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의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베트남 파병에 대한 인식

        민유기(You-Ki MIN) 한국프랑스사학회 2015 프랑스사연구 Vol.- No.32

        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전쟁과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 문제에 대해 프랑스가 어떤 인식을 갖고 있었는지를 프랑스 외교문서와 언론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 『르몽드』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뤼마니테』는 미국의 용병이라는 부정적 시각에서, 『르피가로』는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강조하는 시각에서 보도하였다.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서 프랑스 외교문서들은 한국의 주도적 입장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군 파병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한국이 추진한 동남아 집단안보 체제 구상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베트남 파병으로 제3세계가 한국에 반감을 갖게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드골 대통령은 미국에 의한 베트남전쟁의 확산을 비판했고 베트남 중립화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프랑스는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에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였다. 프랑스는 1960년대 중반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통해 동아시아에 냉전 질서가 강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position of France in relation to the Vietnam War and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Concerning the Korean Troop Dispatch, Le Monde reported objectively, L’Humanite? expressed negative opinions by labelling the soldiers as mercenaries for the US, while Le Figaro emphasized the economic benefits of South Korea. The French diplomatic papers emphasized the leading role of South Korea in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and noted the economic benefits of South Korea. But the idea of a regional security system for Southeast Asia had very little effect and the Third World began to regard South Korea with hostility. De Gaulle criticized the escalation of the Vietnam War by USA and proposed the neutralization of Vietnam. So France did maintain a relatively critical view on Korean involvement in Vietnam war. Ultimately, the French opinion was that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had contribut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old War order in East Asia.

      • KCI등재

        프랑스의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파병에 대한 인식

        민유기 한국프랑스사학회 2015 프랑스사연구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position of France in relation to the Vietnam War and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Concerning the Korean Troop Dispatch, Le Monde reported objectively, L’Humanité expressed negative opinions by labelling the soldiers as mercenaries for the US, while Le Figaro emphasized the economic benefits of South Korea. The French diplomatic papers emphasized the leading role of South Korea in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and noted the economic benefits of South Korea. But the idea of a regional security system for Southeast Asia had very little effect and the Third World began to regard South Korea with hostility. De Gaulle criticized the escalation of the Vietnam War by USA and proposed the neutralization of Vietnam. So France did maintain a relatively critical view on Korean involvement in Vietnam war. Ultimately, the French opinion was that the Korean Troop Dispatch to Vietnam had contribut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old War order in East Asia. 이 글의 목적은 베트남전쟁과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 문제에 대해 프랑스가 어떤 인식을 갖고 있었는지를 프랑스 외교문서와 언론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 『르몽드』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뤼마니테』는 미국의 용병이라는 부정적 시각에서, 『르피가로』는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강조하는 시각에서 보도하였다.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서 프랑스 외교문서들은 한국의 주도적 입장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군 파병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한국이 추진한 동남아 집단안보 체제 구상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베트남 파병으로 제3세계가 한국에 반감을 갖게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드골 대통령은 미국에 의한 베트남전쟁의 확산을 비판했고 베트남 중립화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프랑스는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에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였다. 프랑스는 1960년대 중반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통해 동아시아에 냉전 질서가 강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프랑스사 연구』 회고와 전망 - 20년史, 프랑스사 연구의 용광로 -

        신동규(Dong-Kyu SHIN) 한국프랑스사학회 2019 프랑스사연구 Vol.- No.41

        『프랑스사 연구』가 발간된 지 20년이 지났다. 한국프랑스사학회와 함께 시작된 『프랑스사 연구』의 역사는 우리나라에서 프랑스사 연구의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 앙시앙레짐과 프랑스 혁명, 노동운동과 사회주의로 요약되는 초기 프랑스사 연구가 『프랑스사 연구』를 통해 기업사, 도시사, 여성사, 영화사, 이주사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였으며, 비시 정부, 68 운동 등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는 한편 중세사 연구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냈다. 또한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 다양한 문제의식이 반영된 새로운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아프리카, 인도차이나 등이 프랑스사 연구의 지리적 범위가 확대되었다. Twenty years ago, Korean Review of French History(KRFH) was born with the cre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rench History. The history of the KRFH shows the itinerary of research development on French history in South Korea. The research on French history that began with the first topics around the old regime and the French Revolution, the labor movement and socialism. develop through RCHF in various fields of research: business history, urban history, feminist history, history of cinema, history of migration etc. By including the period of the Vichy government and movement 68 as the new subject, and with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medieval history, its dimension is expanding and the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interested in colonialism and racism gives attention to new territories such as Africa and Indo-China with geographical expansion.

      • KCI등재

        1539년 8월 빌레르코트레 왕령과 프랑스어

        송기형 한국프랑스사학회 2022 프랑스사연구 Vol.- No.47

        The year 1539 represents a key moment of French language because the Ordinance of Villers-Cotterêts is considered to establish French language as official language. This ordinance aimed however to consolidate royal power by the justice reform. Composed of 192 articles with only one article concerning language, it’s main goal was the abbreviation of trials. The trials delayed too often because the parties could not understand bad Latin used in legal acts. The Ordinance of Villers-Cotterêts was the highlight of a series of royal decrees which wanted to replace bad Latin used in legal acts. It is not certain that French mother tongue of the artcle 111 meaned French language only or should interpretated as including regional languages. The Ordinance of Villers-Cotterêt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French language as official language, but did not ban regional languages. That’s why we can assure that it reflects language policy of the Ancien Régime. It is language policy of the French Revolution, in particular the decree of 2 thermidor, that did declare that French mother tongue of the artcle 111 was French language. The article 111 of the Ordinance of Villers-Cotterêts is the oldest legislative provision in the French law and is blamed for oppressing regional languages of France. 1539년 8월 빌레르코트레 왕령은 프랑스어의 국어화에 기여함으로써 공화국 건립 신화의 하나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이 왕령의 원래 목적은 왕권 강화를 위한 사법 개혁, 특히 재판절차 간소화에 있었다. 192개 조항의 절대다수가 사법 개혁 관련 조항이고 언어 관련 조항은 111조, 단 하나뿐이다. ‘엉터리 라틴어’를 재판 당사자들이 이해하지 못해서 재판이 지연되는 경우가 너무 빈번했기 때문에 사법문서에서 라틴어를 배제하는 일련의 왕령들이 15세기말부터 제정되었으며 그 정점이 빌레르코트레 왕령이다. 111조의 ‘프랑스인의 모어’가 프랑스어로 한정되는지 아니면 지역어들도 포함되는지는 불분명하다. 빌레르코트레 왕령은 라틴어 대신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확립했지만 지역어 사용을 금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구체제 프랑스의 언어정책을 충실하게 반영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국민국가 건설을 위해 프랑스어를 명실상부한 국어로 정립하는 언어정책을 추진한 혁명기에 빌레르코트레 왕령 111조의 ‘프랑스인의 모어’가 프랑스어로 확정되었다고 본다. 1539년 8월 빌레르코트레 왕령 111조는, 오늘날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법규로 살아남아서 지역어 억압에 사용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KCI등재

        유럽 통합과 프랑스 식민주의의 제문제

        박지현(Ji Hyun PARK) 한국프랑스사학회 2015 프랑스사연구 Vol.-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2월 23일자 법령 제정을 계기로 불거져 나온 북부 아프리카의 식민화에 대한 프랑스의 역사적 태도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하나는 북부 아프리카의 식민화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되짚어 보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유럽 통합 과정에서 북부 아프리카 식민지인과 이곳에서 귀환한 프랑스인이나 그 지역출신의 이민자에게 과거의 식민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일이다. 오늘날 프랑스 사회가 이민자 정착의 문제에 대해 닫힌 입장을 취하는 궁극적 이유가 과거의 식민주의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2차 세계대전 전후 비시 프랑스의 식민지 정책, 그리고 제4공화국의 프랑스연합 창설, 그리고 유럽통합의 전개를 통해 프랑스 식민주의의 대상이 과거 북부 아프리카 식민지인이 아니라 프랑스 본토의 북부 아프리카 식민지 출신 이민자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럽 통합의 시대에 프랑스이민법과 유럽이민법을 겪으면서 프랑스 식민주의가 훨씬 명확해지고 강력해졌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과거의 프랑스 식민주의는 오늘 현재에도 살아 숨 쉬고 있으며, 훨씬 강력한 힘으로 같은 공간에 사는 이들을 오히려 인종적으로 구별하는 새로운 식민주의를 낳고 있는 것이다. Our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historical position of France on the North African colonization caused by the law of 23 February 2005. For this it is necessary to notice clearly differences of French colonialism between World War II and European integration. Under the Vichy regime, the subject of French colonialism was French settlers from North Africa. After the Allied landings in North Africa, it was replaced by the indigenous who supported the French Committee of National Liberation. Especially, natives of Algeria coped with De Gaulle for independence. Immediately after World War II, France founded the French Union and tried to organize it into European community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French colonial empire. But the war in Algeria gave the start to the collapse of the French Union. The colonial regime of France was dismantled. France was occupied by nationals and immigrants who came from North Africa. To resolve this situation, France has focused on European integr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established the powerful immigration law to keep out of North African immigrants in France. More European integration evolves over immigration law is strengthened for North African immigration. At this point, the subject of French colonialism in current is the colonized not in North Africa, but in France. Among their children, there are French and European citizens who have been educated in the same French culture, but do not fit into the French and European community. This trend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production of French colonialism.

      • KCI등재

        1960-1990년대 프랑스의 국제입양 양상과 한인여성입양

        문지영 한국프랑스사학회 2019 프랑스사연구 Vol.- No.40

        International adoption has a ‘transnational’ nature in that it is a universal phenomenon at the global level. In terms of transnational migration, international adoption shows a very unique pattern of migration that adoptees cross the border regardless of their own will or choice, unlike general migration such as labor migration or marriage migration, and that can be defined as ‘involuntary migration by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In fact, Korea was the world’s largest adoption-out country where many Korean adoptees were sent to France after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70s to the mid-1990s. Nevertheless,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ion has long been forgotten, sometimes even concealed and not subject to research under the stigma of a national figure of ‘baby exporting countr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osition and meaning of international adoption in the history of transnational migration by reveal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alities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ion. To this end, I will focus on two aspects, the interracial adoption policy of France, and the pattern of adopting Korean females in France and the issue of their identity, basing on the cases of France from the 1960s to the 1990s. 국제입양은 전 지구적 차원의 보편적 현상이라는 점에서 ‘트랜스내셔널(transnational)’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트랜스내셔널 이주의 측면에서 볼 때 국제입양은 노동이주나 결혼이주 같은 일반이주와 달리 입양인이 스스로의 의지나 선택과 상관없이 국경을 넘는, 관계자들 사이의 ‘계약에 의한 비자발적 이민’ 형태로 규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이주 양태를 보여준다. 한국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미국에 이어 프랑스에 많은 한인입양인을 보낸 세계 최대 입양송출국가였다. 그럼에도 한인국제입양의 역사는 오랫동안 ‘아기수출 국가’라는 국가적 수치와 오명 아래 잊히고, 때로 은폐되면서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인국제입양의 역사적 배경과 실상을 밝힘으로써 트랜스내셔널 이주역사의 틀 안에서 국제입양의 위치와 의미를 조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60-1990년대 프랑스의 입양정책과 국제입양, 이어 프랑스의 한인여성입양 양상 및 정체성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정치적 기회주의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

        권윤경(Yun Kyoung KWON) 한국프랑스사학회 2015 프랑스사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프랑스혁명사연구소 소장인 피에르 세르나의 『변절자들의 공화국』을 통해 혁명사의 새로운 흐름을 돌아보고자 한다. 세르나는 정치적 변절이나 기회주의를 단순히 도덕적으로 단죄할 것이 아니라 위기의 시대에 나타난 집합적 정치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역사학적 틀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르나는 ‘바람개비(girouette)’로 표상되는 변절자라는 인물상이 혁명 이후 프랑스 정치와 문화에 만연했는데, 이것이야말로 근대 프랑스 정치사를 관통하는 핵심이라고 말한다. 변절자라는 인물상이 부상한 것은 ‘중도’를 표방한 엘리트 국가 관료층이 정권들의 부침 속에서도 계속 행정권을 장악했기 때문이었다. 세르나는 프랑스사의 고질적 문제는 흔히 말하는 좌우파간 대립이 아니라 오히려 행정권을 장악한 이들이 정치적 중립성의 이름으로 국가폭력을 동원하여 좌우파를 탄압함으로써 민주주의적 논의와 토론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데에 있다고 말한다. 혁명기 총재정부가 이 ‘극중도(extreme centre) 공화국’을 낳았으며, 이는 이후 나폴레옹의 세례를 거쳐 이후 프랑스 정치 문화를 지배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세르나는 혁명기 정치문화사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치적 변절주의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에게도 비교사적으로 유익한 관점을 제공해 준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new trends in the studies of the French Revolution by a close analysis of La Re?publique des girouettes(Paris, 2005), written by Pierre Serna. He chooses the figure of “weathervane (girouette)” embodying political turncoats as a key to reinterpreting French modern political history. His book discovers that this figure, both real and fictional, was omnipresent in nineteenth-century French politics and culture. Serna goes back to the French Revolution to find its origin. Those turncoats became conspicuously visible in political space because a group of elite politicians-cum-bureaucrats continued to hold the executive power in spite of the rise and fall of the successive regimes from 1789 to 1815. They repeatedly turned their backs on what they had said, but kept the high offices in the name of political moderation. Serna labels them as ‘extreme centre’, because they condemned and repressed all kinds of political opposition as anarchism and extremism, which suffocated the newborn democratic parliamentary system. By such an insight, Serna’s book not only provokes important questions about the French Revolution, but also suggests useful comparative perspectives to us.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과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노동자

        이재원(Jae-Won LEE) 한국프랑스사학회 2014 프랑스사연구 Vol.- No.30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노동자 관련 역사는 오랫동안 잊혀진 주제였다. 2차대전기 일본정부에 의해 강제로 동원된 조선인과 중국인 노동자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반향을 불러일으킨 반면, 프랑스에 끌려간 인도차이나 징용노동자들의 운명은 현대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1939년부터 1940년 6월 독일에 패배하기 전까지 9천여 명의 인도차이나인들이 보병으로 프랑스 군대에 징집되었으며, 2만 명 이상의 베트남인들이 자발적 혹은 강제로 프랑스에 노동자로 오게 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해방 후에 고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지만, 14,000명 이상의 인도차이나인들은 전쟁기간 동안 비시(Vichy) 정부와 독일인을 위해 혹은 프랑스 민간기업을 위해 노동을 강요당하며 프랑스에 머물러야만 했다. 엄격한 군대규율의 통제하에 지내며, 수용소에 감금되어 부족한 식사와 과도한 노동에 시달리는 가운데, 인도차이나 노동자들은 종종 폭력과 감금의 희생자가 되었고, 다수가 폐결핵을 앓았으며, 1천여 명이 넘는 이들은 고향땅을 밟지 못한 채 눈을 감아야만 했다. 역사가 망스롱(Gilles Manceron)이 언급했듯이 이 알려지지 않은 사건을 드러내는 것은 ‘참회’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보다도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고 인정하는 문제가 될 것이다. The history concerning the Indochina workers in France has been a dismissed subject for a long time. While the problem of Korean and Chinese workers forced by Japanese government during World War II had repercussions all over the world, the destiny of Indochina draftees did not draw attention of contemporaries. From 1939 until June 1940, when France was defeated by German, more than 9 thousand Indochinese were drafted to the infantry and more than 20 thousand Vietnamese came to France as laborer voluntarily or by force. Some of them could returned to their country after liberation, but more than 14 thousand Indochinese had to stay in France, forced to work for Vichy, or for French private enterprises. Under the strict military discipline, held in camps with poor nutrition and overwork, Indochinese laborers often became victims of violence, imprisonment, and tuberculosis, more than thousand of whom died before the French liberation. As the historian Gilles Manceron referred, revealing this unknown event is not about the ‘repentance’ but about the recognition of historic reality.

      • KCI등재

        프랑스 식민지 무슬림 병사의 1차 세계대전참전과 프랑스의 이슬람정책

        박단 한국프랑스사학회 2022 프랑스사연구 Vol.- No.4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why France wanted to establish the GrandMosque of Pairs after World War I. Most of the research so far explains the French government’sestablishment of the Grand Mosque in Paris as a reward for the sacrifices of Muslim soldiers duringWorld War I. In relation to this, the main research was on whether the mosque’s establishment violatedthe 1905 law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owever, I believe that the cause needs to be found not only in domestic problems but also in theinternational situ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zes whether the combat performance of the Muslimsoldiers from the colonies who participated in the French side during World War I was not overestimated. It also examines the structural discrimination against Muslim soldiers in the army. I also question thefact that the French government allowed Muslim soldiers to observe their beliefs within the military, unlikethe existing Muslim assimilation policy. This was not simply a matter of winning the impending warbut was also a product of competition with hostile countries over Muslims. In other words, the French government’s religious tolerance toward Muslim soldiers during the wartook the form of a struggle for the support of the “Islamic world” between Germany and France. Moreover,the French government highly valued the sacrifices of Muslim soldiers even after the war. The reason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and Mosque’ in the middle of Paris is believed to have taken intoconsideration the competition with Britain over the “Islamic world” in the future. In the end, this study shows, as an example, that although the French government strictly requires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from Muslim immigrants today, this principle can be easilyabandoned in the face of the immediate ‘national interest’. 본 연구는 프랑스가 1차 세계대전 후 파리 대모스크를 설립하고자 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배경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1차 세계대전 당시 무슬림 병사의 희생에 대한 보답 차원에서 프랑스 정부의 파리 대모스크 설립을 설명한다. 그와 관련하여 모스크설립이 1905년 ‘정교분리법’을 위배했는지 그 여부에 대한 논쟁이 주된 연구였다. 하지만 필자는 그 원인을 국내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적 정세에서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우선 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편에 참전했던 식민지 출신 무슬림 병사의 전투 성과가 과도하게 평가되지 않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군대 내에 존재한 무슬림 병사에 대한 구조적 차별을살펴본다. 한편 필자는 프랑스 정부가 기존의 무슬림 동화정책과 달리 무슬림 병사에게는 군대내에서 자신의 신앙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단순히 임박한 전쟁에서의 승리 문제가 아니라 무슬림을 둘러싼 적대 국가와 경쟁의 산물이기도 했다. 즉,전쟁 기간 프랑스 정부의 무슬림 병사에 대한 종교적 관용책은 독일 및 오스만제국과 “이슬람세계”의 지지에 대한 쟁탈전 성격을 띠기도 했다. 게다가 프랑스 정부가 전쟁 후까지 무슬림 병사들의 희생을 높이 평가하며, 파리 한복판에 대모스크를 건설한 이유는 향후 “이슬람 세계”를둘러싼 영국과의 경쟁까지 고려한 것으로 판단한다. 결국, 본 연구는 오늘날 프랑스 정부가 무슬림이민자들에 대해 정교분리 원칙을 엄격히 요구하고 있지만, 당면한 ‘국가의 이익’ 앞에서는이 원칙도 쉽게 포기할 수 있음을 하나의 사례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알베르 마티에와 러시아 혁명

        박윤덕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This article explores the life and scholarship of the prominent historian of the French Revolution, Albert Mathiez, and investigates how this critical thinker viewed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doing so, it particularl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Mathiez’s observation of these two important events influenced his own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As the student of Aulard and director of the Historical Institut of the French Revolution at the Sorbonne, Mathiez first started to study the French Revolution through the lens of the history of religion. Yet the troubles that he had with his advisor later led him to establish the Society of Robespierre Studies and the journal Revolutionary Annales, and to expand his research agenda to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military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intellectual journey of Mathiez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He focu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and World War I, as well as the convergenc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fact, Mathiez tried to draw relevant lessons from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in a way that would shed light on the unfolding of World War I. This made him very critical of the policies of the French government of the time. In his view, the Russian Revolution was inspired by the French Revolution and learned from it, but fallen into a dictatorial regime that suppressed democracy and freedom with the rise of Stalin. Mathiez ultimately remained an independent historian as he rejected the dogmatic approaches of marxist historical methodology. 이 논문은 저명한 프랑스 혁명사가인 알베르 마티에의 삶과 학문을 살펴보고, 그가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자신이 목도한 전쟁과 혁명이 그의 프랑스 혁명사 연구와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마티에는 소르본의 프랑스 혁명사 강좌주임인 올라르의 제자로서 혁명의 종교사 연구로 프랑스 혁명사 연구에 입문하였지만, 스승과 불화를 겪으면서 로베스피에르 학회를 설립하고 학술지 『혁명 연보』를 창간하고, 혁명의 정치사, 사회사, 경제사, 군사사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마티에의 학문적 여정은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이라는 대사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혁명전쟁과 1차 대전, 1789년의 혁명과 러시아 혁명의 유사성에 주목하였다. 프랑스 혁명전쟁의 역사에서 전쟁 수행에 도움이 될 만한 교훈을 찾고자 하였는데, 이는 당시 프랑스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그가 보기에, 러시아 혁명은 프랑스 혁명에서 교훈을 얻고 영감을 받았지만, 스탈린 체제의 등장과 함께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독재로 전락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적 역사방법론의 교조적 변형을 거부하면서 독립적인 역사가로 남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