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패션디자이너 고찰 - 사회적 환경이 반영된 디자이너의 출현과 양장점 및 브랜드 운영방식 전환을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were active in the 1960s and to analyze how their endeavors were reflected in social environment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based on media materials, who are the newly discovered designers from the 1960s. Second, who are the designers who debuted under the mentorship of first-generation designers active in the 1950s, and what were their trajectories in the fashion industry. Third, who are the designers that majored in arts and humanities, and how were they different from existing designers. Fourth, who are the designers reflect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the 1960s, and what kind of activities did they engage in. Fifth, what are the works of these fashion designers, additionally extracted from media analysis, and what inaccuracies are there in fashion history revealed through cross validation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media sources including 244 newspaper articles, 181 articles of Yeowon , and 158 articles of Yeosang . This paper conducted in-depth analysis by sorting the materials by media type, then by categorizing the materials chronologically and by each designer. The study extracted 48 designers who debuted in the 1960s and identified 40 boutiques. Contrasting from the 1950s, the 1960s witnessed the emergence of designers who received education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institutions, and designers with diverse backgrounds in humanities, fine arts, sculpture, and theater. It was a period w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generation designers, collectively shaped and established the system of modern Korean fash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uncovering the Korean fashion designers of the 1960s who established the modern fashion system in Korea and analyzing their endeavors.

      • KCI등재

        매체 자료 분석을 통해 본 1960년대 한국패션 고찰 -제2세대 한국 패션디자이너들의 행보와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박신미 한국복식학회 2022 服飾 Vol.7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activiti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second-generation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were active in the 1960s by investigating media data. The aim is to deduce the historical fact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fash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was the environment of Korean fashion in the 1960s? Second, what were the activities of second-generation fashion designers, and what were the Korean fashion trends and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1960s? Lastly, what historical event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fashion can be deduced, and how did designers affect Korean fashion of the mid-20th century? A literature review, content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employed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cond-generation designers who led the 1960s trend in Myeongdong alongside first-generation designers were Bok-nam Kim and Soon-hee Kim, as well as Young-chul Park and Tae-do Park, who worked as a group in the Myami Yangjangjeom (boutique). Although the designers’ names have not been confirmed, the Noble Yangjangjeom and Paris Yangjangjeom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led policy encouraging new daily wear in 1961. During the 1960s, designers proposed clothing with lifestyle concepts, such as wedding dresses, beachwear, and home wear, in addition to the Western suits of the 1950s. The 1960s was a transitional period in Korean fashion, in which first- and second-generation designers worked together. This decade was a turning point in which Korean fashion systems and modernized styl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transition from customized to ready-to-wear clothing.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1) -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노라노 관련 영화 의상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인쇄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는 연구(1)과 연구(2)로 나누어 개진되며, 본고인 연구(1)에서는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배경과 1956년부터 1966년까지의 노라노 영화 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와 영향을 고찰하고, 후속연구인 연구(2)에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인쇄 및 영상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재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추출할 것이다. 본고는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분석대상을 연구대상자 소장 패션쇼 리플렛, 촬영시점이 기록된 사진자료, 신문, 패션전문잡지, 영화포스터 그리고 신문 박물관과 한국영상자료원 소장 자료들로 국한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또한 연구는 사실검증을 위해 노라노와의 심층면담을 세 차례 진행한다. 연구(1)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 이전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현상은 서양문물의 단순한 유입이 아닌 전도부인, 여학생, 유학생 등의 시대의 패션 리더들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으며 이 시기는 간접적 탈전통화시대이다. 반면 전쟁 이후 스타일은 양장점에서 디자이너 브랜드로 도약한 최경자, 노라노, 서수연 등의 제1세대 디자이너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 시기는 우리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기 시작한 직접적 탈전통화 시기이다. 프랑스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노라노는 일본 패션 시스템에 영향을 받은 최경자와 함께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스타일을 주도하였다. 노라노의 영화의상 분석결과 노라노는『아름다운 악녀(1958)』의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배신(1964)』의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해당 영화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패션의 현대화에 일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en's fashion and Nora Noh, who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is research is structured into two parts and the current paper is the first section. The first paper i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earch focuses on the objective materials by examining newspapers, leaflets of fashion shows, program sheets, movie posters and etc. The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qualitative and posi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nterviewing Nora Noh and analyzing the conte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own through the research (1). Before the Korean War, Korean women’s fashion was affected by female students who studied aborad or in local women’s Universities established by foreign entities and female missionaries who experienced western culture. The era was the in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However, after the war, the fashion trend was mainly l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e era switched to the 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Nora Noh, who was inspired by the French and American fashion, and Kyungza Choi who was inspired by the Japanese fashion system were the trend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Focusing on the movie costumes Nora Noh created the images of movie stars such as the muse of the Femme Fatale, Jeehee Choi, Um Aingran who were called Korean Audrey Hepburn, etc.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 KCI등재후보

        1900년대 여성패션의 현대화 양상 고찰

        박신미,이재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적 여성패션의 전환점인 1900년대 여성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추출하는데 있다. 제시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했고, 연구결과 1900년대 여성패션의 현대화 양상은 네 가지로 추출되었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몸의 자유와 관련된 ‘실루엣의 극단적 변화’이다. 여성패션이 ‘S’에서 ‘T’로 실루엣의 극단적 변화를 이룬 1900년대는 인공적 지지물에 의해 구속 받았던 몸의 주도권이 여성자신에게로 돌아갔다. 초기에는 장식성이 강한 ‘S-레터(letter)’실루엣이 유행하나, 중기에 들어서는 여성의 자연스러운 곡선미를 살린 ‘S-커브(curve)’실루엣과 장식적 요소가 배제되어 단순미가 돋보이는 ‘깁슨 걸(Gibson girl)’실루엣이 유행했고, 이후 티 가운(tea-gown)의 실외착용, 오리엔탈의 수용, 대안적 패션(alternative fashion)의 보편화라는 복합적 사회변화가 만들어낸 직선적 실루엣인 ‘T-실루엣’이 출현하며 1900년대 여성패션은 실루엣의 극단적 단순화를 이루어 냈다. 두 번째는 영국과 프랑스의 공조로 인한 ‘대안적 패션의 보편화’이다. 1904년 영국과 프랑스의 ‘양국협약(Entente Cordial)’에 의한 문호개방은 영국 남성복의 프랑스 진출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이는 유럽과 미국의 여성복 시장을 주도했던 프랑스 패션에 실용성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해주며, 19세기 중반부터 스포츠웨어로 착용되었던 대안적 패션인 테일러드 수트(tailored suit)를 보편화시키며 여성패션 현대화에 기여했다. 세 번째는 새로운 트렌드 확산의 교두보로서 백화점과 패션잡지의 역할이다. 비록 쿠튀르들의 모조품을 중류계층에 판매했으나 백화점은 패션잡지와 함께 새로운 스타일을 대중에게 확산시키는 통로였다. 백화점이 고객확보를 위해 제작한 우편주문도록 역시 스타일 확산의 중요한 도구였다. 마지막은 제1세대 프랑스 쿠튀르들의 활약이다. 여성패션 현대화는 상류계층의 패션을 장악한 쿠튀르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였다. 찰스 프레데릭 워스(Charles Frederick Worth), 자크 두세(Jacque Doucet)는 현대적인 패션시스템을 정착시켰고, 폴 푸아레(Paul Poiret)는 쇼 윈도우(show window)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한, 잔느 파켕(Jeanne Paquin)은 ‘하이 웨이스티드(high-waisted)’ 실루엣을 일상복으로 장려해 1907년 폴 푸아레의 ‘디렉투아 스타일(Directoire style)’ 출현의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2) -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노라노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학술지 논문의 지면 제한으로 2편으로 나누어 연구를 구성한다. 2016년 진행된 연구 (1)에서는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의 노라노 영화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를 고찰하였다. 연구 (1)의 결과, 노라노는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당시 여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패션의 서구화에 일조하였다. 본고는 연결논문의 두 번째 논문으로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노라노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매체자료에 근거해 추출한다. 본 연구는 노라노 소장 자료, 연구자 수집 자료, 신문박물관 소장 자료 총 159편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노라노 작품이 미국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으나, 매체자료 분석 결과 노라노는 미국 패션과 프랑스패션 모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검증한 결과 노라노의 1963년미우만백화점 패션쇼와 1964년 화신백화점 패션쇼는 개최되지 않았으며 최초의 디자이너 기성복 패션쇼는제10회 노라노 패션쇼인 1963년 11월 1일 오후 2시 워커힐 크로바 클럽에서 패션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노라노의 첫 양장점인 신당동 ‘노라노의 집’의 정식 오픈 시기는 1950년이며, 실제 디자인 시작 시기는 유학직후인 1949년 후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an's fashion focusing on the designer Nora Noh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is paper is the second section, the research (2). The part of the research materials was possessed by Nora Noh and researcher also collected materials from the Presseum(museum of newspaper)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 The first paper, the research (1) wa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ult was that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ie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2) show that Nora Noh was affected both by the French haute-couture and pret-a-porte system as well as American ready to wear system. The eclectic style is a characteristic of Nora Noh fashion. The ready to wear fashion show held at the Miuman department store in 1963 and the Hwashin department store in 1964 has not founded through the references. The 10th Nora Noh fashion show in Wakerhill at 2 pm, 1st of November, 1963 is the first ready to wear fashion show in the history of Korean fashion designer. Also, Nora Noh opened the first boutique at Sindang-dong in 1950 but the designer started design work in 1949 after she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브라질 현대 미술에 나타난 패션성 분석- Anita Malfatti, Tarsila do Amaral, Emiliano di Cavalcanti, Rafael Silveira, Camila Pinheiro 작품에 표현된 다인종성과 젠더성을 중심으로-

        박신미 한국복식학회 2023 服飾 Vol.73 No.4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fashionality of Brazilian modern art, focusing on the works of Anita Malfatti, Tarsila do Amaral, Emiliano di Cavalcanti, Rafael Silveira, and Camila Pinheiro. The study raises several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Brazil’s racial and cultural attributes, and what multi-racial and gender characteristics can be extracted these attributes? Second, what characteristics and fashionality are found in the works of Malfatti, Amaral, Cavalcanti, Silveira, and Pinheiro, who all exemplify Brazilian modern artists using multi-racialism and gender in their content? Third, what multi-racial and gender fashionality aspects are seen in Brazilian modern art, and how do these attributes relate to each other? The study uses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olog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determined that Malfatti established expressive colors, reflecting her insecure ego, while Amaral combined nationality of “Afro-Brazil,” based on the concept of cannibalism and a Cubist style. Further, Cavalcanti expressed the lives of Afro-Brazilian women reinterpreted through analytical Cubism and Fauvism, while Silveira unraveled the subject of himself through iconography that reinterpreted surrealistic moments. Pinheiro conveyed the independent lifestyles of women using the colors of the town of Paraty in the viewpoint of Fauvism. In conclusion, fashionality in Brazilian modern art can be summarized as: “primeval surrealism,” reinterpreted as a modernistic exploration of primitive culture;, “symbolic egoism,” an expression of independent ego reflecting free will;, “existentialistic spirituality,” a substantiative exploration of Brazilians and their culture;, “dynamic decorative“ features, contrasted with the primary colors found in Brazilian nature; and “aesthetic lifestyle,” which captures contemplative views of the lives of Brazilian women.

      • KCI등재

        Fashion, addressing the new body - The body, fashion and art -

        박신미 복식문화학회 2012 服飾文化硏究 Vol.20 No.5

        The research aim is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fashion as an object of art, and to examine its potential and status as an art of body space.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disciplines by focusing on the body as the foundation of fashion and art’s concepts, and discusses the intrinsic properties and the approach to the creation of fashion which is expressed through the body. The research begins by analyzing the sociologists thoughts on the body and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s a practice of a new art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body creating space. It explains that fashion can most easily transform the body and that this, along with the body itself, possesses the element of creating body space. Fashion is a new avenue for understanding the body that not only includes the human figure but also its movement and spirit approached as a creative activity. The paper will show that fashion chosen as an art activity expresses the changeable and ambiguous body and embraces an unlimited potential of creative activity. This expands the creative field by managing both the inner and outer space of the body. Historical examination, literature review and overview of development of reference materials will establish the the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