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관 학습자연구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논의 - P. Bourdieu 이론을 중심으로 : 미술관 학습자연구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논의

        박응희(Park Eung Hee),이병준(Yi Byung Jun),박지연(Park Ji Ye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3

        Bourdieu는 그의 저서에서 예술연구에 대해 사회적 철학적 접근을 ‘사회학을 반영하는 초대’라고 부르며 예술가들, 작가들, 큐레이터와 갤러리 소유자에 대한 분석을 했고 ‘Art’가 무엇인지 서술하고 있다. 그는 정책가들, 관리자들, 미술관과 국가 갤러리들이 그들의 개인적이고 결합된 실행이 어떻게 그들을 지배하는 ‘법칙’이라는 용어로 이해되는지 보여준다. 또한 그는 ‘예술’과 그것을 지지하는 철학의 주제를 가져다주는 실행 이론에 대해 많이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Bourdieu의 이론을 면밀히 분석하여 미술관 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It was not by chance that Bourdieu targeted education for his studies. In a climate of post-war renewal, education was seen as a principal means by which the new world would be built, and so it proved in many respects. In these works, Bourdieu offers a kind of social anthropology of the French education system, employing a range of statistics and ethnography data to elucidate its underlying generating structures. Education is not content-free, however, and we see that Bourdieu takes a particular interest in culture from the earliest works. In 1966, L"Amour de l"art, which dealt with the museum and gallery visiting habits of the French. This work grew out of his education studies, especially the cultural practice of students-tastes in music, art and literature, for example. The cultural stand of his research continued to develop over a number of years and finally culminated in the publication of La Distinction(1979). In this book, Bourdieu offer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aste and, by implication, aesthetics. It shows that cultural practice and consumption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social differentiation across the class structure. Briefly, that we behave culturally according to socially formed dispositions which are acted out whenever we engage in diverse areas of culture. It is clear that Bourdieu is not interested simply in the topic of Flaubert in itself, but rather what his case illustrates and illustrates about artists and artistic practice in general. Thus, this study is offered proposals for an account of how the artistic market operates. This involves elucidation of methodological tools and the general character of artistic fields. The discussion is illustrated with copious examples from a wide range of cultural practice, including journalism. what emerges is a field analysis of the way artists, writers, curators and gallery owners are mutually engaged in a symbiotic practice, the totality of which is "art". The state-politicians, ministers, museums and national galleries-is never far away. Bourdieu shows how their individual and combined practice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rules" which govern them. What we need to comprehend as part of this engagement is what we understand by the term "rules". Hence, there is much to say about the theory of practice which is brought to bear on the topic of "art" and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studying art implies that we appoy the same method to both researcher and the researched as part of what he calls an "invitation to reflexive sociology".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시장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에 대한 연구

        박응희(Park, Eung-Hee),이병준(Yi, Byung-J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1

        평생학습도시사업의 도입으로 지역차원에서의 평생교육 기본계획의 수립과 지역시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파악하는 일은 매우 기초적인 작업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지역마다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요구조사는 거의 대동소이하게 지역의 학습자 층과 교육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아닌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통계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조사방법론적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 환경이론을 평생교육의 학습자와 시장 분석에 활용한 학습자 층과 시장분석에 대한 연구가 독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과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것으로 독일의 사회학계에서는 전통적인 사회계층분석모델에 일상생활양식과 취향 등 문화적 요소들을 가미한 문화사회학적 환경이론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환경이론에 기초할 경우 평생교육의 학습자와 시장은 다양한 여려 형태의 유형으로 구획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론적 개선은 평생교육의 시장분석, 요구분석과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마케팅에 시사하는 점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은 다양한 성인학습자층이 원하는, 그들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그리고 그들의 생애사적 특성과 주관적 가치성향을 겨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Lifelong learning in the field of city busi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basic Lifelong education plans on a local level, the analysis of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from local citizens has become a very influential field of work. Yet many demand surveys conducted in the areas selected as Lifelong learning cities are mostly performed through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atistics rather than in-depth examination of prospective learners and markets in the areas; thus methodological innovation is required. Recently, studies employing social environment theor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analysis of learners and markets of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and other countries. These studies are taking advantage of the research results of social sciences and the sociology field of Germany has created a cultural-sociological environment theory in which daily lifestyles and tastes are added to traditional social class analysis models. When based on social environment theory, the learners and markets of Lifelong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environmental models of various types. Such methodological improvement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arket analysis, demand analysis and program development, as well as marketing of Lifelong education. With the help of such new method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gram marketing by developing programs that are wanted by various learners. These programs are suited to the inclination and tastes of learners and aimed at Lifelong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values of learners.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 철학에 대한 성인교육적 논의

        박응희(Park, Eung-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오늘날 성인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주관적인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의 적용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자기성찰성을 강조한 소크라테스의 교육철학을 성인교육적 차원에서 고찰해 보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교육을 지식전달이나 직업훈련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성찰적인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대화과정을 통해 그 목적을 실현해갔다. 소크라테스적 교육방법인 산파술은 이러한 측면에서 성인의 교육과 학습의 원칙에 매우 맞닿아 있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의 철학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사고하고, 결정하는 자율성의 원칙과 학습자의 경험과 내적인 판단원칙을 기초로 하여 스스로가 학습의 주체가 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원칙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토론속의 집단역학의 가능성을 보여 주면서 학습자의 태도나 행동의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은 학습자들이 끊임없는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의 부족함을 깨닫고 주체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게 하도록 독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인교육의 방법론적 철학이 엿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크라테스적 대화과정은 학습자의 주관적인 특성을 고려한 대상자 중심의 성인교육방법의 이론적 토대로서 인식되어져야 한다. In today's lifelong education,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offer educational methods and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ccordingly, this study hopes to rediscover the modern meaning of the Socratic method by examining the philosopher who personally practiced his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daily lives of learners and self-reflection. Socrates regarded education not as knowledge delivery or vocational training but as the extension of reflective thinking of learners, realized through the dialogue process. Maieutics, Socrates' teaching method, is consistent with principles of life education. In maieutics, you can find the principle of autonomy in which learners think and decide for themselves. Specifically, this is the principle of self-leading learning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become the subjects of learning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personal judgement rules. In addition, while showing the group dynamics which help instructors and learners enhance learning effects through interactions, maieutics facilitates changes in attitude and behavior. Lastly, the Socratic method helps learners perceive their weaknesses through ceaseless self-reflection and encourages them to continue to learn more autonomously. In this sense, it seems that the Socratic method can be us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

      • KCI등재

        박물관교육방법으로서의 ‘해설’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

        박응희(Park, Eung-Hee),이병준(Yi, Byung-Jun),박지연(Park, Ji-Yeon),최유주(Choi, Yoo-jo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근대적 박물관이 탄생한 이후로 해설을 통해 전시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은 박물관교육방법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해설이 일방적인 내용의 전달이 대부분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다르지 않아 박물관에서의 해설문화는 전시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통계수치로나 도슨트의 경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해설이 설명이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석에 이어지며 이 해석이 일방적인 해석이 아니라 해석학적 순환에 의해 관람객의 열린 해석으로 이어질 때 교육학적으로 해설은 커다란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해설문화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작게는 도슨트의 해석학적 상상력을 강화시키는 역량의 변화를 통해 크게는 박물관의 탈근대성로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박물관을 구성하는 것이다. Ever since the modern museum was created, the method to deliver its articles on exhibition through explanation has been settled as a key method of museum education. However, there is some problem that this explanation is mostly consisted of a one-way delivery about the exhibiting contents. The case in Korea is not different from this general practice. The culture of explanation in the museum focused on communicating its articles on exhibition effectively, which has been proved by statistical data or by the experience of the docents. Explanation should be more than just interpretation, but it should be linked with another interpretation. This kind of chain interpretation is not one-way explanation but has a hermeneutic circle, which can be continued by free interpretation of the public. The paradigm shift in the culture of explan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strengthening hermeneutic imagination of the docents and through the separation from the modernity of the museum. Then, it is possible to achiev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in the museum.

      • KCI등재

        공간의 실천에 대한 평생학습으로서의 도시재생대학 실행 연구 - 앙리 르페브르(Henri Levfebre)를 중심으로 -

        박응희(Eung-Hee Park),신서영(Seo-young Shin),박창언(Chang-Un Park)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B광역시 G구의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운영된 도시재생대학에 관한 실행연구이 다. 총 12주간 운영되었던 전반적인 실행과정을 정리하였으며, 참여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대학 학습을 통해 어떠한 변화들을 경험했는지에 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 담 결과는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이론과 리듬분석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 재생대학의 지역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주민참여형 사업 발굴을 위한 교육과정은 참여자 들의 공간에 대한 인식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첫째, 서로의 다름에 대한 인식을 바 탕으로 지역참여에 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둘째, 공동체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제고(提 高)하였다. 셋째, 공간을 생산하는 주체로서 서로 연결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주체의식을 가진 공간의 생산자이며, 서로 결합하기를 원하는 유기적인 사회공 동체 내의 단위로 존재하며, 삶의 시간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값진 학습 경험을 하였음을 결 론을 내리고, 각각에 해당하는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on Creative City Regeneration College operated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G-district in B-metropolitan city. The overall implementation process, which had been in operation for a total of 12 weeks, was compil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ting learners about the changes they experienc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by subject according to the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and rhythm analysis in Levfeb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iculum for the excavation of community-participating projects for the enhancement of the capacity of the Community in Creative City Regeneration University affected the awareness of participant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ach other s differences, the learning experience for local participation was provided. Seco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ommunity was raised. Third, they wanted to connect with each other as a space-producing 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earners concluded that they were producers of a space with a sense of subject, existed as a unit within an organic social community that wanted to combine with each other, and had a valuable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the time of life was converted into space, and made suggestions corresponding to each.

      • KCI등재

        평생교육방법으로서의 토론기법의 이론적 구성에 대한 연구

        박응희(Park, Eung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의 성찰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토론기법에 대한 이론 탐구와 현자에서의 실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하였다. 토론기법은 성인학습자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결정하는 자율성의 원칙과 학습자의 경험과 내적인 판단원칙을 기초로 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원칙과 연결되어 있다. 왜냐하면 토론은 성인학습자들의 일상생활과 생애사에서 드러나는 관심과 문제를 교육내용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대화진행을 통해 일상생활에 대한 성찰과 문제해결과정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론기법은 기업교육, 노인교육과 민주시민교육 등의 영역에서 일상생활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용한 교육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discussion technique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 of adult learners and also explored the practicalities of such techniques on the scene. The discussion techniques are related to the principle of autonomy in which adult learners think and decide for themselves. The principle of self-initiated learning is based on the learners’s experiences and inner judgment. This is because discussions can be connected to adult learners’ concerns and problems found in their daily lives and personal history. Therefore, the progression of such discussions naturally includes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ir daily lives and finding solutions to their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company workers, senior citizens and democratic citizens. Discussion techniques adopt the participants’ daily lives as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such discussion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as a useful education method that can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ies.

      • KCI등재

        연구논문 : 평생교육상담의 노인교육접근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독일의 담론을 중심으로-

        박응희 ( Eung Hee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1

        평생교육영역에서의 상담이 우리나라에서 조금씩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학문적 담론에서는 대체로 평생교육 상담행위에 대한 논의가 심리학적 논의의 전유물로 인식되고 있다. 평생교육의 상담을 심리학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와는 달리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이해가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독일의 평생교육의 상담에 대한 탐구와 분석은 매우의미있다. 독일의 평생교육에서 상담을 심리학적 차원이 아닌 교육적 행위의 차원에서 접근하는데, 개인화되고 현대화되는 사회변화의 환경 속에서 사회속의 개인들은 어느 때보다 자율적인 행위능력에 대한 요구에 직면하고 있으며, 개인의 생애사적 맥락과 학습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학습자, 평생교육기관과 사회가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해 나갈 것인가 하는 교육학적 문제제기와 관련된다. 평생교육상담을 통해 개인과 기관의 역량강화와 전문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개인의 자발적 학습능력을 갖추도록 학습에 대한 성찰을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교육에서는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정보부재는 물론 학습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여 자신의 생활세계를 능동적인 차원에서 성공적인노화로 연결시킬 수 있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학습자원을 고려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counseling of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is introduced little by little in Korea. But, In our academic discussion, the argument about lifelong education counseling behavior is generally recognize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psychological argument. Contrary to the trial intending to grasp lifelong education counseling psychologically, an understanding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is required. In this context, research and analysis on German counseling of lifelong education is very significant. In German lifelong education, a counseling is approached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not a psychological standpoint. In the individualized and modernized environment of social changes, individuals in society are facing needs for autonomous capacity more than ever.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blem suggestion for how leane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society should be interacted through the reflection on individual biographical context and studying. It`s to not only strengthen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apabilities and grasp professionalism through the lifelong education counseling but also strengthen the reflection on studying so that they can possess autonomous studying ability. Especially, the studying strategy which can connect their own life with successful aging at the active level by promoting information and study for lifelong institution efficiently is necessary in aging education. It`s for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s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considering their studying resources.

      • KCI등재

        빌헬름 플리트너(W. Flitner)의 성인교육철학 연구

        이병준(Yi, Byung-Jun),박응희(Park, Eung-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2

        빌헬름 플리트너의 교육학은 다른 학자들과는 달리 성인교육까지를 포괄한 평생교육학으로 요약될 수 있다. 플리트너는 인간의 전 생애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통하여 교육이론을 구성하였다. 플리트너는 당시 시대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성인교육사상을 그의 인간학적 고찰에 기초하여 발전시켰다. 그는 인간과 교육의 관계에 대해 네 가지 관점, 생물학적 관점, 정신적-사회적 관점, 정신적인 각성의 관점, 개인적 관점으로 설명하였고 사회-역사적인 환경과 개인의 주관적 여건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성장해나가는지를 해석학적-프래그머티즘적 교육학으로 설명하고 있다. 플리트너는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성인교육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외부적인 요구에 맞도록 학습해가는 외연적 방법과 학습자의 내부적 요구에 맞도록 학습시키는 내포적 방법이 변증법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성장을 이끌어낸다고 보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플리트너의 교수방법은 개인의 생애사적 성찰성에 바탕을 둔 일상생활양식인 문화적 학습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Unlike other scholars, pedagogy by W. Flitner can be summarized as lifelong education covering the adult education. Flitner constituted his educational theory by supporting individual growth throughout one's life. He developed educational ideas for adults based on his humanistic observ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times. H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education with four different standpoints, including biological, spiritual-social, spiritual awakening, and personal standpoints. He also explained how an individual grows up in the socio-historical environment and the subjective situations with the hermeneutic pragmatism. Flitner explained the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with methods of adult education. It was believed that the denotative method that satisfies the external needs and the connotative method that satisfies the internal needs could solve the social problems and lead the individual growth through a dialectical interaction. Against this backdrop, it is necessary that Flitner's educational method should be understood as a cultural learning about daily life based on the individual self-refle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도시 논의에 내재된 근대성 담론 비판과 미학적 학습도시의 가능성 검토

        이병준(Byung-Jun Yi),박지연(Ji-Yeon Park),박응희(Eung-Hee Park),이수민(Su-Min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2

        도시에서의 공간은 정책 속에서 기능성, 효율성, 경제성을 기준으로 계획되어 왔다. 그러나 학습의 관점에서 볼 때 계획된 공간은 그곳에서 생활하고 체험하는 사람들의 인지구조에 강력한 영향력을 주기 때문에 기능성과 효율성이라는 경제적인 잣대로만 접근해서는 곤란하다. 도시공간이 주는 무형식학습의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으며 공간은 그 자체로 교육학적 성찰의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은 충동적이며, 계획에서 벗어난 것이고 그 복잡성과 개방성으로 인해 프로그램화할 수 없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평생학습의 문제를 도시와 연관하여 연구하는 학습도시이론과 정책은 계몽주의적, 통일적 시스템에 기반한 근대성에 머물러 획일적 방식의 톱다운식 운영, 단순 프로그램의 나열로 그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이런 근대성에 기반한 한계들로 인해 현재의 학습도시 담론과 정책은 새로운 관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의 논의들은 창조도시담론의 수용 속에서 문화적, 미학적 그리고 예술적 접근을 도시 속에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학습도시 정책추진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도시에 내재한 근대성에 대해 비판적 분석, 그 한계성을 검토하고 그 대안으로 미학적 학습도시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실천가들에게 도시가 가진 문화, 예술, 공간 등의 문제가 도시 전체가 하나의 학습과 연관성 있는 텍스트로 인식되고, 평생학습도시담론 에서 미학적 관점과의 조망 속에 여러 가지 제안점들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space in the city has been planned for functionality, efficiency and economic value in a policy. From an educational viewpoint, however, a planned spaceeffects to cognitive structure of the people living in there strongly. Therefore, the influence of formless learning from urban space and architecture can be huge. The space is an object for educational reflection in itself. Nevertheless, today’s Learning City Policy has stopped on modernity showing its limitation in top-down management with uniformed, standardized and enlightenment’s methods. But the daily life is spontaneous and the one out of plan and impossible to be programmed due to its complexity and openness. In this research, the alternative for these discussions of learning city will be found in postmodernism concept.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ty to details and discussions of learning city based on it, the Aesthetic Learning City based on postmodernism is going to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