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약의 투여용법과 투여용량의 특허대상성

        박형렬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7 Law & technology Vol.13 No.5

        종래 판례는 의약발명에 대해 산업상 이용가능 성이 없어 특허를 받을 수 없다고 판시해 왔다. 그런데 의약발명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자본과 인력, 그리고 축적된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의약 분야에 있어서 물질의 속성이 다면적이어서 특정의 약리효과라는 새로운 속성의 발견도 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이러한 의약용도발명도 특허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현재 의약용도발명에 대해 특허대상성을 인정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의약의 투여용법과 투여용량의 특허대상성에 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원래 의도한 효과를 위해 적절한 투여용법과 투여용량이 필요하고 새로운 쓰임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약용도발명과 본질을 같이 하므로 특허대 상성을 인정함이 타당하고, 최근 우리 대법원도 종래 입장을 변경하여 특허대상성을 인정하였다. 그런데 유럽이나 일본과 달리 미국에서는 특허 대상을 넓게 규정하되 자연법칙의 예외 이론을 도입하여 ‘발명’의 개념에서 배제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미국 연방대법원은 Mayo 판결에서 투여 용법⋅투여용량에 대한 특허대상성을 부인한 바 있다. 이러한 판례의 취지는 ‘특허로써 보호할 만 한 가치가 있는지’의 판단에서 비롯된 것일 뿐 일반적으로 투여용법⋅투여용량에 대한 특허대상성을 부인한 것으로는 보기 어려워 우리 대법원의 태도와 배치된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우리 실무에서도 ‘특허로써 보호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실질적으로 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인데 이에 대한 기준 정립이 앞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가 될 것이다. According to historical precedent has ruled that medical invention for no industrial applicability can not be patented. However, it is devoted that inventing medicines is required not only much time consuming but an enormous amount of fond and advanced skill. Discovering the new medical property is significant in medical issue. Therefore,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should be protected by patent. In general, a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is regarded as the subject matter eligible for patent protection. The dosage regimen and dose are constitutional element of pharmaceutical use invention. Thus, it is validated that the patent eligible should be accepted. Rec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 it has same position in this issue. Unlike EU and Japan, in case of U.S. court has accepted patent subject matter broadly except ‘law of nature’ which was indicated by U.S. precedent. In Mayo case, the issue of the dosage regimen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was denied. It indicated that it was judged as invaluable of protective patent. It is not saying that the Korean Supreme Court conflicts to the Mayo case of dosage regimen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It is required that the Korean Supreme Court should judge whether the invention be protected as patent or no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matter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judgment.

      • KCI등재

        Terahertz time domain spectroscopy of GdBCO superconducting thin films

        박형렬,Gangseon Ji,Woongkyu Park,이형택,Chang-Yun Song,서충원,Minjo Park,Byeongwon Kang,Kyungwan Kim,김대식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 2019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논문지 Vol.21 No.1

        We present terahertz optical properties of GdBa2Cu3O7-x (GdBCO) superconducting thin films. GdBCO films with a thickness of about 105 nm were grown on a LaAlO3 (LAO) single crystal substrate using a conventional pulsed laser deposition (PLD) technique. Using an Ar ion milling system, the thickness of the GdBCO film was reduced to 58 nm, and its surface was also smoothened. Terahertz (THz) transmission spectra through two different GdBCO films are measured over the range between 0.2 and 1.5 THz using THz time domain spectroscopy. Interestingly, the THz transmission of the thinner GdBCO film has been increased to six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thicker one, while the thinner film is still maintaining its superconducting property at below 90 K.

      • KCI등재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이중 모드 부스트 컨버터

        박형렬,여재진,노정진,Park, Hyung-Ryul,Yeo, Jae-Jin,Roh, JeongJi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4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dual mode boost converter for energy harvesting. The designed converter boosts low voltage from energy harvester through a startup circuit. When the voltage goes above predefined value, supplied voltage to startup circuit is blocked by voltage detector. Boost controller makes the boosted voltage into $V_{OUT}$. The proposed circuit consists of oscillator for charge pump, charge pump, pulse generator, voltage detector, and boost controller. The proposed converter i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0.18{\mu}m$ CMOS process. The designed circuit shows that minimum input voltage is 600mV, output is 3V and startup time is 20ms. The boost converter achieves 47% efficiency at a load current of 3mA. 본 논문은 에너지 하베스팅용 이중 모드 부스트 컨버터 설계에 관한 것이다. 설계된 회로는 에너지 하베스팅에 의해 출력된 작은 전압으로부터 startup 회로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얻는다. 이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전압 감지기에 의해 startup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이 된다. 승압된 전압은 부스트 컨트롤러에 의해 최종적으로 $V_{OUT}$이 된다. 회로는 크게 전하 펌프를 위한 오실레이터, 전하 펌프, 펄스 생성기, 전압 감지기, 부스트 컨트롤러로 구성되어있다. 매그나칩 / SK하이닉스의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였다. 설계된 회로는 테스트 결과 최소 입력 전압은 600mV이며, 출력은 3V이고, startup time은 20ms이다. 제작된 부스트 컨버터의 효율은 load current가 3mA일때, 47%로 측정되었다.

      • KCI등재

        책임보험계약에서 제3자의 직접청구권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5다42599 판결을 중심으로 -

        박형렬 법무부 2024 통상법률 Vol.- No.162

        해상책임보험에서 보험자와 피보험자 사이에 체결되는 보험계약에 영국법 준거약관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유효성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외국적 요소가 있는 책임보험에서 제3자의 직접청구권과 관련해서는 현행 국제사법이 명확한 준거법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청구권설과 보험금청구권설이 대립하고 있고, 현재의 주류적인 학설과 판례는 손해배상청구권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손해배상청구권설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약점을 고려할 때 제3자의 직접청구권은 보험금청구권이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제3자 직접청구권의 준거법에 대해서는 법적 성질에 관한 위와 같은 견해 대립과 별개로 불법행위의 준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견해와 보험계약의 준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는 견해가 대립하는데, 대상판결(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5다42599 판결)은 제3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법률관계가 보험자가 피보험자의 제3자인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관계에 해당한다고 보는 기존 입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준거법은 그 기초가 되는 책임보험계약의 준거법이 적용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판시하였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직접청구권을 보험자가 피보험자의 제3자인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관계에 해당한다고 보면서도, 그 준거법을 피보험자와 제3자 사이의 법률관계에 적용되는 준거법이 아닌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따른다고 보아 그 자체로 논리적인지 의문이다. 더욱이 채무인수에 관한 국제사법 제54조 제2항의 규정이 병존적 채무인수의 경우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봄이 일반적임에도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채 위 규정을 준거법 결정 시 참작함이 타당하다고 판시한 것은 오히려 준거법 결정 기준과 관련하여 불명확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을 보험금청구권으로 보고 제3자와 보험자 사이의 법률관계에 보험계약의 준거법을 적용하면 논리적으로 일관되고 간단하다. 다만 이 경우 대상판결과 같이 보험계약에 포함된 영국법 준거조항에 따라 1930년 제3자 권리법[Third Parties (Rights against Insurers) Act 1930]이 적용되어 직접청구권 행사가 제한될 수 있는데, 상법 제724조 제2항을 국제적 강행규정으로 보아 국제사법 제20조에 따라 위 규정을 적용하여 제3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입법론적으로는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연합 규정(로마 Ⅱ)에서 정한 바와 같이 제3자의 직접청구권을 불법행위 또는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In maritime liability insurance contracts, it is customary for a choic-of-law clause based on English law to be included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and its validity is generally recognized. However, in liability insurance involving foreign elements, the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lacks a clear provision for the governing law concerning the direct third party claim against the insurer. The legal nature of direct third party claims is a subject of contention between the tort claim theory and the insurance claim theory. Presently, prevailing academic discourse and legal precedents favor the tort claim theory. However, considering the theoretical weaknesses of the tort claim theory, it is argued that interpreting the third party direct right of action as an insurance claim right is more reasonable. Concerning the governing law for the third party direct right of action, there are conflicting views—some advocat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verning law for torts, while others argu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verning law of the insurance contract. A landmark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2015Da42599 Decided October 26, 2017) maintained the existing position that the legal relationship concerning the third party direct right of action corresponds to a situation where the insurer concurrently assumes liability for damages to the injured third party. It interprets that the governing law is that of the underlying liability insurance contract. However, the landmark ruling raises doubts about its logical coherence by asserting that while recognizing the third party direct right of action as applicable to situations where the insurer assumes concurrent liability to compensate the third-party's loss, it deems the governing law to follow that of the insurance contract rather than that governing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sured and the third party. Furthermore, even though the general practice is not to apply Article 54(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which is generally applicable to concurrent assumption of obligations, the decision suggests applying it without specifying concrete criteria, contributing to ambiguity in governing law decisions. Therefore, interpreting the legal nature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as an insurance claim right and applying the governing law of the insurance contract provides logical consistency and simplicity. However, in this situation, the application of the Third Parties (Rights against Insurers) Act 1930 may be applicable due to the English law choice-of-law clause included in the insurance contract, potentially restricting the exercise of the direct right of claim. Considering Article 724(2) of the Commercial Code as an internationally mandatory regulation under Article 20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provides a potential avenue for protecting third partie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Additionally,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it is worth considering Regulation (EC) No 864/2007 of the European Parliament of the Council of 11 July 2007 on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Rome II), which allows direct third party claims to be selectively linked to either the governing law of illegal acts or the governing law of the insurance con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