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 로부터 분리한 pTi12 의 Replication Origin 과 벼의 Actin 유전자 프로모터를 이용한 벼의 Binary Vector 제조

        박희등(Hee Deung Park),박정구(Jeong Ku Park),이재선(Jae Seon Lee),심웅섭(Woong Seop Sim) 한국식물학회 1995 Journal of Plant Biology Vol.38 No.4

        Binary vectors, pBI-ActR1, pBI-ActF1 and pBSH-ActR1, were constructed using pGA642, the replication origin of pTil2 and the rice actin promoter. The sizes of pBI-ActR1, pBI-ActF1 and pBSH-ActR1 were 12.9 kb, 13.2kb and 11.95 kb, respectively. These vectors containing a rice actin promoter followed by a GUS structural gene could induce strongly the expression of GUS gene in transformed rice cells. Rice explants form 3-4 day old seedlings after germination were cocultured with A. tumefaceins harboring pBI-ActR1, pBI-ActF1 or pBSH-ActR1, and then GUS expression in the explants was assayed. Transformation of rice explants by these binary vectors was tissue-specific, such that the meristematic regions of shoot apex, root and hypocotyl were transformed by these binary vectors.

      • KCI등재

        중견기업의 하도급거래 공정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박정구(Park, Jeong-K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東亞法學 Vol.- No.62

        우리나라의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간 하도급거래구조는 하도급거래 관계의 계속성과 전속성의 성격이 강하여 수탁기업인 중소기업·중견기업은 특정 원사업자인 대기업과의 거래할 수 밖에 없으므로 그 의존성이 더욱 커지게 되고,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불공정거래행위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와 더불어 수직적 중층적 하도급구조의 경우 위탁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불공정거래행위의 발생 가능성이 높게 된다. 대·중소기업의 양극화 및 그로 인한 갈등의 본질적 원인으로는 중소기업의 인력·자금·기술·정보 등의 역량부족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요독점적 거래관계로 인한 불공정거래관행이다. 이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갈등을 해소를 위해서는 대 중소기업간의 수직적 지배종속관계라는 측면보다는 상생적 하도급관계의 형성이 필요하다. 글로벌경쟁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상생적 하도급관계의 구축과 관련하여 ‘신제도학파적 접근’이론은 우리의 대중소기업간 하도급관계를 위한 유용한 분석틀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이론은 법, 표준등 공식적인 제도를 형성하는 주체인 정부의 역할(특히 공정거래위원회)이 대·중견·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효율적 하도급관계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효율적 하도급관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는 경쟁친화적 중소·중견기업정책을 통한 중소기업·중견기업의 경쟁력 및 교섭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대·중소기업간 거래공정화를 위하여 공정거래질서 확립과 불공정 하도급거래기업에 대한 엄격한 하도급법과 공정거래법의 집행이 필요하다. 공정한 대 중견·중소기업간 하도급관계의 구축과 중소·중견기업스스로의 변화의 의지가 중견·중소기업의 경쟁력의 획기적 상승을 이루게 될 때, 외부환경의 변화를 수용하고 세계경제와 조화하는 한편, 대·중소기업간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problems and legal solutions of the subcontracting system in Korea. The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the subcontracting system in Korea has recently changed by global competition. The subcontracting system between the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including High Potential Enterprises(HPEs) has continued to change from vertical cooperative relationship into horizo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strength of competitiveness, open subcontracting transactions, enlargement and specialization of subcontracted company etc. Some survey research about the subcontracting system of the KOSDAQ listed enterprises in Korea shows that the KOSDAQ listed enterprises are composed of different companies: SMEs(75.4%), HPEs(19.5%), Large Enterprises(4.0%) etc, and it also shows that current Korean subcontracting system has many problems. Large Enterprises have abused their dominant positions in transactions with SMEs including HPEs and have practiced unfair transactions like unfair reduction of subcontract payment, revocation of subcontracting after verbally ordering, stealing of technology in transactions with SMEs including HPEs etc. It also shows that the unfairness of subcontracting trasactions is getting worse in 2. and 3. subcontracting transactio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efficient subcontracting system. Collaborative subcontracting based on ‘Faith’ and fair transaction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ncluding HPEs are necessary to solve problems of the subcontracting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it should be emphasized not only the role of Large Enterprises as prime contractor and the core competency of SMEs including HPEs as subcontractor but also the legal system for fair subcontracting system. The SME policies and the HPE policies of the government will encourage SMEs and HP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for the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fair subcontraction system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ncluding HP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법상 자기주식취득,처분제도에 대한 고찰

        박정구 ( Jeong Ku Par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1

        2011년 상법개정으로 인하여 자기주식의 취득·처분에 대한 규제의 방향이 원칙적으로 자기주식의 취득이 허용되고, 자기주식의 처분에 있어서 이사회의 재량권이 커졌다. 이러한 상법상 자기주식의 취득·처분에 대한 규제정책의 변화로 자기주식의 취득과 처분에 있어서의 공정성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특히 자기주식의 취득 혹은 처분하는 경우 가격과 거래상대방의 선택에서의 불공정성이 문제된다. 자기주식의 취득의 경우에는 거래소에 의한 취득방법, 비공개균등조건취득방법 및 공개매수의 방법 등 방법상 규제를 규정하고 있으며(제341조 제1항), 배당가능이익에 의한 자기주식의 취득은 증권시장을 통하거나, 주주평등의 원칙에 따라 각 주주에게 주식수에 따른 균등한 조건으로 취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상대방의 선택이나 가격결정에서의 불공정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그러나 상법 제342조상 회사가 자기주식을 처분하는 경우에 이사회의 광범위한 재량권을 인정하면서도 구체적 상대방선정 등 처분방법에 대해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것은 기존 주주들의 비례적 지분관계 또는 경영권에 중대한 영향을 고려하면 입법적 미비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회사의 효율적 재무관리수단, 적대적 M&A에 대한 방어책으로서 자기주식의 취득을 원칙적으로 허용한 2011년 상법개정의 취지를 감안하여 주주평등을 고려한 최소한의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독일 주식법 제71조 1항 8호(§71 Abs. 1 Nr. 8 AktG)처럼 자기주식의 처분의 경우 주주평등의 원칙에 따르도록 상법 제342조에 입법적으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legal effects of the unfairness related to the acquisition and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2011 in Korea. The revised Commercial Act 2011 have changed its strict regulation on the acquisition of company`s own share from absolute prohibition with few exceptions which are regarded as not harmful to the soundness of the capital structure. Article 341(1) of the Commercial Act 2011 allows the acquisition of company`s own share based on the rules such as limitation of acquisition fund. It permits companies to repurchase their own share with their distributable profits. The revision intended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equity financing, However, Article 342 does not prescribe the requirements and relevant procedures of the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2011. Article 342 of the Commercial Act 2011 provides just the right to freely dispose company`s own share in the board of directors. Companies are able to dispose its own share at any time by the ac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There are no provision to regulate the disposal of its own share. The dispute concerning the fairness of the disposal of its own share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In the case of disposing company`s own share, especially the fairness of the decision of the price and selection of the purchaser by the board of direction is very important. The disposal procedure requires fairness upon the decision of the price and purchaser.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unfair acquisition and unfair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 from the view point of interpretation of the revised Commercial Act 2011, comparing the foreign acts like USA, Germany and Japan. To avoid the unfairness of the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Commercial Act should be introduce new disposal procedure to treat equally all shareholders who are in the same position in disposal of company`s own share.

      • KCI등재

        중소기업 기술보호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가칭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법」의 제정안을 중심으로-

        박정구 ( Jeong Ku Park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4 과학기술법연구 Vol.20 No.1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problems and legal solutions of th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in Korea, focused on the draft of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has recently changed by global competition. With the change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the technology of SMEs in the economy sect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erve as a source of dynamism of the Korean economy and play a leading role in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crea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cting as a seedbed for market competi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and societies. To enable this source of dynamism for the Korean economy, the SME policies will encourage SMEs to be innovative in business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develop the environment for the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technology protection service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 of government i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SMEs in the global economy and the system should be based on the competition policies in the small business sector. The article of 24 of the draf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is intended for all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 to support directly the certain amount for their legal costs. Some survey researche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SMEs also reflect that the current Korean technology protect support system has several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technology protect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hould be enacted based on the competition policies. They will encourage SM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for the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The Basic Act on SMEs of Korea should be also amended towards support for the new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Ac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업집단의 소수주주 보호와 다중대표소송 도입

        박정구(Jeong-Ku Park)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2

        오늘날 기업집단의 지배구조가 계열회사간의 순환출자의 형태이거나 지주회사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지배회사의 주주권, 특히 소수주주의 주주권이 간접화가 심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배회사의 소수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순수지주회사의 경우 지배회사의 주주로 하여금 종속회사의 이사에 대한 대표소송의 허용하는 다중대표소송의 도입필요성이 더욱 문제시 된다. 다중대표소송이 도입되면 종속회사(자회사)의 손해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손해가 귀속되는 지배회사(모회사)의 주주가 종속회사의 이사를 상대로 그 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배회사의 소수주주의 이익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기업집단 지배구조의 개선, 즉 기업집단 내 지배종속관계의 책임성과 투명성이 제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법무부의 상법개정안은 다중대표소송을 위한 지배회사의 지분율을 상법상 모자회사의 기준인 50% 초과지분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지배회사의 종속회사에 대한 회사지분이라는 형식적 판단기준에 의하여 다중대표소송에서의 지배․종속관계의 기준을 설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법무부의 개정안이 다중대표소송의 인정범위를 모자회사관계로 한정한 것은 타당하다고 본다. 현행 상법상 모자회사관계를 인정하는 이상 현행 상법체계와의 정합성에 부합하고, 형식적 판단기준에 의함으로 인하여 지배ㆍ종속관계를 명백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중대표소송 도입에 대하여 경제계를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가 있으나, 다중대표소송은 종속회사의 권한 중 소제기권 만을 지배회사의 주주가 행사하고, 그 효과는 본래의 권리자인 종속회사에게 미친다는 점에서 종속회사의 법인격을 침해한다고 보기 어려우며, 남소의 우려에 대해서는 다중대표소송의 경우에도 단순대표소송에 적용되는 남소방지 규정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남소의 소지가 특별히 크다고 할 수 없다. 우리 기업집단 내 흔히 총수라는 지배주주의 전횡과 주주권의 약화 등 폐해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다중대표소송 도입에 대한 경제계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배회사의 소수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중대표소송을 상법상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중대표소송은 회사경영을 하는 이사에게 새로운 책임이나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 부과되어 있던 임무의 해태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묻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중대표소송이 이사의 책임을 증가시켜 이사에게 위험회피적인 소극적인 경영을 하게 한다거나, 이사의 위법행위를 중복 규제할 우려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상법상 다중대표소송의 입법을 통해 기업집단 내 소수주주의 보호와 기업지배구조의 책임성과 투명성 제고라는 기업집단 지배구조의 개선을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legal effect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multiple derivative suits related to the shareholders’protection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2013 in Korea.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are an action taken by the shareholders of a parent company. The shareholders of parent company litigate a suit on behalf of the parent company or the shareholders of the subsidiary against subsidiary’s directors, even though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are not possessed of the subsidiary’s stocks.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mpany can pose a derivative action, called double derivative action or multiple derivative action, on the director of a subsidiary in the United States. The Japanese Revised Companies Act strengthened a shareholder’s rights of a parent company by introducing multiple derivative suits in 2014 . In Korea, the issue on a double derivative suit was first raised in the late 1990s. The Seoul High Court decided that a double derivative suit is permitted under the current Commercial Act and made an attempt to introduce it to Korea. But the Supreme Court in Korea literally applied Article 403, declaring that every company was a legal independent entity and that a shareholder of the parent company cannot have a cause of action to bring a derivative suit against the directors of its subsidiary company. The 2013 Commercial Act Amendment strengthened the shareholders’rights of a parent company by introducing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are a subject of controversy, however, as different perspectives regarding the legal permission for the execution of such suits exist. Some scholars are worried that the government will introduce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because they could possibly violated legal personalty. Some do not agree with the codification of the prerequisites of multiple derivative suits. However, for the protection of shareholders and the maximization of corporate profit,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of shareholders of a parent company need to be activated through proper legislative improvement for their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This paper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and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from the view point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amendment, comparing the foreign multiple derivative suits such as those of USA and Japan. The multiple derivative suits are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the parent company shareholders’rights, and could potentially provide the compensation for parent company’s consequential da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