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근대 대학에서의 국학 전통 양상과 의미

        박해남 ( Hae Nam Park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3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해방된, 특히 대학이라는 연구 중심의 공간에서는 한동안 억눌렸던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였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실상은 그 기대에 부합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좌우의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인한 연구자들의 분산도 한 이유가 되겠지만, 근대 대학의 설립과 운영이 서양 학문의 수용에 초점을 맞춘 미 군정청의 교육 정책을 따라야만 했던 현실 정치적 상황이 더욱 결정적인 이유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도남 조윤제를 비롯한 개별 연구자들의 노력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과 같은 대학 소속 연구기관의 활동 등을 통해 국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흐름이 면면히 이어졌고, 이런 전통이 197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증대하는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ordinary, it is natural that the Korean studies have taken more active interests and research activity in spac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ontrary to public expectations, there were not much notable research results from traditional Korean studies in modern universities. This involved in the scattered scholars because of an ideology confrontation in some ways. But it was more critical that modern universities must complied with education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which based on Western studies. However, the stream of interests and research has continued on without ceasing until now due to a lot of effort of individual researcher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ese activities were assessed as a foundation of an explosion of interests and researches in the Korean studies starting in the 1970s.

      • KCI우수등재

        동북아시아의 사회적 연대와 인식공동체

        박해남(Park, Hae Nam)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5

        이 글은 동북아시아 담론, 특히 대안적 동북아시아론이 현실 변화 가운데 노정한 한계를 검토하고 지역주의의 목표와 실천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0년대 동북아시아의 경제성장과 협력의 증진, 사회주의권의 개방, 포스트담론의 유행 속에서 등장한 대안적 동북아시아론은 2010년을 넘어서며 쇠퇴기를 맞는다. 한반도의 분단 문제 해결을 목표로 삼고 사상가 연대를 실천으로 조직했던 이들의 논의는 역내 갈등의 대두와 사회주의 국가들의 개방 중단, 경제성장의 둔화와 국가의 역할 강화 등의 현실 변화 속에서 한계를 노정했다. 국민국가 중심성, 대안의 비구체성과 실천의 모호성 등이 그것이다. 이 글은 삶의 유동화와 격차의 확대, 사회적 배제 등 새로운 사회문제가 가시화되며, 내셔널리즘이 강화되고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사회문제들의 해결과 대안적 동북아시아론을 접속시키기 위해 ‘사회적 연대’를 새로운 지역주의의 목표로 제시했다. 그리고 국민국가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강대국 지식의 일방적 전파가 아닌 수평적 소통을 추구하는 실천의 플랫폼으로 ‘인식공동체’를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lternative regionalism discourse about Northest Asia and to propose alternatives goals and action plan for promoting new alternative regionalism taking account of the change of the situation around 2010. The alternative regionalism discourse, which emerged in the mid-1990s based on the changes in regional situation, such as growth of economy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opening of the socialist bloc, and growing influence of the post modernity theories, had a lot of influence on the academics and the civic groups during the 1990s and 2000s. However,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changed as nationalism return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opening of socialist countries in the region suspended. This situational change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discourse like nation-state centrism, ambiguous goals and action plans. Because the theorists, most of them Changbi, was based on the positive outlook for the opening and cooperation of Northeast Asian states. Taking into account the new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nstability of life, the widening of gaps and social exclusion, and the return of nationalism, the article argues that the resolution of new social problems and the alternative regionalism should be connected. This study suggests ‘social solidarity’ as the goal of new alternative regionalism and ‘epistemic community’ as a platform for action plan in which the knowledge is relatively free from the nation-state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is probable.

      • KCI등재

        척독 교본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성격 재고

        박해남 ( Hae Nam Park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6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척독 교본을 ‘근대적 글쓰기’의 한 예로 삼아 설명하였다. 하지만 근대 척독 교본의 경우 대부분은 ‘언문일치’ 등으로 대표되는 근대적 글쓰기와는 상관성이 약하고 오히려 전근대적인 한자(또는 한문)에 기댄 경우가 더 많았다. 겉으로 봐서는 편지의 유통을 촉진하는 등의 근대적인 성격을 가졌을 것 같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내용이나 표기 수단에 있어서 상당 부분을 전근대성에 기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척독 교본을 근대적 글쓰기의 증좌라고 단선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일차 결론이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신찬국문가뎡간독』이나 『신찬국문간독』의 경우로 보자면 다른 한편에서는 분명 한글로 된 편지의 보급을 강조한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척독 교본의 맥이 계속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건대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이후의 출판 상황으로 보자면 한문에 기반을 둔 척독 교본이 대세였다. 또한 중세적 산물이라는 척독 교본의 경우 근대 시기에도 방각본으로 출판이 된 것으로 보아 척독 교본만으로 중세와 근대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물론 출판의 형태나 내용에 있어서 일정 정도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중세의 대체품 또는 극복의 결과로 근대 척독 교본이 등장했다고 보기도 어렵다는 것이 또 하나의 결론이다. The modern letter textbook has been considered as a example of modern writing in many researches. However, modern letter textbooks not necessarily related with modern writing represented the ident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It was written by chinese letters not Hangeul. Active commercial publication of modern letter textbook mostly depended on premodern charac teristics in respects of content and means of writing. So, it is difficult that the modern letter textbook regards as a example of modern writing. Around the same time, many Hangeul letter textbooks were published also. It was so complicated situation in the course of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In a word, the publication of modern letter textbooks represented the change of letter culture. It was not replacement of medieval letter textbook but result of transfer to modern times.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프랑스 가족 정책의 변화와 복지 엘리트의 역할

        박해남(PARK Haenam) 프랑스학회 2022 프랑스학연구 Vol.- No.98

        이 글은 1930년대부터 프랑스 가족 정책의 변화에 있어 행정 관련 그랑제꼴을 졸업하고 복지 영역에서 관료의 길을 걸으면서 정책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한 복지엘리트라 불리는 이들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불어권의 복지 정책 관련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중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20세기 프랑스 가족 정책의 역사를 재구성하였다. 프랑스 가족정책의 도입과 발전 과정에서 관료와 지식인의 경계를 오갔던 아돌프 랑드리, 알프레드 소비, 피에르 라로크 등은 시민사회 못지않게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 바가 있다. 관료들의 영향력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법적 지위가 변화한 1960년대 후반부터였다. 1960년대 후반의 자끄 들로르, 1980년대의 질 조아느, 1970-90년대의 베르트랑 프라고나르 등은 정권의 반복되는 교체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가족 정책의 발전을 추진한 이들이었다. 이들이 추진한 가족 정책은 보편주의에서 선별주의로의 이행으로 요약되는데, 이는 정상가족, 다자녀, 전업주부 등을 장려에서 일과 가족의 양립, 빈곤문제 해결과 가족 정책의 결합, 다양한 형태의 가족 허용으로의 변화를 가리킨다. Les « élites du welfare » constituent un groupe de hauts fonctionnaires ayant travaillé dans le secteur social pendant des décennies après avoir été diplômés des grandes écoles, telles que Science Po et l ENA, et ayant contribué aux changements de la politique familiale française au XXe siècle.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es rôles de quelques personnages clés dans l’histoire de l élaboration de la politique familiale française, en analysant la littérature de recherche à ce sujet. Des bureaucrates et intellectuels, tels que Adolphe Landry, Alfred Sauvy et Pierre Laroque, ont joué des rôles majeurs, dans l histoire des débuts de la politique familiale française durant la première moitié du XXe siècle. Depuis les années 1960, ce sont Jacques Delors à la fin des années 1960, Gilles Johanet dans les années 1980 et Bertrand Fragonard entre les années 1970 et 1990, qui ont su dessiner avec consistance la politique familiale française, malgré des changements de régime politique. Ils ont tenté de transformer les politiques familiales centrées sur la famille traditionnelle et les familles nombreuses, à une politique familiale centrée sur des thématiques telles que l’équilibre travail-famille et l’exclusion sociale.

      • KCI우수등재

        다중격차 시대 지역 청년의 자본과 아비투스

        박해남(PARK Haenam),박미희(Park Mihee)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1

        이 연구는 지역 대학이 처한 위기를 직업 수행 역량의 문제로서가 아닌 한국 사회의 다중격차와 결부시켜 사고할 것을 제안한다. 지역 대학을 경험하는 이들의 삶이 한국 사회의 다중격차와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지역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하는 이들이 어떠한 사회경제적 위치를 차지하는지, 한국 사회의 격차는 이들의 생애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자본’과 ‘아비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대전권 지역 청년 3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했다. 수도권 대학과 비교했을 때 지역 대학을 입학하고 졸업한 이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과 소득수준의 가정 배경을 지니고, 보다 적은 금액의 교육 투자를 경험하며, 졸업 후에는 평균적으로 적은 소득을 거두며,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진입할 가능성도 낮다. 연구 참여자들의 성장 과정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자본, 자본축적 전략이나 계획의 미비, 문화자본 위주의 자연적 자본축적 등으로 특징 지워진다. 그리고 이들은 대학 생활 가운데 보통은 경쟁을 회피하려고 하면서도 꿈자본에 단기 투자하며, 주로 단일자본축적형 노동과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느린 속도로 자본을 축적해 간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이러한 격차 문제의 해결 및 토대역량의 확충을 지역 대학의 위기 대응과 연동시킬 것을 제안한다. 지역 청년들의 자본을 다방면으로 확충하기 위한 계획, 충분한 투자, 기회 제공을 통해 괜찮은 일자리와 사회적 인정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e crisis facing universitie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multiple disparities between students who enter and graduate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ose who enter and graduate provincial universities. It compares their socioeconomic positions and explains how the gap between the two is produce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s bot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tatistical data,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30 youths in the Daejeon area using Bourdieu’s concepts of ‘capital’ and ‘habitus’. Compared to those of yout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amily backgrounds of the provincial youth reveal lower levels of income and eduction. These students also experience less educational investment, earn less income on average after graduation, and are less likely to get decent jobs. This gap is produced in the following ways: The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until entering university i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poor levels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 lack of capital accumulation strategies or plans, and a natural accumulation of capitals centered on cultural capital. Therefore, these students continue to accumulate capital more slowly through college life by staying away from competitive environments, investing in dream-capital in the short term, and doing single-capital accumulation work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provincial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should help the provincial youths attain decent jobs through long term investment in capital, planning and strategies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should commit to strengthening capability of the youth so that they get functionings without barriers.

      • KCI등재

        이별(李鼈) "육가(六歌)"의 연원재고(淵源再考)

        박해남 ( Hae Nam Park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1 No.-

        지금까지 李鼈의 ``六歌``에 대한 연원을 논의하는 경우 대부분 이 작품이 ``육가``계 漢詩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다는 전제를 내세우고 있다. 이별의 ``육가``가 金時習의 <東峯六歌>의 영향을 받았고, <동봉육가>는 南宋代文天祥의 <六歌>, 나아가 杜甫의 <同谷七歌>와 연관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작품을 놓고 본다면 이들 사이의 일관된 연관성을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두보의 <同谷七歌>와 문천상의 <六歌>, 김시습의 <東峯六歌>는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영향을 감지할 수 있다. ``七歌``나 ``六歌``계의 한시가 7언을 기본으로 하면서 몇 글자의 드나듦이 있고 전체가 8구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별의 ``육가``는 정형화된 5언 6구로 정형적으로 번역되어 있어 형식에서의 영향을 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 <동봉육가>가 화자의 처연한 심정을 노래하면서도 "부질없이 수염만 쓰다듬는" 소극적 태도를 보임에 반해, 이별의 <육가>는 이황이 "세상을 희롱하고 不恭한 뜻이 있다"는 평가를 내린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신의 은거에 대해 강한 自負를 나타내는 등 내용에 있어서도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김시습의 <동봉육가>와 이별의 ``육가`` 사이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논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나아가 이별의 ``육가``에 대한 연원으로서 김시습의 <동봉육가>←문천상의 <육가>←두보의 <동곡칠가>를 설정하는 것은 폐기하거나 새로운 관점에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Most treatises on the origins of Yi Byul`s six stanzaic poems proceeded from the wrong premises that his works had been affected by the influences from the six stanzanic types of Chinese poetry. Especially, these treatises made a point of the effect of Kim Si-sup`s <Tongbong Six Stanza>. In this research came to a conclusion that it is difficult to show the strict correlation between Korean six stanzanic poems and Chinese ones. It was because they were quite different from form and substance. As a example of Chinese six stanzanic poetry, <Tongbong Six Stanza> was basically made of seven characters to a line and eight verses. However, Yi Byul`s six stanzaic poems consisted of five characters to a line and six verses. In substance, the former song passively the sad story of storyteller while the other spoke for the author`s self-conceit.

      • KCI등재

        1990년대의 국제화 · 세계화와 대중 민족주의

        박해남(Park, Hae-N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7 No.-

        이 글은 1990년대 들어 ‘대중 민족주의’라 불릴 만한 새로운 민족주의가 등장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1980년대 말 한국 사회의 내 · 외적 변화 속에서 가시화된 대중들의 민족주의 담론 소비양상을 분석하여, 1990년대 대중 민족주의의 성격 및 변화의 양상을 드러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국의 민족주의 담론은 구성원의 습속 개조를 통해 낮은 지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발전주의적 민족주의와, 외세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해결책으로 내세우고 종족적 민족을 강조했던 저항적 민족주의로 대별될 수 있다. 1990년대 초반의 대중 민족주의는 저항적 종족적 민족주의를 전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의 국제화 및 경제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지닌 중산층의 등장을 배경으로 형성된 1990년대 초반의 대중 민족주의는, 미국과 일본이라는 강대국을 타자화하는 동시에 종족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그 출발점은 자신감과 경쟁의식이라는 점에서 저항적 민족주의와 차이가 존재한다. 1990년대 후반의 대중 민족주의는 발전주의 세력의 민족주의를 소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경제 성장의 종언과 발전주의 세력의 세계화 담론 생산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 대중 민족주의는 자기계발이라는 습속개조의 실천과 결부 되었고, 미국과 일본의 위치는 한국에 대한 평가자로 재구성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pular nationalism’ was formed and changed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90s. In order that, this study analyzes how the ordinary people in Korean society consumed the nationalism discourse produced by the two elite groups: developmental state and resistant civil society. While the two groups shared the view that Korea was in a low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problem. The views on the other countries - US and Japan - were also poles apart. Popular nationalism in the early 1990s was related to the resistant nationalism. So it features interest in ethnicity and otheriz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owever, the motive was differ from the idea of the resistant civil society, for popular nationalism was based on confidence in economic growth and a sense of rivalry. Popular nationalism in the late 1990s was formed amid the consumption of developmentalistic nationalism. This was the result of the oridinary people"s anxiety about their status and the spread of globalization discourse by the developmental alliance. In the new popular nationalism, the positions of the U.S. and Japan were reconstructed as evaluators to the Korea, and nationalism was combined with the discourse of self-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