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이슬’ 포도의 상품성 기준과 적정 착과량

        박요섭(YoSup Park),이별하나(ByulHaNa Lee),정명희(Myung Hee Jung),김희섭(HeeSeob Kim),박희승(Hee-Seung Par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홍이슬’ 포도의 관능적 품질을 객관적으로 예측하는 지표와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기호가 반영된 적정 착과량을 구명하여 국내 포도 시장에서의 품종 다양화와 신품종의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한 이화학적 품질 한계 조사 결과, 당산비가 ‘홍이슬’ 포도의 소비자 선호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확인되었으며, 상품성을 갖는 당산비 한계는 86.3으로 조사되었다. 착과량 조절에 따른 과실품질 조사 결과, ‘홍이슬’ 포도 역시 다른 품종과 같이 생산량이 적을수록 과실 품질이 향상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10a당 1,400㎏의 착과량 처리구는 당산비가 상품성 기준인 86.3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착색이 불량하고 과육 연화가 더디게 진행되는 등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반적인 과실의 성숙이 불량하였다. 또한 착과량이 10a당 1,200㎏ 이하에서는 과실 품질이 우수한 수준으로 착과량에 따른 차이가 없어 ‘홍이슬’ 포도 재배 시 생산량을 10a당 1,200㎏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생산성과 소비자 기호를 반영한 과실 품질을 동시에 충족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결과는 ‘홍이슬’ 포도의 수확기와 과실 품질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ndicators and proper standards to forecast the sensory quality of ‘Hongisul’ grape. Further, this study determines the optimum fruit load of ‘Hongisul’ grape reflecting consumer preference. Among several quality attributes, identified through instrumental and sensory evaluation, soluble solid-acid ratio was the most useful indicator of consumer preference for ‘Hongisul’ grapes. The ideal soluble solid-acid ratio for marketable grap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86.3. Analysis on the effects of fruit load control on fruit quality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where the latter increased as the former decreased. This trend is common for all grape species. The field with a fruit load of 1,400 ㎏ㆍ10 a<SUP>-1</SUP> exhibited a soluble solid-acid ratio of less than 86.3, uneven coloring and slow softening texture at the mature stage. However, fruit quality proved excellent in the field with a fruit load of 1,200 ㎏ㆍ10 a<SUP>-1</SUP> or less.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fruit load should be controlled to 1,200 ㎏ㆍ10 a<SUP>-1</SUP> or less when growing ‘Hongisul’ grapes to produce high quality grapes. We believe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as a standard in judging harvest time and evaluating fruit quality.

      • KCI등재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박지은(Ji-Eun Park),권용희(YongHee Kwon),이별하나(ByulHaNa Lee),박요섭(YoSup Park),정명희(MyungHee Jung),최진호(Jin-Ho Choi),박희승(Hee-Seung Park)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4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μm부터 195μ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npungbae’ (Pyrus pyrifolia Nakai) pears through the seasonal changes of pericarp structure and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bagging and non-bagging treatment, and also fruit quality and peel coloration characteristics at the harvest time. The pericarp at full bloom was consists of outer epidermis, hypodermis, parenchyma cell, and inner epidermis from the exterior. The cell layers from the outer epidermis to vascular bundle increased rapidly 7-10 layers to 18-26 layers from full bloom (FB) to 77 days after full bloom (DAFB) an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until maturity. Thus, the cell division period of ‘Manpungbae’ pear was until 77 DAFB and during this period, the thickness from hypodermis to vascular bundle increased from 73.1 μm to 195 μm in this period. Stone cells were formed from seven to 21 DAFB and stone cell clusters were formed around 49 DAFB. The cork cell layer was formed between 49 and 77 DAFB. ‘Manpungbae’ fruit pericarp was consists of 4.5 layers of the cork cell layers and seven layers of hypodermis which has the tannin at harvest time (161 DAFB). Comparison of the fruit enlargement and fruit structure development by bagging or non-bagging showed that ‘Manpungbae’ fruits without bagging had more than three cork cell layer than those with bagging at maturity. The size of stone cell clusters were varied in two treatments. Fruit weight was higher in the non-bagging treatmen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luble solid contents (SSC) between two treatments. The weight of the ‘Manpunbae’ fruit was distributed from 301 g to more 900 g and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677.2 g at harvest time, and fruits in the range of 551-800 g accounted for 71.6% of total production. The SSC, acidity and SSC/acidity ratio was 10.2-12.1 °Brix, 0.10-1.24% and 9.76-14.31 respectively, and the SSC was higher in bigger fruit which had a very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a fruit weight. However, the fruit firmness tended to be lower with fruit size which had a very higher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uit weight and SSC. The cork cell layer numbers between yellowish brown and green pericarp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3.8 and 3.5 respectively.

      • KCI등재

        ‘한아름’의 Gibberellin 처리에 따른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박지은(Ji-Eun Park),권용희(YongHee Kwon),이별하나(ByulHaNa Lee),박요섭(YoSup Park),정명희(Myung Hee Jung),최진호(Jin-Ho Choi),박희승(Hee-Seung Par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1

        본 연구는 조생종 ‘한아름’의 기본적인 해부학적 과실 구조 및 과실 품질과 GA 처리 시의 변화를 구명하여 ‘한아름’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아름’의 생육기별 과실 발달을 조사한 결과 만개기의 과실 구조는 바깥 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종류의 유관속 조직이 관찰되었다. 코르크층은 무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70일, GA 처리구에서는 만개 후 60일경에 형성되었다. ‘한아름’ 품종의 세포분열 기간은 만개 후 40일까지이며 이후에는 세포비대에 의해 과실이 발달하였다. GA 처리에 따른 과실 비대와 조직 발달을 관찰한 결과, GA 처리는 ‘한아름’의 세포분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세포비대를 촉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과경부는 세포분열 정지기인 만개 후 40일부터 처리구의 유관속 조직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큰 것으로 관찰되어 ‘한아름’ 과실은 GA를 처리할 시 유관속 조직의 발달을 촉진하여 상대적으로 과실로의 양분 공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확기에 무처리구와 처리구의 평균적인 품질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서 과중이 높았으나 경도는 낮게 조사되어 ‘한아름’ 과실에 GA를 처리할 경우 수확 후 과실의 저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matured ‘Hanareum’ (Pyrus pyrifolia Nakai) pears through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changes according to gibberellin (GA) treatment. The pericarp at full bloom consists of outer epidermis, hypodermis, parenchyma cell, and inner epidermis from the exterior and five types of vascular bundle tissues. Cork cell layer was formed at 70 days after full bloom (DAFB) in non-treated fruits and formed at 60 DAFB in GA treated fruits. Cell division period was from full bloom (FB) to 40 DAFB and then fruit enlargement was accomplished by the cell growth. Comparison of the fruit enlargement and fruit structure development by GA treatment or non-treatment showed that cell division of ‘Hanaerum’ fruits did not affect the GA treatment but fruit enlargement was affected cell growth. Fruit stalk of GA treatment fruits was larger than non-treated fruits from 40 DAFB which correspond to the period of the stop of cell division and ‘Hanareum’ was regarded GA treatment expedite of vascular bundle tissue growth and relatively increased nutrient transport to fruit. In addition to, average fruit quality between the non-treatment and GA treatment showed that fruit weight was higher in fruits treated by GA but firmness was lower and probably was effected fruit storing in ‘Hanareum’ pear.

      • KCI등재

        멀티빔 음향측심기의 기울임 시스템을 이용한 계측영역 확대

        박요섭(Park,Yosup),홍준표(Hong,Jun-pyo),공성규(Kong,Seong-Kyu)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5D

        본 연구에서는 멀티빔 음향측심기 조사 각도의 물리적 한계 및 수면 및 수중의 장애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음영 구역을 축소하고, 수직 구조물에 대한 계측 범위 확대를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기울인 상태로 측량하는 기법을 적용하고 기술의 적 정성을 평가하였다. 경남 마산 동호항에서 실시한 실해역 시험을 통해 트랜스듀서를 특정 각도(25°)로 기울여 측량한 결과, 기존 방식의 측심 결과와의 차이가 국제 수로측량 기준 상의 특등급 허용오차를 넘지 않았다. 총 조사대상 구역 114,961㎡ 의 수면적 중, 일반적인 조사방식으로는 60,895㎡로 53% 계측되었으나,제안한 기울임 방식을 적용하여 85,933㎡를 계측 할 수 있었다. 이는 전체 조사면적의 약 75%로,동일조건의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식보다 약 22% 수평면 적을 더 조사한 효과를 얻었다. 수직면에 대한 조사 대상구역 7,421㎡ 중,일반적인 계측방식으로는 1,046㎡로 전체 조사 면적의 약 14%가 조사되었으나,제안한 기울임 방식으로 조사하여 총 4,450㎡,대상면적의 60% 정도의 수직면이 계측되 었다. 또한,기울임 측량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선형 반사판을 고안하고,측심기를 검교정하고,트랜스듀서의 기울임 자체를 검교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aper presents implementation & evaluation of survey method with tilted transducer of Multi Beam Echo Sounder (MBES) to increase horizontal & vertical coverage over obstructed port environments with limited physical properties of MBES. Proposed method (25˚ titled transducer) have some discrepancy of bathymetric profiles between normal and tilting method, but we proved average difference is less than IHO Special Order requirements with survey data at port of Dong Ho Port, Masan, Korea. For horizontal mapping coverage of total survey area (114,961㎡), normal method covered 53%, 60,895㎡ of total area but tilting method covered 75%, 85.933㎡. It is 22% efficient than normal method with similar environments.For vertical mapping coverage of total vertical structure face (7,421㎡), normal method covered 14%,1,046㎡, pro posed methods covered 60%, 4,450㎡. And we adapt longitudal steel bar to validate MBES results, and provide calibration method with titled transducer of MBES.

      • SCIESCOPUSKCI등재

        '흑보석' 포도의 GA<sub>3</sub>와 Thidiazuron(TDZ) 처리에 따른 과육 연화 지연 및 과실특성

        정명희,이별하나,박요섭,오진표,김희섭,박희승,Jung, MyungHee,Lee, ByulHaNa,Park, YoSup,Oh, Jin Pyo,Kim, HeeSeob,Park, Hee-Seu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본 연구는 $GA_3$와 TDZ 처리에 따른 '흑보석' 포도의 품질 특성변화와 과실 연화 지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최종생산량은 저농도 $GA_3$ 단용처리에서 목표생산량 대비 88.3%로 낮았으나 TDZ를 2차에 혼용함으로써 최종생산량은 회복되었다. 착색을 기준으로 수확하였을 때 만개 후 100일까지의 수확률은 $GA_3$ 단용처리시 낮은 수확률을 보였으며 TDZ를 혼용할 경우 상쇄되었고 특히 2차에 혼용할 경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생장조절제 처리시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만개 후 90일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산 함량은 만개 후 9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어 당도와 산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오히려 무처리구에 비해 일찍 성숙기에 도달하였다. 경도는 $GA_3$와 TDZ 처리에 의해 활발한 세포비대와 세포분열로 과피가 두꺼워지고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처리구에 비해 만개 후 최종 수확시까지 높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 처리구에서 연화가 지연되어 과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핵과실은 TDZ를 혼용시에도 가장 높은 무핵률이 65.5%에 불과하여 무핵유기가 어려웠으며 열과발생은 모든 처리구에서 0.0-0.9%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흑보석' 포도는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로 처리하여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전인 만개 후 100일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the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and flesh softening, using GA3 and thidiazuron (TDZ) treatments in 'Heukboseok' grapes. The total yield obtained under PGR treatment was 88.3% lower than the target production when a single treatment with $GA_3$ of low concentrations was used, but the expected yield was recovered by combined treatment with TDZ and $GA_3$. When harvested on the basis of color, the harvest rate up to 100 days after full bloom (DAFB) was low with the $GA_3$ single treatment, but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DZ, with the second TDZ mixed treatment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 the PGR-treated sample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90 DAFB, while the acidity content decreased rapidly starting from 90 DAFB. Measured on the basis of sugar and acidity content, maturity was reached much earlier in treated fruit than in the non-treated fruit. Firmnes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until the final harvest time after PGR treatment compared to untreated grapes according to epidermis thickness and flesh density increase to activity cell division and expansion by $GA_3$ and TDZ. In particular, the fruit quality was improved based on the delay of softe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of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The production of seedless fruit was difficult, even with the inclusion of TDZ, reaching the highest seedless rate of only 65.5%. Fruit cracking was rare, occurring at a rate of about 0.0~0.9% in all treatments. Accordingly, 'Heukboseok' grapes should be harvested within 100 days after full bloom (DBFB) before a rapid decrease of firmness, conferred by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with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