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집분석을 활용한 아동 및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박진아 ( Park Jina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아동 및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유형을 분류한 후,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초등학교 1-3학년) 및 초기 청소년(초등학교 4-6학년) 총 546명(남아 49.1%, 여아 50.9%)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는 여아보다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더 적고, 초기 청소년은 아동보다 애착, 관여, 의사소통, 양육효능감, 학교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및 초기 청소년 모두 부모자녀관계가 ‘안정군’, ‘잠재적 위험군’, ‘고위험군’, 총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각 유형별로 세부적 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 및 초기 청소년 모두 모 학력이 높을수록, 한부모ㆍ조손가정일수록 ‘잠재적 위험군’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으나, 차이점은 아동의 경우, 월소득이 높을수록, 초기 청소년의 경우, 월소득이 낮을 수록 ‘잠재적 위험군’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아동 및 초기 청소년 모두 월소득이 낮을수록 ‘고위험군’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으나, 차이점은 아동의 경우, 부 학력이 높고, 모 학력이 낮을수록, 초기 청소년의 경우, 모 연령이 낮을수록 ‘고위험군’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parent-child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using cluster analysis an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546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As the results, first, boys showed lower communication than girls, and early adolescents showed lower attachment, involvement, communication, parenting 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than children. Second,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table group', 'potential risk group' and 'high risk group'. Third, both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potential risk group' for grandparent-children, single-parent families, and higher educated mothers. The higher monthly income for children and the lower monthly income for early adolescen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in 'potential risk group'. The lower the monthly income of both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in 'high risk group'. The higher educated fathers and lower educated mothers for children, and the lower age of mothers for adolescents, the more likely they were in 'high risk group'.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행 스케줄에 따른 취항지 체류 시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 비교 연구

        박진아 ( Park Jinah )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5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행 스케줄에 따른 취항지에서의 체류 시 객실승무원들이 과연 얼마나 자유롭게 시간을 보낼 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으로 출발하였다. 본 연구자도 객실승무원으로서 근무할 때 취항지에서의 체류가 자유롭지만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업무의 연장선으로 느껴질 만큼 스트레스를 받았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의 직무환경의 사회적 관계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의 조직문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객실승무원이 스트레스를 높이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승무원의 직무환경에 대한 시각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와 조직문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Full 서비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평균 값이 더 크게 나타났고 다섯째, 국내 Full 서비스 항공사와 국내 LCC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승무원의 이직의도 역시 Full 서비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평균 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비행 스케줄에 따른 취항지 체류 시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취항지 체류 시에서의 시간을 단순 휴식시간이 아닌 업무의 연장으로 판단하여 실시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how freely cabin crew are able to spend time while staying in a destination country according to their flight schedule. I, the author of this paper, was also not totally free and so stressed during my stay at a specific destination when I worked as a cabin crew that I felt like that it was an extension of work. The results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ocial relation of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and LCC airlines' work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Second, it also showed that job stress experienced with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and LLC airlin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ubstantiating the fact that the more cabin crew is aware of being stressed, the more their turnover intention increases. Third,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viewpoint on job stress among cabin crew working for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and LCC airlines showed a considerable gap with regard to both social rel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job stress to cabin crew working for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and LLC airlines, crew who work for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recorded a higher average. Fif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abin crew working for domestic full service airlines and LLC airlines also indicated a higher average by cabin crew working for full service airlines. This study on the effect of airline cabin crew's work environment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hile staying in destinations based on flight schedule has significance as a study conducted judging that the time spent in destinations is not simply a break, but an extension of work.

      • KCI등재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 연구

        박진아(Jinah Park)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by developing a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self-report. The subjects were 1214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674 male, 540 fem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a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Cronbach α and Spearman- Brown formulas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and the PBI and th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criterion validity. To verify the discriminant validity, t-test was conducted on the scores of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between the high-risk adolescent group and the normal adolescent group based on the SDQ-Kr total scor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self-report was composed of 33 questions, including five factors of attachment, relation frustration, discipline, involvement, and communicati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scale self-report has been developed and proven to be highly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본 연구는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지역 중·고등학교 청소년 총 1214명(남학생 674명, 여학생 54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부모-자녀 결합형태 척도 및 한국판 Strength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문항 구성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α 및 Spearman-Brown 공식으로 전후 반분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척도 각 하위영역간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와 부모-자녀 결합형태 척도 간 상관계수 산출 및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SDQ-Kr 총 문제행동 점수 16점을 기준으로 고위험군 청소년 집단과 정상군 청소년 집단을 구분하여, 부모자녀관계 척도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애착(9문항), 관계좌절감(10문항), 훈육(4문항), 관여(6문항) 및 의사소통(4문항)의 5개 요인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부정 긴급성과 폭식행동 간의 관계: 음식갈망의 매개효과

        박진아 ( Jinah Park ),김은정 ( Eunj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는 폭식행동의 발생 및 유지에 주요한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부정 긴급성과 음식갈망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추가적으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부정 긴급성, 음식갈망, 폭식행동을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분석결과, 음식갈망은 부정 긴급성과 폭식행동 간을 완전매개하였다. 음식갈망의 하위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음식에 대한 몰두와 통제상실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정서갈망과 긍정적 결과 기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모든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별과 상관없이 부정 긴급성이 높은 대학생들에게서 음식갈망이 폭식행동을 촉발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는 폭식행동의 예방 및 치료 접근으로 음식갈망의 여러 상태를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food craving, which are known as major antecedents for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binge eating, and to verify the moderate effect of gender.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277) completed measures assessing for negative urgency, food craving, and binge eat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showed food crav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binge eating. In analyzing the mediate effects of sub-factors of food craving, while preoccupation with food and loss of control each had fully medicate effect, emotional craving and positive outcome expectancy separately had partially medicate effect. In all pathway,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moderate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od craving is a major factor that triggers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with high negative urgency regardless of gender. It also suggests a need to address the various states of food craving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approaches to binge e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