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박순발(Park Soon barl)(朴淳發)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2 No.-

        도성은 국가 단계 사회의 중심취락, 즉 최상위 취락을 의미한다. 동아시아를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의 도성들은 성벽을 갖추고 있는데, 그 규모는 국가의 성장과 더불어 점차 확대된다. 도성 규모의 확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 도시적 주민의 거주구역인 民里의 성장이다. 따라서 민리의 형성 및 그 전개 과정은 고대 도성 발달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고대 동아시아 도성들은 宮과 民里의 공간 배치를 기준으로 7개의 類型으로 구분하였다. 1유형은 지배층의 居所로서 宮이 아직 민리와 확연히 구분되지 않는 것이며, 2유형은 궁이 자체의 방어시설을 구비하여 독립된 궁성형태로 등장하는 단계로서 그 주변에 주민 거주역이 모여 있는 邑里형태의 民里가 출현한다. 3유형은 상위층 및 수공장인등 직능집단이 도성 외곽내부에 배치된 것으로서 이른바 內城外郭型 도성을 말한다. 4유형은 궁성이 외곽의 중앙에 위치하던 3유형과 달리 모서리의 한 부분에 치우쳐 독립성이 높아진 형태로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5유형은 秦의 咸陽 도성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다수의 궁성 주변에 민리들이 광범위하게 산재하는 형태이다. 6유형은 曹魏 鄴城에서 비롯된 새로운 유형으로서 단일 궁성이 도성의 북단에 위치하고 그 남쪽에 가로망을 경계로 한 격자상의 민리가 배치된 것으로서 동아시아 고대 도성 민리 구획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7유형은 6유형 외부에 다시 외곽이 부가됨으로써 궁성이 전체 도성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 것으로서 宋 東京城에서 비롯되며, 6유형 이래 지속된 封閉型 민리가 開放型의 坊巷制로 전환된 것이다. 중국 도성 민리의 전개 과정상 중요한 획기는 되는 것은 각각 2ㆍ3ㆍ6ㆍ7유형이로서 각각 早期型ㆍ前期型ㆍ中期型ㆍ後期型 도성이라 할 수 있다. 한반도 고대 도성을 중국 도성 유형과 대비해 보면, 百濟 漢城時期의 도성은 4세기대에 3유형에서 6유형으로 전환된다. 熊津期 도성은 방어성과 민리로 구성된 한성기 지방도시 예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서 유사 6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비기는 한반도 고대 도성 가운데 최초로 등장한 전형적인 6유형에 해당된다. 고구려는 集安 國內城이 3유형에 해당되고, 평양의 長安城은 6유형이다. 신라는 최초 月城이 3유형에 해당되지만, 6세기 중ㆍ후엽 월성 외부에 가로망이 개설되면서 6유형으로 전환되었다. 일본은 궁성만 독립된 2유형이 오랜 기간 지속되다가 飛鳥시대 7세기 초 이후 유사 3유형을 거쳐 694년 藤原京의 성립과 더불어 6유형으로 전환된다. 한반도나 일본열도에서 6유형 도성이 등장하는 시점은 정치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국가의 성장과 함께 결국 모두 6유형으로 전환되는 배경에는 도성 기능의 확대와 집권력의 증대라는 공통요소가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East Asia ancient capitals take the form of walled city. With the growing of state expands the size of walled city, because the residence district of commoners, called minli(民里),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capital gradually enlarges. The size of common people's residence area can be viewed as indicator of the level of capital city development on why we focus. It can be classified as seven types on the ancient capital of China which is composed of palace area and minli as follows. First type : palace and minli are not yet articulated ; Second type : palace diverges from minli without wall ; Third type : palace and some part of minli(especially aristocrat and craft man) together position in walled area ; Fourth type : walled palace district departs from minli which also in larger walled area ; Fifth type : is composed multiple palace area without walled minli ; Sixth type : palace settles into the northen end of total capital area with enlarged southward minli which is the epoch making among East Asia capital plan ; Seventh type : the structure of total plan is similar with Sixth type but the position of the palace district central surrounded with minli. In view of the above mentioned China capital city's type can be identified ancient Korea state's capital as followings. Early Backje (百濟) period called Hanseong(漢城) period(AD.250~AD.475) capital initially classified into third type, and lately about 4th century into sixth type. Middle Backje called Ungjin(熊津) period(AD.475~ AD.538) capital into the 'similar sixth type' which composed mountain fortress and minli without city wall. Late Backje called Sabi(泗沘) period(AD.538~AD.660) period into typical sixth type. Koguryo(高句麗) capitals also firstly starts third type as Gukneseong (國內城), finally into sixth type alike Janganseong(長安城). Shilla(新羅) is same with those. But Japanese ancient capital walked some different course with China and Korean cases, which second type consists comparatively long time eventually became into third type in 7th century and finally into sixth type at AD. 694 historically called Hujiwarakyo(藤原京). Summing up the transition of East Asia ancient capital is it understood that the most typical plan of sixth type is not diffused in the course of simple mimic but the result of the state development as like centralized ability of domination on the each state's subjects.

      •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朴淳發(Park, Soon-Bar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2 No.-

        고구려 도성의 전개와 관련하여 학계의 견해가 엇갈리는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면서 아울러 도성의 중심묘역과 왕묘의 분포 양상도 주목하였다. 고구려 전기 도성의 평지성은 下古城子城이며, 축조 주체는 고구려 국가 성립시기의 토착세력이다. 중심묘역은 高力墓子 고분군이지만, 왕묘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집안 천도 시점은 瑠璃王 23(기원 3)년이며, 山上王 즉위년(기원 197) “更作新國” 도성인 丸都城은 이전 尉那巖城을 擴大修築한 것이다. 국내성은 선행 土築城을 故國原王 12(기원 342)년에 石城으로 改築한 것인데, 토축성은 고구려 국가 형성 과정의 토착세력이 축조한 것이다. 국내성은 방형의 석축성벽과 垓字를 두른것으로 王宮 등 핵심시설은 성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집안 도읍기의 중심묘역은 6개의 小區로 구성되는데, 왕묘는 특정 묘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다. 石室積石墓는 지방고분군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도성지역 고유 묘제이며, 封石洞室墓는 발해의 묘제이다. 지방고분군에 비해 봉토석실묘의 비중이 현저히 낮은 현상은 도성 인근 지역에서도 확인되는데, 평양 천도 시 도성 및 인근지역 주민들의 徙民과 관련된다. 후기 도성 첫 평지도성 ‘平壤城’은 淸岩里土城이다. 安鶴宮은 평양천도 이후 조영된 고구려 석실묘를 파괴하고 조성된 점, 7세기 중엽 이전으로 소급될 수 없는 막새가 사용된 점 등에서 ‘평양성’이 될 수 없다. 도성 거주민 묘역은 大成山城 南麓 고분군인데 비해, 왕릉은 그와 별개로 먼 외곽에 분산 배치된 “外交分散型”이다. 이는 王畿制가 적용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주목되어야 한다. Koguryo moved her capital three times, from Huanren(桓仁) via Jian(集安) to Pyongyang(平壤). It is well known that all Koguyro’s capital was composed of ordinary walled settlement and emergency defended mountain fortress. But on the positioning of the first capital walled settlement, the accurate time of moving to Jian region, and the first ordinary walled town of Pyongyang period etc. remain argument. This article put focus on those problem,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each period’s royal tombs. The results are as follows. Koguryo’s the first ordinary town is Xia gu cheng zi(下古城子) earthen wall located in now Huanren, and its founder not Chinese but native Koguryo people. The moving time to Jian region is A.D 3, and concerning this matter, at A.D 197 “newly founded state’ capital Wan du cheng(丸都城)” is assumed to practically same place with Wei na yan cheng(尉那巖城), that is the first Jian mountain fortress. On the while Jian’s ordinary walled town containing royal palace which is literature recorded Guk nae sung(國內城) was builded in B.C second century, later reformed to stonewall at A.D 342. The cemetery of Jian period located in 1~2㎞ from capital wall is composed of 5 local groups, in which group contain royal tomb also plain people’s grave. Newly found fact that Jian cemetery’s ratio of later type grave is lower than provincial cemeter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a lot of Jian region population was moved into Pyengyang new capital area. Even in Pyongyang capital town moved twice, the first capital that is recorded each as Pyongyang sung(平壤城) and the last Jang an sung(長安城). Cheng am li to sung(淸岩里土城) is well matched with Pyongyang sung not with customarily assumed An hak gung(安鶴宮). Pyongyang’s plain man cemetery is located near capital walled town. But royal tomb was placed remote from at least 10㎞ and scattered, this pattern which was never before. It is similar to Chinese Han emperor’s tomb pattern in Changan(長安), in the case of Koguryo understood as closely related with the enlargement of king’s direct regnal area called Wangki(王畿).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대 도성 廟壇의 기원과 전개

        朴淳發(Park, Soon Barl)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1

        본고는 동아시아 고대 도성의 의례공간의 비교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그 원류인 중국 고대 도성의 의례공간 가운데 한반도와 비교 가능한 종묘, 사직, 교단 등을 중심으로 그 기원과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종묘는 무덤 위에 조영된 ‘宗’과 위폐를 모시고 제사하는 ‘廟’가 夏 중만기에 통합되어 출현하였다. 『周禮』에 의하면 천자칠묘, 제후오묘 등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秦·漢이후의 실제 상황은 반드시 그렇지 않았다. 종묘제도의 중대한 변화는 동한대에 있었다. 동한 초에 陵廟의 건립이 폐지되고, 개별 황제를 위한 종묘 조영이 더 이상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동한 말에 이르러서 마침내 1祖2宗 및 4親만을 모시는 천자칠묘제의 시행과 더불어 七廟共一堂制가 정식화 되었다. 이는 남북조시대를 거쳐 수당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중국 종묘제의 근간으로 정착되었다. 社稷壇은 농경사회 진입 이후 토지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 확인되는 원시 제의시설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商代 이후 고고자료를 통해 시원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社壇은 흙을 모아 단을 만들고 社主는 商代에 처음 立石하여 형상화한 이래 唐代까지 이어졌다. 직단은 漢代 이전에는 사단과 분리되지 않았으나 그 이후 분리 설단되었다. 사직의 구성은 西晉 이후 2사 1직이 주류를 이루지만, 수당에 이르러 1사 1직으로 확립되었다. 고대 동아시아 도성 설계 원칙 가운데 하나였던 『周禮』 考工記 匠人營國條는 한 무제 이후에 成書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종묘와 사직의 배치 원칙인 左廟右社 역시 先秦시대에는 부합되는 고고자료가 아직 없다. 분명한 사례는 동한 洛陽城 이후부터이고 唐 長安城에 이르러 황성내 동남과 서남에 각각 태묘와 태사가 위치하는 정형이 완성되었다. 고대 도성 예제 건축의 주요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인 郊祀는 그 기원이 신석기시대 이래의 천지 일월 등 자연 숭배 사상과 관련한 취락지 주변의 제사 활동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성 사교 교사제의 형성과 관련해 중요한 전기는 전한 文帝대이다. 도성에 멀리 떨어져 있는 제장을 모두 사교로 옮겨졌다. 그리고 晉에 들어와 환구와 방구가 각각 남교단과 북교단으로 통합되어 동진 남조 역대 정권의 교사제로 정착된다. 그러나 북조는 환구와 방구를 각각 5교단과 분설하였는데, 이는 수당대로 이어졌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East Asian ancient capital’s ceremonial places, among them especially royal ancestral shrine(abbreviated RAS), state’s land and cereal deities alter(abbreviated SLCDA), and suburb alters. RAS, called Zong Miao(宗廟) in chinese, had established by Xia(夏) dynasty, when Zong(宗) erected on tomb and nearby Miao(廟) shrine firstly were combined. By Zhou li(周禮) the king should build 7 generation ancestral shrine while lords build 5 generation shrine. Though in fact not coincided ever with Zhou li codes. The crucial developments was came true in Eastern Han(東漢) period when royal ancestral shrines had organized only for 7 forebears ; state founder, two great contributors and four direct lineal ascendants of the king, henceforward to the last premodern state Qing(淸). SLCDA assumed to originated from middle neolithic which have come into full fledged agricultural society. Until Han(漢) land deity alter and cereal deity alter have not yet divided, as an earthen square platform with central stone pillar. Thereafter land alter, called She Tan(社壇) in chinese, and Zhi Tan(稷壇) were separated each one. Each number of land deity and cereal deity was irregular through times, but to the Tang(唐) dynasty east one land deity alter and west one cereal deity alter regime established, hence no more changed. The spacial positioning of RSA and SLCDA have important meaning in East Asian ancient capital planning, therefore the famous Zhou(周) state’s normative bible ie. Zhou li describe that on the base of palace left(or east) RAS right(or west) SLCDA. But the archaelogical data discovered so far dose not support Zhou li norm, practically East Han was the first case coinciding to left RAS right SLCDA plan, hereafter unchanged. Capital suburb ceremonial places have important political meaning in ancient China and its neighbor. The origin of suburb ceremonial alter is supposed to be back to the prehistorical around settlement ceremony tradition. State capital suburb ceremony regime’s establishment can be seen in early Han period, when until then dispersed ceremonial places firstly was concentrated on capital city wall vicinity.

      • KCI등재

        백제 사비기 원락 건물의 유형과 성격 - 부여 청산지구 원락 유적의 성격 규명에 즉하여 -

        박순발 ( Park Soon-barl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원락이란 건물지 주변을 담장이나 울타리로 두른 공간을 의미한다. 원락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시점은 대체로 국가 성립이후인 삼국시대부터이다. 백제에서는 한성시기에 圍溝 형태의 원락이 등장하며, 웅진·사비시기에 들어오면서 佛寺·王宮·官府 등 주로 기와를 사용하는 건물의 원락이 증가하였다. 사비시기 원락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건물지의 규모는 대략 3~4단계의 구분이 가능하다. 최하층민 주거용으로 추정되는 것은 한 변 길이 3~4m 정도의 수혈주거지류이고, 도성 내 거주 사서인들은 한 변이 최하층 주저지의 2배가량 되고 지상화된 벽주건물지에 거주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 상위의 주거용 건물은 복수의 사서인용 주거지가 하나의 지붕 아래에 조합된 이른바 형태의 초석 와즙으로 되어 있다. 청산지구 원락은 규모나 축조기법으로 보아 귀족이나 왕실 주거용 단위 건물의 규격과 동일한 건물을 비롯한 다양한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성이 통과하는 고지에 입지하고 있는 점 등으로 보아 군사적 성격이 농후한데, 방호성이 높은 원락의 구조와 중심 건물지의 위상이나 중국제 수입품을 포함한 고급 용품의 존재, 그리고 와당으로 장식된 기와 건물인 점등으로 보면 당시 도성을 수비하는 5부 소속 병력을 통령하던 고위 將領의 관부일 가능성이 높다. Courtyard means a compound of buildings and space enclosed by outer fence, the appearance of which is after the time of state formation in ancient Korea. By the early Bakche period, often called ‘Hanseung(漢城)’ era, had formed it with ditch around. In the later Bakche period called ‘Ungjin(熊津) & Sabi(泗沘)’ period typical courtyard with fence made an entrance. Such courtyard is assumed to belong to official or ceremonial function building complex as palace, buddist temple and governmental office. One of the most feature of these building is also use of roof tile. From the view of unit building module’ size Later Bakche’s courtyard is to classified some grade, which of each user is supposed to from lower people to gradually ascending upper class. And the size of building approximately enlarged double with the ascent of each grade. Above mentioned facts cast light upon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Cheongsan’ district courtyard. This article arrives at conclusion that it was a military headquarters of defending capital city of ‘Sabi’.

      • KCI등재

        백제의 해상 교통과 기항지 -대(對) 중국항로(中國航路)를 중심으로-

        박순발 ( Soon Barl Park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6

        본고는 백제의 대 중국 교섭과 관련한 해상 교통로의 문제와 관련하여 항로상의 주요 중간 기항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당시의 선박의 형태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백제의 대 중국 해상 교통로는 북로북선과 북로남선으로 구분되는데, 그 가운데 북로북선은 한반도 서해 연안-압록강 하구-요동(遼東)반도 연해-요동반도 남단-묘도(廟島)열도-산동(山東)반도 서단-교동(膠東)반도 연해-교동반도 동단에 이르는 항로이며, 북로남선은 한반도 서해안 중부지역에서 서해를 직선으로 횡단하여 교동반도 동단의 성산(成山)에 이르는 항로를 말한다. 북로북선은 선사시대 이래 지속적으로 이용되었으나 북로남선은 요동지역이 고구려에 의해 영유된 400년을 전후한 시점 이후 백제가 불가피하게 선택한 항로이다. 산동반도에서 장강(長江)하구로 이어지는 항로는 동오(東吳)와 요동의 공손씨(公孫氏) 정권 사이의 교섭으로 본격화되었다. 기항지는 선박의 규모 및 항해기술의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백제 당시의 선박 건조 기술로 보면 적어도 5일 이상 기항지 없이 항해하기는 어렵다. 후대의 조운(漕運) 등 연안항로상의 기항지로 미루어 금강(錦江)하구에서 서해 중부지역에 이르는 구간에 분포하는 도서(島嶼)에는 백제 당시의 기항지가 분포할 것으로 추정된다. 압록강 하구 신도(薪島), 요동 황골도(黃골島), 석성도(石城島), 장산도(長山島), 평도(平島), 황성도(皇城島), 산동반도 등주(登州)·액현(掖縣)·황현(黃縣), 성산(成山), 불기(不其), 구산(구山)·욱주(郁洲), 장강(長江)하구 등은 역대로 기항지로 이용되었던 곳이다. 기항지에서는 선상 생활에 필수적인 식수, 식량, 연료 등을 공급받거나 대풍(待風), 휴식 등을 취하여야 하므로 그러한 것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 및 종사자 집단의 존재가 상정된다. 당시의 선박 규모는 항해시 구조적 안정성을 감안할 때 길이 25~28m, 흘수선 선폭 3m, 총 배수량은 40~50톤 정도를 넘기 어려우므로 서해 횡단이 필요한 북로남선 이용 시에는 2척을 횡량(橫梁)으로 연결한 방선(方船) 혹은 방(舫)이 활용되었다. 중국 한대(漢代)에 등장한 이 기술은 백제에도 알려져 늦어도 5세기 중엽경에는 이미 “장치선방(裝置船舫)” 기술을 활용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some problems related with Baekje, of which constituted Korean ancient Three kingdoms with Koguryu and Shilla state, to mainland China via sea road interaction, especially on the route and the location of port of call. Baekje, located in Korean peninsular south west region, has two sea route to mainland China, one called North line northern route which is along Korean peninsular western coast go north, at the mouth of Apnok river, turn to go west along side Liaodong peninsular to southmost of Liaodong peninsular, go south to Shandong peninsular west. The other is named North line southern route which from Korean peninsular midwestern coat directly cross sea to Shandong peninsular eastmost. The former route had been used since prehistoric time around third century BC, but the latter route assumed to firstly be chosen into fifth century AD, when Koguryo antagonistic to Baekje had seized all of Liaodong peninsular, consequentially North line northern route was unavailable for Baekje, and she went through with seeking cross ocean route ie. North line southern route. Generally speaking, the placing of port of call is intimately related with navigation technology, at which Baekje ship building technolongy and the size of shipping is assumed to be not yet stand with any sailing without at least one catering every 5 days. Under theses condition is it possible that numerous islands of near Korean peninsular west coast is nominated as candidate for Baekje’s port of call, among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used in the traditional domestic cargo system. On the ship size and structure is it supposed that maximum length 25~28m, width of draft line 3m and displacement capacity 40~40ton at a given structural stability. But this size is not enough for the North line southern route’s requisition that ship should be larger without catering on the way. At that time had already China invented ship building technique called rectangular ship or “Fang(舫)”, which combined two ship by lateral posts, covered with panel upon it and rebuilt to wider deck ship. Historical record attests Baekje also adopted the “Fang” ship combination technique and helped Japanese delegacy crossing North line southern route to China.

      • KCI등재

        백제 국가성립에 대한 이해

        박순발(Soon Bal Park) 한국고대학회 1999 先史와 古代 Vol.12 No.-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recent studies of the state formation of Paekche is an extensive use of archaeological data. However, the lack of thorough evaluation of archaeological data and relatively subjectiv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for the presentation of one` own specific arguments call for cautious approaches to such studies. This paper deals with archaeological data during the time of state formation of Paekche, and, with juxtaposi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tries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s in many related issue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jo and his followers, who are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as having been responsible for the founding of Paekche Kingdom, were immigrants from Puyo in northeast China. They settled in the Han River valley at the borders between Mahan and Ye population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B.C., as described in the Annals of Paekche in Samguk Sagi(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bout 250 years later in the mid-third century A.D. their forces increased so as to play the leading role in the state formation of Paekche at the level of a confederated kingdom. During the time of state formation, Paekche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Western Jin Dynasty of China through the Command Headquarters Against Eastern Barbarians. In this process black-burnished neck jars, which were typically prestige goods, appeared as one of the core pottery types of Hansong Paekche.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at the Sokch`on-dong, Seoul, which are often cited as an evidence for the Koguryo-origin of people who established Paekche Kingdom, cannot be dated to before the mid-fourth century A.D., and thus are not related to Paekche in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These tomb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peer-polity interaction between Koguryo and Paekche at its height of development at the time.

      • KCI등재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朴淳發(Park Soon-bal)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백제의 국가 성립 이후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진행되었을 지방편제 과정을 고고학자료를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검토 대상 고고학자료는 원삼국시대 이후 한성기 백제에 걸치는 각지의 분묘군과 그 부장품 가운데 하나인 중국제 도자기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 양상이다. 원삼국시대~한성기 백제의 지방 묘제는 대체로 단독장 주구토광묘→집단장 주구토광묘→토광묘→수혈식석곽묘→횡혈식석실묘의 순으로 변천하며, 지속기간으로 보면 Ⅰ군(원삼국단계만 존속), Ⅱ군(원삼국~5세기 전반), Ⅲ군(원삼국~한성기 백제 전기간), Ⅳ군(4·5세기~한성기 백제 전기간) 등 4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백제는 3세기 중·후엽경 반경 30㎞ 정도의 범위를 통합한 연맹왕국으로 성립된 이후 유력 小國들을 제압하는 동시에 협조적인 소국의 중심지나 종래 유력 소국에 인접한 새로운 중심지 등을 육성하여 지방 지배의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그러한 모습은 각지 분묘군의 묘제변천 및 지속성에 반영되어 있는데, Ⅰ군 분묘군은 백제가 연맹왕국으로 성립될 무렵 소멸된 유력 소국의 중심 읍락과 관련되며, Ⅱ군은 백제의 중앙에 인접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과, Ⅲ군은 백제에 협조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 그리고 Ⅳ군은 소멸된 유력 소국에 인접한 것으로서 백제 중앙 세력에 의해 새롭게 육성된 지배 거점의 분묘군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방 지배 과정에서 경제적 수취 관계를 반영하고 있는 자료가 중국 도자기의 분포이다. 중국 도자기는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賜與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대중국교섭에 方物의 進貢 등을 통해 실제로 참여한 지역에 대한 백제 내적인 廻賜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서 이를 통해 지역 통합과 지방으로의 편제를 도모하였던 중요한 정치경제 수단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territory expansion to the periphery and thereby localization of the Early stage Baekche named Hansung period. The local cemetery's transformation, of which appears, continues and disappears, is the main data. Firstly, the change of burial structure is summarized as following. Single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Coalesced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Stone lined outer coffin grave → Stone chamber grave. While the pattern of cemetery continuation is to be classified 4 type. Ⅰ type lasts during Proto Three kingdom period until ca. 250 A.D. Ⅱ type lasts to the 1st half of 5th century A.D. Ⅲ type endures from Proto Three kingdom period to 2nd half of 5th century A.D. And IV type spans from 4th or 5th century to nd half of 5th century A.D. Each type has implication on the process of localization of periphery by Baehche central. Ⅰ type is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main town defeated rival polity. Ⅱ type is related with some nearest neighbor polity's town of emerging Baekche state. Ⅲ type is understood as farther hence cooperative polity's town. Ⅳ type cemetery was to newly emerged local power supported by Baekche center. Finally, it deserves emphasize that Ⅲ and Ⅳ type cemetery often accompanied with imported Chinese porcelains, which is not so much a free gift to local elite as benefit in return of local's economical offering to Baekche government.

      • KCI등재

        漢城百濟 考古學의 硏究 現況 點檢

        朴淳發(Park Soon-bal) 중부고고학회 2004 고고학 Vol.3 No.1

        1980년대 후반이후 몽촌토성 및 석촌동 고분군 등 서울지역의 백제유적조사를 통해 고고학자료가 축적되면서 한장유역의 원삼국시대 및 한성기 백제의 고고학적 편년의 대강이 확립되었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이후 풍납토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서 한강유역에서의 성곽의 출현 시기를 둘러싸고 논란이 있어 왔다. 그 가운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자들 주장은 풍납토성의 축조를 기원전 1세기대에서 기원후 2세기대에 걸쳐 초축되었고, 늦어도 기원후 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 백제고고학의 편년관과는 양립될 수 없는 것으로서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강유역에서 최근까지 알려진 원삼국시대 및 백제시대의 고고학자료를 종합 검토한 결과 풍납토성등 한강유역에서 성곽의 출현은 3세기 4/4분기경이며, 따라서 백제토가 역시 그 무렵을 전후한 3세기 중후반(3세기 3/4분기)경임을 재확인하였다. The rough chronology before and after the state establishment of Baekje had been ordered by mid 1990’s. The back bone of this chronology is summed up that Baekje as a full feathered state took shape at c.a. mid/late 3rd century A.D. After then were added a number of new material from Pungnab earthen wall considered a candidate of early Baekje capital in late 1990’s. On the same time, a challenge to the existing chronology, of which the main is that Baekje’s state establishment timing should be more retrospective, was opposed by some excavator who members of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y. The evidence which supports their assertion is the alleged date of the building of Pungnab earthen wall, which is viewed as sometime from 1st century B.C. till 2nd century A.D. by them. But the result of the detailed review on the all chronological material known untill now is against to the retrospectivist’s view. The conclusion reaffirms that Baekje as a state appeared at the late half of 3rd century(275~300 in detail)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