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에서 하악 소구치의 변이에 대한 연구

        박하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성인)의 하악 제1,2 소구치의 형태와 관련하여 하악 제 1, 2 소구치의 크기와 형태에 있어서 차이를 살펴보고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제 1, 2 소구치의 크기 및 형태에 관하여 남녀 간의 어떠한 차이점들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하악 제 1, 2 소구치에서 나타나는 한국인 치아의 특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 대상은 한국의 전라남도 광주에 위치한 전남대학교 치의학 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총 78명의 학생(남자 38명, 여자 40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78명의 대상자들의 구강 내 인상을 채득하여 석고를 이용하여 만든 치아 모형(dental stone cast)를 제작하였다. 이 때 교정치료 등으로 인하여 하악 제 1, 2 소구치 중 하나가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석고 모형 12개(남자 5명, 여자 7명)를 제외시켰다. 그리하여 총 66개의 치아모형(남자 33명, 여자 33명)을 이용하여 하악 제 1, 2 대구치의 근원심 폭경, 협설 폭경, 협설 교두의 면적, 협설 교두 면적 비율, 설측 교두의 수, 근심설측구의 유무(하악 제 1소구치), 중심구의 형태(U형, H형, Y형)을 측정하였다. 남녀 간의 성별차이 및 하악 제 1, 2소구치간의 차이와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 결과 값을 측정했을 때 근원심 폭경, 교두간 거리, 협설측 폭경, 협측 교두 면적, 설측 교두 면적, 치관 전체 면적, 협측 교두 비, 설측 교두비에서 하악 제 1 소구치보다 2 소구치에서 평균적 수치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하악 제 1 소구치와 제 2소구치에서 근원심 폭경(p=0.279)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유의성을 가졌다. 남녀간의 비율을 살펴봤을 때 모든 평균치 측정값은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협측 교두의 면적(p=0.005)과 총 교두 면적(p=0.007)에서만 유의한 값을 나타냈다. 하악 제 1 소구치의 특징인 근심 설측구는 전체의 59.1%(남자 51.5%, 여자 66.7%)에서 존재했다. 하악 제 2 소구치에서 패턴의 비율은 Y형>H형>U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하악 제 1소구치에서 한국인의 전반적 치아 크기와 면적이 하악 제 2 소구치보다 작았으며 남자의 치아크기가 여자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남녀 성별 간의 차이에서 협측 교두의 면적과 총면적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남녀 성별 간의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 유아 영어교육의 형태와 영어 학습 기간이 영어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어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박하연 상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학습형태, 학습 기간이 영어의 학습 흥미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W어학원에서 오전 정규과정의 영어유치부와 오후 방과 후반의 일반유치부 1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습형태는 영어유치부와 일반유치부로 구별하였고 학습 기간은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기초반과 1~2년간 선행학습을 한 중급반으로 구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형태와 학습 기간에 따른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그리고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습형태는 학습 흥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어유치부가 일반유치부보다 높은 학업 흥미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기간은 학습 흥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형태와 학습기간은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영어유치부가 일반유치부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 기간이 긴 중급반이 초급반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형태와 학습 기간이 흥미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두 요인 간의 상호 간섭이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흥미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흥미도가 높으면 의사소통능력도 높은 것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수준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특성상 설문 문항을 최소화 실시하였다. 따라서 문항 수와 문항의 다양성이 부족했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항 수와 설문 조사방법이 필요하며 영어교육이 공교육에서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것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이므로 유아와 초등학생의 비교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주제어: 유아영어교육, 영어유치원, 영어학습흥미, 영어의사소통능력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on the levels of learning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mong kindergarten students in Korea. For the study, a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otal, 152 kindergart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wo teachers had interviews. The learning types were categorized into an English kindergarten class and a general kindergarten class, and the length of learning was classified into an elementary class for students, who first start learning English and an intermediate class for those that did prerequisite learning for 1 to 2 years. Then descriptive statistics depending on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two-way ANOVA for identifying perception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among the kindergarten student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interest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arning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nterest, and the students from the English kindergarten showed a higher level of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from the general kindergarten. Second, the length of learn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interest. Third, the learning types and the length of learning influenced communication competences. The students from the English kindergarten had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ces than those from the general kindergarten class, and the students from the intermediate class with a longer length of learning had higher communication those from the elementary class. Fourth, the interactive effects of the learning type and the length of learn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s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ere was no interaction o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terest in English,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est in English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students, this study minimized the questions of the survey. Since this study lacks the number and the diversity of questions, further research would need to apply more diverse questions and survey methods.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possible too in future, because English education is implemented in earnest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keyword : English Education at kindergarten, English Kindergarten, English Learning Interest, English Learning Communication Competence

      • 질 조뱅(Gilles Jobin)의 아바타 댄스 작품 「브이알_아이(VR_I)」의 특성 연구

        박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illes Jobin's avatar dance 「VR_I」. Studying avatar danc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latest trend of art of dance, a connection was found between avatar dance and Loie Fuller, the pioneer of modern dance. To determine clear examples of Fuller’s contribution to the emergence of modern dance in the 21st century with her groundbreaking “skirt dance”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entails an in-depth analysis of the artistic quality of 「VR_I」 and the consequence of the inheritance of Fuller’s artistic tendency. This study identifies the achievement of the pioneering artist by looking at her artistic tendency from three perspectives: “media approach,” “illusional image,” and “the quality of gesamtkunstwerk,” and also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VR_I」 in technical, virtual and interactive senses.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s the artistic quality of avatar dance by discussing Fuller’s artistic tendency, which has served as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vatar dance “from analog media to digital media,” “from illusion to digital virtuality,” and “from gesamtkunstwerk to digital gesamtkunstwerk.”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examples of the influence of Fuller’s artistic tendency on contemporary dance and demonstrates adaptations of her dance in detai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nalyzes the dance aesthetics of avatar dance, which is emerging as a new form of performing arts, and traces its origin in dance history. This study can hopefully highlight the potential of avatar dance as a progressive dance genre which can promote the discussion regarding art of dance at the forefront of new media dance a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uller on contemporary dance in the 21st century, and also shed new light on her underestimated contribution to today’s dance art. 본 논문은 안무가 질 조뱅의 아바타 댄스 「브이알_아이」의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여기서 아바타 댄스란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 속 아바타를 춤의 주체로 삼는 무용 안무를 지칭한다. 연구자는 무용예술의 최신 경향을 심구하고자 하는 의지와 함께 아바타 댄스를 눈여겨보는 과정에서 현대무용의 선구자 로이 풀러와의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19세기 말 당시 ‘치마춤’이라 일컬어진 혁신적인 춤의 형태로 현대무용의 등장을 이끈 풀러의 공헌이 21세기에 이어져 발견되고 있는 결정적인 사례를 규명하고자 「브이알 아이」의 무용예술적 특징을 분석하고 풀러와의 관계 안에서 구체적인 계승 발전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과정은 로이 풀러의 예술관을 ‘매체적 접근’. ‘환영 이미지’, ‘총체예술적 성향’이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정리함으로써 선구적인 그녀의 업적을 파악하였고, 이후 「브이알_아이」의 특성에 대한 작품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 도출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매체에서 디지털 매체로’, ‘환영에서 디지털 가상으로’, ‘총체예술에서 디지털 총체예술로’ 아바타 댄스에 발전을 이룬 로이 풀러의 예술적 특성을 논함으로써 아바타 댄스가 지닌 미학적 특징의 원형을 풀러의 작품 스타일로부터 찾아냈다. 논의 결과, 본고는 로이 풀러의 예술적 특성이 컨템포러리 댄스에 계승된 사례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녀 춤의 구체적인 변용 양상을 증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미래형 공연예술의 새로운 형태로 대두되는 아바타 댄스의 미학적 특징을 진단하고 무용사적인 연원을 추적하였다는 점에 존재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뉴미디어 댄스의 최전선에서 춤에 대한 논의에 활력을 불어넣을 아바타 댄스가 지닌 발전 가능성에 주목이 이루어질 수 있길 바란다. 더불어 풀러의 존재가 21세기 현대춤에 미친 유의미한 영향력과 무용의 역사 안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그녀의 위상이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될 수 있길 기대하는 바이다.

      • 메시지 프레이밍과 수혜자 국적 및 인식가능성이 윤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ump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he ethical consumption still lacks public relations relatively. Sympathy causes altruistic behavior such as ethical consumption. So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ssage framing, beneficiary’s nationality and identifiability in sympathy, for revitalization of ethical consumption. The experiment was a 2(message framing: gain/loss) x 2(beneficiary’s nationality: the Korean/the foreigner) x 2(identifiability :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non-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mixed design. As a result,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to loss framing message than to gain framing message, but the difference of WTP(willing to pay) between two framing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and paid more to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than to non-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identifiability on sympath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participants felt more sympathetic to loss framing message of identifiable single beneficiary. But other interactions were not found. In the end, this paper suggested its own limitation and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of ethical consumption.

      •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이용한 한국 주가수익률의 변동성과 왜도분석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통해 한국 주가수익률의 왜도를 분석한다. Split-Normal 분포 가정을 추가한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 주가수익률의 왜도를 확인하고 표준적인 확률적 변동성 모형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KOSPI와 KOSDAQ 지수 및 시가 총액 기준 섹터별 대장주의 주별 수익률이다. 추정 및 모형비교방법은 베이지안 사후 샘플링(Bayesian posterior sampling)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수 수익률은 음의 왜도를, 개별종목은 양의 왜도를 보이며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그 베이즈팩터(log bayes factor)와 사후확률을 이용한 모형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 사용된 모형이 한국 주가 수익률 분석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뚜렷한 왜도를 확인하기 어려운 일부 종목도 있었지만, 모수 추정결과 왜도가 확인되는 종목에 한해서는 로그 베이즈 팩터와 사후확률(posterior probability)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금까지는 지수 수익률 분석 등에 ARCH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형 모형이 대부분 사용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비대칭 반영) 확률적 변동성 모형을 사용하였다는데 차별성이 있다. 더 나아가 적절한 왜도 추정으로 정규분포를 가정한 리스크 척도의 한계를 극복한 리스크관리와 지수와 개별종목간 자산배분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부정적 정서의 인지적 재해석이 과제수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특정 조합이 이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화나 슬픔과 같은 부정적 정서는 일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과제 수행에 방해가 되곤 한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기 위한 여러 전략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 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 바로 인지적 재해석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정서 조절을 위해서는 여러 인지적 재해석 중에서 각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을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특성과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의 조합을 밝히고, 이것이 과제 수행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같은 부정적 정서이지만 서로 다른 각성 수준을 가져 구분되는 화와 슬픔의 두 정서에 초점을 맞추었다. 화가 유발될 때 현재 느끼고 있는 정서(예. 화)에 대해 다시 한번 확신하는 ‘정서 확신’이라는 인지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현재의 불편한 상태를 외부 상황 혹은 타인의 잘못으로 귀인하여 스스로(self)를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때문에, 이후의 인지적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한편, 슬픔을 경험하게 되면 자신이 그 사건을 잘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지각하게 된다. 따라서 암묵적으로 자기 평가를 절하하게 되는데 이때, 부정적 사건에 대해 긍정적 의미를 덧붙이는 ‘긍정적 재해석’을 하게 되면 스스로 성장했다는 느낌을(a sense of self-growth) 받기 때문에 슬픔으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을 성공적으로 회복하게 되어, 이후 과제 수행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화-정서확신, 슬픔-긍정적 재해석의 조합의 긍정적 영향은 평소 인지적 재해석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유의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위와 같은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디자인은 2(정서 : 화 vs. 슬픔) ⅹ 2(인지적 재해석 : 긍정적 재해석 vs. 정서 확신) ⅹ 2(인지적 재해석 능력 : 높음 vs. 낮음) 피험자 간 요인설계(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이며 종속 변인은 인지적 숙고 과제(cognitive reflection test)였다. 인디아나 대학(Indiana university)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151명(남성 : 102명, 여성 : 49명)이었다. 먼저 슬픔 혹은 화를 회상을 통해 활성화시킨 다음, 특정 지시문에 따라 긍정적 재해석 혹은 정서 확신의 인지적 재해석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인지적 숙고 과제를 풀었으며, 인지적 재해석 능력 등에 응답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독립변인인 정서, 인지적 재해석 종류, 인지적 재해석 능력의 삼원상호작용의 유의하게 나왔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보면, 슬픔을 경험한 사람은 긍정적 재해석을 했을 때 인지적 숙고과제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도 더 높은 점수였다. 특히 이러한 패턴은 예측했던 바와 같이 인지적 재해석의 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화를 경험한 사람의 경우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일부지만 특정 정서와 특히 부합하는 인지적 재해석이 존재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서와 인지적 재해석 간의 조합이 조화로웠을 때 과제 수행 시 정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도 더 높은 성과를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부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며, 성공적인 인지적 재해석이 삶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학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경험회피와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하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검증하고 경험회피와 심리적 유연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온라인 설문을 통해 모집된 전국의 2, 4년제 대학교 재학생으로, 18세부터 29세까지의 남녀 310명의 자료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경험회피 측정을 위한 수용-행동 설문지(AAQ-2), 한국판 심리적 유연성 척도(The-Psy Flex)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 경험회피, 심리적 유연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불안, 경험회피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심리적 유연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사회불안은 경험회피와 유의한 정적 상관, 심리적 유연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험회피는 심리적 유연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경험회피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유연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경로에서 경험회피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보이는 사람이 겪는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적 개입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에게 심리적 유연성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의견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on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experience avoidance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at two- and four-year college and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ho were recruited through an online surveys company and included 310 men and women aged 18 to 29 years ol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Scale (The-Psy Flex).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on model.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ocial anxiety, experience avoidance,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realated. Covert narciss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experience avoidance,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flexibility.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erience avoidance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flexibility. Experience avoidanc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flexibility. Second, experience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ird, psychological flexibility had a non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Although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ce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upported.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reduce social anxiety among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narcissism and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narcissism who are experiencing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적 다형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 개발

        박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정 치료를 결정함에 있어 치근 흡수는 교정 시 흔하게 볼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이고 치료 기간은 중요한 결정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인과 관련하여 targeted next-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해 유전적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치근 흡수와 관련하여 총 118명의 환자, 치료 기간과 관련하여 총 117명의 환자를 통해 염기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고, 각각 가장 상반되는 임상적 수치를 이용하여 집단을 나눈 뒤, chi square test와 t-test 등을 통한 임상데이터 비교 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한 유전형 데이터의 연관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치근 흡수와 관련하여 SPP1의 3개의 SNP와 1개의 SFRP2 SNP가 연관성을 보였고, 치료 기간과 유의미한 WNT3A, SPP1, SFRP2, LRP1, P2RX7, TNFSF11, TNFRSF11A가 연관성을 보였다. 유전자 분석은 유전적 영향과 특징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본 연구는 향후, 교정 치료 중 치근 흡수, 치료 기간과 관련하여 예방과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무용적 신체훈련이 피겨스케이팅 선수에게 미치는 예술표현의 효과

        박하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generally and multilaterally analyzed how dance-related body training affects to artistic expression of figure skater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qualitative cas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with four current Korean figure skaters and one former Korean figure skater, Yuna Kim.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descriptive survey, collection of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Environment of figure skaters, the influence that dance-related body training has to techniques of figure skaters, and the influence that the training has to artistic factor of figure skaters. First, two facts were recognized from the environment of figure skaters. One is that individual skaters think that the importance of artistic aspect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echnical aspect in figure skating. And the other is that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training environment in Korea. In world figure games, skaters do not show big difference in techniqu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rtistic aspect that makes performance of skaters smooth, improves connection between techniques, and improves degree of completion has been recognized. As more and more skaters and experts became interested in artistic aspect, environment for figure skaters has been improved. Since three years ago, dance instructors and dance halls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However, Korea still does not have Ice Rink for figure skaters and does not show enough recognition and system for artistic aspect of figure skating. Second, figure skaters could improve technical aspect through dance-related body training. After the training, body flexibility and extension of body movement showed notabl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ore muscle and techniques was recognized either. Since dancing basically requires stretching to learn and perform high-level movements, flexibility is necessary for dancers. As for figure skaters, flexibility is also necessary to show high-level performances since it improves techniques of skaters through extended body movemen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ore muscle is very important to perform various techniques. Since dance-related body training can develop not only core muscle but small muscles that skaters have not used before, it was clear that the training improves technical aspect of figure skaters. Third, figure skaters could improve artistic aspect through dance-related body training. Skaters showed progress in four big parts: Emotion expression and acting ability, comprehension about music and character, improvising movement, and immersion and confidence. To maximize emotion expression, understanding body is important because body is a tool for figure skaters. And this can deliver true emotion and performance to audiences. Through dance lessons, figure skaters could practice unexperienced performances with songs of various genres, which helped skaters understand songs and understand which characters and acting would be the best for each songs. And such knowledge was applied to each program of individuals. Also, through meeting various genres and training many body movements, skaters become good at improvising acting. This not only developed their expressing ability but also allowed them to show most suitable performance. Moreover, through aforementioned training and completion in performance, skaters could maximize their immersion and confidence while showing their programs. 본 연구는 무용적 신체훈련이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에게 미치는 예술표현의 효과에 대하여 총체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선수 4명과 전 국가대표 피겨스케이팅 김연아 선수와 유목적 표집을 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서술적 설문조사, 문서수집 그리고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의 환경, 무용적 신체훈련이 기술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예술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의 환경을 통하여 2가지를 알 수 있었는데, 선수들 개인이 생각하는 피겨스케이팅에서의 예술적 측면의 비중도가 거의 기술적 측면의 비중도와 유사하다는 것과 훈련환경에 아직까지 제약이 있다는 점이다. 세계권 경기 시, 많은 선수들이 기술에 대한 숙련도가 비등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주며, 기술과 기술 사이의 연결성을 높여주고 안무의 완성도를 높이는 예술적 측면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예술적 측면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서 3년전부터 무용안무 선생님이 초빙되고 무용홀 등 많은 환경의 개선이 되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피겨스케이팅 전용 빙상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타 국가에 비해 예술적 부분에 대한 인식과 시스템이 부족한 편이였다. 둘째, 무용적 신체훈련을 통하여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기술적 측면을 향상 시킬 수 있었는데 크게 2가지 유연성과 신체움직임의 확장 그리고 근육의 발달(core)과 테크닉 향상에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은 스트레칭이 기본이 되어야만 다양한 동작들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 요소 중 하나가 유연성이다. 피겨스케이팅 선수들도 난이도 높은 기술이나 안무들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밑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신체움직임의 확장으로 기술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테크닉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중심 축이 되는 근육(core)의 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무용적 신체훈련은 중심 근육뿐만 아니라 선수들이 잘 사용하지 않았던 작은 근육들까지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의 기술적 측면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무용적 신체훈련을 통하여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예술적 측면을 향상 시킬 수 있었는데 크게 4가지 감정표현과 연기력, 음악과 캐릭터의 이해, 즉흥동작향상, 그리고 몰입도와 자신감으로 나뉜다. 감정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매개체가 되는 신체의 활용도와 이해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진실된 표정과 연기력이 보는 사람들에게까지 감동을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무용수업을 하며 접하지 못했던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맞추어 다양한 안무를 연습하면서 음악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고 장르에 따른 가장 잘 어울리는 캐릭터와 안무가 무엇인지 이해하며 선수 개인의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장르를 접하고 많은 신체 동작을 훈련함으로써 즉흥동작이 향상되어 표현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가장 본인에게 맞는 안무를 구사할 수 있었다. 위에 언급된 모든 안무에 대한 충분한 훈련과 완성도로 인하여 선수는 경기 시 몰입도와 자신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