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교육 평가 연구의 성과 분석과 향후 과제

        박진동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역사교육 평가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에 바탕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시기에 발표된 역사교육 평가 학술지 논문은 61편, 석사학위논문은 25편이었다. 연도별로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었는데 학술대회나 프로젝트를 통해 기획한 결과로 발표된 것이 적지 않았다. 61편이 발표된 학술지는 16종이었으며, 전국 단위 학회가 발간하는 역사교육 전문지에 집중되었다. 집필자의 소속기관은 대학과 중등학교가 많았고 초등학교는 적었다. 연구자별로는 2편 이상 발표한 8명의 연구자가 관여한 논문이 38편에 달했다. 소수 연구자가 역사교육평가 연구를 주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학교 수준 평가, 국가 수준 평가, 외국의 평가 등을고루 다루었다. 특히 학교 수준에서는 수행평가, 국가 수준에서는 수능에 집중되었다. 연구 주제별로는 평가도구의 분석/개발을 다룬 논문이 많았다. 연구방법은 평가 연구인만큼 문항분석이 많았고, 설문조사 등도 있었으나 객관성과 타당성 기준에서는 연구 방법이 미흡한 편이었다. 이와같은 분석을 토대로 향후 과제를 설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수능 외에도 다른 주요 평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절대평가, 역량평가, 협력평가, IT 기반 평가 등 미래지향적인 평가 방향과 결부해서 새로운 평가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 점은 양질의 연구를 하기 위한 전제조건일 것이다. 넷째, 역사교육 평가 연구자가 늘어나야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he topic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assessment in history educat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a starting point to develop research standards in the field. Sixty-one articles and twenty-five MA dissertations addressing the issue of assessment i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4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on assess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ten- year period (2005-2014):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re published in journals that specialize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Of particular note is tha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educational practitioners at primary level, compared to those at secondary or tertiary level. Areas of research of the articles examined in this study vary: studies on methodological trends in assessmen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studies on theoretical models and practice of assessment both at school-level and at national-level, and studies on international trends in policies and procedures related to assessment in history. It is not surprising that most articles within the domain of assessment at national-level concentrate on the area of the analysi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Likewise,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ithin the domain of assessment at school-level tend to focus on the status and role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n classrooms. In terms of topical areas, the vast majority of the studies examine the development/ evaluation of assessment instruments. Some suggestions for new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ade as follows: First, an important next step for the field will be for researchers to diversify topical areas, paying more attention to a much closer alignment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in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and the design of assessment in history across school levels. Second, there is clearly a need for more studies that examine the area of criterion-reference assessment and computer-based assessment in history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21st century skills and competences. Third, close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elaborate on research methods that can guide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search standards in the field. Finally, given the relative paucity of research on assessment in history compared to other area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more educational practitioners need to engage themselves in doi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and associated tool for assessment in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지역 중·고등학교 역사과 평가 실태조사 - 2019학년도 1학기 수행평가 계획서를 중심으로 -

        박진동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8

        This study explor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history subjects at the local level of Gangwon-do. As for the study method, the assessment plan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19 of 162 middle schools and 115 high schools were surveyed by complete enumer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uidelines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observed i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number of evaluation areas. In particular, middle schools were carrying out performance assessments more diversely and actively than the guidelines. Second, differences by grade and subject within school level were not larg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rates and method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Portfolios were a method that was frequently used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but essay writing was more common at high school, while making activities were more common at middle school. Thir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small schools has the advantages that individual students can be identified, that fairness is secured, and that feedback is easy, bu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se advantages actually appeare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qualitative improvement while supplementing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assessment plans so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history education can be properly carried out at the entire schools. 이 글은 강원도 지역을 연구 범위로 삼고 중, 고등학교 역사과의 수행평가 실태를 탐색한 것이다. 개별 학교의 수행평가 내용을 살필 수 있는 정보가 담겨 있는 학교 알리미를 통해서 2019학년도 1학기 시점에서 강원도 지역에서 모든 중, 고등학교의 역사과 수행평가 계획을 분석하였다. 전국 규모는 아니지만 도 단위 규모에서 사례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행평가 비율은 교육청 지침을 준수할 뿐만 아니라 중학교에서는 그 이상을 실행하고 있었다. 반면에 고등학교는 수행평가 비율이 낮았다. 과목 및 학년별로 구별해 보면 고등학교 3학년 한국사 수행평가 비율이 낮았다. 동아시아사와 세계사는 학년별 비율의 차이가 없어서 입시 요인이 크지 않았다. 수행평가 유형은 서논술, 포트폴리오, 제작 활동, 보고서 등 순서대로 많게 나타났다. 토론/역할극, 발표/관찰 등은 적게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서논술이 많았고 중학교에서는 제작활동이 많아 학교급별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자주 활용하는 유형과 학교급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강원도 지역은 교사 1인이 역사 수업 모두를 담당하는 소규모 학교가 많았다. 이 점에서 대규모 학교에서 복수의 교사가 수행평가를 하는 것과 소규모 학교는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 차이는 여러 요인 때문에 확인하기 어려웠다. 앞으로 학생 수 감소와 학교 통폐합이 문제화되는 만큼, 소규모 학교의 역사과 교수학습과 평가의 장점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살펴보는 실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

        박진동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In general, textbook descriptions of Silhak consist of its concept and background, schools and major figure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these descriptions are rigid and do not reflect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osition to maintain the usefulness of the previous Silhak education, saying that criticism cannot be an alternative. Unlike the Department of History, which looks at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achievements of history,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understands Silhak as a concept and treats it as a kind of explanation. These points are creating a rift in the solid Silhak education. In relation to future educati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ilhak education will be related to the selection of conten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Although the current curriculum did not specify Silhak, it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 In some textbooks, the concept of Silhak was omitted. Silhak is not specified in the revised curriculum draft. It is unclear whether Silhak will remain a compulsory educational cont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Although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subject education, in-depth learning, and core ideas for capacity building,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ractical education has proven usefulness and potential in this direction. Looking at the research activities of current textbooks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had already put forwar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enhance the research ability based on data. However, it did not come to elicit a variety of viewpoints different from the narrative flow of textbooks. This is a limitation of the current textbook system. If we want to teach Silhak in the future,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way we learn Silhak and allow various perspectives. If the present value of Silhak is added to it, the utility and possibility of a new Silhak education can be raised. 실학에 대한 교과서 서술은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 있다. 즉, 실학의 개념과 등장 배경, 실학의 학파와 주요 인물의 등장, 실학의 성격과 한계 등으로 구성하 는 방식이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하면서 꽉 짜여져 있고 최 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그러한 비판이 대안이 될 수 없다면서 실학 교육의 유용성을 견지하는 입장도 있다. 대립적인 연구 상황 과 교육과정과 집필지침이 특정 입장을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실학 교육의 균열 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예비교사 대상의 역사교육 개론서에서는 실학을 개념으 로 이해하면서 구체적 사실과 관련된 개념, 구조적 상상, 총괄적 설명, 비교적 설 명의 적절한 예시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역사교육계에서는 고정된 서술방식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실학 이해는 한국사의 흐름 속에서 연구사를 반영하려는 시도와 역사적 사고를 위한 개념과 학습자 수 준을 고려하는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미래 교육과 관련해서 실학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은 교육과정 개정에 따 른 내용 선정 여부와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실학 내용 을 명시하지 않았다. 그런데 실학은 빠짐없이 교과서 서술에 반영되었다. 일 부 교과서에서는 실학이라는 개념을 빼고 서술하기도 하였다. 곧 고시될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을 보더라도 실학 용어는 명기되지 않았다. 그렇다 면 이번에도 실학이 의연하게 필수 교육 내용으로 남을 것인지는 장담할 수 없다.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교육, 깊이 있는 학습과 핵심 아이디어를 강조하는데, 실학 교육이 이러한 방향에서 유용성과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미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내세웠던 2015 개정 교 육과정을 따른 현행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보면 자료를 중심으로 탐구력을 신 장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서술 흐름과는 다른 다양한 관점을 끌어내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현행 교과서 체제의 한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실학 교육이 역사교육에 포함되기를 원한다면, 실학을 학습하는 방식의 외연을 확대하고 다양한 관점을 허용하고 심도있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실학의 현재적 가치까지 추 가한다면 새로운 실학 교육의 효용성과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수요목기 교과서 수시 검정의 실행과 역사 교과서 검정

        박진동 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논집 Vol.72 No.-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ew process for the authorization of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Course of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view procedure for the authorization of textbooks was conducted annually from 1946 to 1952. The main purpose of the review process up to 1948 was to approve existing textbooks that had been in use in school. Most of th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fter 1949 were subject to the newly introduced pass/fail criteria of the review process. Second, the laws that regulated the status and role of textbooks were preceded by administrative measures, which prohibited pro-Japanese or left-wing writers from writing textbooks. Third, the review procedure for the authorization of textbook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ocial studies syllabus, which was implemented earlier on. Textbook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the authorization standards, that is, observance of the curriculum, was not able to pass the review process. Fourth, the first authorized history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on the basis of the social studies syllabus were published in 1949. It was followed by a series of review procedures in which textbooks under the approval system were asked to renew their license and extend the period of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