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양 폐금광 수계에 형성된 철수산화물에 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박천영,정연중,김성구,Park, Cheon-Young,Jeoung, Yeon-Joong,Kim, Seoung-Ku 한국지구과학회 2001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2 No.3

        이 연구는 전남 광양광산과 그 주변의 하천에 형성되어 있는 부유성 비정질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유성 비정질 퇴적물의 주요성분은 Fe$_2$O$_3$이며, Fe$_2$O$_3$의 함량은 17.9${\cdot}$72.3wt.% 범위로 나타난다. Fe함량이 증가하면 Si, Al, Mg, Na, K, Mn 및 Ti 함량이 감소하며 Te, Au, Ga, Bi, Cd, Hg, Sb, 및 Se등의 함량은 증가한다. 하상 침전물인 비정질 퇴적물에는 As(최대 54.9ppm), Bi(최대 3.77ppm), Cd(최대 3.65ppm), Hg(최대64ppm), Sb(최대 10.1ppm), Cu (최대 37.1ppm), Mo(최대 8.86ppm), Pb(최대 9.45ppm) 및 Zn(최대 29.7ppm) 등의 중금속원소가 농집되어 있다. 황갈색 침전물에는 Au(최대 4.40ppm)와 Ag(최대 0.24ppm)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며, Au함량은 하천의 상류지역에 높은 함량을 보이다가 하류지역으로 갈수록 그 함량이 감소한다. 반면에 Ag 함량은 상류지역의 하천에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하류지역으로 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여 나타난다. XRD분석에서 하상의 황갈색 침전물은 X-선회절선이 뚜렷하지 않은 비정질이거나 결정도가 미약한 철수산화물로 밝혀졌으며, 석영, 침철석, 고령토, 일라이트 등이 관찰된다. IR분석에서 비정질 하상 퇴적물은 OH기, H$_2$O, SO$_4$ 및 Fe-O 기에 의한 흡수밴드가 관찰된다. Geochemical investigations on suspended amorphous iron oxide material from the Kwangyang gold mine and its surrounding area, Cheonnam, Korea have been carried out. The sediment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 location along Kwangyang mine area and were air dried and sieved to -80 mesh. These samples consist mainly of iron, silicon and alumina. The Fe$_2$O$_3$ contents ranges from 17.9 wt.% to 72.3 wt.%. The content of Fe$_2$O$_3$ increase with decreasing Si, Al, Mg, Na, K, Mn, and Ti, whereas the contents of Te, Au, Ga, Bi, Cd, Hg, Sb, and Se increase in the amorphous stream sediments. Amorphous stream sediments have been severely enriched for As (up to 54.9 ppm), Bi (up to 3.77 ppm), Cd (up to 3.65 ppm), Hg (up to 64 ppm), Sb (up to 10.1 ppm), Cu (up to 37.1 ppm), Mo (up to 8.86 ppm), Pb (up to 9.45 ppm) and Zn (up to 29.7 ppm). At the upstream site, the Au content (up to 4.4 ppm) in the amorphous stream sediments are relatively high but those contents decrease with distance of mine location. The content of Ag (up to 0.24 ppm) were low in upstream site but those contents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downstream sites.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samples have virtually no sharp and discrete peaks, indicating that some samples are amorphous or poorly-ordered. The quartz, goethite, kaolinite and illite were associated in amorphous stream sediments. The infrared spectra for amorphous stream sediments show major absorption bands due to OH stretching, adsorbed molecular water, sulfate and Fe-O stretching, respectively.

      • KCI등재

        미생물 기원의 나선형 및 협막구조물에 형성된 침철석과 레피도크로사이트의 결정화작용

        박천영,조상섭,Park, Cheon-Young,Cho, Sang-Seob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6

        연구 목적은 미생물기원으로 추측되는 나선형구조물과 협막구조물에 형성된 침철석과 레피도크로사이트의 광물화작용, 그리고 철수산화물 중에 함유된 중금속함량의 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오염된 지하수와 비오염된 지하수의 Cl과 Br의 함량 그리고 Cl/Br의 비율을 이용하여 본 지하수의 오염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인간 활동에 의하여 오염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갈색 철수산화물을 구성하는 주성분은 $Fe_2O_3$와 $SiO_2$로 나타났다. $Fe_2O_3$ 함량은 58.57wt.%에서 75.73 wt.% 범위이고, $SiO_2$ 함량은 5.8 wt.%에서 16.17 wt.% 범위로 나타났다. 황갈색 철수산화물에 고 함량으로 함유된 중금속원소는 Zn(최대 6,160 mg/kg), Pb(최대 377 mg/kg), U(최대 503 mg/kg), Cr(최대 203 mg/kg) Cu(최대 77 mg/kg), V(최대 162 mg/kg) 및 Ni(최대 105 mg/kg) 등이다. 래스상과 엽편상의 결정들 그리고 침상의 결정들이 나선형구조물과 협막구조물에 발달 돤 것이 관찰되었다. 황갈색 철수산화물에 대한 x-선 회절분석에서 침철석, 석고 및 레피도크로사이트가 관찰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biomineralization of goethite and lepidocrocite formed on the twisted-stalk and the sheathed-filament structure that is suggest microbe origin, and heavy metal in the yellow Fe-hydroxide. On the ratio of Cl and the Cl/Br ratios that are a pollution and non-pollution of groundwaters, it is indicated that the groundwater in this areas were relatively contaminated by human activity. The composition of the yellow Fe-hydroxide consisted mainly of $Fe_2O_3$ and $SiO_2$. The content of $Fe_2O_3$ ranges from 58.57 wt.% to 75.7 3wt.%, and $SiO_2$ content ranges from 5.8 wt.% to 16.17 wt.%. Heavy metal elements such as Zn(max. 6,160 mg/kg), Pb(max. 377 mg/kg), U(max. 503 mg/kg), Cr(max. 203 mg/kg), Cu(max. 77 mg/kg), V(max. 162 mg/kg), Ni(max. 105 mg/kg) were observed to be rich in those yellow Fe-hydroxide. The lath and platy crystals and needle-shaped crystals were clearly observed on the twisted-stalks and sheathed-filaments structure. The goethite, gypsum, and lepidocrocite were identified in the yellow Fe-hydroxide by x-ray powder diffraction.

      • KCI등재

        $42^{\circ}C$에서 토착호산성박테리아의 황철석 표면에 대한 선택적 부착과 용출 특성

        박천영,김순오,김봉주,Park, Cheon-Young,Kim, Soon-Oh,Kim, Bong-J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2

        광양 광산 폐석더미에 많은 양으로 방치되어 있는 황철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을 보다 효과적으로 용출시켜내기 위해서 $42^{\circ}C$에서 미생물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42^{\circ}C$의 미생물 용출 실험에서 생존할 수 있는 토착 호산성박테리아를 일본 하쵸바루 산성 온천수에서 채취하였고, 박테리아의 용출능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하여 황철석-용출 배양액에 yeast extract를 첨가하였다. 원소황과 yeast extract가 포함된 성장-배양액에서 성장한 토착박테리아들은 막대 모양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약 $0.7\times2.6\;{\mu}m$, $0.6\times7\;{\mu}m$, $0.8\times5\;{\mu}m$ 및 $0.7\times8.4\;{\mu}m$인 박테리아들이 황철석 표면에 부착하였다. 막대 모양의 박테리아들은 황철석 표면에 발달한 육각형 공동 주변과 공동 안쪽 벽면에 집중적으로 군집을 형성하여 부착하였다. 길이가 약 $4.92\;{\mu}m$에서 약 $10.0\;{\mu}m$인 filament-shaped 박테리이들이 황철석 표면의 크랙 주변과 크랙 안쪽 벽변에 부착하였다. 황철석에 대한 XRD분석에서, 박테리아에 반응시킨 시료가 비교시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11), (311), (222) 및 (320) 결정면들의 강도는 감소하였고, (200), (210) 및 (211)의 결정면들의 강도는 증가하였다. Fe 이온은 미생물학적 용출량이 화학적 용출량에 비하여 3.4배 이상 높게 용출되었고, Zn 이온은 화학적 용출량보다 미생물학적 용출량이 2배 이상 높게 용출되었다. 토착호산성박테리아가 황철석의 특정 표면을 선택적으로 공격히는 것을 SEM 및 XRD분석에서 확인하였다. 앞으로 보다 더 높은 온도로 미생물 용출실험을 실시한다면 보다 많은 유용금속이온이 용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bioleaching experiment under $42^{\circ}C$ was effectively carried out to leach the more valuable element ions from the pyrite in the Gangyang mine waste. Bacteria can survive at this temperature, as indigenous acidophilic bacteria were collected in the Hatchobaru acidic hot spring, in Japan. To enhance the bacterial activity, yeast extract was added to the pyrite-leaching medium. The indigenous acidophilic bacteria appeared to be rod-shaped in the growth-medium which contained elemental sulfur and yeast extract. The rod-shaped bacteria ($0.7\times2.6\;{\mu}m$, $0.6\times7\;{\mu}m$, $0.8\times5\;{\mu}m$ and $0.7\times8.4\;{\mu}m$) were attached to the pyrite surface. The colonies of the rod-shaped bacteria wer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surroundings of a hexagonal cavity and the inner wall of the hexagonal cavity, which developed on a pyrite surface. Filament-shaped bacteria ranging from $4.92\;{\mu}m$ to $10.0\;{\mu}m$ in length were subsequently attached to the surrounding cracks and inner wall of the cracks on the pyrite surface. In the XRD analysis, the intensity of (111), (311), (222) and (320) plane on the bacteria pyrite sample relatively decreased in plane on the control pyrite sample, whereas the intensity of (200), (210) and (211) increased in these samples. The microbiological leaching content of Fe ions was found to be 3.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hemical leaching content. As for the Zn, microbiological leaching content, it was 2 times higher than the chemical leaching content. The results of XRD analysis for the bioleaching of pyrite indicated that the indigenous acidophilic bacteria are selectively attacked on the pyrite specific plane.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valuable element ions can be leached out from the mine waste, if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in future bioleaching experiments.

      • KCI등재

        토착박테리아를 이용한 광산찌꺼기 황철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 용출 특성: 상온에서 칼럼 용출

        박천영 ( Cheon Young Park ),조강희 ( Kang Hee Cho ) 한국광물학회 201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3 No.3

        광산찌꺼기로 방치되어 있는 황철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을 효과적으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황산을 첨가하지 않고 실험실온도에서 칼럼 미생물용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칼럼 미생물용출 실험 결과 2차 생성물의 형성을 발견할 수 없었고, 비교시료보다 박테리아 시료에서 Fe 이온 함량이 14배 이상으로 높게 용출되었다. SO4(2-) 함량은 비교시료보다 박테리아 시료에서 약 2.99배 이상으로 높게 용출되었다. XRD 분석결과, 황철석의 (111), (200), (220), (311), (222), (230), (321) 결정면에 해당되는 강도가 비교시료에서 보다 박테리아 시료에서 감소하였고, (210)와 (211) 결정면의 강도가 박테리아 시료에서 증가하였다. A column bioleaching experiment at room temperature with no addition of sulfuric acid was effectively carried out to leach the valuable elements from pyrite, which is common mine waste. The Fe concentration of pyrite leachate from bioleaching column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leachate, and secondary minerals were not formed. The SO4(2-) concentration of the pyrite leachate was 2.99 times higher. The XRD intensity of the (111), (200), (220), (31]), (222), (230) and (321) planes of pyrite decreased, whereas the intensity of (210) and (211) increased after column bioleaching.

      • KCI등재

        울진 자류철석 표면에 부착한 고온성박테리아와 2차 생성물의 특성

        박천영 ( Cheon Young Park ),김봉주 ( Bong Ju Kim ) 한국광물학회 201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3 No.4

        자류철석 표면에 부착한 고온성박테리아들과 이차 생성물을 전자현미경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일본 산성 온천수에서 채취된 고온성박테리아를 자류철석에 42℃, 52℃, 62℃에 각각 접종하였다. 반응된 자류철석 표면에는 2차 생성물과 막대 모양의 박테리아들이 각각 부착하여 나타났다. 자류철석 표면에 부착한 박테리아들의 크기는 0.4 × 1.5 μm에서 0.3 × 11.9 μm 범위였다. 박테리아들은 세 포외중합체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들 세포외중합체물질의 기능은 극한 환경으로부터 박테리아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원소 황, 철수산화물, S와 Fe로 구성된 결정들, 그리고 O, P, Fe 결정들이 2차 생성물로 관찰되었다. Characteristics of thermophilic bacteria and secondary materials on the pyrrhotite surface were investigat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thermophilic bacteria from an acid hot spring in Japan were incubated with pyrrhotite at 42℃, 52℃, and 62℃, respectively. SEM analysis of the reacted pyrrhotite showed that indigenous rod-shaped bacteria ranging from 0.4 × 1.5 μm to 0.3 × 11.9 μm in size were attached to the pyrrhotite surface at these temperatures with formation of secondary materials. Extracellular polymer substances were formed on the bacterial surface. We suggest that these polymers functioned as a capsule protecting bacteria from the extreme environment. Secondary materials such as elemental sulfur, Fe-hydroxide, S-Fe and O-P-Fe compounds were found on the pyrrhotite surface.

      • KCI등재

        상온에서 토착박테리아를 이용한 방연석의 용출 특성

        박천영 ( Cheon Young Park ),김순오 ( Soon Oh Kim ),김봉주 ( Bong Ju Kim ) 한국광물학회 201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3 No.4

        방연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을 용출시키기 위하여 토착박테리아를 실험실온도에서 최적의 pH 조건이 아닌 상태로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도 0.4 × 1.2 μm에서 0.5 × 1.7 μm 범위의 막대 모양 박테리아들이 방연석 표면에 부착하였다. 미생물 용출실험 19일 후에, Pb, Fe, Zn 이온 함량이 비교시료에서 보다 박테리아 시료에서 각각 약 347, 222, 1.7배 이상으로 높게 용출되었다. 수많은 육각형 주상의 결정들이 방연석의 표면에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결정들은 토착 박테리아의 미생물학적 산화작용에 의하여 방연석으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XRD 분석에서, 황산연광에 해당되는 회절선이 방연석 시료에서 관찰되었다. 만약 박테리아가 최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pH 조건과 온도 조건을 조성해 준다면 더 많은 유용금속 이온이 방연석으로부터 용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ch valuable metals from galena using indigenous bacteria with no optimum pH conditions at room temperature. Even in these conditions, the rod-shaped indigenous bacteria, ranging from 0.4 × 1.2 μm to 0.5 × 1.7 μm, we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alena. For the 19 days of the bioleaching experiment, the content of Pb, Fe, Zn ions was found to be 347, 222 and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leaching agent, respectively. Numerous hexagonal column crystal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galena. Those crystals may be formed from the biooxidation of galena by the indigenous bacteria. XRD analysis showed the peaks of anglesite observed in the bioleached galena. It is expected that more valuable elements can be leached out of the galena, if the bacteria is used under optimum pH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 future bioleaching experiments.

      • KCI등재

        전주지역 엽리상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Sr ${\cdot}$ Nd 동위원소 조성

        신인현,박천영,정연중,Shin, In-Hyun,Park, Cheon-Young,Jeong, Youn-Joong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옥천대 중앙부에 위치한 전주 엽리상화강암체에 대한 전암화학 및 Sr, Nd동위원소 조성을 측정하여 화강암체의 관입시기와 기원을 파악코자 하였다. 본 암체는 중립 내지 조립질의 엽리상 흑운모 화강암으로 중성 내지 산성 조성을 보여 비교적 넓은 조성변화를 갖는다.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하고, 대륙 및 호상열도의 지구조환경에서 형성된 화강암류의 특징을 나타낸다. 분석된 시료를 이용한 Rb-Sr 전암연령은 168.2${\pm}$8 Ma(2${\sigma}$)이고, Sr 초생치는0.71354${\pm}$0.00031로서 중생대 쥬라기 중기 관입암체에 해당된다. $^{143}$Nd/$^{144}$Nd 비는 0.511477${\sim}$0.511744의 범위를 갖고 있다. 168.2Ma로 표준화한 ${\varepsilon}$Nd 값은 -15.4${\sim}$-21.2, ${\varepsilon}$Sr 값은 +108.8${\sim}$+l42.6이고, 맨틀에 대한 모델연령은 1.82${\sim}$2.89Ga이다. 이러한 동위원소 조성은 전주 엽리상화강암체를 형성한 마그마가 대륙 지각물질의 부분용융산물임을 나타낸다. Composition of the major and trace elements, Rb-Sr isochron age Sr-Nd isotope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or foliated in the Jeonju area, in the middle part of the Ogcheon Fold Bet, Korea.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onju foliated granite indicate that the granite had been crystallized from a calc-alkaline series, and formed in a volcanic are environment. The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Jeonju foliated granite give Rb-Sr whole rock errorchron age of 168.2${\pm}$8 Ma(2${\sigma}$), corresponding to the middle Jurassic period, with the Sr initial ratio of 0.71354${\pm}$0.00031. $^{143}$Nd/$^{144}$Nd ratios, ${\varepsilon}$Nd and ${\varepsilon}$Sr values range from 0.511477 to 0.511744, -15.4${\sim}$-21.2, and +108.8${\sim}$+l42.6, respectively. Model ages were caculated to be 1.82${\sim}$2.89Ga. The isotopic data of Jeonju foliated granite indicate that the source material may have been derived from partial melting of continental crust materials.

      • 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과자력/수력선별에의한자연금및자철석의선별효과

        이종주,박천영,Lee, Jong-Ju,Park, Cheo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2

        본 연구는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과 자력/수력선별을 이용하여 정광으로부터 자연 금을 회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실험을 통해 용출용액으로부터 불용성-잔류물을 여과하였다. 용출용액을 원자흡수분광기(AAS)로 분석한 결과 Au는 전혀 용출되지 않은 것을 그리고 불용성-잔류물을 후방산란전자영상(BSE)으로 관찰한 결과 자연 금이 단체분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용성-잔류물을 자력/수력선별 하여 자성광물과 비-자성광물로 선별하였다. 자성광물에서 자철석이 회수되었고, 비-자성광물을 다시 수력선별한 결과 자연 금이 회수되었다. 자연 금은 X선 회절 분석(XRD)과 BSE 영상에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recover native gold from the concentrate using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and magnetic/hydro separation experiments. The insoluble-residue was filtered from leaching solution through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AAS) analysis of the filtered leaching solution, it was discovered that Au content was not eluted at all and it was observed from the back scattered electron(BSE) image that native gold was liberated in the insoluble-residue. When magnetic/hydro separation experiments were applied for the insoluble-residue, magnetic and non magnetic minerals were separtated from insoluble-residue. Magnetite was recovered from the magnetic minerals a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hydro separation experiment again for the non-magnetic mineral, native gold was recovered. The native gold was identified through the X-ray diffraction(XRD) analysis and BSE image.

      • KCI등재

        광양-승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이창신,김용준,박천영,이창주,Lee, Chang Shin,Kim, Yong Jun,Park, Cheon Young,Lee, Chang J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2 자원환경지질 Vol.25 No.1

        The pluton rocks in Kwangyang-Seungju area consist of two mica granite, hornblende diorite, Rimunri quartz diorite, grnodiorite porphyry and granophyre. The analysis of the geochronological data by the methods of K-Ar for the hornblende from Rimunri quartz diorite and hornblende diorite show that the ages are found to be $86{\pm}3.3$ Ma and $108{\pm}4$ Ma, respectively, and K-Ar age for chlorite from the altered two mica granite which intruded by the hornblende diorite of the Bonjeong mine shows $108{\pm}4$ Ma; K-Ar age for sericite from the greisenized hornblende diorite,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onjeong ore deposits, is dated as $94.2{\pm}2.4$ Ma. They correspond to the igneous activity of the Bulgugsa Disturbance periods in the area. In chemical feature for oxides versus silica and AFM triagular diagrams of the pluton rocks in the study area, there is a sugges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se rock facies area a Calc-alkali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by low-pressure crystal fractionation processes in $SiO_2$-undersaturated suites. Compared with hornblende diorite, andesite and granodiorite porphyry, two mica granite, Rimunri quartz diorite and granophyre exhibit a wider range of normalized REE abundance and negative Eu anomalies. Such anomalies imply more extensive feldspar fractionation during crystallization. The Rimunri quartz diorite and hornblende diorite occurring in the margin of four mines(Bonjeong, Okdong, Soungchei and Saungyeul) of this area have high contents of As, Sb, Cu and Zn which have been shown as the best indicators in hypogene gold deposits and low contents of Ba, Cr served as more sensitive indicators. And the granitoids are regarded as the rocks associated with gold and sulfide mineralization of the area.

      • KCI등재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금정광내 Te 회수 특성

        김봉주,조강희,조지유,최낙철,박천영,Kim, Bong-Ju,Cho, Kang-Hee,Jo, Ji-Yu,Choi, Nag-Choul,Park, Cheo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6

        In order to obtain pure metallic Te from gold concentrate, roasting treatment, hypochlorite leaching, Fe removal and electrolys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contents of Au, Ag and Te from the concentrate sample and roasted sample were much more soluble in the hypochlorite solution than in aqua regia digestion, whereas the metals Pb, Zn, Fe and Cu were easier to leach with the aqua regia than the hypochlorite. With the addition of NaOH in the hypochlorite leaching solution prior to electrolysis, the Fe removal rate achieved was only 96% in the concentrate sample, while it reached 98% in the roasted sample. The results of electrolysis for 240 min, 98% of the metallic copper was recovered from the concentrate sample, while 99% was obtained from the roasted sample due to the removal of S by roasting. The amount of anode slime was also greater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with the roasted sample than with the concentrate sample. The results on the anode slime after the magnetic separation process showed the amount of metallic pure native tellurium recovered was greater in the roasted sample than in the concentrate sample. 금 정광으로부터 순수한 금속 형태의 Te을 얻기 위하여 소성처리, 차아염소산 용출, Fe 제거 및 전기분해실험을 수행하였다. 정광 및 소성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Au, Ag 및 Te는 왕수보다 차아염소산에서 더 많이 용해된 반면에 Pb, Zn, Fe 및 Cu는 차아염소산보다는 왕수에서 더 많이 용출되었다. 전기분해하기 전, 차아염소산 용출-용액에 NaOH를 첨가한 결과 Fe가 정광시료에서 96% 제거되었지만 소성시료에서는 98% 제거되었다. 전기분해실험을 240분 동안 수행한 결과, 금속 구리가 정광시료에서 98% 회수된 반면에 소성시료에서 99%나 회수되었다. 이는 소성처리에 의하여 S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양극 슬라임도 정광시료보다 소성시료의 전해질 용액에서 더 많이 생성되었다. 양극 슬라임을 자력선별한 결과 순수한 자연금속 형태의 텔루륨이 정광시료보다 소성시료에서 더 많이 회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