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재(恭齋) 尹斗緖의 화학(畵學)과 유화(儒畵)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恭齋 尹斗緖(1668-1715)는 조선 후기 화단의 다양한 경향을 선도한 선구적인 선비화가이다. 그는 선비로서 시대와 국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지닌 채 학문과 사상을 담은 회화 예술을 창조하였다. 선비로서의 의식과 실천이 회화의 주제와 수준, 내용, 양식을 전반적으로 진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윤두서가 추구한 선비화가로서의 역할, 이를 토대로 형성된 새로운 성격의 선비그림, 儒畵의 대두를 통하여 조선 후기 화단은 크게 변화, 발전할 수 있었다. 그가 시도한 새롭고 다양한 주제의 모색, 화보와 판화 등 새로운 매체의 활용, 선비의 이상과 격조를 담아낸 남종화와 시의도를 새롭게 시도한 점, 사실적인 정신과 수법을 담은 영정, 풍속화 및 정물화 등의 개척, 회화의 수장과 감평의 선호, 화론의 저술, 새로운 서예와 전각의 추구 등 다방면에서의 활약은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자극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윤두서의 회화를 寫意와 寫實이라는 두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사의란 윤두서가 유학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추구한 尙古的古學과 관련된 분야로서 詩書畵三絶의 추구, 南宗畵및 詩意圖등을 통해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실은 博學과 西學등 새로운 학문적, 사상적 경향과 관련된 분야로서 影幀과 風俗畵, 靜物畵, 사실적 動物畵등에서 그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서학을 토대로 이루어진 과학적 응시라는 새로운 인식과 관찰 및 사생이라는 새로운 회화 방법론은 유학의 형이상학적 논의를 극복하려는 문제의식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조선후기 회화가 이전과 다른 새로운 경지로 변화하였다고 할 때, 그 출발점에 서 있던 선비화가 윤두서의 역할과 공로는 충분히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Yun Duseo(1668-1715), a seonbi painter was ahead of the various new trends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He could create a new level and concept of paintings through new knowledge and thinking. He groped for new themes of paintings, painting manual and prints as new methodologies for paintings, and introduced new genres of Southern school painting and painting based on poetry. And he opened up the realistic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and still life, developed painting collecting, painting criticism, and painting theory, and started new calligraphic style and art of seal making. He could resulted in the new development of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tudy, Yun Duseo’s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one is ‘sayui 寫意’ and the other is ‘sasil 寫實’. ‘Sayui 寫意’ is related with Yun Duseo’s classical studies focused on the reactionary Confucianism. Through reactionary studies, he tried to set up a new cannon in the field of painting. He suggested a new emphasis on Three Excellence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introduced new trends of Southern school of painting and paintings based on poetry. ‘Sasil’ is specially related with Yun’s extensiv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e field of portrait painting, genre painting, still life etc., Yun’s new knowledge was adapted successfully. Yun Duseo is a pioneer who set up a new vision of seonbi painting, that is ‘yuhwa儒畵’. The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broke a new ground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And the pioneer, Yun Duseo’s role and achievements can not be praised too much.

      • KCI등재

        朝鮮時代의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畵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0·251

        조선시대의 예술을 말할 때 흔히 詩畵-致, 詩書畵 三絶을 거론한다. 생각과 사상, 학문과 예술, 그리고 실천이 일치되고 통합되는 것을 지향한 조선 선비들의 삶이 이러한 경향을 초래한 것이다. 이 글에서 정리한 누정산수화도 결국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졌던 知行合-의 철학과 사상이 시각예술로서 표출된 산물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성리학적 사상을 삶 속에서 구현하는 것을 중시한 선비들은 天地人, 天人合-의 성리학적 이상을 자연을 관조하거나, 그 가운데서 노닐면서 실천하였다. 누정이 조선시대 내내 적극적으로 건축, 경영된 것은 바로 성리학적 철학과 사상을 표상하는 건축물이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는 누정을 중심으로 樓亭文化, 樓亭文學, 樓亭山水畵라고 하는 독특한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가운데 누정산수화란 필자가 처음 제기한 용어로서 조선시대 그림 중 누정과 그 주변의 경관을 재현한 실경산수화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누정산수화는 국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온 누정문화와 누정문학의 개념이 시서화삼절, 文史哲의 종합을 중시한 이 시대의 경향에 따라 그림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누정산수화가 누정의 사회정치적 기능과 상징성을 반영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았고, 이를 토대로 누정산수화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각 유형의 누정산수화는 누정의 정치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상징성이 변화하면서 차차로 형성되었다. 누정산수화에는 누정에서 보이는 경치를 표현하는 敍景的인 요소와 누정산수화가 그려지게된 계기를 시사하거나 누정산수화 제작의 동기 및 목적을 시사하는 敍事的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서경의 요소는 화면 속에 등장하는 경물 및 소재의 종류 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고, 서사적인 요소는 그림 안에 표현된 여러 요소들을 통하여 시사되거나, 또는 그림에 쓰인 제목이나 畵題, 참석자들의 면면을 기록한 座目, 그림과 관련된 여러 기록 등을 토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기초로 하여 필자는 누정산수화를 조선초기에 시작된, 관료들의 契會를 그런 누정산수화, 전국 각지의 승경처에 지어진 공적인 누정, 즉 公?를 그린 누정산수화, 개인의 소유지에 세워진 私亭을 그린 누정산수화로 나누어 보았고, 각 유형이 표상한 의미와 상징, 화풍의 특징을 구명하여 보았다. 누정산수화는 조선 초부터 말까지 꾸준히 그려진, 실경산수화의 한 분야로서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ny study of Korean art of the Joseon period usually involves a discussion of such terms as sibwa ilcbi ("the corresponde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 and samjeol ("the three perfections"), or the three genre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se distinctive features of art reflect the lifestyle of Joseon's Confucian elite, who searched for a correspondence between and the integration of ideas, scholarship, the arts and practice. The Nujeong (lit. "lofty pavilion") landscapes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also a genre of painting that materialized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jibaeng habit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herished by Joseon's Confucian literati. Neo-Confucian scholars were keenly interested in transforming Neo-Confucian teachings into reality, and spent their lives contemplating the means to realize the ideal states of cbeonjiin ("heaven, earth and humanity") and cbeonin habit ("unity of heaven and humanity"). Joseon's Neo-Confucian elite continued to be active in the building and running of pavilions (nujeong)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se architectural structures served as ideal representations of their philosophy. Their love of pavilions eventually led to the birth of the distinctive cultural phenomena now known as Nujeong Culture, Nujeong literature, and Nujeong landscapes. As a term recently introduc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Nujeong Landscapes refers to the silgyeong ("real")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in which a pavilion and the scenic landscapes around it were depicted. The landscape paintings classified into this genre are a result of the widespread interest among modem academic circles in the integration of poetry and painting (sihwa),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siseobwa samjeol), an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munsacbeol) in the areas of Nujeong Culture and Nujeong Literature. In this essay. I conclude that the Nujeong landscape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socio-political functions and symbolism of these "lofty pavilions" in Joseon society, and classify the remaining works into three categories The paintings in each category reflect the gradual changes which occurred over time in terms of the functions and symbolic nature of the pavilions. A typical nujeong landscape painting contains the element of seogyeong ("landscape depiction"). whereby the painter would capture a scenic view as seen from a pavilion, and the element of seosa ("event depiction"), which revealed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painting. A viewer can perceive the first element through the painting techniques employed by the painter, and the second through the individual subject matters captured in the painting, along with the postscript written on the painting, which typically contained a title, prayer, and a li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occasion captured by the painting. After an extensive study of the elements in the remaining nujeong paintings,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gyeboe ("literary gathering"), gongcheong ("public building"), and sajeong ("private pavilion") nujeong paintings and then discussed the symbolic nature of the works in each category.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 genres developed in Korea, the Nujeong landscape paintings were produced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 to the very last days of the dynasty, reflecting and defin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ilgyeong landscapes in Joseon.

      • KCI등재

        繪畵를 통한 疏通: 새로운 맥락으로 보는 韓日繪.交流(1) -일본 다이묘(大名)가 소장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의 다이묘가에서 오래 전래된 작품들인 동시에 회화 사적으로 볼 때 조선시대 회화사의 논의에서 기준작으로 거론될 만한 의미를 가진 작품들을 선정하여 일본에 전래된 경위와 제작시기, 작품 자체의 화풍과 회화사적 의의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17세기 중엽 경 조선국왕이 일본에 선사한 한 쌍의 영모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모리가의 세 폭 산수화와 두 폭의 영모화, 깃가와가에 전래된 이정의 <용호도> 두 폭, 마에다가에 전래된 최명룡의 <하경산수화>, 조선국왕이 선사한 원체 <춘일송록도>와 <추월죽학도> 등은 작품이 규모가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크고, 제작한 화가가 당대 최고의 화가로서 작품의 수준이 높으며, 그 제작시기와 전래경위가 분명하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들은 그간 한국 회화사에서 주요하게 거론되지 못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면서 본고를 작성하여 한국회화 연구에 새롭고 의미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을 소장하였던 일본의 다이묘가는 일본의 다이묘가 중에서도 대표적인 가문들이었다. 세 가문 모두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하였고, 조선에 대한 관심과 취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때로는 조선에서 작품을 직접 가지고 갔거나, 조선 미술품을 수집하는 등 조선과 관련되어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기고 있다. 본고에서 다룬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서 일본에 전래된 많은 중요한 작품들을 재고하고 한국회화의 논의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많은 조선 회화가 17세기 이후 통신사와 관련하여 건너가거나 제작된 작품들이지만, 동시에 적지 않은 숫자의 작품들이 그 이전, 즉 임진왜란 즈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빠른 시기에 다양한 교섭통로를 통해서 일본에 건너간 작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한국의 도자기와 불교미술품, 회화에 관심이 높았던 일본인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또한 임진왜란 중에 많은 문화재를 일본에 반출하였다. 17세기 이후 진행된 통신사를 통한 교류과정에서도 많은 작품들이 상호합의 하에 선사, 교환되었다. 일본에 소재한 조선 회화에 대해서는 이처럼 다양한 역사적 배경과 소장경위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면서 접근하여야 하며, 때로는 일본에서 유통된 적지 않은 조선작품의 국적이 한국이라는 사실을 모른 경우도 있었다는 일본측의 시각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일본 소재 조선 그림의 전래경위 및 일본에서의 위상, 회화사적 의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일본 소재 한국회화의 반환 문제 및 활용방안을 모색할 때에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문제인 것이다. In this article several paintings considered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owned by daimyo families in Japan, will be discussed in their historical context. An account will be given of their introduction to Japan and their significance in Korean art history. The following paintings achieve a high standard, are well preserved, and have critical meaning in Korean art history that has not been acknowledged; “Four Season Landscape”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Mori family, “Dragon & Tiger”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possession of the Kitkawa family, Choe Myoungryong`s “Summer Landscape”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owned by Maeda family, and lastly, “Animal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presented to Japan by the king of Joseon dynas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accounts for imported Korean paintings in Japan and lay the ground work for a restitution and utilization. In addition, the significant paintings, previously unknown in Korean art history, will be excavated providing further insight on current academic debates. These distinguished daimyo families possessing the paintings ha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Joseon dynasty. They shared a common connection with Joseon, for instance, sending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having taste and interest in the Korean art, and occasionally purchasing products and collecting Korean art works. It is evidenced through these instances that many Korean paintings in Japan were imported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r conveyed by Korean envoys sent to Japan, through both an official and private exchanges. As discussed above, identifying the history of transmission, the date of paintings, and their art-historical importance of Korean paintings in Japan will be carefully considered in seeking ways of restitution and utilization afterward.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겸재(謙齋) 정선(鄭敾)과 소론계(少論系) 문인들의 후원과 교류(1)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본고에서는 겸재 정선과 교류하였거나 정선의 작품에 기록을 남긴 소론계 인사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하곤, 홍중성, 최주악, 조하기, 최창억, 신정하, 신성하, 김동필, 김광수, 윤창래, 이덕수, 이광사, 이춘제 등은 모두 경화세족 출신의 관료나 문인들로서 文名이 있거나 서화수장 및 감평으로 유명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정선과 관련이 있는 소론계 인사들은 대부분 탕평정국에서 적극적으로 활약한 관료들이지만 이하곤, 신정하, 조유수, 조귀명, 김광수, 이광사처럼 정치보다는 문학과 산수, 서화고동 취미를 즐기면서 살아간 인사들도 있다. 정치의 전면에 나서지 않았던 은둔형 선비들은 조선후기 화단에서 서화고동의 수장과 감평이 활발해지는데 기여하였고, 회화분야에도 이전과 달리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개입함으로써 화단이 변화, 발전하는데 기폭제의 역할을 하였다. 정선에 대한 관심과 후원도 그러한 맥락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소론계 인사들과 정선이 교류한 방식을 고찰하고, 이들이 남긴 정선의 작품에 대한 제발, 감평 등을 분석하면서 각 인사들의 정선에 대한 평가, 진경산수화 및 사의산수화, 남종화 및 시의도에 대한 인식, 서화고동 수장의 풍조와 관련하여 미친 영향 등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이들은 개성이 강한 정치가, 문학가, 비평가들이었기에 세밀하게 분석하게 되면 개별적인 차이도 적지 않게 드러난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다 보면서 어떠한 성향을 공유하였는지, 그러한 경향이 정선과 진경산수화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만나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소론계 인사들 중 일부인사들은 회화에 대해 전문적인 식견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감평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회화의 주제, 구성과 기법 등에 대한 감평을 통해 화가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궁극적으로는 회화의 이상적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소론계 인사들의 감평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 번째, 소론계 인사들이 가졌던 현실주의적인 가치관으로 인해서 <해악전신첩> 등 진경을 주제로 삼은 그림에 대해 관심을 가진 점이다. 두 번째, 정선이 구사한 경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기법을 새로운 표현방식으로 높이 평가한 점이다. 세 번째, 소론계 문인들이 진경산수화 뿐 아니라 사의산수화에도 높은 관심을 가졌고, 특히 시를 전제로 제작되는 詩意圖를 선호한 점이다. 정선이 진경산수화 뿐 아니라 사의산수화, 시의도, 고사인물화 등 다양한 화제를 다루었던 것도 정선 주변 문인들의 이러한 취향이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네 번째, 소론계 인사들은 南宗畵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정선의 회화에서 원대의 황공망, 예찬 뿐 아니라 명대의 심주, 문징명, 동기창으로 이어진 남종화의 정통성의 문제를 거론하면서 정선이 남종화법을 구사하는 것을 후원하였고, 이로써 조선후기 화단에서 남종화가 유행하는데 기여하였다. 소론계 문인들은 명대의 서화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남종화를 거론할 때에 명대의 문인화가들까지 적극적으로 거론함으로써 남종화의 새로운 전범을 제시하였다. 이제까지 정리하였듯이 정선 주변의 소론계 문인들은 비록 그림을 직접 그리지는 않았지만 감평 및 주문, 수장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화가에게 회화적인 理想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주제와 화풍,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화단의 변화 및 회화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Soron Party member`s evaluation and criticism towards Jeong Seon and his artwork. It also discusses their ideas on true-view landscape painting, conceptual landscape painting, southern school painting and painting based on poetry. The issue on the collec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is also mentioned in this research. Each Soron members were politicians, writers and critics with unique character. They had their differences. However, they did have an overall tendency. Soron members shared their artistic visions and preferences upon this tendency. Jeong Seon himself was also effected by i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by the Soron party literati`s recording and analysis on Jeong Seon. 1. Soron members showed attention to Jeong Seon`s true-view paintings, such as "True-view Landscape Painting of Sea and Mountain". Since they had a keen sense of realism in their philosophy and study, the attention they showed can be explained as a reflection of their tendency in large. 2. The vivid sketching technique Jeong Seon used was evaluated highly among Soron members. This is an evidence of Soron member`s interest towards even the detailed corners of art and literature. Specific painting techniques were a target of their interest and research. 3. Soron people prefered painting based on poetry. Jeong Seon painted diverse sorts of landscape painting-not only the true view, but also conceptual landscape painting, painting based on poetry and more-due to the taste Soron people around him had. Painting based on poetry was especially supported by Soron members. It became a new trend after the 18th century. Soron members repeatedly emphasized the need of poetic ideas upon evaluation of Jeong Seon`s paintings 4. Soron members had great interest in southern school painting. They pointed out that Jeong Seon`s panting were influenced by southern school painters such as Hwang Gongwang, Ni Chan, Shen Chou, Wen Chingming and Tung Chichang. They praised Jeong Seon for advanced usage of this painting style. Utimately southern school painting became very popular among painters in the latter Joseon period, partly owing to their preference. 5. Upon discussing southern school painting, Soron members were enthusiastic enough to go down to artists of Ming Dynasty. Retracing southern school painting`s history all the way back to then is meaningful, since being done so enabled southern school painting to be viewed in a whole new paradigm. As summarized above, Soron members suggested new artistic visions through criticism, collection and records. They influenced not only Jeong Seon but also the painting trend of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의 행복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수원시공무원을 대상으로

        박은순 ( Eunsoon Park ),임혜경 ( Haekyoung Lim ),하태수 ( Taesoo Ha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일반직 공무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행복의 영향요인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 전반적 행복감 2가지로 구분하였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은 여러 연구에서 발표된 행복결정요인 연구들을 참고하여 총 43개 항목을 변수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과 전반적 행복감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직업만족 요인, 건강운동문화 요인, 긍정적 성격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공통영향요인을 제외하고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는 재교육이, 전반적 행복감의 경우는 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임을 검증하였다. 그에 따라 운동동아리 지원책, 문화활동지원 컨텐츠 개발 및 실질적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상시적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nse of happiness of the civil servants of a basic local autonomy entity.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studies on the factors, it categorizes the sense of happiness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verall happiness. It also set 43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made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in Suwon City government. As a result, it discovered that work and job satisfaction, health and physical exercise, and positive personality affect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verall happiness. In addition, it identified that reeducatio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stress influences on overall happiness. On basis of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city government managers to provide various supports for physical exercise circles, cultural activities, and mind healings of civil servant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 회화(繪畵)를 통한 소통(疏通): 가노 탄유[수야탐유(狩野探幽)]가 기록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본고에서는 일본 에도江戶시대의 대표적인 화파인 가노파狩野派화가 들이 조선과의 회화교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여 보았다. 에도시대 御用畵師집단을 대표하던 에도 가노파 화가들은 17세기 이후 파견된 조선 통신사를 접대하거나 통신사가 일본에 당도하기 이전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또한 가노파 화가들은 막부의 고관이나 각지의 다이묘, 혹은 부호들이 소장하였던 많은 그림들을 감정, 기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수많은 한중일의 그림을 보았고, 이를 縮圖라고 하는 자료에 간단한 스케치로 담아 전해지게 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가노 탄유(狩野探幽, 1602-1674)의 縮圖가 있다. 어용화사인 가노 탄유는 조선 통신사를 대접하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하는데 동원되었고, 실제 통신사 수행화원들을 만났으며, 조선 國王에게 선사된 병풍그림도 그렸다. 후에는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담은 그림도 그리는 등 조선과 관련하여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는 자신이 본 그림들을 기록한 수많은 축도를 제작하였다. 그러한 축도 스케치 중에는 조선 그림으로 확인된 여러 스케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가운데는 현존하는 그림과 연결되는 것도 있고, 기록과 스케치를 통해서 조선그림으로 추정해 볼수 있는 작품들도 있다. 가노 탄유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를 비롯한 에도 가노파 화가 중奧繪師화가들은 가장 보수적인 화가집단이었다. 그들은 17세기 이전부터 조선문화와 그림을 직간접으로 경험하였음에도 작품에서 朝鮮風을 수용하는데에는 신중하였다. 조선과의 교류에서 가장 많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였던 일본의 가노파 화가들이 조선회화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지녔는지, 또한 회화작품에 조선풍을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까지 활용하였는지의 문제 등은 한일회화 교류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기 위하여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ed the role of the Kano school painters in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do period. They as the representative court painters were ordered to prepare to host Joseon envoys and carried a lots of jobs to meet and exchanged paintings with the Korean court painters sent to Japan with the envoys. They also appraised and recodred many Japanese and foreign paintings including Chinese and Korean paintings collected by famous shogun and daimyos. In the process, they saw many important paintings and left sketches of them. Making sketches became a tradition among the Kano school painters. Kano Tanyu was the first Kano painter to start to make the sketches. He as a court painter was ordered to host the Korean envoys and painter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mong his sketches, some Korean paintings were also included.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and contemplated the Tanyu’s sketches presumed to be Korean paintings. Including Kano Tanyu and Kano Tsunenobu, many representative Kano school painters met Korean painters and experienced Korean paintings. But they were very conservative and were not very eager to accept Korean qualities into their paintings at first. Some more researches have to be done to understand the Kano school painter’s view toward the Korean paintings and their use of the Korean artistic elements in their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