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시가문학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

        박연호(Park, Yeon Ho)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한국 고전시가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가난’에 주목한 것은 박인로의 <누항사> 때문이다. <누항사>에는 가난한 삶의 형상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누항사>를 비롯한 17세기 가사작품에서 근대의 맹아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사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누구보다 노력했던 박인로가, 그것도 이덕형의 물음에 대한 답으로 지은 작품에서 가난한 삶과 소외된 괴로움을 하소연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조선시대 사대부 시가문학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를 잘못 파악한 데서 초래된 결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중세인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들의 생각과 행위,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었던 유가 경전 - 특히 ?『논어』?와 『맹자』?-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전에 제시된 ‘가난(貧과 窮)’은 경제적인 어려움보다는 나라에 道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는 ‘정치적 불우(不遇)’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가난한 삶’도 부조리한 현실에 영합하지 않고 공맹의 도를 굳건하게 지켜나가는 삶을 의미한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시대 고전시가 전반에 사용된 ‘가난’과 ‘가난한 삶’의 의미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고전시가에서 가난이 경제적 어려움의 의미로 사용된 것은 적어도 18세기 이후부터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동안 논쟁의 중심에 있던 17세기 박인로와 정훈의 가사문학에 나타난 ‘가난’에 주목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가난의 원인이다. 16세기까지는 ‘가난-정치적 불우’의 원인을 부도덕한 개인이나 권력집단으로 인한 혼탁한 정치현실에 있다고 보았다. 반면 두 작가의 작품을 포함한 17세기에는 상하층을 막론한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념적 해이, 즉 풍속의 문제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 시기가 임진왜란 이후의 정치 경제적 혼란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금나라의 성장 및 명나라의 멸망이 진행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즉 17세기에는 부조리한 현실의 원인을 부도덕한 권력집단의 문제를 넘어 中華文明의 위기라는 차원에서 바라보았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overty’ on the classical poetry of Josun dynasty. In this regard the 〈Nuhangsa〉 by the Park In-ro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the 〈Nuhangsa〉 carries extreme poverty very concretely compared to 16C works. Many researchers thought the poverty in this work as a economic practical poverty. And they evaluated this aspect as a change of the medieval philosophy. But Park In-ro strived to keep the identity as a noble family, and the 〈Nuhangsa〉 was written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Lee Duk-hyung. Like this situation, the noble man in Josun dynasty never answer his economic poverty straightforwardly. Earlier studies missed the meaning of poverty was different from now. Josun dynasty is the middle ages. The middle age persons"s thinking and act, judgement were based on specific scrip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overty given in the scriptures. The meaning listed in the Confucian scriptures are not economic poverty but political obscurity which means the noble man didn"t have a chance to show his ability.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the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or not depends on the morality in the world. If the world is virtuous to exert his ability as a official, but there is immoral to keep his moral culture as a scholar was a positive life attitude. So their poor life means not swimming with the tide but following the teaching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The first using the poverty as a economic lack was from the 18C. Until 16C the noble men attributed the cause of the political obscurity to immoral power group. But early in the 17C they thought that is due to the moral decay of all members of society. These perceptions appear in the Park In-ro and Jung Hoon"s works. These works focused on the wrong customs of the people as well as immorality of the ruling class. They perceived that as a matter of ideological crisis not of individual decay. This awareness came from Japanese invasion of Josun dynasty(1592-1598) and the downfall of the Ming dynasty by the Qing dynasty. In the Confucianism, the world is divided into civilization and savagery. And the civilization must enlighten the barbarians. Josun noble men viewed the Qing and Japan as a savagery and the Josun and Ming dynasty as a civilization. So that situation was a crisis of the civilization by the savagery. And they believed the only solution to overcome that crisis is the ideological recovery.

      • KCI등재

        『청구영언(靑丘永言(진본(珍本))』 소재(所載) 18C 시조의 살대엽(數大葉) 한바탕 가능성-주의식 시조를 중심으로-

        박연호 ( Youn Ho Park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9 No.-

        『청구영언』에 수록된 주의식과 김유기의 작품에는 현실인식이나 정서의 측면에서 전혀 이질적인 작품들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들의 작품이 현행 삭대엽 한바탕과 유사한 방식으로 창작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이런 패턴은 이들뿐만 아니라 김천택과 김유기의 제자 한유신의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그렇다면 이 시기에 삭대엽 한바탕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일까? 본고에서는 먼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전개-마무리’라는 연행문화의 일반적인 구조에 주목하여 현전 금보들에 존재하는 노래들의 일반적인 패턴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궁중음악을 담고 있는 『琴合字譜』(1572)는 <오리>로 시작하여 고려가요 등 흥겨운 노래들을 부르다가 마지막에 <感君恩>으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패턴은 민간에서 가곡(중대엽)을 노래한 『梁琴新譜』(1610)과 『白雲庵琴譜』(1610~ 1680) 등에서도 ‘심방곡-중대엽-감군은’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즉 중중연희의 패턴이 민간 연희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졌던 것이다. 한편 17세기 중반 이후에는 心方曲이 <오리>에서 <잘새는> 등의 가곡으로 바뀌고 <感君恩> 대신 ‘界面 數大葉 第四(현행 界面 二數大葉)’이 마무리하는 곡으로 자리를 잡는다. 이는 현행 삭대엽 한바탕을 界面 二數大葉인 <太平歌>로 마무리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또한 18세기 중반에 이미 弄·樂·編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현행과 유사한 삭대엽 한바탕이 만들어질 환경은 충분히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주의식과 김유기, 한유신, 김천택 등의 작품을 살펴본 결과 첫 작품은 작품 전체의 판을 여는 노래로써 주제를 포괄하고, 마지막 작품은 태평성대를 노래한 것이라는 점에서 <태평가>로 마무리되는 현행 삭대엽 한바탕과 유사하다. 또한 주의식의 노래가 19세기 가집들에는 삭대엽 한바탕의 흐름과 유사한 곡조들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당시에도 유사한 곡조에 얹혀 가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점에서 주의식과 김유기, 한유신, 김천택 등의 작품은 삭대엽 한바탕이 형성되던 초기의 모습늘 담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ssibility of one Sak-Daeyeop set of 18C Sijo. In Ju Uisik and Kim Yuki`s works, there are disparate works in terms of reality and emotion recogni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ir work was created as a Sakdaeyeop(數大葉) set-One Batang(한바탕). This form can be found in the Kim Cheontaek and Han Yusin`s work. When does the current Sakdaeyeop(數大葉) set created? In the early 18C, the sufficient environments for a Sakdaeyeop set were created. The pattern of this set was made from the court music show format. The court music show format is started with a <Simbnaggok(心方曲, 오리)> and next the exciting musics-court party music-are played, the last is finished with <Gamguneun(感君恩)>. This pattern had been accommodated in private music(Sijo) performances. In private music performance, the court party musics were replaced by the <Jung-Daeyeop(中大葉)>. In other words, it was performed in order of <Simbanggok>-<Jung-Daeyeop>-<Gamguneun>. After the middle of 17C, the <Simbanggok> was replaced by Sijo, and the <Gamguneun> was replaced with a Sijo praising the peaceful reign.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last work was fixed to <Taepyeongga(太平歌)>.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research the works of Ju Uisik and Kim Yuki, Kim cheontaek, Han Yusin. The first work in their works covers the theme of the whole work and play a part of starting the set. And the last work of their works were all singing for the peaceful reign. And the works of Ju Uisik were arranged in a variety of tunes since the 19C song books. In this regard, their works may have been created as a set.

      • KCI등재

        장혼(張混)의 교육론 연구 : 『아희원람(兒戱原覽)』의 성격을 중심으로

        박연호(Youn Ho Park) 교육사학회 2004 교육사학연구 Vol.14 No.-

        This thesis was prepared to challenge previous writers' theses about the character of Janghon's Ahiwonram. The doctoral dissertation of Jung Sun-woo, which submitted in 1987 to the Graduate School attached t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influenced other writers very much afterwards, narrowing and fixing the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character of Ahiwonram. His view is that Ahiwonram was an intended textbook and actually used so in 18th Seodang all over the country. My alternative view is that Ahiwonram was a reference book, and so had not been used in the classroom instruction as a textbook. To support my thesis, I followed Janghon's life history, paying attention particularly to his experience and career as a teacher. Next, I analysed the preface of Ahiwonram precisely, and related them with other writings concerning poetry and prose. Thirdly I examined the 12 chapters of Ahiwonram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rder, describing briefly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Finally I summarized main points of my argument, and by using them imaginatively embodied his educational doctrine, which is very hard to formulate and furthermore to shape a structure due to insufficient historical materials scattered over three books, that is Ahiwonram, Mongyupyun, Yiyieumjip. I hope my paper would stimulate historical interests of other scholars and serve as a momentum to continue and spread studies on this subject.

      • KCI등재

        주제 중원지역 전통문화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중원의 누정문학 -괴산지역의 누정을 중심으로-

        박연호 ( Youn Ho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A a lot of liver and lake poetry(江湖詩歌) is pavilion literature. And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rom the aspects of literary material and intention. Because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current and direction of the liver and lake poetry after 18C.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ate the inten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ssembled poetry of pavilion(樓亭集景詩) by `Love Leisure Pavilion(愛閑亭)` and `Keep Silent Pavilion(醉默堂)` in Jung-won(中原) area. As a result, the intention of two pavilion literatures are to express the utopia of confucian by using the traditional code -night ship torch(漁火), song of farmers(農歌), abundant harvest(大秋) etc- what they symbolize the harmonic nature and affluent life of the people. They were constituted from the Korea dynasty and hand down to 20C. And at the merchant ship(or a ship at anchor) that is the traditional code to choice at two pavilion, we can discover the public and personal economic activities what was done at a ferry. And that is on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Jung-won area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누항사>에 나타난 “가난”과 “우활”의 의미

        박연호 ( Youn Ho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누항사> 연구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내용은 ‘가난’의 문제이며, 주제의식과 관련된 핵심키워드 중 하나가 ‘우활’이다. ‘가난’은 작품에서 작가의 어려운 처지를 대변하는 핵심어이고, ‘우활’은 작가가 자신을 규정하는 핵심어이다. 본고에서는 ‘가난’과 ‘우활’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누항사>가 지향하는 바 주제의식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누항사>에서의 ‘가난’은 경제적 어려움보다는 부조리한 현실에서 사족으로서의 직분(治人)을 다할 수 없는 화자의 ‘불우한 정치적 처지’를 나타내며, ‘우활’은 부조리한 현실에 영합하지 않고 사족으로서의 직분과 정체성을 올곧게 지켜 나가려는 화자의 신념과 의지를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정도가 어그러진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이런 상황 속에서도 사족으로서의 직분과 정체성을 지키겠다는 화자의 의지를 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study of <Nuhangsa> the point keywords are ``the poverty`` and ``the unfamiliar with the world``. The poverty speak for the difficult situation of author and the unfamiliarity is a keyword of author`s self regul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me of <Nuhangsa> by study the meaning of poverty and unfamiliarity. As a result, the meaning of poverty is nearer the political unsuccessful situation than the financial difficulty. And the unfamiliarity is the irony of author`s will that never to swim with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and to keep up his duty and identity as a nobleman. The most important duty of Nobleman is to realize the confucian utopia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to conclude, author criticize sharply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and express his will that to keep up his duty and identity as s nobleman through <Nuhangsa>

      • SCOPUSKCI등재

        전기진단학적 방법을 이용한 대상포진 환자에서의 포진후 신경통 발생 예후 연구

        박연호 ( Yeon Ho Park ),박영민 ( Young Min Park ),김형옥 ( Hyung Ok Kim ) 대한피부과학회 1995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3 No.6

        Background: Post-herpetic neuralgia is the most serious one of herpes zoster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becomes higher as the age of the patient increases. Nevertheless, besides considering the age and onset time of treatment, there is no more objective factor estimating the prognosis of post- herpetic neuralgia.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gression of herpes zoster and estimate the prognosis of post-herpetic neuralgia by practicing electrodiagnostic tests to patients with herpes zoster. Methods : We evaluated the pain scales in 26 patients with herpes zoster on the first visit and 2 months later. We also performed electrodiagnostic tests, more objective and reproducible methods, including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and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on both the involved and uninvolved sites of 32 lesions in 26 patients with herpes zoster,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change of pain scales. Results : 1. The pain category scale and visual analogue scale on the second examin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n the first examination (P<0.05). 2. Latencies of intercost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recorded on scalp and spine were significantly delayed in involved sides compared with those in uninvolved sides (P<0.05). 3. In the latencies and conduction velocities of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involved sides and uninvolved sides. 4. On the second examinataion, latency differences of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ose on the first examination (P<0.05). 5. Among the various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parameters, P1 latency difference of cortic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between involved and uninvolved sid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ain category scale ard visual analogue scale on second examination (r=0.48, P<0.05; r =0.51, P<0.05, respectively). N1 latency difference of sp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between involved and uninvolved sid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 visual analoge scale on the first examination and pain category scale on the second examination (r=0.61, P<0.05; r=0.78,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 Intercost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an be a useful and reliable technique to predict the development and severity of post-herpetic neuralgia. (Kor J Darmatol 1995;33(6): 1099-1107)

      • KCI등재

        편가(編歌)의 측면에서 본 『청구영언(靑丘永言)』(진본(珍本)) 무명씨(無名氏) 연구 - 유락(遊樂)을 대상으로 -

        박연호 ( Park Youn-ho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9

        지금까지 시조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적인 측면에서 작가와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때문에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무명씨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기존논의에서 『청진(靑珍)』 무명씨에 수록된 작품들은 김천택 당대(18C 전반)의 서울의 시조 연행의 실질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작품들을 내용적인 측면에서 분류하기 위해 첨가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악곡 분류는 기본적으로 편가(編歌)에 필요한 것이며, 당대의 작가 중에서도 편가로 창작한 예가 있다는 점에서 무명씨의 주제 분류는 단순한 내용분류를 넘어 편가를 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행 가곡창 한바탕(編歌)은 초삭대엽으로 판을 연 후, 이삭대엽에서 차분하고 느리게 시작하여 삼삭대엽에서 정서적으로 고양되었다가, 소가곡으로 넘어가면 흥청거리고 흥겨운 분위기로 전환되며, 편삭대엽에서 빠른 장단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얼편에서 높은 선율로 분위기가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느린 계면 이삭대엽인 <태평가>로 분위기를 가라앉히며 마무리된다. 현행 가곡 연행에서도 편가는 앞서 언급한 모든 곡조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안민영 『금옥총부』의 <매화사팔절(梅花詞八節)>처럼 우조만으로 편가를 구성하기도 하고, <난초사삼절(蘭草詞三絶)>처럼 서너 곡조만으로도 편가를 구성한다. 현행 가곡창 한바탕 26곡(남창)은 편가 구성에 필요한 모든 곡조를 모아 놓은 것이며, 이 곡들을 모두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본고에서 `유락(遊樂)`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작품들을 편가의 흐름 속에서 살펴본 결과 정서의 흐름과 악곡의 구성이 현행 가곡 한바탕의 형식과 유사하였다. 그리고 이런 특성은 `유락`뿐만 아니라, 사랑을 노래한 `규정(閨情)`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구영언』의 악곡별 분류 자체가 이미 편가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점에서 무명씨의 주제 분류는 편가를 구성하기 위해 분류된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편 삼삭대엽에 수록된 작품 중 취락(醉樂)을 노래한 작품은 후대까지 삼삭대엽으로 유지된 반면 취락을 노래하지 않은 작품은 계면 이삭대엽으로 변하였다. 이는 편가에서 노랫말의 악곡은 앞뒤 작품과의 관계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내용이나 정서적으로 이삭대엽과의 변별성이 두드러지지 않은 것은 악곡의 변화가 일어난 반면, 취락과 같이 분명한 차이를 보는 작품은 삼삭대엽으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eless items in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in terms of performing arts(Gagokchang). Until now, most researchers that the nameless items reflects the reality of Gagok performance in Seoul and they was added for content classification purpose. One of the important feature of is Cheongguyeongeon is to be classified the works by music. And the musical classification was need to organize a series of performance composed of several tones. The current Gagok performances is opened with First-sakdaeyeop(初數大葉) and go to calm and slow Second-sakdaeyeop(二數大葉). And the musical mood are increased when go to the Third-sakdaeyeop(三數大葉). When the tunes are converted to Rong(弄) and Rak(樂), Pyeon(編), as the performance progresses, the speed of music increases, and the amusing and exiting atmosphere are increased. And the performance are finished with a slow < Taepyungga >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theme of amusement in relation to the progress of the performance.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nameless items in Cheongguyeonge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Gagok performance. Therefore, the nameless items were not just for classifying contents but was designed for performance.

      • KCI등재

        한글박물관 소장 『청구영언』 무명씨(無名氏) 항목의 종합적 고찰

        박연호 ( Park Youn-ho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청구영언』(국립한글박물관소장본)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에 수록된 작품들은 단순히 내용을 분류하기 위해 삽입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유명씨부터 무명씨 주제분류 항목에는 악곡표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작품을 이삭대엽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주의식 등 여항육인의 작품 상당수는 편가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유명씨 작품 전부를 이삭대엽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이는 무명씨 주제분류 항목도 마찬가지이다.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의 각 주제어에 수록된 작품들은 일련의 ‘질서’ 속에 배열된 하나의 세트set라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성은 주제별 분류 가집인 『고금가곡』과 『근화악부』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여러 작품을 묶어 세트를 구성하고 다양한 악곡에 얹어부르는 방식을 編歌라고 한다. 따라서 무명씨 주제 분류 항목의 각 주제어에 배치된 작품들 중 상당수는 編歌를 위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단순한 내용 분류를 위한 것이라면 굳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품을 배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편가를 떠나 시조를 세트로 짓는 전통은 조선시대 전시기에 창작되었던 연시조와 연작시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8세기 이후 編歌 형식의 가곡연행은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초·이·삼삭대엽에 수록된 작품들의 경우 편가에서 특정 작품의 악곡은 부르는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가집에 따라 다른 악곡에 편재되어 있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또한 3개이상의 악곡으로 구성된 편가에서 첫 번째 노래는 초삭대엽으로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초삭대엽이 편가 연행에서 판을 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제 분류의 각 항목에 복수의 작품이 수록된 경우 첫 번째 작품은 초삭대엽으로 가창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 때문에 악곡표시를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삼삭대엽 이하 만횡청류까지 작품들의 주제를 분류해 본 결과 연군이나 강호 등 유가이념과 관련된 주제들은 주로 삼삭대엽까지에서 수록된 반면, 유락이나 규정, 탄로 등은 전악곡에 걸쳐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제에 따라 초·이, 또는 초·이·삼삭대엽만으로 편가가 구성되기도 하고, 소가곡(弄·樂·編)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낙시조는 주로 우락과 계락 등으로 전승된 반면, 만횡청류는 弄이나 ‘엇’계통(얼락, 얼롱, 얼편), 編계통으로 전승되었으며, 『청구영언』 내 작품 배열도 19세기 이후에 弄→ 얼락 → 編 등 編歌에서 연행되는 악곡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만횡청류의 수록 순서도 編歌와 관련이 있으며, 당시에 이미 농·락·편에 대한 변별적 인식이 일정정도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the anonymous part in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in terms of musical and literary aspects. The anonymous parts(無名氏) are divided into 52 keywords, and each keyword contains 1-7 works. Furthermore, the works are arranged in a certain order: a chain of time, space, and poetic contexts, among others. In other words, they are gathered in one set. This feature is also found in Gogeumgagok (古今歌曲), a themed collection of songs, and in Geunhwaakbu(槿花樂府), an old song. In the Gagok (歌曲) performance, which consists of a set of several works, the songs are sung in various tunes. This is called “Pyeonga(編歌).” Because each subject classification item in an anonymous part is likely to have been performed as Pyeonga, it is not considered a simple content classification. Furthermore, this tradition can be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Sijo series that was creat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Pyeonga, the tune of certain work(Sijo) is determined b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poem. The Pyeonga generally begins with Chosakdaeyeop(初數大葉, First Sakdaeyeop, a tune name), and it is the opening tune in the Gagok performance because the first works in each subject classification item are likely to have been sung by Chosakdaeyeop.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the tune is not marked in the anonymous part. Meanwhile, there are no themes related to the Confucianist ideology in Manhoengcheongnyu(蔓橫淸類), and over 50% of the works are related to the themes of pleasure or affection. This means that the Pyeonga is composed of 1·2·3 Sakdaeyeop or even the entire tune, including Manhoengcheongnyu. Furthermore, in the aspect of the transmission of the tune, the sequence of the arrangement of the works of Manhoengcheongnyu is similar to the general order of Pyeonga. Therefore, the anonymous part is not a chaotic collection of works in order to classify the contents of Sijo by theme because all the works in the tune below the anonymous part can be regarded as being related to the Pyeong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