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상에 있어서 신체의 재현과 탈재현에 관한 고찰

        박현신 ( Hyun Shin Park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신체와 의상의 재현 관계로부터 탈재현 현상으로의 이행에 주목하고, 재현으로서의 의상과 이미지로서의 의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새로운 인간상에 대한 해석으로서의 의상과 이미지로서의 의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새로운 인간상에 대한 해석으로서 파편화되고 조각나 해체된 신체돠 그와 더불어 이상화 된 신체의 재현적 이미지로서의 의상이 불가능하게 된 것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로서 고전적 신체관과 전통작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대 변형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탈재현 현상으로서 의상은 입기나 신체보호의 고정된 기능에서 벗어나 하쇠 문화적 차원의 다양한 의미의 중첩이 가능한 기호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의상을 복수 지시물로서 해석 살 수 있다. 셋째, 신체의 부재는 다양한 신체의 기표들과 의상의 형태들이 신체를 대힌함으로써 부재의 이미지들과 실체들이 실재 대신하는 하이퍼리얼리 즘적 위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의상에서의 탈재현적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잇다. 이는 의상을 단순히 신체와 의상사이의 일대일 대응관계로 논하는 것이 아니라 의상을 입고 있는 신체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과 시대적 이상이나 이념의 반영과 표출과 같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의상을 새로운 조작과 결합에 의한 은유적 재현(Metaphorical Representation)의 기호로 상정하여, 그에 따른 하이퍼리얼리티(Hyperreality)로서의 위상을 밝힌 것이다. This study takes its premise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body and clothing have been on the borders of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and image for a long time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the body and clothing satrted to reflect the phenomenon of misrepresentation. This research searched for and analyyzed various types of misrepresentation of the body and clothing as reflected in fashion. For such an analysis it was essential to rationally examine clothing based on reality and the image. Drawing from a previously established meta-discourse including Lyotard``s postrnodem stance denying wholeness, Deleuze``s position that proposed the logic of the body without organs or senses, Derrida``s deconstmtionism that dissolved the trans-mundance philosophy, and Baudrillard``s image and realism that proposed the world of hyper reality composed of substances without origin, the author found that these concepts were all usefull rational foundations for this study. Because the present smtoms of clothing fashion indicate it deviated from its original purpose as pure body protection, or clothing that represents parts of the body are not isolated single events but the result of contemporaneous speculation and cultural consistency, the above mentioned information and theories were needed. The present characteristics of image, which has revol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significant and signified, gives autonomy to the significant, and can be applied to clothing and the body. Clothing secmed its autonomy from the body and proved the validity of its own existence, and this pbservation is a main thrust of this research. In conclusion, misrepresentative clothing, featuring the absence of body funtions as a new interpertation of the human mode~ adapts itself 세 the ever-changing periodical paradigm of the times. Also misrepresentative clothing emerged from the one-on-on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nd the body 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nd function, and implicitly delivers a message as plural significant. Also these clothing can be regarded as a continuous image since the previous concept of clothing as reality has been reversed and overtmned. Even though today``s clothing is contrived from surreal simulacra and generated from models without origin or reality, and it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or substitute, it lends credence to the idea that the ``Hyperreal`` can be more realistic than the rea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세계관 변혁을 위한 전제주의 변증적 설교: Timothy Keller 모델을 중심으로

        박현신 ( Hyun Shin Park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포스트모던 토양에서 자라난 포스트에브리팅 세대들(post-everything generation)의 세계관에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 중에 하나는 절대 진리에 대한 회의(skepticism), 메타내러티브(metanarrative) 거부(해체), 인식론적 상대주의(relativism)와 주관주의(subjectivism)로 인한 반전제주의(nonpropositionalism)로 분석할 수 있다. 포스트 에브리팅 세대의‘세계관’을 변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성경적 세계관을 전제로 하는 전제주의적 변증적 설교(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가 필요하다. 신자들 안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말씀)’를 묻고 있는 포스트에브리팅 세대들에게‘대답할 것’을 항상 예비하는 것이 변증학적 설교의 사명이다(벧전 3:15). 이런 의미에서 티모시 캘러(Timothy Keller)의 모델은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세계관을 변혁시키기 위해서 전제주의 변증 설교가 얼마나 필요하며, 어떤 원리로 추구해야 하는지를 보여준 탁월하고 균형 잡힌 예라고 할 수 있다. 본 소고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혁주의 전제적 변증학을 넘어 전제주의 변증적 설교의 본질은 무엇인지 논의한 다음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세계관을 변혁시키기 위해서는 왜 전제주의 변증 설교가 필요한지를 제시할 것이다. 둘째, 개혁주의 전제적(복음중심적) 변증 설교의 모델로서 캘러의 뿌리를 고찰하려고 한다. 셋째, 개혁주의 전제주의적 변증학 전통을 기초로 캘러의 변증적 설교에 나타난 5가지 균형화 즉 개혁주의 변증 설교의 균형화, 종교와 비종교가 아닌 복음의 균형화, 복음 중심적 변증 설교의 삼중적 기능의 균형화, 복음에 기초한 적용의 균형화, 복음에 뿌리박은 상황화의 균형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캘러의 모델이 보여준 것처럼, 개혁주의 전제주의 전통 위에서 현재 한국사회의 포스트에브리팅 세대들은 철저히 연구하고, 그들의 세계관을 변혁시키기 위한 전제주의 변증 설교의 필요성을 넘어 구체적인 대안을 구축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개혁주의 변증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포스트 에브리팅 세대에 적합한 균형 잡힌 전제주의 변증 설교를 추구해야 한다. 둘째로 종교(율법, 도덕주의)와 비종교(반율법, 상대주의)를 지양하고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춘 제 3의 길로서 복음신학화를 통한 전제주의 변증 설교의 균형화로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세계관을 변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복음중심적 전제주의 변증의 삼중적 기능(증명, 변호, 비판)의 균형화를 통해 포스트모던 세대들의 삶과 문화를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세계관 변혁을 넘어 총체적인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변화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복음 중심적 전제주의 변증 설교에 있어서 다양한 적실성 범주의 적용 균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포스트에브리팅 세대의 문화를 변혁시켜 나가는 전제주의 변증설교를 위해서는 부족한 상황화와 지나친 상황화의 양극단을 지양하고 균형 잡힌 복음중심적 상황화와 수사학적 청중 분석과 적응(치밀한 전제주의 변증 프로세스가 체계화된)을 통한 문화 변혁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A post-everything world and the postmodern worldview such as skepticism, relativism, subjectivism, nonpropositionalism has influenced the posteverything generation. For the purpose of transforming post-everything generation`s worldview, one necessitates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based on 1 Peter 3:15 (“But in your hearts set apart Christ as Lord. Always be prepared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to give the reason for the hope that you have. But do this with gentleness and respect.”). In this regar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imothy Keller`s model rooted in biblical basis and reformed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This paper, first, deals with the nature of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beyond the necessity of reformed apologetics. In addition, the researcher points out the reason why preachers should draw attention to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to change post-everything generation`s worldview. Secondly, this study discusses about biblical foundation and reformed legacy of Keller`s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Thirdly, while focusing on Keller`s 5 balancing factor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Keller`s methodologies of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Since critically evaluating Keller`s model in light of reformed theology and biblical preaching, Korean preachers need to contextualize his strengthens in the Korean context. In order to transform post-everything generation`s worldview, therefore, preachers need to seek reformed presuppositional apologetic preaching by balancing Gospel-centered apologetic preaching, balancing apologetic functions of the Gospel, balancing life-transforming application(relevance category), and balancing Gospel-rooted contextualization.

      • KCI등재후보

        Toward A Four-Bridge Application Paradigm in Expository Preaching

        박현신(Park Hyun Shin) 한국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1 No.-

        강해설교의 적용이란 성경의 세계와 오늘의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다리 놓는 해석학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석학 영역들에 있어서 적절하게 균형잡힌 이론적 적용 모델의 부재와 현대 설교학에 있어서 삶을 변혁시키는 적용 패러다임의 부재의 현상에 직면하여, 이 논문은 적법한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과 대안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해석학과 적용 사이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적용 방법론 혹은 다리놓기 패러다임들을 재분석함으로써, 나아가 성도들의 삶을 변혁시키기 위한 네 다리놓기 패러다임을 재조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해석학적 적용패러다임의 청사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제시된 적용 패러다임으로써 다리놓기 모델들을 재평가한 후에, 본 논문은 적합한 해석학적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다음의 네 가지로 제시할 것이다: 1) 두 세계 놓여있는 간격들, 2) 최근에 제시된 적용 패러다임들의 공헌과 한계들, 3) 적용 패러다임으로써 해석학적 다리놓기에 대한 몇몇 학자들의 반대주장들, 4) 성경적인 설교모델과 역사적 모델들에 뿌리를 둔 적절한 적용 패러다임의 필요성. 나아가 이러한 해석학적 네 가지 이유들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더욱 구체적인 해석학적 기초, 성경에 나타난 설교와 적용 패러다임의 분석(예, 바울의 설교에 나타난 적용 해석학 패러다임), 역사적 모델의 원문 설교분석(예, 칼빈의 적용 패러다임), 성경적, 역사적 모델들에 나타난 원리들에 뿌리를 둔 네 다리놓기와 체계적인 적용지향적 강해설교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 할 것이다. Application in expository preaching is the hermeneutical mechanism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ancient world and the contemporary world.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a well-balanced theoretical relevance model in hermeneutical areas and a lack of a life-changing application paradigm in contemporary homiletics,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legitimate application paradigm. I attempt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a hermeneutical application paradigm by redra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and application, by reexamining some scholars' application paradigms and bridge-building models, and by refocusing the four bridge paradigm for transforming the audience's lives. In reevaluating a few bridgebuilding application models, I point out the following reasons of the necessity for an appropriate application paradigm: (1) the ostensible gaps, (2) some limitations and inappropriateness of recent applicational bridge paradigms, (3) a few scholars' objections to bridge-building, and (4) the need of a legitimate application paradigm rooted in biblical and historical models. With the four reasons of the dispensability of an application paradigm in mind,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examinations: (1) hermeneutical foundations, (2) biblical models, (3) historical prototypes, and (4) the four-bridge application paradigm.

      • KCI등재후보

        변혁적 설교의 전(全) 과정에서 성령의 다차원적 역할

        박현신(Park, Hyun Shi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2 No.-

        본 소고의 중심 논지는 강해설교의 궁극적인 목적인 청중의 변화된 삶의 열매는 설교의 전 과정(whole process)에서 성령의 다차원적 역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변혁 설교는 성령께서 설교 전 과정에서 설교자를 위한 부으심의 역사, 주해와 적용 과정에서 설교자와 청중을 위 한 조명의 역사, 전달 과정에서 청중을 향한 증명과 설득의 역사, 설교 후 성령 충만한 삶으로 이끄시고 통제하시는 역사에 의해 결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본고의 1장에서 성령이 주도하시는 변혁 설교 패러다임을 위한 설교신학적 근거 및 성경적 기초와 설교사적 기초를 고찰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변혁을 위한 성령의 다차원적 역할 즉 전 과정에서 있어서 성령의 ‘부으심’, 해석과 주해 과정의 ‘성령의 조명하심’과 함께 적용 과정의 조명을 논의할 것이다. 3장에서는 설교의 해석과 적용 과정을 넘어 전달 과정에서 성령의 ‘나타남’을 통한 그리스도 십자가 중심적 설득과 전 달의 역할을 살펴보고, 설교 전달 후에 성령을 좇아 행하는 삶으로 인도하심을 통한 변화의 열매에 대해 간략히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나가는 글에서는 한국교회 강단에 성령이 주도하는 변혁적 개혁주의 설교 회복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entral idea of this study is that preachers should rely on the multidimensional work of Holy Spirit in the whole process, aiming at the fruit of the listener’s transformed life as the ultimate goal of expository preaching. The transformational preaching paradigm, after all, is determined by the multi-dimensional work of the Holy Spirit who anoints the preacher in the sermon preparation, illuminates preachers and the audience in the hermeneutical and applicational process, demonstrates or persuades the listeners in the delivery process, leads or controls the congregation in the Spirit-filled life. In order to prove the thesis, this study carefully investigates the homiletical, biblical, and historical foundation for the purpose of a Spirit-led transformational preaching paradigm in the first chapter. This researcher, in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s unction in the exegetical and relevant bridge. In the third sec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demonstration of the Holy Spirit and Christ-centered persuasion of God’s Spirit in the delivery process. Furthermore, this part examines the decisive role of the Holy Spirit for the listeners’ transformed and fruitful live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e conclusion briefly suggests a homiletical implication of the life-transforming preaching paradigm by the multidimensional work of the Holy Spirit for Korean preachers.

      • KCI등재

        원리화를 통한 트랜스퍼링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박현신 ( Hyun Shin Par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1 No.-

        본고의 중심논지는 청중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성경적 설교 적용의 트랜스퍼링(transferring)을 위한 원리화 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트랜스퍼링의 기준을 분별하여 구체적인 원리화 다리놓기와 방법론을 확립해야 한다는것이다. 첫째, 설교자들은 청중을 변혁시키는 적용의 트랜스퍼링을 위한 원리화 과정의 적용 해석학 차원의 필요성을 냉철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의 지평과 현대 지평 사이에 존재하는 해석학적인 간격을 연결(overarching)하기 위해, 여러 가지 불균형적 적용 오류와 패턴을 방지 하기위해, 다양한 교리적 요소(기준)와 다차원적 적실성을 함의하는 목회적인 구속사 설교를 위해, 기존에 제시된 추상적인 모델들(보편화/특수화 혹은 상황화/재상황화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원리화 다리놓기를 통한 적용 트랜스퍼링 방법론이 필요하다. 둘째, 브릿지빌더로서 설교자들은 트랜스퍼링을 통한 원리화과정에서적용의 보편적인 원리를 발견(분별)하기 위한 ‘기준’(criteria)을 확립해야 할필요가 있다. 트랜스퍼링에 대한 기존의 양극화된 해석학적 논쟁을 넘어 다양한 모델들을 비평적으로 분석하고, 성경과 역사적 모델에 기초한 대안적인 트랜스퍼링의 기준 즉 7가지 교리적 렌즈들(언약 혹은 구속사/그리스도,하나님의 성품, 인간론, 구원론, 교회론, 성령론, 종말론)이 필요하다.셋째 설교자들은 적용의 , 트랜스퍼링을 위한 원리화 과정의 적용 해석학적 필요성과 트랜스퍼링을 통한 원리화 과정에서 적용의 보편적인 원리를분별하기 위한 기준(criteria)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는 차원에 머물지 않고, 원리화 과정을 통한 5단계 트랜스퍼링의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central aim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necessity of a principlizing bridge for transferring author-intended application and to propose a methodology of principlizing process to transform the audience`s lives. Only when preachers are faithful to a life-changing doctrine-based or principle-rooted application paradigm, can they avoid inappropriate application approaches. Although the ladder of abstraction rightly indicates that universal principles of application are rooted in two major doctrinal elements, an expository preacher needs to consider other doctrinal elements. Preachers as bridge-builders should discern legitimate criteria to transfer author-intended application in the principlizing bridge. The purpose of the theological process is to identify the doctrine-based universal principle for specific contextualization and transformational application. In this regard, beyond two extremes of criteria, expositors need to seek a more balanced perspective and to suggest a specific methodology to discern the criteria of universal principle. For understanding criteria of application, preachers must note doctrinal components that call for the appropriate transfer of application. Thus, in order to uncover the master keys that unlock universal principles of application, preachers should consider one redemptive or Christ-centered telescope and seven doctrinal lenses: (1) the unchanging nature of God (theology proper) and creation order, (2) the nature of man (anthropology), (3) hamartiology, (4) soteriology, (5) ecclesiology, (6) pneumatology, (7) eschatology. Preachers not only need a doctrine-based application paradigm, but they also need to seek a methodology to identify doctrine-based criteria for universal principles. On the basis of some models of principlizing process, discussing how to formulate a doctrine-based application paradigm based on the Minor Prophets, Paul, John Chrysostom, John Calvin, Jonathan Edwards, and John Broadus` models is necessary. This paper suggests five steps of a transferring process as a principlizing bridge.

      • 다음 세대 미래전략 수립을 위한 설문결과 분석과 함의: 중고등부를 중심으로

        박현신(Hyun-Shin Park) 신학지남사 2019 신학지남 Vol.86 No.2

        In the midst of a huge storm on Sunday school and the next generation, it is a meaningful step that the education team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conducts surveys on 2,000 churches with church minister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order to formulate future strategies and to establish education policies. Taking this into account, the present writer is to focus on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on 1,885 youth group students.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of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first, analyzes general situations by specifically reviewing nine subjects when it comes to youth group ministry in local churches and future generations. Secondly, in synthesizing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other significant surveys on Sunday School, the researcher suggests ten implications and directions to revitalize the next generation ministries in Korean churches. In conclusion, while considering theological seminaries, Sunday schools, teachers and pastors with youth group ministers, the present writer proposes five futuristic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al tasks on the next generation ministries.

      • 개혁주의 설교의 윤리영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현신(Park, Hyun-Shin)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1

        윤리적 삶의 실패로 인해 한국교회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이슈에 대한 설교학적 연구와 윤리적 적용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설교학에서 윤리적 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본고의 중심논지는 개혁주의 언약신학에 기초한 설교의 윤리적 적용 패러다임을 해석학적, 성경적, 설교학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기독교 윤리의 핵심적 정의들과 기초들, 주요 관점들과 입장들에 대해서 간략히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윤리적 적용의 기준으로서 보편적인 원리들을 분별하기 위한 주요 해석학적 모델들에 대한 간략히 분석한 다음, 원리화 과정의 필요성과 함께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윤리적 적용의 기준으로서 신학적(교리적) 원리들을 비평하고자 한다. 셋째, 개혁주의 언약신학에 근거하여, 보편적(신학적) 원리의 핵심으로서 언약에 기초한 윤리적 적용 구조(프레임)에 대한 성경적 범례들을 십계명과 산상수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넷째, 성경적 언약에 기초한 설교의 윤리적 적용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 본 장은 다차원적 적실성 범주의 중요한 설교학적 함의들과 지향점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Although Korean churches are facing a serious crisis due to moral failures, scholars have a tendency to deemphasize homiletical studies on moral issues and ethical application.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thical application in the homiletic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aradigm of covenant-based ethical application hermeneutically, biblically, and homileticall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core definitions, theological foundations, and key perspectives concerning christian ethics. Secondly, in order to discern universal principles as the criteria of ethical application, the present writer briefly analyzes some hermeneutical models and argues the theological(doctrinal) principles suggested by some scholars with the necessity of principlizing process. Thirdly, in light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 this chapter investigates biblical examples of the covenant-rooted ethical application frame focusing on the Ten Commandments and the Sermon on the Mount. Fourthly, the last chapter is to suggest significant homiletical implications and orientations of a multi-dimensional model of ethical relevance aiming at formulating a covenant-based ethical application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