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라디오 방송 현황과 특징

        박지애(Park Jee-ae)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Jabga radio-broadcasted early in 20 centur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d the aspect of Jabga broadcasted on radio. 〈Bang-A-Ta-Ryung〉 was broadcasted most frequently, and then 〈Heung-Ta-Ryung〉, 〈Su-Sim-Ga〉, 〈Young-Byun-Ga〉, and 〈Yuk-Ja-Bae-Gi〉 were in order. Gin-Jabga was remarkably declined. Chapter 3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Jabga in 1930’s on the basis of the aspect of radio broadcasting. First, the name ‘Jabga’ began to disappear on radio broadcasting from 1934. The name ‘Jabga’ had been used since 19 century. However, the name did not have definite genre identification. ‘Jabga’ was designated for various genres such as ‘Gasa’, ‘Gagok’, and so on until 1920’s. Then gradually, the name ‘Jabga’ disappeared from 1934. Its reason is that the conceptual ambiguity and negative implication of ‘Jabga’ was changed as they met the recognition of modern genre. Second, as the radio, new media, radio appeared, a repertory which was previously popular began to be changed. First of all, Gin-Jabga and 〈Su-Sim-Ga〉 were declined. The decline of Gin-Jabga was related to limited time of performance on radio. 〈Su-Sim-Ga〉 was the most popular repertory of ‘Jabga’ until 1920’s. The decline of 〈Su-Sim-Ga〉 was related to social situation of those days at Japan’s colonial period. Japan that was constructing war basis emphasized only optimistic prospect of reality. Thus elegiac 〈Su-Sim-Ga〉 could not be broadcasted. 〈Heung-Ta-Ryung〉 emphasizing delightfulness became popular in return.

      • KCI등재

        유성기음반 소재 잡가의 현황과 레퍼토리의 양상

        박지애(Park Jee-ae)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99

        A song of various forms existed in an in the early 20th century of our country. This study is to look into an actual figure of a Jabga in the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gramophone disk. Gramophone disk was made at the most the beginning of 1930’s and medium term. The song which used a title called Jabga is all 235 pieces. “Susimga” is a song to have most a lot of popularity during Jabgas of a gramophone disk. “Nanbongga” and “Yukjabaeki”, “Baettaragi”, “Sanyeombul” are songs to be popular by the followings. ‘kimOkYeop’ made a gramophone disk of most a lot of numerical Jabgas. Popularity of a ‘12-jabga’ considered to the things that were high-quality during Jabgas decreased. ‘12-jabga’ was a repertory to be popular until 1920’s from the 19th century. However, repertory of a popular Jabga changed to a popular song in 1930’s. The second, a traditional song method was transformed. Mobilized a professional composer and songwriter, and disk company newly made song words. And they arranged it. While scale grew larger every year, disk company formed a huge market. They endeavored in order to produce a disk to be struck to a mass interest. This was a strategy to sell a disk very much. And they had a Western musical instrument instead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accompanied it of a Jabga. Disk companies constantly endeavored for commercialization of a Jabga through new tries.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라디오방송을 통한 십이가사의 소통과 향유 -잡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지애 ( Jee Ae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3 No.-

        경성방송국의 전통 노래 방송은 잡가 위주로 편성되었다. 그러나 잡가에 비해 방송 횟수가 적긴 하지만 가사나 가곡, 시조 등 전통 성악곡 또한 방송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편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십이가사 방송의 현황을 살피고, 십이가사 방송이 가곡과 시조 방송에 비해 우세할 수 있었던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라디오방송과 유성기음반을 통해 소통되고 향유된 십이가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십이가사에 대한 대중의 선호도가 점차 약화되었음을 확인할수 있다. 그러나 십이가사가 쇠퇴 일변도에서 대중의 외면을 받지 않고 꾸준히 소통될 수 있었던 데에는 라디오방송의 역할이 컸다. ‘다양한 문화의 체험을 통한 교양 제고’라는 라디오방송의 성격이 십이가사가 대중적인 지지를 잃은 후에도 꾸준히 방송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라디오 방송에서 조선 음악은 대부분 기생들에 의해 연행되었고, 십이가사 방송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전통음악에 대한 대중의 선호도가 낮아진 데대해 위기의식을 느낀 이왕직아악부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십이가사 방송에 참여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십이가사 방송 참여는 기생 집단 일변도로 구연되던 방송 환경이 다변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십이가사의 위상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근대적 대중매체에 의해 음악이 대중화되면서, 라디오 또한 대중 추수적인 방면으로 프로그램이 재편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대중 추수적인 경향에 반하여 고급의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대중의 욕망도 나타나게 된다. 십이가사는 고급의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대중의 욕망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갈래였으며, 이로 인해 가곡과 시조에 비해 십이가사의 방송이 우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process of 12 Gasa carried in the media during the former 20th century. When it comes to radio broadcasting, appearance of Jabga was on the rise while 12 gasa was on the decline on the contrary before double broadcasting started. Declined broadcasting of 12gasa may be interpreted as falling preference by the public. But despite of such low popularity at the performing sites, 12 gasa was not steadily shrinking. The chance of recovering from the decline for 12 gasa was given by radio broadcasting. The character called, “experiencing the diverse culture” pave the foundation for 12 gasa to regain the strength even after losing the popularity. Chosun music aired by radio was mostly performed by Gisaeng. Leewangjik Aakbu who sensed the critical situation amid falling popularity of traditional music tried aggressively to deal with the facing difficulties. Participation by Leewangjik Aakbu in radio program served as a momentum to make the Gisaeng performance-centered broadcasting environment more diverse as well as to raise directly the position of 12 gasa from the song by Gisaeng to the song by the artist engaged on court music.

      • KCI등재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

        박지애(Park, Jee-Ae)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이 글은 20세기 이후 새롭게 등장한 근대적 대중매체 중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소통되고 향유된 가곡창과 시조창의 실상을 객관적 자료를 통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성기음반으로 취입된 가곡 및 시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곡과 시조 유성기음반은 취입 초기부터 ‘고급문화의 향유’를 강조함으로써, 잡가 위주로 취입되던 당시의 전통노래 음반과의 변별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유성기음반 취입이 본격화되는 192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가곡창 위주로 음반 취입이 진행되었으며, 유성기음반이 대중화되는 1930년대 이후에는 가곡창보다는 시조창 위주로 음반이 취입되었다. 다음으로 라디오로 방송된 가곡 및 시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디오방송에서는 가곡 방송이 시조 방송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둘째, 가곡 방송은 가곡창만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방송하였으며, 시조는 1930년대 후반에 와서야 시조창만으로 방송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당시 시조와 함께 방송된 노래 양식은 가창가사뿐만 아니라 긴잡가, 통속 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셋째, 시조 방송은 연행자와 방송 곡목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라디오방송이 시작된 1926년부터 1932년까지는 19세기 연행문화의 연장에 가까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는 1933년부터 936년까지는 기생들이 주도적으로 활동하며, 당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던 잡가 및 통속민요와 시조창을 묶어 방송 레퍼토리로 구성한 시기이다. 1937년 이후는 이왕직아악부, 향제 가객들의 방송 진출 등 기녀 집단 일변도로 구연되던 방송 환경은 다변화되는 시기이다. 가곡과 시조는 1920년대와 3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대중매체를 통한 노래 향유와 전승이라는 달라진 매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파악된다. 빠른 악곡 위주의 음반 취입, 시조창과 잡가 및 통속민요를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것 등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달라진 매체환경에 맞추어서 새롭게 만들어진 신가요와 기존의 노랫말을 더욱 통속적으로 변화시킨 잡가와의 경쟁에서 가곡과 시조가 우위를 차지하기는 힘들 수밖에 없다. 이러한 노래 향유 환경의 변화 속에서 193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가곡과 시조 담당층은 오히려 전통적인 형태를 재현하는 방향으로 기존의 통속적인 노래 양식들과 변별되고자 하였다. 이왕직아악부의 음반 취입과 방송 참여, 지방 가객들의 진출, 남성 연행자들의 참여 등은 가곡과 시조의 향유문화를 다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속적인 노래와의 ‘격조의 차이’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였다. Music was made popular through the modern mass media. Nonetheless, if a period of high standard performances and appreciation by a minority of culture connoisseurs can be qualified with the expression “gentrification of culture”, then a period when anyone can access culture through the mass media can be qualified with the terms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in this period the reorganization of performance culture can only be driven by the public. In fact, the Jabga, which is a type of traditional song that received strong public adhesion by means of phonograph records and radio broadcasts at the time, stands as a typical example to it. Gagok and Sijo up until the 1920s and even the 1930s are believed to engage actively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the new modes of music enjoyment and transmission. The Album recording of faster rhythm music and the inclusion of the Sijo, Jabga, and folk songs in one broadcast programme can be seen as reflecting such an effort. However, it can only be hard for the Sijo and Gagok to challenge the predominance of the Jabga which made its lyrics more popular and the new songs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new media environment. Until the 1930s in this changing environment of music enjoyment, Gagok and Sijo performers rather sought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popular song style by reproducing traditional forms. The album recording and broadcasting of Lee Wangjik Aakbu, the beginnings of local singers, the participation of male performers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the enjoyment culture of songs and sijo, but also made the ‘difference in standard’ with the popular songs even more salient.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동제의 특징과 전승 실태

        박지애 ( Jee Ae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7 嶺南學 Vol.0 No.11

        동제는 별신굿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를 기저로 한 민간신앙의 대표적인 양식이다. 별신굿이 주기성을 지니고 무당굿의 형태로 전승되는데 반해, 일반적으로 동제는 마을 공동체의 안위와 평아능ㄹ 기원하며 유교식 절차로써 매년 진행된다. 경북지역은 문화?환경적 요인에 따라 북부 산간지역과 동부 해안지역, 중남부 평야지역으로 권역이 나뉜다. 북부 산간지역은 인격신 중에서도 구체적 인물을 마을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동부 해안지역은 동제에 비해 별신굿이 활발히 전승되는 지역이다. 동부 해안지역은 북부 산간지역에 비해 마을신의 신격이나 영험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지는 않다. 마을신의 영험에 기대어 마을의 안위를 기원하기 보다는 풍어제적인 성격이 강조되면서 별신굿의 위상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동제의 위상이 약화되고 마을신격에 대한 담론도 간략화된 것으로 보인다. 중남부 평야지역은 관광과 산업 중심으로 생활의 기반이 바뀌면서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급격하게 파괴되었다.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파괴됨으로써 동제 또한 급격히 쇠퇴하였다. 현재 중남부 평야지역에서는 동제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권역에 따라 동제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를 살펴본 후, 경북지역의 동제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되어 전승되고 있는지 그 현재적 모습에 주목하였다. 먼저 과거에는 마을신의 영험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어 신화 또한 풍부하게 전승되었으나, 지금은 신화 자체가 소멸되거나 존재한다 하더라도 신화의 많은 부분이 변화되거나 탈각되어 전승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동제의 축소와 소멸의 가장 주된 요인은 농촌 지역의 고령화와 이농으로 인한 공동체 기반의 붕괴이다. 현재 동제를 지내고 있는 마을에서도 주민의 감소로 인해 앞으로의 동제 전승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동제 전승의 어려움을 감안할 때, 동제 참여자의 범위를 현재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에 국한시키지 않고 참여의 범위를 출향인, 주민들의 자녀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 년에 한 번 마을신을 모시고, 출향인과 주민들간의 축제를 벌인다면 마을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할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 동제가 전승되는 지역 주민들은 동제의 보존?전승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 토대가 뒷받침되지 못함을 지적한다. 동제의 재원 마련은 일반적으로 주민들의 각출, 마을 소유 토지에서 나오는 도지, 장례를 치르고 받는 수고비 등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장례 문화의 변화, 마을 주민의 감소 등으로 인해 재원 마련이 결코 쉽지 않다. 이는 마을 주민들의 의지만으로는 극복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원래 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환경속에서 동제를 보존?전승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국가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도에서 개입할 필요가 있다. 경북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동제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많은 수의 동제가 전승되고 있는 편이다. 쇠퇴와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는 동제 자료들을 수집하는 일이 시급하다. 산재해 있는 동재의 기록들을 조사?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여 체계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해 민간신앙 박물관을 건설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ere are a lot of cases to invite a concrete person to to village God in a region of mountain peaks in the northern art. A byulsingut is growing up than a dong-je in a region of the seahore in the eastern part. A region of the seashore in the eastern part does not have a lot of stories about village God compare with regions of mountain peaks in the northern part. While characters to pray for was emphasized that let me catch a fish very mush, a byulsingut was emphasized. Instead a dong-je was weakened, and story about village God is simple. In plains regions in the south sightseeing and industry grew up. Therefore, traditional character called agriculture was destroyed by a fast speed. A village community of a traditional form was destroyed, and a dong-je was too suddenly gone downhill. Regions of the plains in the current south can hardly look for a dong-je. In the past, residents believed ability of village God very mush. Therefore, had abundant myth about, village God too. Now, however, most myth disappeared. If there is myth, a lot of sections are transformed. There are not a lot of numbers of a resident living in a village. Therefore, there is a lot of trouble as preserve a dong-je. Have to enlarge range of a person attending a dong-j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at is, children of people and the village resident who left a village must include it. The people who endeavor in order to preserve a dong-je mention shortage of capital in the largest problems. Therefore, national assistance is necessary. And we must endeavor while keeping the original background in order to preserve a dong-je. More circular of a dong-je in a kyungpook region than different regions is in good condition. There are so a lot of numerical dong-jes. We must collect dong-je data in a crisis of declination and extinction quickly. And we must make the digital archive as we use the record which we collected. Also, utilize the date which collected, and we must build a folk belief museum. Then the public can easily approach folk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