으로 제지한다. 또한 신학의 백색 신화를 거부하고 흑인성과 흑인의 경험에 대한 진정한 논의를 새로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새로운 신학의 재탄생의 공간으로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