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시 히알루론산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혼합액 사용의 임상적 효과

        박정원,박홍용,윤경철,Jung Won Park,Hong Yong Park,Kyung Chul Yoon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6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ixed solution of sodium hyaluronate and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HACMC, Guardix-sol®) for reducing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Methods: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as performed on 58 patients with obstructions of the nasolacrimal system. We divided the 58 patients into two groups. At the completion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HACMC was applied to the operative site in the experimental group (n=26) and normal saline was applied in the control group (n=32).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effectsand postoperative adhesion, subjective symptom score evaluations, lacrimal irrigation tests, fluorescein disappearance tests, and endoscop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t 1 week, 1 month, 3 months,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HACMC-treated patients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control patients for subjective symptom scores, lacrimal irrigation tests, and fluorescein disappearance tests,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pon endoscopic examination, the HACMC group revealed lower incidence of adhesion at 1 week after surgery and lower severity of adhesion throughout the period of observation (p<0.05).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a mixed solution of HACMC may effectively reduce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6):795-801

      • KCI등재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미기록 외래종 갯쥐꼬리풀(Spartina Alterniflora)의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진도 남동리 해안을 사례로-

        박정원 ( Jung Won Park ),김하송 ( Ha Song Kim ),장성건 ( Seong Geon Jang ),천숙진 ( Sook Jin Chun ),육관수 ( Kwan Soo Yuk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갯쥐꼬리풀(Spartina alterniflora)은 북미 대서양 연안 뉴펀들랜드, 캐나다 남쪽에서 아르헨티나 북부의 갯벌이 원산이며, 생장이 강한 특성으로 세계의 기수지역과 해안에서 생태공학적 용도로 도입된 바 있다. 그러나 매우 빠르게 갯벌을 피복하여 자생종의 생장을 방해하고, 염습지 종다양성을 감소 시켰고, 결과적으로 과다생육으로 갯벌 무척추동물의 서식지를 잠식해 사라지게 하여 무척추동물을 먹이로 하는 조류 또한 생태계 내에서 감소키는 등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 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전후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남동리 해안에서 분포하고 있는 갯쥐꼬리풀(Spartina alterniflora)군락은 습지내 총 6개의 염생식물 군락면적(8,487.7㎡) 중 75.34%의 비율(6,394.86㎡)로 분포하고 있다. 또한 2008년에 11.54㎡ 이던 분포 면적이 2015년 현재 약 550배가 늘어난 6,394.22㎡로 조사되었고 생육지 고도 범위인 0.69m~1.1m를 요인 값으로 두고 GIS 분석한 하였다. 그 결과 앞으로 확산 될 예상 면적은 12,584㎡이며 현재보다 약 6,189.14㎡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확산이 빠르고 넓게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계속 분포역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하고 관리방안을 위하여 시범 연구를 실시하였다. 갯쥐꼬리풀군락 중 일부를 첫 번째는 뿌리째 뽑아내기와 두 번째 지상부 제거 후 포장덮기 방법 등 국외사례의 문헌을 바탕으로 방재를 실시하였으나 전체 면적을 방재하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 그리고 예산이 소요되므로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Spartina alterniflora is native to the Atlantic coast from Newfoundland, the south of Canada and northern Argentina. There it forms a dominant part of brackish coastal saltmarshes. Due to its strong growth, the Spartina alternifolra was introduced to the rider area and coast as a use for ecological engineering. The Spartina alterniflora community can crowd out native species, reduce the biodiversity of saltmarsh and alter th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invertebrates living in mud flats disappeared due to the encroaching of Spartina alterniflora, and the birds which eat off invertebrates went along as well. The Spartina alterniflora was first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2008 and is known to have flowe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Compared to 2008, in 2015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partina alterniflora has increased 550 times. (11.54㎡ in 2008 to 6,394.22㎡ in 2015). The large increase of Spartina alterniflora calls for urgent management and additionary study on the subjec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Spartina alterniflora such as its distribution area, the height of habitats and expected expansion area, and can act as the preliminary data for management.

      • KCI등재

        급성폐쇄각발작의 과거력을 가진 백내장수술 시 수정체낭내확장고리의 효과

        박정원,정현호,박상우.Jung Won Park. MD. Hyun Ho Jung. MD. Sang Woo Park.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9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apsular tension ring (CTR) on the change in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s and anterior chamber depth after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acute primary angle closure (APAC).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5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 a history of APAC. Forty five ey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whether a CTR was implanted (n = 21) or not (n = 24). Spherical equivalent (SE) refractive error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for 12 months postoperatively. The postoperative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volume (ACV)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SE refractive errors in the CTR group were -0.59 ± 1.08 D at 6 months and -0.61 ± 1.04 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non-CTR group, -0.64 ± 1.30 D, at 6 months and -0.67 ± 1.19 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p = 0.89, p = 0.84) and postoperative SE refraction shifted to myopic refractive power in both groups (p < 0.01). The postoperative ACD and ACV also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p = 0.13, p = 0.47).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ACD, ACV and myopic shift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APAC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TR-implanted and non-CTR-implanted patient groups.

      • KCI등재후보

        월악산국립공원의 부착규조 분포와 유기오탁지수 (DAIpo)에 의한 수질평가

        박정원(Jung-Won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2

        본 연구는 2006년에 월악산국립공원 내에 부착규조류 분포와 유기오탁지수에 의한 수질 평가이다. 동정된 부착규조류는 138종류였고, 우점종은 Achnanthes sp.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minutissim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affinis, Cymbella silesiaca, Gomphonema minutum, Reimeria sinuata 등이었다. DAIpo 값은 62.3에서 99.9의 범위로, 매우 좋음에서 좋음으로 평가되었다. To investigated the epilithic diatoms community and an assesment of water quality by DAIpo(diatom assemblage index of organic water pollution), the samplings were collected from fourteen sampling stations on April, May,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2006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 total 138 taxa were identified from this study and dominant species were Achnanthes sp.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minutissim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affinis, Cymbella silesiaca, Gomphonema minutum, Reimeria sinuata. The variations of DAIpo values was ranged from 62.3 to 99.9 and the water quality was estimated between very good and good.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에 위치한 상록침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77개의 방형구를 설정하고,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곰솔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곰솔군락은 대흑산도 진리, 읍동, 마리, 소사리, 예리, 심리 등의 주로 해안에 인접한 서사면부와 산지대 저해발의 능선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소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진리, 청촌리, 천촌리 등의 저해발 사면부 및 해안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흑산도에서는 소나무군락과 곰솔군락이 부분적으로 상록활엽수림과 혼재하면서 생태적 경쟁에 따라 자연 천이가 진행되어 군락내의 각 계층구조별 다양한 종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교목 층에서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소나무, 곰솔 등이, 아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사스레 피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예덕나무 등이 주요 우점 종으로 나타나면서 향후 지리적 특성과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상관 우점종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은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침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43.52%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4 to January 2018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77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4 communities :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thunbergii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Mallotus japonicus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thunbergii, and it formsa community on coastal hillsides and southwestern slopes mainly in the Daehuksan Island Jinri, Eupdong, Mari and Sorasi village.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densiflor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it is clustered around the villages of Daehuksan Island Jinri, Yeri, Simri and Chilrak mountain and the Northeast slope.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natural trans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mpetition of these communities.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andPinus thunbergii.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sub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Mallotus japonicus.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Pinus densiflora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43.52%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8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지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사리, 비리, 심리, 소사리 등의 주로 남서사면과 계곡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상관형으로는 상록활엽수림이며, 군락구조는 4층 구조로서 높이는 교목층이 12-14m이며 평균 식피율은 교목층 95%, 아교목층 45%, 관목층 51%, 초본층 58%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후박나무림의 식생단위는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후박나무-섬바디군집, 후박나무-밤일엽군집, 후박나무군락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후박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마을, 소사리, 마리 등의 마을주변에서, 붉가시나무군락은 대흑산도 문암산 정상부근과 비리마을 상부지역에서 분포하였다. 동백 나무림의 식생단위는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동백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사리마을, 심리 마을 주변 저지대 및 구릉지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교목층의 식생이 교란된 지역이 많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 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58.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흑산도의 주요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 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며, 향후 이들 군락이 기후변화, 인위 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각 군락의 종 구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8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eninsula, a comparasion study was conducted.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e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t forms a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valleys of the Daehuksan Island Yeri, Sari, Simri and Sorasi village. The investigated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Machilus thunbergii. It forms a community in and around towns, mostly in Daehuksan Island Yeri, Sorasi and the Mari village. The investigated Quercus acut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Quercus acuta, and it forms a community in the top of Mt. Munam and the upper part of Viri village. The investigated Camellia joponic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Camellia joponica, and it was distributed around Daehuksan Island Sari, Simri village, and lowlands and the hilly area. However, there were many areas where tree vegetation was disterbed due to human interference.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58.0%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인권조약 이행감독 메카니즘과 실효적 인권보호: 소수민족보호를 위한 골격협약 (FCNM) 하에서의 집단진정절차 도입 필요성을 중심으로

        박정원(Park, Jung-Wo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東亞法學 Vol.- No.84

        소수자권리 보호의 국제적 노력은 1998년 FCNM이 발효하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FCNM은 소수자보호를 정면으로 내세운 현존 유일의 다자조약으로서 유럽이라는 지역적 한계는 있지만 소수자보호의 현행국제법 수준을 선도하는 조약임에는 틀림없다. 본 논문은 FCNM이 실효적인 소수자권리보호를 위해 기능하기 위해서는 조약 이행감독 메카니즘을 업그레이드해야할 필요성에 주목한다. 특히 UN 인권조약 이행감독 메카니즘으로서의 진정(complaints)절차의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FCNM 하에서도 진정절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진정절차를 도입하는 방식과 진정절차의 종류 그리고 이에 따른 기존 FCNM 이행감독 메카니즘 하에서의 관련 기구의 역할 등이 각각 쟁점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FCNM의 이행감독 메카니즘의 개선이 급진적인 방향으로 이뤄질 수 없음을 지적한다. 즉 FCNM의 조약명이 골격협약이라고 불리듯이 동 조약에는 이른바 비자기집행적 성격의 규정들이 많기 때문이며, 소수자보호의 현행국제법 발달 수준을 무시한 급격한 방식의 도입은 애초부터 성공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FCNM의 하에서 도입될 진정은 개인진정절차가 아닌 집단진정절차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인진정절차는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FCNM의 성격과 소수자보호의 현행국제법 발달 정도에 비춰 과격한 제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집단진정절차를 도입함으로써 그간 FCNM 이행감독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해온 AC에 더 큰 힘을 실어줄 필요성이 있으며 진정사건을 심리하고 결정하는 AC와 각료위원회의 건설적인 역할 분담에 의해 당사국의 소수자권리 보호 의무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집단진정절차를 확립하면 AC의 이른바 소수자권리 법리론 (minority rights jurisprudence)의 전개가 더욱 심화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는 개인진정절차의 도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탁수가 임하호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박정원(Jung Won Park),유삼환(Sam Hwan Yu),김순영(Soon Young Kim),이종은(Jong Eun Lee),서을원(Eul Won Seo)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탁수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임하호의 네 지점(중평리, 댐축, 도수로, 지례리)에서 9회에 걸쳐 시료채취 및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하호의 수질의 경우 탁도와 SiO₂-Si의 농도는 그 수치가 비례하여 탁도가 높으면 SiO₂-Si의 농도도 증가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탁도와 SiO₂-Si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hl-a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농도가 낮아지고 있어 수심에 따라 수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하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70종류였고, 녹조강이 32종류(46%) 남조강과 규조강이 12종류(17%), 유글레나강이 6종류(9%), 시누라조강이 4종류(6%), 은편모조강이 3종류(4%), 그리고 와편모조강이 1종류(1%)로 구성되었다. 탁수와 조류의 상관관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은 탁수와 함께 유입된 영양물질 등이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즉, 탁수와 TN 및 SiO₂-Si 등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TN과 SiO₂-Si가 탁수와 함께 임하댐 내로 유입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질소의 경우 토양 미립자에 단단하게 부착하지 않고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강우라도 쉽게 유출된다. 그리고 SiO₂-Si는 탁수의 성분으로 고려해 볼 때 TN과 SiO₂-Si는 탁수와 함께 임하댐내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탁수 유입 후 그리고 탁수 소멸 이후에는 오히려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이 더욱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4 sites of Imha reservoir. The turbidity of water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SiO₂-Si. Therefore, as the turbidity of water grow, the concentration of SiO₂-Si increased. And the both the turbidity of water and the concentrations of SiO₂-Si were increased as the water run dee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decreased as the depth of water increased. Seventy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abundant group was Chlorophyceae consisting of 32 taxa (46%), and Cyan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consisted of 12 taxa (17%). And Euglenophyceae, Synulophyceae, Cryptophyceae and Dinophyceae consisted of 6 taxa (9%), 4 taxa (6%), 3 taxa (4%) and 1 taxon (1%), respectively in Imha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turbidity of water because of the high amount of organic nutrition which is presented with turbid water. And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increased easily because of the weak binding to the soil particle. In conclusion, total nitrogen and SiO₂-Si flowed into the Imha reservoir with soil particle, and these inorganic nutritions affect the growth of algae.

      • KCI등재
      • KCI등재

        영국 토니블레어정부의 신자유주의적 고등교육정책의 성과와 한계

        박정원 ( Jung Won Park ) 국제지역학회 2005 국제지역연구 Vol.9 No.2

        1997년 처음 집권한 영국 노동당정부는 교육개혁을 핵심공약으로 하고 집권에 성공하였으나, 보수당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을 계승함으로써 신자유주의적 성격을 가진 정책이 탄생하게 된다. 노동당정부의 교육정책은 연구평가에 따른 선택과 집중방식에 의한 연구기금 배분, 대학교육에 대한 수업료의 부과 및 top-up fee제도의 도입과 저소득층에 대한 대학입학지원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정책이 실시된 결과, 교수들의 연구실적이 향상되었고 대학학과단위의 연구능력도 상당히 상승하였다. 이러한 점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 학과간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나타남으로써 연구평가에서 최고등급을 받지 못한 학과들, 특히 짧은 기간 내에 연구성과를 낼 수 없는 기초과학분야의 학과들이 대거 폐과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아울러 대학생들이 재학 중 갖게 되는 부채규모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노동당정부의 저소득층 진학률 견인노력에도 불구하고 2010년 진학률 50%달성이라는 목표는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정치적 변수들이 이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New Labour Government led by Tony Blair has succeeded to the Conservative`s higher education policy in England without preparing it`s own one. So it has been Neoliberal one from the birth. They introduced winner takes all funding system and tuition fee in higher education and made it top-up fee system. In this study, we could confirm that the policy has three effects. 1)resource allocation through competition has made English university more research oriented one. 2)but the system has brought in the Matthew Effect which has made many pure science courses closed. 3)it is expected that top-up fee system would led Labour Government fail to achieve their target to reach 50% of aged 18-30 enter th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