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 1예

        박효송,정현교,신우범,양종윤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8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double fovea artifact o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was reported. Case summary: A nine-year-old male presented with blurred vision of both eyes.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20/20 in both eyes, and complete ophthalmologic evaluation including fundus examination and fundus photography revealed no abnormality in both eyes. He underwent SD-OCT imaging with the Cirrus HD-OCT. The Macular Cube 512 × 128 protocol of his right eye revealed an unusual pseudo-duplication of the fovea in the vertical meridian. The same protocol in his left eye also rendered a pseudo-duplication of two fovea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eridians on the retinal thickness map. Re-examination with the same OCT system and protocol was performed two weeks later after the patient received counseling on fixation during the examination, and it revealed normal contour of the fovea in both eyes. Conclusions: Double fovea artifact seen in SD-OCT is a rare artifact that can possibly lead to misdiagnosis and inappropriate clinical treatment. Since the artifact was resolved with better fixation of the patient, repeating the scan with better patient compliance is necessary when such an artifact is encountered. 목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9세 남자가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최대교정 시력은 양안 1.0이었으며, 안압은 정상이었다. 안저검사와 안저촬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안저검사와 안저촬영상 정상 중심와가 확인되었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상 우안에는 수직상으로 위치한 한 개의 중심와 오류가 발견되었다. 좌안에는 각각 수직상 및 수평상으로 위치한 두 개의 중심와 오류가 관찰되었다. 내원 2주 후 같은 기계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재검사가 시행되었고, 이때 검사 중 시선 고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검사 전 설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양안에서 모두 하나의 중심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해부학적 중심와 위쪽에 발생한 중복 중심와 오류는 주로 환자의 시선 고정 실패에 의해 발생한 환자 오류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복 중심와 오류가 발견되었을 경우 반드시 환자에게 검사 전반과 주시에 대한 재교육을 거친 후 환자의 협조하에 같은 기계와 프로토콜로 재검사를 시행하여 오류 여부를 분명히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로 확인한 백내장수술 전후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와 망막혈관밀도의 변화

        박효송,양종윤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7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taract surgery on detection of a foveal avascular zone (FAZ) and retinal capillary density (RC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In this study, 64 eyes of 64 patients with cataracts who underwent surgery were included and studi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underwent cataract surgery of the included eye and a FAZ was detected on OCTA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using one of two kinds of OCTA devices. The FAZ and RCD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using paired t-test. Results: Using the Cirrus Angioplex OCTA device, there was no significant pre- or post-operative difference in the FAZ area (p = 0.060), perimeter (p = 0.052) and circularity (p = 0.190). It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p = 0.310), inner (p = 0.310), and outer (p = 0.310) zones and full RCD (p = 0.228)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The Spectralis OCTA device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Z area (p = 0.239)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Conclusions: Cataract surgery does not affect detection of the FAZ and RCD on OCTA. Although patients who have a FAZ-related retinal disorder such as diabetic retinopathy and undergo cataract surgery are followed up regularly, it seems that the results gained by OCTA are reliable and comparable to the preoperative result. 목적: 백내장수술 전후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 및 망막혈관밀도의 변화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받은 64명의 환자의 64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후 두 가지 종류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이 시행되었다. 백내장수술 전후의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 크기와 망막모세혈관밀도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Cirrus Angioplex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비교한 백내장수술 전과 후의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의 크기(p=0.060), 둘레(p=0.052), 진원도(p=0.190)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pectralis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사용한 검사시에도 백내장수술 전후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의 크기(p=0.239) 차이가 없었다. Cirrus Angioplex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확인한 중심(p=0.310), 내부(p=0.310), 외부(p=0.310) 그리고 전체(p=0.228) 망막모세혈관밀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백내장 유무는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 확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망막중심오목 무혈관부위와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환자에서 백내장수술을 진행하게 되더라도 수술 후 얻은 결과가 신뢰할 수 있으며 수술 전 검사와도 비교할 수 있는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단안에 국소적으로 발현된 색소정맥옆망막맥락막 위축 1예

        박효송,양종윤,박현주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2

        Purpose: We report a case of unilateral, focal, pigmented paravenous retinochoroidal atrophy (PPRCA). Case summary: A 46-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in complaint of a vague problem with her right eye identified during a general medical examination. The visual acuity (without correction) of both eyes was 1.0. Slit-lamp examination of both eyes revealed no specific signs. Fundus examination of the right eye revealed focal, bony-spicule-shaped retinochoroidal atrophy with pigmentation along the course of the superior retinal vein. A fundus autofluorescence examination revealed principally hypofluorescence with some hyperfluorescence at the margin of the atrophic retinochoroidal les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vealed mixed clumping and atrophy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layer and thinning of the choriocapillaris layer. Fluorescence angiography revealed a window defect and blockage at the site of the lesion (the fluorescent material did not enter the lesion). The site of the window defect was in correlation with the atrophic RPE region. The site of the blockage at lesion also matched with the site of the regional pigment clumping. No definite leakage was observed. Conclusio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unilateral focal PPRCA reported from Korea. 목적: 단안에 국소적으로 발생한 색소정맥옆망막맥락막 위축(pigmented paravenous retinochoroidal atrophy)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6세 여자 환자가 건강검진상에서 발견된 우안 망막 이상 소견으로 내원하였다. 나안시력은 양안 모두 1.0이었다. 세극등현미경으로 시행한 전안부 검사상 특이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안저검사상 우안의 상측 망막정맥을 따라 국소적으로 분포된 뼈 조각 모양의 색소침착이 동반된 망막맥락막위축 소견이 관찰되었다. 안저자가형광상 우안의 망막맥락막위축의 경계에서 다소 과형광을 보이면서 병변의 대부분은 저형광 소견을 보였다. 빛간섭단층촬영상 해당 병변은 망막색소상피층의 위축 및 뭉침이 혼재되어 있었고, 맥락막층에서 맥락막모세혈관층이 얇아진 소견을 보였다. 형광안저촬영상 병변 내 창문비침 및 형광차단이 혼재되어 관찰되었으며 이는 망막색소상피층의 위축 및 뭉침 부위와 일치하였다. 결론: 단안에 국소적으로 발생한 색소정맥옆망막맥락막 위축 1예를 경험하여 이를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과다복용 후 발생한 시야이상을 동반한 빛간섭단층촬영 변화

        박효송,양종윤,이제훈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3

        Purpose: A case of a transient visual field defect and a change i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after an overdose of sildenafil citrate is described. Case summary: A 67-year-old male with no previous medical history presented with a bluish tinge and visual field defect in both eyes. He had consumed eight tablets of sildenafil citrate (800 mg) 3 days before the visit.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14/20 in the right eye and 20/20 in the left eye. No specific finding was noted on slit-lamp examination. Fundus examination and fundus photography revealed focal foveal hypopigmentation in both eyes. He underwent SD-OCT imaging with the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Oberkochen, Germany), and thickening of the ellipsoid zone and choroid was revealed by SD-OCT scans. He was advised not to take any more sildenafil citrate and was followed for 1 week after the first visit. Central scotomas of both eyes were revealed by a visual field test, and thickening of the ellipsoid zone and choroid remained. His eyes were re-evaluated 1 and 3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and although the symptoms nearly disappeared, abnormalities in the visual field test and on SD-OCT remained, albeit with some degree of improvement. He revisited us 4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at which time the visual field test and SD-OCT scans showed results within normal ranges. Conclusions: Sildenafil citrate overdose can result in a color anomaly (bluish tinge), visual field defects, and thickening of the ellipsoid zone and choroid on SD-OCT scans. 목적: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과다복용 후 발생한 시야이상을 동반한 빛간섭단층촬영 변화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전신질환 없는 67세 남자가 내원 3일 전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제제 8정(800 mg)을 복용한 후 발생한 시야장애 및 푸르게 보이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측정한 교정 시력은 우안 0.7 좌안 1.0이었으며, 세극등을 이용한 전안부 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안저촬영상 황반부의 국소적인 저색소 침착 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 결과 양안 모두 망막 중심와 부위 ellipsoid zone에서 신호가 증가하고 불규칙하게 두꺼워지며, 맥락막의 두께가 정상보다 두꺼워진 소견이 확인되어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제제 복용을 중단하도록 하였다. 1주일 후 재내원 시 푸르게 보이는 증상이 호전되었고 양안 모두 교정시력 1.0으로 호전을 보였다. 하지만 시야검사상 양안 중심부 암점이 관찰되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에서의 이상 소견은 지속되었다. 4개월 후 실시한 시야검사에서 중심 암점은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에서도 ellipsoid zone 신호 강도가 정상화되고 맥락막 울혈이 호전되었다. 결론: 추천 용량을 넘는 실데나필을 복용할 경우 본 증례에서와 같은 푸르게 보이는 색각이상, 중심 암점과 함께 빛간섭단층촬영에서 ellipsoid zone에서 신호가 증가하고 불규칙하게 두꺼워지는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 KCI등재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친수인공수정체의 급성 혼탁 2예

        박효송(Hyo Song Park),김용민(Yong Min Kim),양종윤(Jong Yun Yang)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0

        목적: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친수인공수정체의 급성 혼탁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67세 여자 환자가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 검사상 좌안의 핵경화성백내장이 관찰되어 좌안 백내장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하였다. 친수인공수정체 삽입술 시행 직전 육안상으로 인공수정체가 문제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정체낭 내로 삽입한 직후 인공수정체 광학부(optic) 전체에 백색 혼탁이 일어났다. 인공수정체를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수술을 마무리하였고, 수술 다음 날 인공수정체 광학부 혼탁이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증례 2) 65세 남자 환자가 좌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마찬가지로 좌안의 핵경화성백내장이 관찰되어 좌안 백내장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하였고, 수정체낭 내로 삽입한 직후, 인공수정체 광학부의 백색 혼탁이 발생하였다. 수술 다음 날 광학부 혼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한 수술 중 인공수정체 급성 혼탁이 올 경우 인공수정체를 제거하지 않아도 추후 혼탁의 소실과 인공수정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공수정체를 보관함에 있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수술 중 인공수정체의 급성 혼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wo cases of intraoperative acute opacification of hydrophilic intraocular lens were reported. Case summary: (Case 1) A sixty-seven 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chronic visual impairment.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nuclear cataract of the left eye. Cataract surgery for her left eye was performed. A hydrophilic intraocular lens was checked before implantation and no defect was noted. Immediately after the implant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acute whitish opacifi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occurred. However, the intraocular lens was not explanted, and the opacification cleared after one day. (Case 2) A 65 year-old male presented with chronic visual impairment of the left eye. Nuclear cataract of his left eye was noted, and he went through cataract surgery of the left eye. After the implantation of intraocular lens, acute whitish opacifi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as noted but it disappeared a day after. Conclusions: Intraoperative acute opacification of intraocular lens seems to occur due to radical temperature change. There is no need to remove or exchange the intraocular lens as opacification tends to clear within a day. No structural or mechanical change of intraocular lens was noted after opacification. Careful management of temperature for intraocular lens storage is necessary for prevention of intraoperative intraocular lens clouding.

      • KCI등재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결막 림프관확장증 제거술의 효용성

        정현교,박효송,서경률,이제훈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4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rgery for conjunctival lymphangiectasia using a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ical unit.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27 eyes of 27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for conjunctival lymphangiectasia using a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ical unit (Ellman Surgitron®, Ellman International, Inc., Hewlett, NY, USA) from January 2013 to September 2017 was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25 of 27 cases (92.6%) were treated successfully, of which 2 (7.4%) were recurrent cases. Reoperation using the same method was performed in one of the recurrent cases and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cured.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not noted. Conclusions: Surgery for conjunctival lymphangiectasia using a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ical device is a simple, cheap,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목적: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결막 림프관확장증 수술의 효과 및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고주파 전기수술기(Ellman surgitronⓇ, Ellman International, Inc., Hewlett, NY, USA)를 이용하여 결막 림프관확장증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3개월 이내 재발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수술의 성공률과 재발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환자 27안 중 25안(92.6%)이 수술 후 호전되었으며, 2안(7.4%)에서 재발하였는데, 그중 1안은 같은 방법으로 재수술 후 호전되었다. 수술 중, 수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고주파 전기수술기를 이용한 결막 림프관확장증 수술은 결막 림프관확장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 KCI등재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 내 브롤루시주맙 주입술의 단기 결과 분석

        강민재,이승규,김예지,김해랑,곽지용,류선영,김도욱,박효송,한재용,김용준,최은영,변석호,김성수 한국망막학회 2022 Journal of Retina Vol.7 No.2

        Purpose: To assess effect of brolucizumab in Korean patients, and also analyze incidence of intraocular inflammation (IOI) rat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prognosis. Methods: We reviewed EMR chart of history of brolucizumab injection patients retrospectively in Severance Hospital. Total 101 eyes of 92 patients were included. Patients consist of 80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AMD) and 21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Demographic dat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atomical features as central macular thickness, subretinal fluid (SRF), intraretinal fluid (IRF), height of pigment epithelium detachment (PED) throug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cidence of IOI and their clinical feature, treatment, prognosis were assessed. Results: BCVA and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of patient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y. Central macular thickness, IRF and PED heigh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1 month after injection. SRF was improved significantly during 2 months of follow up. In subgroup analysis of PCV group, BCVA,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IRF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entral macular thickness and SRF showed improvement throughout 2 months. PED height showed 1 month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There were six cases (5.9%) of IOI in total 101 eyes of brolucizumab injection cases. One case (0.99%) among IOI patients showed non-occlusive vasculitis. There was no case of occlusive vasculitis in our study. All cases were resolved after steroid treatment, topical or combination of topical and subtenon injection. Conclusions: Intravitreal injection of brolucizumab in Korean wAMD patients and PCV subgroups refractory to other anti-VEGF showed effectiveness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IRF, SRF, and PED height. Incidence of IOI was 5.9% and no case of severe visual acuity deterioration. All IOI cases were resolved after topical or subtenon triamcinolone injection. 목적: 한국인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들에서 브롤루시주맙의 효과를 분석하고, 안내 염증의 빈도 및 양상, 치료,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의료기관에서 92명의 환자의 101안(80안의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및 21안의 결절 맥락막혈관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정보, 주사 전후의 최대교정시력,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얻어진 망막하액, 망막내액의 여부 및망막색소상피박리의 높이 변화, 안내 염증의 빈도, 임상 양상, 치료, 예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사 전후 최대교정시력 및 황반하맥락막두께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심황반두께, 망막내액, 망막색소상피박리의높이는 주사 후 1달간, 망막하액은 2개월간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절맥락막혈관병증 환자를 소그룹 분석하였을 때 최대교정시력, 황반하 맥락막두께, 망막내액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망막색소상피박리 높이는 주사 후 1개월간, 중심황반두께 및 망막하액은 2개월간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6개의 안내 염증 증례가 있었으며(5.9%) 1개의 증례에서 비폐쇄성 혈관염이 발생하였다. 모든 증례는 스테로이드 안약 및 테논낭하 주사 술 후 호전되었다. 결론: 기존 치료에 반응이 부족한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브롤루시주맙 주사는 중심망막두께, 망막내액, 망막하액, 망막색소상피박리 높이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안내 염증의 빈도는 5.9%이고 심각한 시력저하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스테로이드 안약 및 테논낭하주사 술 후 호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