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백제 국가성립에 대한 이해

        박순발(Soon Bal Park) 한국고대학회 1999 先史와 古代 Vol.12 No.-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recent studies of the state formation of Paekche is an extensive use of archaeological data. However, the lack of thorough evaluation of archaeological data and relatively subjectiv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for the presentation of one` own specific arguments call for cautious approaches to such studies. This paper deals with archaeological data during the time of state formation of Paekche, and, with juxtaposi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tries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s in many related issue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jo and his followers, who are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as having been responsible for the founding of Paekche Kingdom, were immigrants from Puyo in northeast China. They settled in the Han River valley at the borders between Mahan and Ye population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B.C., as described in the Annals of Paekche in Samguk Sagi(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bout 250 years later in the mid-third century A.D. their forces increased so as to play the leading role in the state formation of Paekche at the level of a confederated kingdom. During the time of state formation, Paekche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Jin Dynasty of China through the Command Headquarters Against Eastern Barbarians. In this process black-burnished neck jars, which were typically prestige goods, appeared as one of the core pottery types of Hansong Paekche.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at the Sokch`on-dong, Seoul, which are often cited as an evidence for the Koguryo-origin of people who established Paekche Kingdom, cannot be dated to before the mid-fourth century A.D., and thus are not related to Paekche in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These tomb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peer-polity interaction between Koguryo and Paekche at its height of development at the time.

      • KCI등재

        漢城百濟 考古學의 硏究 現況 點檢

        朴淳發(Park Soon-bal) 중부고고학회 2004 고고학 Vol.3 No.1

        1980년대 후반이후 몽촌토성 및 석촌동 고분군 등 서울지역의 백제유적조사를 통해 고고학자료가 축적되면서 한장유역의 원삼국시대 및 한성기 백제의 고고학적 편년의 대강이 확립되었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이후 풍납토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서 한강유역에서의 성곽의 출현 시기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어 왔다. 그 가운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자들 주장은 풍납토성의 축조를 기원전 1세기대에서 기원후 2세기대에 걸쳐 초축되었고, 늦어도 기원후 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 백제고고학의 편년관과는 양립될 수 없는 것으로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강유역에서 최근까지 알려진 원삼국시대 및 백제시대의 고고학자료를 종합 검토한 결과 풍납토성등 한강유역에서 성곽의 출현은 3세기 4/4분기경이며, 따라서 백제토가 역시 그 무렵을 전후한 3세기 중후반(3세기 3/4분기)경임을 재확인하였다. The rough chronology before and after the state establishment of Baekje had been ordered by mid 1990’s. The back bone of this chronology is summed up that Baekje as a full feathered state took shape at c.a. mid/late 3rd century A.D. After then were added a number of new material from Pungnab earthen wall considered a candidate of early Baekje capital in late 1990’s. On the same time, a challenge to the existing chronology, of which the main is that Baekje’s state establishment timing should be more retrospective, was opposed by some excavator who members of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y. The evidence which supports their assertion is the alleged date of the building of Pungnab earthen wall, which is viewed as sometime from 1st century B.C. till 2nd century A.D. by them. But the result of the detailed review on the all chronological material known untill now is against to the retrospectivist’s view. The conclusion reaffirms that Baekje as a state appeared at the late half of 3rd century(275~300 in detail) A.D.

      • KCI등재
      • KCI등재

        漢城期 百濟 都城의 問題 - 風納土城과 夢村土城의 築造 時期 比定을 중심으로 -

        박순발(Park Soon-bal) 한국고대학회 2003 先史와 古代 Vol.19 No.-

        The results of the my review on the recently raised retroactive standpoint which the construction time of early Baekje capital citadel i.e. Pungnap earthen wall has to be 2nd century A.D. are as followings. The stamped surface deep bowl which has been unearthed on the paleosurface beneath of Pungnap earthen wall is to be not made untill first half of 3rd century A.D. This point of time is sure the upper limit bound of construction of that wall. My conclusion as such is well supported by the cross dating of those pottery with accompanied chinese origin materials e.g. bronze mirror and imported ceramics pottery. And my upgraded view on the pottery chronology of those time period is summed up as figure 4. On the other hand,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ongchon earthen wall, which above mentioned retroactivists have assummed to be later than Pungnap earthen wall, is surely late second half of 3rd century A.D. in the light of chinese 'Sizin(西晉 : 265-316 A.D.)' potsherd unearthed in the layer deposited over inner surface of wall. These archaeological evidences combined with historical records says that firstly made Mongchon earthen wall was to be called 'southern wall(南城)' or 'king's castle(王城)', and lately made Pungnap earthen wall be called 'northen wall(北城)' or 'big wall(大城)'.

      • KCI등재
      • KCI등재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朴淳發(Park Soon-bal)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백제의 국가 성립 이후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진행되었을 지방편제 과정을 고고학자료를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검토 대상 고고학자료는 원삼국시대 이후 한성기 백제에 걸치는 각지의 분묘군과 그 부장품 가운데 하나인 중국제 도자기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 양상이다. 원삼국시대~한성기 백제의 지방 묘제는 대체로 단독장 주구토광묘→집단장 주구토광묘→토광묘→수혈식석곽묘→횡혈식석실묘의 순으로 변천하며, 지속기간으로 보면 Ⅰ군(원삼국단계만 존속), Ⅱ군(원삼국~5세기 전반), Ⅲ군(원삼국~한성기 백제 전기간), Ⅳ군(4·5세기~한성기 백제 전기간) 등 4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백제는 3세기 중·후엽경 반경 30㎞ 정도의 범위를 통합한 연맹왕국으로 성립된 이후 유력 小國들을 제압하는 동시에 협조적인 소국의 중심지나 종래 유력 소국에 인접한 새로운 중심지 등을 육성하여 지방 지배의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그러한 모습은 각지 분묘군의 묘제변천 및 지속성에 반영되어 있는데, Ⅰ군 분묘군은 백제가 연맹왕국으로 성립될 무렵 소멸된 유력 소국의 중심 읍락과 관련되며, Ⅱ군은 백제의 중앙에 인접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과, Ⅲ군은 백제에 협조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 그리고 Ⅳ군은 소멸된 유력 소국에 인접한 것으로서 백제 중앙 세력에 의해 새롭게 육성된 지배 거점의 분묘군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방 지배 과정에서 경제적 수취 관계를 반영하고 있는 자료가 중국 도자기의 분포이다. 중국 도자기는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賜與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대중국교섭에 方物의 進貢 등을 통해 실제로 참여한 지역에 대한 백제 내적인 廻賜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서 이를 통해 지역 통합과 지방으로의 편제를 도모하였던 중요한 정치경제 수단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territory expansion to the periphery and thereby localization of the Early stage Baekche named Hansung period. The local cemetery's transformation, of which appears, continues and disappears, is the main data. Firstly, the change of burial structure is summarized as following. Single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Coalesced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Stone lined outer coffin grave → Stone chamber grave. While the pattern of cemetery continuation is to be classified 4 type. Ⅰ type lasts during Proto Three kingdom period until ca. 250 A.D. Ⅱ type lasts to the 1st half of 5th century A.D. Ⅲ type endures from Proto Three kingdom period to 2nd half of 5th century A.D. And IV type spans from 4th or 5th century to nd half of 5th century A.D. Each type has implication on the process of localization of periphery by Baehche central. Ⅰ type is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main town defeated rival polity. Ⅱ type is related with some nearest neighbor polity's town of emerging Baekche state. Ⅲ type is understood as farther hence cooperative polity's town. Ⅳ type cemetery was to newly emerged local power supported by Baekche center. Finally, it deserves emphasize that Ⅲ and Ⅳ type cemetery often accompanied with imported Chinese porcelains, which is not so much a free gift to local elite as benefit in return of local's economical offering to Baekche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김명진,이종신,박순발,Kim, Myung-Jin,Lee, Jong-Shin,Park, Soon-Bal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8 보존과학회지 Vol.24 No.-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내 토과목관묘에서 출토된 숯과 인근의 기와가마에서 연료로 사용되었던 나무의 숯을 채취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각각의 흡습성과 가스 흡착성을 비교하였다. 총 23점의 숯 시료에 대해서 수종을 식별한 결과 토광목관묘에서 출토된 12점의 숯은 모두 활엽수 숯으로 9점이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아속 계통, 3점이 팽나무속 숯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출토된 11점의 숯은 모두 침엽수로 경송류의 소나무류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출토 숯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토광목관묘의 활엽수 숯이 기와가마의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흡습성을 나타냈으며 에틸렌 가스 흡착 시험에서도 상수리나무아속 숯이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가스 흡착성을 보였다. 토광목관묘 유구에 활엽수 숯을 사용한 이유는 침엽수 숯에 비하여 활엽수 숯이 미세 세공이 많고 비표면적이 넓어 수분과 가스 흡착력이 우수하여 묘광 내에 보다 양질의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소나무류를 연료로 사용한 이유는 비중이 작아 재질이 연하여 연소가 잘되고 특히 재내에 다량의 수지(송진)를 함유하고 있어 발열량이 높고 비교적 화력 조절이 용이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hygroscopic property, and ability of ethylene gas absorption of 23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burials and roof-tile kilns of Chudong-ri cultural site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12 charcoals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burials were broad-leaved trees. Among the total 12 samples, 9 samples were Lepidobalanus and others were Celtis spp.. On the other hand, other 11 charcoals from roof-tile kilns were needle-leaved tree, Pinus spp.(hard pine). The broad-leaved tree charcoals from wooden coffin burials showed a higher moisture absorption capacity than needle-leaved tree charcoals from roof-tile kilns. The ethylene gas absorption was greater in the Lepidobalanus charcoal than that of Celtis spp. and Pinus spp. (hard pine) charcoal. The broad-leaved tree charcoal having high absorption ability of substances was due to a large microporous and specific surface area.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broad-leaved tree charcoals were filled in order to make favorable condition in tomb. The wood quality of pine is soft and easy to burn because of low specific gravity, as well as high calorific value by resin in wood. We could assume that the pine wood was used as fuel for roof-tile kilns because of easy control of heating and thermal power.

      • KCI등재

        베이지안 통계학(Bayesian statistics)을 이용한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可樂洞 類型의 연대 고찰

        김명진(Kim, Myung-Jin),이성준(Lee, Sung-Jun),박순발(Park, Soon-Bal),홍덕균(Hong, Duk-Geun)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7 No.-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radiocarbon dating)은 향상된 정밀도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시대에 대한 고고학적 편년의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신뢰도에 있어 다소간의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을 확률로 변환하고, 이를 측정에서 얻어진 결과에 적용하는 베이지안 통계(Bayesian statistics)가 활용된다.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可樂洞 類型에 대한 편년은 가락동 유형 Ⅰ기, Ⅱ기, Ⅲ기로 구분된 예가 있으며, 각 유형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가 비교적 충분히 제시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통계를 활용하여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에 고고학적인 유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락동 유형에 대해 Ⅰ기, Ⅱ기, Ⅲ기로 시간적인 선후관계를 설정하고자 한 기존의 고고학적 연구성과가 통계학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결과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락동 유형의 시간적인 선후관계 혹은 계기적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들을 설정한 후 베이지안 통계를 적용한 결과, 가락동 유형 Ⅰ기와 Ⅱ기는 동일한 시기에 공존하는 유형이거나 서로 구분되지 않는 유형이며, Ⅲ기와는 시간적인 순서를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가락동 Ⅰ기와 Ⅱ기의 지속시간은 220년이고, Ⅲ기의 지속기간은 120년으로 산출되었다(1σSD). Radiocarbon dating method is still hampered by age estimate uncertainties introduced by calibration, despite of its accuracy and precision. Bayesian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most widely applied used to overcome the problem by combining the basic calibrated date distributions with the prior probability.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adiocarbon data obtained from Karak-Dong assemblage of the early Bronze Age in central region of Korea to Bayesian statistical methods. As a result, the Karak-Dong assemblage classified into the three stages by the earlier archaeological views is revealed to being divided into two stages, in which the duration of the former stage and the latter stage is 220 years and 120 year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