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쟁 전후 해남군에서의 민간인 학살

        박찬승 한국구술사학회 2012 구술사연구 Vol.3 No.1

        한국전쟁기 해남군에서는 인근의 강진, 완도에 비해 학살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가 더 많이 발생했다. 과연 어떤 과정을 통해 얼마나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으며, 그 이유는 무 엇일까. 해방 직후 해남군에서도 다른 군과 마찬가지로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가 만들 어졌다. 그리고 이는 식민지시기부터 사회주의운동을 해온 이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 나 미군이 들어오면서 이들은 체포되거나 수배되었고, 미군정에 의해 우익세력이 군청과 경찰서를 장악하였다. 이에 반발한 좌익세력은 1946년 11월 대규모 군중봉기를 일으켰 다. 해남군의 군중봉기는 같은 시기 전라남도에서 발생한 군중봉기 중 가장 격렬한 것이 었다. 미군정과 경찰은 이 봉기에 참여한 이들을 체포하였으며, 도피하여 입산한 이들을 토벌하였다. 이후 보도연맹이 만들어졌을 때, 경찰은 11월 봉기 참여자들을 강제로 가입 시켰으며, 그 수는 6백여 명을 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경찰은 보도연맹원들을 소집하여 갈매기섬과 해창리로 끌고 가 서 사살하였다. 그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50명 이상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해남경찰 서의 경찰들이 후퇴한 뒤 나주 경찰이 해남에 들어왔다. 나주 경찰은 인민군처럼 행세하 면서 몇몇 마을에 들어가, 인민군 만세를 부르는 주민들을 사살하였다. 이 일로 희생된 민간인은 55명에 달하였다. 나주부대가 완도로 들어간 뒤, 이번에는 인민군이 해남에 들 어왔다. 인민군은 인민위원회와 각종 좌익단체를 조직하였으며, 이들을 동원하여 경찰 가 족과 우익 관계자들을 잡아들였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일부를 살해하였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위원회’에서 확인한 우익 관계자 희생자는 37명인데, 확인되지 않은 경우도 많을 것이다. 10월 초 인민군이 후퇴하면서 이에 협력한 이들도 함께 입산한 경우가 많 았다. 경찰과 대한청년단은 마을에 남아 있던 부역혐의자와 그들의 가족을 대거 잡아들였 고, 이들 가운데 상당수를 재판 없이 처형하였다. 해남군 유족회는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좌익측 희생자가 약 1800명 정도였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반면에 당시 경찰에 근무했던 이는 한국전쟁기 좌우익 희생자를 합쳐서 7백 명 정도 된다고 보고 있다. 실제 숫자는 아마도 그 사이에 있을 것 같다. 해남군에서 이와 같이 많은 희생자가 난 것은 1930년대 전남운동협의회의 산하 농민 조합 조직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해방 이후 해남군의 좌익세력이 크게 강화되었고, 그 결과 1946년 11월 봉기에 많은 이들이 참여했고, 이로 인해 보도연맹에 가입된 이들이 매우 많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박찬승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백두산은 오늘날 흔히 ‘민족의 영산’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그리고 한국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백두산은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조선 산천의 조종산이라는 지리적 표상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조선후기에 백두산은 중국의 곤륜산과 대등한 명산으로서, 조선의 소중화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또 1712년 백두산정계비를 세워지면서 백두산의 일부가 조선의 영토에 확실히 편입되었기 때문에, 비록 소수이지만 백두산에 관심을 갖고 이곳에 다녀오는 이들도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들어 함경도의 주민들 가운데 두만강을 건너 간도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이들은 백두산정계비에 나오는 토문강은 두만강과 다른 강으로서 송화강의 한 지류라고 주장하였다. 대한제국 정부도 한때 그와 같은 인식을 갖고 청국과 국경 교섭에 나섰다. 그러나 1712년 정계비를 세울 당시 ‘토문강은 두만강과 같다’고 기록한 문서가 발견되면서 정부는 이와 같은 주장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청국과의 국경 분쟁 과정에서 지식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높아졌다. 그런 가운데 1908년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독사신론」에서 삼국유사의 단군 관련 기사에 나오는 태백산은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근거가 확실한 것은 아니었다. 1909년 나철은 단군교(1년 뒤의 대종교)를 세우고 신채호의 설을 이어받아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주장은 1910년대 대종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1920,30년대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이를 더욱 확산시켰다. 두 신문사는 백두산 탐험단을 조직하고, 강연회, 전시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대중들 사이에 크게 확산시켰다. 그리고 이를 권덕규, 최남선 등이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려 노력했다. 그런 가운데 동아일보는 ‘백두산은 조선의 영산’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富士山은 일본의 영산’이라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백두산은 이제 지리적 표상보다는 역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더 갖게 되었다. 해방 이후 남한 사람들은 한동안 백두산을 갈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중반 중국을 통해 백두산에 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남한의 언론과 관광업계는 ‘백두산=민족의 영산’이라는 담론을 만들어냈다. 물론 이는 ‘백두산=민족탄강지’라는 담론을 더 추상화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백두산=민족 분단과 통일염원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덧보태어졌다. 또 최근에는 한반도의 모든 산맥이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백두산의 지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도 다시 강조되고 있다. Mt. Baekdu is commonly called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today. When did this expression first come out? In addition, how has the people’s awareness of the mountain changed in Korea?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meaningful as a geographical symbol as an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al nature. And during the late Joseon, the mountain was often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symbol of Joseon, which is a great mountain equivalent to the Mt. Kunlun in China. Some parts of Mt. Baekdu were decided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Joseon based on the demarcation stone established in 1712.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are people who climb Mt. Baekdu, albeit not many, with interests into the mountain.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people in Hamgyung-do moved to the Gando area across Tuman River. They argued that Tomun River specified in the demarcation stone of Mt.Baekdu was different from Tuman River and rather a branch of Songhua River. The government of the Great Han Empire once promoted the territorial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the argument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documents were discovered that recorded “Tomun River equals Tumen River” when establishing the demarcation stone in 1712, the government had to drop the argument. During the process of territorial disputes with the Qing dynasty, however, intellectuals developed more interests in Mt.baekdu. Meanwhile, in Doksasillon (a new guide to reading history) published serially by Shin Chae-ho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8, Shin argued that Mt. Taebaek in the Dangun-related articl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ree Kingdoms) referred to Mt. Baekdu rather than Mt. Myohyang. This was based on Dongsa Gangmok (a Korean history book) written by Ahn Jeong-bok. However, the ground was still not confirmed. In 1909, Na Chul created the religion of Dangun (religion of Daejong 1 year later) and strongly claime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inheriting the theory of Shin Chae-ho. Such argument was widespread in the religion of Daejong in the 1910 and more proliferated by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to 30s. The two newspapers organized the expedition of Mt. Baekdu and he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largely sprea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among the public. The intellectuals such as Kwon Duk-kyu and Choi Nam-sun also made efforts to support the theory in an academic way.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of “Mt. Baekdu is the sacred mountain of Jose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Mt. Fuji is the sacred mountain of Japan”. Through the process, Mt. Baekdu has gained more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ymbol rather than a geographical symbol.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s had no access to Mt. Baekdu for a while. Then, from the mid 1980s, they were able to go to the mountain via China. Since then, South Korean media and tourism industry created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Sacred Mountain”. Of course, this was a more abstract version of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Birthplace”, which was added by the image of “Mt. Baekdu=Symbol of National Division and Wish for Unification”. Moreover, with the spread of the argument that all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the “Baekdu-daegan”, the significance of Mt. Baekdu as a geographical symbol is being reemphasiz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정읍군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박찬승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0 No.-

        In Jeongeup-gun, there were the nationalistic movements and the social movements, just like other regions, such as youth movement, laborers and farmers movement, and Singanhoe movement in the 1920s. A lot of youth groups were formed throughout the nation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y spread the enlightenment movement. Eight youth groups were organized in 7 myeons in Jeongeup in the first half of 1920s. However, their activities were not going well. The youth groups engaged mainly in night schools, lectures, amateur theatricals, concerts. Most of the early members of the three youth groups (Jeongeup-myeon, Taein-myeon, and Kobu-myeon) were rich and intellectuals from the old local clerk families. Seven youth groups were organized in Jeongeup from 1925 to 1928. Some of the members of them were influenced by socialism. The youth groups across the nation were unified from 1928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federation of Chosun youth groups. Accordingly, the branch offices were opened in the local areas: Jeollabuk-do alliance of youth (province level), Jeongeup youth union (county level), and branch office (myeon level). Jeongeup youth union was established in Jeongeup-gun, and branch offices were established in Taein-myeon and Sanoe-myeon but not in other myeons. Soon after the establishment, Jeongeup youth union was hit by a hard blow as some executives of the union were involved in the case of ‘Jeollabuk-do communists affair’ and got arrested. From then, Jeongeup youth union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activities. The movement by the laborers and farmers started from Jeongeup branch office of Chosun laborers’ mutual aid association and Jeongeup laborers and farmers association. Labor unions such as Jeongeup laborers and farmers association were formed by the 1920s, and tenant groups started to emerge from 1924. Among them, Hwaho laborers and farmers club carried out the most active movements. The club was joined by 700 tenant farmers who belonged to Hwaho branch of Kumamoto Farm. Hwaho laborers and farmers club (the name was later changed to the association of Hwaho farmers) acted to protect the tenant right of tenant farmers, advocate their interests, and investigate bad landowners and bad mareums (the supervisor of a tenant farm). In 1927, when the branch offices of Singanhoe were established all over the nation, Jeongeup office and Hwaho office also opened in Jeongeup-gu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office, however, Hwaho office had no particular activities while Jeongeup office was trying to perform its own activities. However, Jeongeup office got involved in the case of ‘Jeollabuk-do communists affair’ and several executives were arrested, which curbed its activities under the harsh suppression of the police. As a result, Jeongeup office could not carry out any particular activity. 1920년대 정읍군에서는 청년운동, 노농운동, 신간회운동 등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전반 정읍군에서는 7개면에서 8개의 청년회가 조직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정읍군의 중심지역에서 청년회가 조직되었는데, 특히 정읍면, 태인면, 고부면 청년회의 임원들은 대부분 옛 향리가의 부호와 지식인들이었다. 당시 청년회는주로 야학개설, 강연회, 소인극, 음악회, 민립대학기성운동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얼마 가지 않아 침체상태에 빠졌다. 1925~1928년에는 그동안 청년회가 조직되지않았던 외곽에서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청년회들이 등장했다. 전국의 청년회는 1928년부터는 조선청년총동맹의 방침에 따라 조직을 일원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읍군에서도 산외청년회의 주창에 따라 정읍청년동맹이 설치되었고, 정읍면, 태인면, 산외면에는 지부가 설치되었으나, 다른 면에서는 지부가 설치되지 못했다. 정읍청년동맹은 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일부 간부가 ‘전북공산당’ 사건과 연루되어 구속되는 바람에 큰 타격을 입었다. 노농운동은 조선노동공제회 정읍지회, 정읍노농연합회 등으로 시작되었다. 1920 년경 정읍노동조합과 같은 노동자 단체도 만들어졌고, 1924년부터는 소성소작인공조회, 북면노농회, 화호노동친목회 등의 소작인 단체도 만들어졌다. 이 가운데 가장활발한 활동을 편 것은 화호노동친목회였다. 여기에는 구마모토농장 화호지장의소작인 7백여 명이 회원으로 참여했다. 화호노동친목회(뒤에 화호농민동맹회로 개칭)는 소작인들의 소작권 보호, 악지주와 악사음의 조사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1927년 전국에서 신간회 지회가 조직될 때 정읍군에서도 정읍지회와 화호지회가만들어졌다. 타군에서는 1군 1지회가 일반적이었지만, 정읍군에서는 2개 지회가만들어졌다. 화호지회 쪽은 특별한 활동은 없었고, 정읍지회는 나름대로 활동을펼치고자 했다. 그러나 곧 밀어닥친 ‘전북공산당’ 사건과 관련하여 간부 여러 명이검속되었고, 정읍지회 자체의 활동도 경찰의 심한 탄압을 받았다. 그 결과 신간회정읍지회도 이렇다 할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의 형성

        박찬승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1 No.1

        중국에서는 이미「상서」시대에 ‘족류’라는 말로써 종족을 구분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조선왕조실록」'족류'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조선에서 ‘족류’는 ‘아족’을 여진족이나 왜족과 구별할 때 쓰는 말이었다. 그런가하면「조선왕조실록」에는‘동포‘라는 용어도 자주 등장했다. ‘동포’는 본래 같은 형제자매를 가리키는 용어였지만, 점차 그 의미가 확대되어 갔다. 특히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에 나오는 ‘백성은 나의 동포(民吾同胞)’라는 말을 국왕은 자주 인용하면서 백성들을 애휼의 대상으로 지칭할 때 ‘동포’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리고 국왕들은 더 나아가 양반 등 지배층에게 호포제 실시를 요구할 때,‘모든 백성은 나의 동포’라는 말을 자주 끄집어내었다. ‘동포‘라는 말은 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 운동 이후 더욱 자주 사용되었고,그 의미도 확대되었다. 이때의 ‘동포’는 단순히 국왕의 은혜를 입는 백성들이 아니라 역사의 주체로 서서히 인식되기 시작했다. 또 동포 내부의 평등 또한 강조되었다. 그런 가운데 1906년 이후 국내에서 ‘민족’이라는 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래 '민족'이란 상고 시대 이래 중국에서는 '민의 무리'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를 서양의 nation의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이었다. 일본에서는 1870년대 초에 이미 nation을 ‘민족’이라는 단어로 번역했던 것이다. 중국에서도 이를 따라서 양계초가 1903년경에 쓴 글에서 ‘민족’과 ‘국민’을 구별하여 각각 개념 정의를 했다. 도일 유학생들은 일본에서의 용례를 따라 ‘민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1910년 이전에 그리 자주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국내에서는 1906년 이후 양계초의 영항으로 ‘민족’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기 시작했으며,‘대한민족’ㆍ‘조선족’ 등의 호칭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당시 국내에서 ‘민족’보다 더 많이 쓰인 용어는 ‘국민’이었다. 그것은 한국인이 ‘신국민’이 되어야 한다는 절박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07년 하반기(고종 양위) 이후 대한제국은 형해화되어 갔고,‘신국민’ 또한 기대난망이 되었다. 여기서 국권회복과 신국가 건설의 주체로 새로 떠오른 개념이 ‘민족’이었다. 국가가 없는 상황에서도 ‘민족은 살아남을 수 있었고, 또 국권회복운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서였다. 이렇게 형성된 ‘민족’ 개념은 그 내부에 평등주의적 요소를 갖고 있었으며,근대 국민국가 건설의 주체로서 설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근대 민족’, 즉 nation의 의미를 갖는 것이 되었다. 식민지 시기 내내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을 독립운동의 주체, 신국가 건설의 주체로 설정했다. The Chinese used the word Jokrew to indicate a race in the age of Sangseo. The word Jokrew was also foun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suggesting that Korea was influenced by China. The Korean Jokrew was usually used to differentiate Korean people from others, such as Yeojin people, or Japanese people. The word 'Dongpo' was also frequently foun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Although the original meaning of 'Dongpo' was brothers and sisters, the meaning was later expanded to define people under the care and rule of a king. Kings wanted to say that all the people were their 'Dongpo'-particularly when a monarch wanted to collect taxes from the upper-class people, the Yangban. During the late 1890s, the word 'Dongpo' was used more frequently in Korea. By the 1900s, though, Dongpo no longer defined people who were in the care of a king; instead, the term described a major group in history. Likewise, equality among Dongpo started to be emphasized. After 1906, the word 'Minjok' also began to appear in Korean discourse. Originally. it roughly defined a group of people in China. However, in the early 1870s, the japanese started using the word to indicate 'nation'. Then, Liang Ch'i-chao, writing in China, also used the word 'Minjok' to mean 'nation', in one of his writings, Produced in 1903. However, while Korean students in japan would use 'Minjok' in the same way as the Japanese, People in Korea only began to use the word 'Minjok' due to the influence of Liang Ch'i-chao, after 1906. Around 1906, the word 'Kukmin(volk) was more widely used than 'Minjok(nation)' because the Korean people had an aspiration to become a 'new volk' However, when King Kojong abdicated, and the Empire of Korea fell, it seemed impossible for Korean people to become a 'new nation(Kukmin)'. Thus, the concept of Minjok had risen. It was more appealing than Kukmin, given the condition that Koreans did not have their own state. It could also strengthen the movement for the retaking of the nation's sovereignt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injok,' thus, suggests that, in Korea, this concept was inherently sui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 state.

      • KCI등재
      • KCI등재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한일관계사연구에 대한 검토

        박찬승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7 No.-

        Tabohashi Kiyoshi (田保橋潔) was newly appointed to a professor of KyungsungImperial University in 1927. He started researching o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relations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for a decade before the Sino-JapaneseWar broke out, and published a book titled “近代日支鮮關係の硏究” in 1930and a complemented book titled “近代日鮮關係の硏究” in 1940. The book “近代日鮮關係の硏究” is evaluated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compiled the historyof war diplomacy of the Sino-Japanese War, ranging over not only the diplomatichistorical materials of Japan but also the materials of China and Joseon. The most outstanding point of the 『近代日鮮關係の硏究』 is the part thatarranged the diplomatic war among Russia, the U.K., China (Qing dynasty), andJapan on the verge of the Sino-Japanese War, by mobilizing the historical materialsof those countries to the maximum extent. The Japanese academia calls it as“war diplomacy” or “Mutsu (陸奧) diplomacy”. Tabohashi successfully organizedthis part by fully utilizing the materials of each country, especially the war diplomacybetween Mutsu and Li Hongzhang. In this book, Tabohashi mostly describes the process of Japanese invasion ofJoseon in an objective manner. However, tha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he describes it in a critical remark. He is well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aconflict between the realistically negative theory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Affairs and the unreasonably strong view of the Japanese military over dispatchingtroops to Joseon in 1894. He also gave details about that the Japanese navyand army launched a preemptive attack on the Qing’s navy and army withoutany declaration of war. However, he was very critical of the politics of the Emperor Gojong, Queen, relatives, Daewongun, and the independent party. Therefore, he argued that itwas only natural for Japan to merge Joseon. He also argued that the rule of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n Joseon made a significant progressin public security, industrial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of living, and wrotethat the people of Joseon was expressing appreciations of the imperial grace ofJapanese Emperor. He had a seriously distorted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colonized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