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se Agreement in Copular Constructions

        Insim Park(박인심) 한국생성문법학회 2006 생성문법연구 Vol.16 No.1

          I consider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ituents in copular sentences in Korean, separating the Case marker and its complement, to be DP and PP. By introducing KP, which implies that a Case marker is an independent lexical item in a numeration, I explain that the Case marker takes DP or PP as its complement, and suggest the structure of copular constructions compatible to that of a transitive sentence. This proposal is supported by the assumption that a predicate element is structurally empty Case-checked with V or Accusative Case marked with V+υ in copular constructions, following Mahajan (1992)"s suggestion about the positions of objects.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

        박인심 ( Park¸ Ins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를 분석하고, 교육실습 후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S여대 교직과정의 중등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실습 전·후에 교사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고, 실습 종료 후에 교육실습 전반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실습의 효과 분석에는 실습 전과 후 교사효능감 수준 차이를 검증하는 대응표본 t-test와 효과크기 Cohen’s d를 사용하고,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탐색에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체 및 3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습 전후의 효과 크기도 .77~.94로 높게 나타났다. 실습후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사효능감의 하위 영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실습생의 실습 전 교직 희망, 실습과정에서의 학급지도 경험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습전 교직 희망, 수업실행횟수, 학급지도 경험은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예측변인들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육실습의 효과와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을 논의하고, 효과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 설계·운영과 교사 양성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 양성교육의 핵심 요소인 교육실습의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teaching-efficacy of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teaching-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measured the teaching-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of 30 pre- service teachers and conducted an opinion survey on the overall teaching practicum. The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and Cohen's d was used. The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otal and all three sub-areas, and the effect size before and after practice was also high, ranging from .77 to .94.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 efficac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area of the teaching efficacy, bu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desire for a teaching job and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in the practicum process were related. Particularly, the teaching job hope, the number of classes performed, and classroom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variables that explain the level of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eaching practicum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factors influencing on it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program and teacher training were suggested.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construct the theory of teaching practicum.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알아본 대학생의 관심사 변화 분석 :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박인심(Park Insim),안미리(Ahn Miri),최은정(Choi Eunjung),심민선(Shim Min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초고속 네트워크 기반 환경이 구축되고 모바일 기기 보급이 일상화되면서 하루에도 수백억 기가바이트 이상의빅데이터가 발생하고 있다. 빅데이터 발생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일상, 느낌을 공유하는 SNS를 들수 있다. SNS를 통해 최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주요 관심사가 무엇이고, 코로나 이전과는 어떤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에브리타임을 대상으로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코로나 상황에서 더 나은 학교생활에 대한 대책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에브리타임 게시판에 올라온 글을 수집하고 크롤링하여 관심도분석, 연관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이 강의, 과제, 알바, 고민 등에 주로 관심을 보였고, 그 주요 관심사의 초점이코로나 이전과 이후에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적집단면담에서도 일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결과를 토대로, 빅데이터의 출처로서 에브리타임의 가치를 밝히고, 대학정책수립과정에 에브리타임을 적극 활용할것을 제안했다. More than tens of billions of gigabytes of big data have been generated per day.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speed network-based environment and the daily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big data is: SNS, through which platform users share their daily lives and feelings. By using SNS, the main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and how they have changed through Covid-19 can be tracked.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school life during the pandemic; by conducting social big data mining on ‘Every time’- a social network service designed mainly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 employed: texts from Every tim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semantic analys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1) the main interests revolving around ‘lectures’, ‘assignments’, ‘part-time jobs’, and ‘concerns’ have changed; (2) The function of ‘Every time’ is not confined to the platform for information exchange only. It also offers emotional support and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value of ‘Every time’ as a source of big data and argues that universities should refer to ‘Every time’ when making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교장공모제 실행에 대한 다양한 참여집단의 인식과 경험

        이효정(Lee, Hyojung),박인심(Park, Insim),전수빈(Jeon, Sue Bin),김갑성(Kim, Kap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교장공모제를 실행하고 있는 학교의 다양한 구성원과 시도교육청 담당 장학사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그 실제에 대해 이해하고, 보다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모유형, 학교급, 지역을 고려한 교장공모제 시행학교의 교장, 교감과 교사, 학부모, 시도교육청 담당 장학사 총 2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각 집단별로 총 4번의 포커스 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자료는 9개의 대주제와 54개의 소주제로 인식과 경험으로 범주화하여 정리되었다. 교장공모제에 대한 인식: 1) 교장공모제의 강점, 2) 성공요인, 3) 현안, 4) 개선방안 및 제언). 교장공모제에 대한 경험: 5) 공모학교 전환이유와 신청배경, 6) 공모교장의 지원동기, 7) 공모 학교와 교장의 어려움, 8) 공모교장제의 문제점, 9) 교장공모제 활성화 영향 요인. 참여자들은 교장 공모제에 대한 다양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그 목적이 긍정적인 학교변화를 위한 것이라는 점에 대체로 동의하였다. 그러나 공모 유형별 차이가 희석된 점, 정년 연장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 내부형(미소지자)의 원직 복귀와 지원 비율 및 공모 과정의 공정성 등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끝으로 보다 성공적인 교장공모제 실행을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s of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ORSP) focusing on multiple stakeholders’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 total of twenty-five stakeholders including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parents, and superintendents in charge of implementing policy at municipal or provincial leve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four groups of participants each. Based on schoo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types of ORSP, school levels, and regions, divers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in groups. The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researchers, and the results include nine main themes and fifty-four sub-themes and were categorized by experience and perception as follows: (1) strengths of ORSP, (2) contribution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3) current issues (4) suggestions and possible solutions under the experience category, and (5) main motivations for initiating ORSP, (6) applying motivations for principals, (7) difficulties of principals and ORSP schools, (8) problems in the ORSP, and (9) facilitating factors in implementing ORSP as participants’ perceptions. As a result, most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ORSP’s positive effects of school reforms despite their various perceptions on ORSP. However, the watered-down policies and practices of ORSP subtypes, the use of ORSP as a means of principals’ retirement extension, the controversial perspectives on the returned position of ORSP principals without principal certification as well as their possible portion of applications were identified as current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Lastl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s well a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ORSP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IRT 능력 추정에서 정보적 사전분포에 기초한 EAP 방법과 무정보적 사전분포에 기초한 방법의 기능 비교

        김성훈(Seonghoon Kim),박인심(Insim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2

        문항반응이론(IRT) 능력 추정에서 우수성이 입증되어 온 사후기대(EAP) 추정 방법은 능력모수의 사전분포의 명시를 요구하는 베이지언(Bayesian) 추정 방법이다. 본 연구는 EAP방법이 능력모수에 대한 사전분포의 정보적 특성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RT 능력 추정에서 정보적 사전분포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정규분포에 기초한 EAP 추정량(estimator)과 무정보적 사전분포인 균일분포에 기초한 EAP 추정량의 기능을 IRT 모형과 검사 길이를 변화시킨 다양한 검사조건들하에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정규 사전분포 EAP 추정량은 능력모수를 사전분포의평균(0)을 향해 상당한 정도로 축소 추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균일 사전분포 EAP 추정치들은 (-3, 0)의 능력 구간에서 근소한 부적 편향을 그리고 (0, 3)의 능력 구간에서는 근소한 정적 편향을 보였다. 추정의 표준오차에 있어서는 표준정규 사전분포 EAP 추정량은균일 사전분포 EAP 추정량보다 일관되게 작은 값을 산출하였다. 능력모수를 복원하는 평균적인 정확도(즉, 모수와 추정치 간의 차이)에 대해서, 표준정규 사전분포 EAP 추정량은사전분포의 평균 근처에 위치한 능력모수들을 추정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우수성을 보인 반면, 균일 사전분포 EAP 추정량은 능력척도의 극단적인 위치에 속한 능력모수들을추정하는 데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검사의 목적에 따라 두 가지 EAP추정량을 적절히 선택해야 함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논의가 제공된다. The expected a posteriori (EAP) estimation that has been proven to be superior in estimating item response theory (IRT) ability parameters, as a Bayesian approach, requires a specification of a prior distribution for the ability paramet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erformance of the EAP estimator is affected by the intensity of information that the prior Provides for the ability parameters. For this purpose, the EAP estimator based on a standard normal[N(0, 1)] prior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ability estimation) was compared to the EAP estimator based on a uniform prior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non-informative prior) under various testing conditions. As a main result, the N(0, 1) prior EAP estimator performed a substantive shrinkage estimation of the ability parameters toward the mean of the prior, whereas the uniform prior EAP estimator slightly under-estimated the ability parameters in the inverval (-3, 0) but slightly over-estimated the ability parameters in the inverval (0, 3). For the standard error of estimates, the N(0, 1) prior EAP estimator produced, over the interval (-3, 3), consistently smaller values than the uniform prior EAP estimator. In recovering the true parameters, the N(0, 1) prior estimator showed relative superiority for the ability parameters located around the mean of the prior, whereas the uniform prior EAP estimator worked well for the ability parameters located around the ends of the ability sc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wo EAP estimators be used wise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est (whether it is norm-referenced or criterion-referenced).

      • 여자예비교사의 교직관 분석

        박인심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연구논총 Vol.26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onceptual elements in the teaching perspectives and to analyze the teaching perspectives of female preservice teachers.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perspective concept was composed of four perception elements regard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ers, schooling, and the work of teachers. The study conceptualized the teaching perspective as a struc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ers, schooling, and the work of teachers perceptions. Also, preservice teachers most often recognized ‘knowledge and love of students', ‘effective teaching skills', and ‘the teaching perspective' as the qualities of a desirable teacher. Regarding the most difficult work of teachers, ‘student guidance and student control' for the sophomores,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for juniors, and ‘administrative tasks' for seniors were noted by female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student progress, positive feedbacks from their own students, and the grade improvements of their students as the most significant sources of the teacher's pride and reward. Finally,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take the viewpoints of the clergy, the professional, and the public servant on the teaching job in an orderly manner. In the end, the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Key words:the teaching perspectives, female preservice teachers, teacher pr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