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소와프랑스 혁명

        박윤덕(PARK, Youn-Duk) 프랑스학회 2014 프랑스학연구 Vol.67 No.-

        Se présentant en tant qu'héritiers du Rousseauisme, les diverses fractions politique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se servirent des idées de Jean-Jacques Rousseau à leurs manières pour soutenir et légitimer leurs positions. En effet, les notions et discours politiques de Rousseau devinrent leurs armes tout puissants. Bien qu'il soit possible d'interprèter ses pensées différemment et parfois même contradictoirement, l'orientation démocratique du Rousseauisme s'adapta mieux au Jacobinisme avec la radicalisation révolutionnaire. Considérant Rousseau comme Je premier auteur de la Révolution, Louis-Sébastien Mercier identifia les Lumières comme principale source de la Révolution. Mais selon Jean-Joseph Mounier, chercher l'origine de la Révolution dans le courant des Lumières fut un tentative stupide, puisque les philosophes ne voulaient pas la subversion de l'ordre social, mais sa conservation par les réformes. Les historiens du XIXe siècle, tel que Hippolyte Taine et Alexis de Tocqueville, reconnaissent la relation causale entre les Lumières et la Révolution, malgré les différences de leurs positions respectives. Pourtant pour Dainel Mornet, les philosophes ne cherchaient pas à provoquer la révolution, et les Lumières n'ont contribué qu'en partie à l'émergence de la Révolution; donc la part de Rousseau est encore moindre. Critiquant l'opinion de Mornet, Roger Barny essaie de rétablir le rôle du Rousseauisme en tant qu'une des causes de la Révolution. Selon lui, le Rousseausime cherchait à concrétiser les notions abstraites du Contrat Social en revendiquant la démocratie directe et l'égalité sociale. Comprennant de diverses idées, qui peuvent être meme perçues contradictoires les unes les autres, les textes de Rousseau faisaient preuve d'une imagination inouíe pour l'époque mais démontraient à la fois des limites inhérentes qui ne pouvaient pas aller au delà de son temps. Malgré cette dualité, le rousseauisme devint l'arme indispensable des révolutionnaires après 1789: Il est difficile de nier le fait que l'idée politique de Rousseau est très importante pour la Révolution française, mais en tant que source de référence plûtot qu'en tant que cause.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봉건제 폐지

        박윤덕 ( Youn Duk Par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확산하는 대공포와 농촌 소요에 직면한 제헌의회는 1789년 8월 4일 밤 봉건제 폐지를 선언했다. 8월 4-11일의 법으로 봉건 부과조를 인신적 부과조와 물적 부과조로 구분하여 전자는 무상 폐지했지만, 후자는 되사야 한다고 결정함으로써, 봉건제 폐지의 효력을 제한하고자 했다. 1790년 3월과 5월의 법령에 규정된 되사기는 권리증서의 제시 없이 물적 부과조의 정당성을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그 절차가 복잡하고 가격이 지나치게 높아서 불만을 초래했다. 실망한 농민층은 계속 부과조 납부를 거부하면서 영주에 맞서 폭동을 일으켰다. 1792년 6월 18일 입법의회는 본원적 증서에 의해서 입증되지 않은 임시 부과조를 무상 폐지했고, 8월 25일의 법으로 되사기 대상이었던 정기 부과조도 본원적 증서에 의해서 입증되지 않는 한 무상 폐지되었다. 입법의회는 그동안 영주에게 면제해 주었던 입증 책임을 요구함으로써 봉건제 완전 폐지를 위한 전기를 마련하였다. 1793년 7월 17일 국민공회는 8월 25일의 법에 의해서 유지되었던 부과조까지 무상 폐지했을 뿐만 아니라, 봉건 부과조에 관한 모든 민·형사 소송을 중지시키고, 권리증서와 관련 문서들을 소각하라고 명령함으로써 봉건제를 완전히 폐지했다. Face à la grande peur et la révolte paysanne, L’Assemblée constituante a déclaré l’abolition du régime féodal dans la nuit du 4 août 1789. Par le du décret 4-11 août, elle a divisé les droits féodaux et seigneuriaux en deux, droits personnels supprimés sans indemnités et droits utiles rachetables. Les décrets du mars et mai 1790 justifie les droits rachetables sans présentation des titres primordiaux. Les procédures du rachat sont compliqué et les tarifs du rachat trop élevé. Les paysans très déçus ont continué de refuser le payment des droits féodaux et soulevé contre les seigneurs. l’Assemblée législative a supprimé sans indemnités les droits casuels par le décret du 18 juin 1792 et les droits annuels fixes par le décret du 25 août, à moins qu’ils soit justifiés par les titres primordiaux. A présent, la justifcation des droits est le part des seigneurs. Le 17 juillet 1793, la Convention nationale a décreté l’abolition totale et définitive du régime féodal. Tous les procès relatifs aux droits supprimés soient éteints immédiatement, et tous les papiers soient brûlés à l’anniversaire de la révolution du 10 août.

      • KCI등재

        프랑스 혁명 초기의 수동 시민

        박윤덕(Park, Youn-duk)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1789년 12월 22일의 법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에 재산 자격을 설정함으로써, 「인권선언」에서 평등하다고 선언된 시민들을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차별하였다. 주거 부정, 납세점 미달, 하인 신분이라는 이유로 선거권을 박탈당한 수동 시민은 25세 이상 성인 남성의 38%를 차지할 정도로 그 수가 많았는데, 상퀼로트의 하층을 형성하는 하인, 빈민-부랑자, 저임금 노동자들로 이루어졌다. 피선거권이 없는 능동 시민들은 지루하고 긴 선거 절차와 기속위임을 부정하는 2단계의 간접선거 방식 때문에, 그리고 피선거권자들의 들러리가 되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에, 법적으로 주어진 선거권을 거의 행사하지 않았고, 스스로 ‘사실상의 수동 시민’이 되었다. 그 결과 투표율은 매우 낮았다. 수동 시민들은 선거에 집착하기보다는 자신들의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서 다른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온 청원, 시위, 봉기와 같은 직접행동이었다. 이는 혁명적 상황에서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고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는 훨씬 더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1789년의 「인권선언」이 이미 “압제에 대한 저항을 그들의 기본권으로 선언하지 않았는가? 이와 같이 수동 시민들은 제도화된 선거를 기반으로 하는 지배 엘리트의 대의민주주의에 맞서 광장의 직접민주주의 전통을 수립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By establishing property-based qualifications to the exercise of suffrage and the right to be elected, the Act of December 22, 1789 discriminated citizens who had been previously declared equal in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of the Citizen" and divided them into four different classes. Passive citizens, who were deprived of their right to vote due to their tax payment, were so numerous that they accounted for 38% of men over the age of 25. They were mostly composed of servants, poor-vagabonds, and low wage earners. In the meantime, the active citizens who could vote but could not get elected rarely exercised their legally enacted voting rights, because of 1) long and tedious electoral procedures, 2) a two-stage indirect election system which denied the imperative mandate, and 3) their reluctance to be sidelined. They eventually chose to become de facto passive citizens instead. As a result, the voter turnout rate was very low: rather than going to the voting booths, passive citizens adopted other methods to express their grievances and demands. In fact, they opted for the direct forms of participation which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ir elders: petitions, protests, and uprisings. These were a much more immediate and effective ways of expressing their will in revolutionary situations. Didn’t the 1789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s already declare “resistance to oppression as their fundamental right” after all? As such, the passive citizens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a direct democratic that stood against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of the ruling elite drawing on institutionalized elections.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루브르의 재탄생

        박윤덕(Park, Youn Duk) 호서사학회 2015 역사와 담론 Vol.0 No.76

        루브르 박물관은 “살아 있는 백과전서”를 꿈꿨던 절대왕정의 계몽주의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부르봉 왕실이 소장한 예술품을 기반으로 루브르에 박물관 설립을 추진했던 절대왕정은 혁명의 발발로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혁명 정부에 그 과업을 넘길 수밖에 없었다.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지부진했던 박물관 설립 작업은 혁명 수호를 위한 정치적 계몽의 필요성과 교회재산 국유화, 왕정 폐지, 망명자 재산 몰수로 말미암아 “국민의 소유”가 된 많은 문화재를 보관해야 할 현실적 필요성 때문에 급진전하게 되었다. 1793년 8월 10일 혁명축제와 함께 개관한 루브르는 혁명전쟁의 진전에 따라 ‘혁명의 상징’에서 ‘약탈 문화재 수장고’로 변모하게 된다. 1794년 국민공회는 은밀하게 점령지에서의 문화재 약탈을 승인했고, 뒤이은 총재정부는 정전협상이나 평화조약을 통해 문화재 양도를 강제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을 공식화하였다. 나폴레옹의 집권과 함께 루브르는 중앙 박물관으로서 지방 박물관을 거느린 박물관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었고 그의 기대에 부응하듯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박물관”, “모든 걸작들을 다 모아 놓은 단 하나의 박물관”으로 발전하는 듯하였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몰락과 함께 약탈 문화재를 반환하고 지금의 자리로 돌아왔다. Louvre Museum first started as part of the enlightenment project of the absolute monarchy who dreamed of “a living encyclopedia.” The absolute monarchy, who had initially started the project based on the art collection of the Bourbon dynasty, was not able to bring to fruition due to the outbreak of the Revolution and had no other option than to pass it along in the hands of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While the construction had been delayed during the turmoil of the Revolution, it took off at a faster pace as the need for a venue to preserve the numerous cultural heritage now belong to the nation arose political enlightenment, the nationalization of the church possessions, the abolition of the monarchy, the acquisition of the emigrés’ properties. After it opened during the festivities of the 10th of August 1793, the Louvre shifts away from the Revolutionary significance it once bore to soon become the reserve of the plundered cultural assets. In 1794, the National Convention discretely agreed on the pillage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Directoire made it official by formally demanding in the peace treaties would be transferred back. With reign of Napoleon, the Louvre became central museum standing at the center of a broader regional network, and soon evolved, as he dearly wished, as the most beautiful museum in the world, who would bring together au masterpieces. With the fall of Bonaparte, it had to return the plundered assets to their owner and eventually settled at what is known today.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전쟁

        박윤덕(Youn-Duk PARK) 한국프랑스사학회 2014 프랑스사연구 Vol.- No.30

        혁명과 전쟁은 불가분의 관계인 것처럼 보인다. 근대의 혁명들은 전비 마련을 위한 증세와 함께 시작되었고, 기존체제 안에서 해소될 수 없는 긴장이 무장투쟁으로 발전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혁명 프랑스는 신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든 정복 전쟁을 포기했고, 인민주권과 민족자결의 혁명이념은 프랑스가 반혁명 세력에 맞서 혁명을 지킬 수 있게 해주었다. 혁명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혁명이념 자체가 프랑스와 그 이웃 국가들 사이의 전쟁의 필연적인 원인은 아니었다. 유럽은 이미 잉글랜드의 입헌군주제, 프랑스의 절대왕정, 스위스의 공화정과 같은 다양한 정치체제가 공존하는 것을 지켜 봐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혁명전쟁의 원인은 프랑스가 혁명 이념에 따라 한층 더 효율적인 국가로 부활할 가능성이 커지자, 유럽의 열강들이 전통적인 국가체제의 작동 원리에 따라 힘의 논리에 호소하게 되었다는 사실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Revolution and war seems to go hand in hand. Modern-days revolutions usually start with the levy of heavy taxes to finance wars, and breaks out when the unsolvable tensions plaguing the existing system are turned into armed conflicts. Well aware of these facts, the Revolutionary France attempted to maintained its newly established system by abandoning conquest wars, and the revolutionary ideas of popular sovereignty as well as self-determination enabled France to protect the Revolution from the Counter-Revolutionary powers. Then, why did revolutionary wars break out? The revolutionary ideas were not necessarily the root cause of the wars between France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Europe have had the experience of different states systems-including, England’s constitutional monarchy, France’s absolute monarchy, and Switzerland’s Republic-coexisting on its land. The cause of the Revolutionary Wars is to be found in the fact that France, now equipped with its revolutionary ideas, was reemerging as a fully efficient and competitive country that would rival other European countries. Operating under the traditional mechanisms of balance of power and the fight for the hegemony of their own political system, France went into war with other European countries who saw France as a reviving threat.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민주주의

        박윤덕(Park, Youn-Duk)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5

        프랑스 혁명은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으로 간주되어 왔다. 혁명 프랑스가 인민주권의 원칙을 선포하고 선거를 정통성의 원천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명 프랑스는 재산 제한 선거제를 실시하고, ‘자유의 전제’라는 미명 아래 공포 정치와 자코뱅 독재를 받아들임으로써 인권선언을 저버렸다. 또한 극소수의 민주주의자들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프랑스 혁명가들은 대의제를 통해서 민중의 정치적 참여 즉 민주주의를 제한하려고 애썼다. 로베스피에르에게도 혁명의 목표는 민주주의 실현이 아니라 공화국 수립이었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공화국의 수립이 아니라 민주주의로의 평화로운 이행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인들이 ‘촛불혁명’을 통해서 오랜 민주화 투쟁을 끝맺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은 공화주의에 관한 어떠한 합의도 없이 민주화를 이루었기 때문에, 그들은 다시 한 번 공화주의 없이 표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The French Revolu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origins of modern democracy: Revolutionary France declared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as its political principle and took elections as the source of its legitimacy. Yet, it fell short of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of the Citizen’ by adopting a restrained electoral system, accepting the Terror, and tolerating the Jacobin dictatorship in the name of the ‘despotism of freedom.’ Except a few democrats, most of the French Revolutionaries tried to limi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that is to say democracy—through its representative system. Even for Robespierre, the goal of the Revolution was not the realization of a democracy but the establishment of a Republic. For Koreans, however, the focus was not the establishment of a Republic but the peaceful transition to a democracy. While Koreans seem to have reached the finish line of their long struggle for democracy, especially through the Candlelight Revolution, they have democratized without an agreed upon consensus about Republicanism. Thus, they now find themselves once more adrift without Republicanism in sight.

      • KCI우수등재

        일반논문 : 프랑스 혁명기의 선거와 민주주의

        박윤덕 ( Youn Duk Park ) 한국서양사학회 2013 西洋史論 Vol.0 No.119

        France held about twenty elections over the decade of the French Revolution. For the French people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choosing their leaders through elections was not a totally new idea. Yet, the rate of abstention was still high and democracy failed to consolidate. Patrice Gueniffey argues that democracy could not be achieved because of the one-sided application of popular sovereignty. His claim seems paradoxical and post facto as he looked at the elections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democratic system through the lens of modern-day democracy. The high rate of abstention at the time of the Revolution was due to the structural weaknesses of the election system, the high rate of illiteracy of the constituency, and the economic hardship. The opposite view is that the Revolutionists` rejection of a popular sovereignty system allowing for opponents-as Gueniffey would like to argue. In fact, the root cause is to be found in the attempt to juxtapose a revolutionist concept of popular sovereignty never seen before and a traditional electoral syste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