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생태 글쓰기와 그 양상 -생태 글쓰기에 대한 시론(試論)-

        박수밀 ( Park Su-mi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생태 글쓰기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일련의 작업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박지원의 글에서 생태 글쓰기의 가능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연 사물의 원리와 생태를 인간과 사회로 연결시키는 연암의 생태 글쓰기 양상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연암은 사물의 타자성과 상대성을 자각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배타적 우월의식에서 벗어나 나 중심, 인간 중심주의를 반성하고자 했다. 둘째로, 연암은 자연 사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관찰하여 인간 사회의 모순과 고정관념을 비판하였다. 셋째, 연암은 사물 간의 미묘한 사이에 주목하고, 주변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끌어올렸다. 중간을 강조하는 연암의 생각은 주류 이데올로기에 의해 배척받는 가치를 중심과 동등하게 놓으려는 전략이었다. 네 번째는 형식적 측면에 주목했다. 연암은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함으로써 평범한 자연 현상을 기이한 모습으로 표현했다. 또한 비유나 묘사를 활용하여 자연 사물의 이미지를 생생하게 재현, 작가의 마음을 대신하였다. 이러한 글쓰기는 상투적이지 않는 표현을 펼치게 하고, 인간의 심미의식을 고양시켜주었다. 생태 글쓰기로 살펴본 연암의 생각은 상생과 공존의 생태 미학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생태 글쓰기는 오늘날 작문 교육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더욱 관심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the ecology writing in Park, Ji-Won’s writing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oretically,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The aspects of Yeon-Am’s ecology writing, which makes the principle and ecology of nature things connect to human and society, are divided into four points. Firstly, Yeon-Am reflected the self-centre and human-centre to avoid the exclusive chauvinism to the others, by recognizing the otherness and relativism of nature things. Secondly, he criticized the inconsistency and stereotype of human society in and by looking into the variety and complexity of nature things. Thirdly, he focused on the delicate gaps among nature things, raised the peripheral value up to the center. He had the strategic to equalize the marginal value excluded by the main ideology to the center, stressing the middle. Fourthly, it stresses the formal aspect. Yeon-Am expressed the mysterious aspects of typical nature phenomenon, by looking into the nature and communicating with it. He revealed his mind, revealing vividly the images of nature things by using the metaphor and description. This writing led the untypical expression and boosted human consciousness of aesthetics. Yeon-Am’s philosophy, in terms of his ecology writing, can be summarized as ecology aesthetics of win-win and coexistence. The ecological writing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today’s writing education, so it would be good to be more deeply concerned and studied.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장소의 발견

        박수밀 ( Park Su-mil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 Vol.0 No.49

        This thesis is to research for the meaning of space and location in classical literature, in terms of the theory of space and location in anthropogeography. Especially, it reveals, through Yeon Am, Park, Ji Won`s location experience, how space is to be localized by one man`s experience and what really means the location experience. Yeon Am looked at China with a point of view of an watcher.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focuses on three main spaces of representing his location experience, among spaces of diplomatic journey. The first space is Hwang Keum Dae. Hwang Keum Dae was a historical and ritual space of adoration by the nobles of Chosun Dynasty. However, for Yeon Am, it was just a location of criticizing the old dogmatism of Confucians of Chosun. He claimed and criticized the emptiness of Confucians that Hwang Keum Dae was just a ruined soil dummy, and the gold (Hwang Keum) sought by the nobles of Chosun was a symbol of revenge. The second is Liulichang of Peking. It was a space like market full of materialism and desire. Liulichang was considered as a Persian market for the travelers of Chosun. They were emotionally fascinated by the superficial aspects of Liulichang and intentionally turned away from it. However, Yeon Am felt lonely in the middle of Liulichang. His lonliness is a urban sensibility, a solitude among thong, an anonymity. The third is Ko Buk Ku, an unprecedented space. Ko Buk Ku was a place of revealing Yeon Am`s affection to the location. Ko Buk Ku, a physical space, became a personal location for Yeon Am, by making the marks on the wall of the castle. Only by Yeon Am, Ko Buk Ku became known to the people of Chosun, a meaningful `location` from the simple physical space.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reveals the meaning of location experience of Yeon Am. By his case, this study considers location experience in literature and the real meaning of location experience. Yeon Am`s spatial imagination and location experience is a kind of `rhizome`, freely spreading out unto each space of experience.

      • 성대골 지역 커뮤니티 센터 계획안

        박수인(Park, Su-In),박수인(Park, Su-In)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6 No.2

        As the community grows and changes is different from the past and is becoming our residential function and meaning it is gradually reduced. Depending on the housing collapsed around us are weak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s disconnected. Vocal goal is the area happening to the local community as actively selected as the Energy Independence Village. However , it has a problem of the lack of direct space the community can take place. It is therefore intended to limit the community centers for the realization of a continuous space region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21세기 문명과 박지원의 생태 정신

        박수밀 ( Su Mil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7 No.-

        현실주의와 관련을 맺는, 문명과 관련을 맺는 고전의 생태주의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조선후기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생태 정신에 주목하였다. 박지원의 생태 정신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활물의 생태학이다. 연암은 인간과 자연이 서로 교감하는 존재라 생각했다. 자연은 스스로 태어나 성장하고 변화해가는, 살아 숨쉬는 생명체였다. 사물의 소리와 움직임은 그 자체로 문학이고 예술이었다. 연암은 생동하는 자연의 움직임을 인간 활동과 동일시했다. 이는 그의 생태 시학이 현실과 문명의 기반 위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사이의 생태학이다. 박지원은 이분법적 태도를 거부하고 이쪽과 저쪽의 사이를 세심하게 보자고 주장했다. `사이`는 가치의 위계화가 무너지고 모든 존재가 동일하게 서는 곳이다. 연암은 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주변을 중심과 동등한 자리에 놓고자 하였다. 셋째, 명심의 생태학이다. 명심은 현실 대응 태도를 나타내는 실천적 개념이다. 명심의 현실적 의미는 첫째, 편견에 갇히지 않고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다. 둘째 명심은 자기를 부정하는 것이다. 셋째, 명심은 나를 비움으로써 모든 허위로부터 벗어난다. 박지원의 생태학은 관념에 머물지 않고 실천으로 나아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The ecological thought is essential, having relationship with realism and civilization. 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cological thought of Yeon-Am, Park, Ji-won, a scholar of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His ecological thought is examined closely in thre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e ecology of a living creature. Yeon-Am thought that human and nature have a mutual close sympathy. Nature is a breathing, living creature, being born, growing up and is changing. The sound and move of all things itself is a literature and an art. Yeon-Am considered the active move of nature as an action of human being. It means that his ecological thought is based on the reality and the civilization. The second is the ecology of `middle`. Park, Ji-won refused the attitude of dichotomy, claiming to look into carefully the middle of between this point and that point. This interval, a middle, is the standing point of all being together and the very point of destroying the grade of raking the value. He tried to place a center into the same space as a perimeter, dissecting the centrism. The third is the ecology of `Myoung-Sim`. Myoung-Sim is a practical concept of revealing the attitude of confronting the reality. Its practical meaning is firstly to watch the world objectively without any prejudice, secondly to deny oneself, thirdly to make oneself empty and to free oneself from the false. The ecological though of Park, Ji-won has important meaning in reaching the practical, not staying only in a concept.

      • KCI등재

        기획2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연암 박지원의 생태(生態) 미의식(美意識)

        박수밀 ( Su Mil Park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본고는 연암이 자연 사물을 어떤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는지를 들여다보아 그의 자연 심미 태도가 문학 세계와 인간관, 세계관과 어떻게 관련 맺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자연 사물에 대한 연암의 심미 태도를 셋으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연암은 매미소리가 시 읊는 소리라고 생각했다. 연암은 사물과 인간은 현상적으로는 서로 구분되지만 근원적으로는 하나라고 생각했다. 연암은 자연 사물의 생태 활동과 인간 활동이 동일하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그는 자연 사물의 생태를 토대로 지식인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했다. 연암은 자연 생태의 원리를 통해 타락한 인간 사회의 도덕을 다시 회복시키고자 하는 염원을 품고 있었다. 둘째, 연암은 천하에는 버릴 물건이 하나도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연암에게 모든 존재는 미적 가치의 대상이었다. 이 생각은 쓸모없는 것의 가치를 끌어올린다. 그리하여 전통적으로 醜의 영역에 속한 것을 美의 영역에 끌어들이고 미의 영역에 속한 것을 추의 영역으로 끌어내린다. 셋째, 연암은 色에는 빛[光]이 있다고 생각했다. 연암은 하나의 色, 획일적인 형상[形]으로 가두는 그 시대 세계관이 고정관념을 만들고 다양한 색을 배제시키는 것을 염려하였다. 연암은 하나의 잣대로 타자를 공격하거나 배척해서는 안 되며 기준을 고정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연암의 생태 미의식이 갖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았다. 첫째, 연암은 버림받은 존재들도 모두 소중한 개체이며, 다양한 삶의 양식 가운데 하나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둘째, 연암이 말한 利用厚生은 인간우월주의, 문명의 이기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었다. 자연 사물의 본성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쓸모 있게 잘 활용하려는 것이었다. 연암은 자연을 파괴하거나 지나친 욕망을 추구하는 행위를 분명히 반대했다. 셋째, 연암의 생태 미의식은 관계의 중요성을 환기시킨다. 사물간의 복잡성, 다양성에 주목한 연암의 생태 미의식은 그의 문학과 예술, 삶과 현실에 깊숙이 녹아 있었다. This study is to reveal how Park Ji-Won`s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nature is connected with his points of view about literature, human being and the world, by studying his attitude and mind to approach the natural things. It divides three main points about his aesthetic attitudes toward the natural things. Firstly, Yeon-Am considers the sound of cicadas as reciting a poem. He thought that the things and human being are divided separately in terms of phenomenon, but fundamentally they are the same one. He thought that the ecological activity of the natural things and human activity are the same one. On the basis of this ecology of the natural things, h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and irrationality of the intellectual society. He dreamed of recovering the morality corrupted in human society through the principles of natural ecology. Secondly,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be thrown away in the world. For him every existence is the object of aesthetic value. This makes the value of all useless things raised up. So the things of low class considered as ugliness traditionally are raised up to the class of beauty, the beauty down to the ugliness. Thirdly, Yeon-Am thought that there is light in the color. He worried the world point of view and tendency of those times to make the stereotype with one color, uniform shape, to exclude the variety of colors. He thought that it is bad to attack and exclude the others with one criteria. The meaning of 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is to be followed by next three points. First, for Yeon-Am, all the things abandoned are valuable units, one of various shapes of life. Second, Lee-Yeong-Hoo-Saeng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s not based on human chauvinism or selfishness of civilization. It aimed at using the nature of the things well and availably, giving the respect to it. Yeon-Am strongly opposed the activity of pursuing the extreme human desire or destroying the nature. Third, 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reminds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His aesthetic consciousness of ecology focusing on the complicate relationship and variety among the things is deeply realized in his literature, arts, life and re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세기 양응수의 독서법에 나타난 독서 양상과 그 의미

        박수밀 ( Park Su-mil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2 No.-

        본 논문은 18세기 학자 백수(白水) 양응수(楊應秀)의 독서법을 살펴 그 성격과 내용을 규명하고, 나아가 조선조 독서론과 대비하여 그 의미를 조명한 후 고전 독서론의 현재적 의의를 점검한 것이다. 백수의 독서법을 살핀 결과 그는 성리학 전통의 독서론을 계승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열린 독서 태도를 수용했다. 읽어서는 안 될 책이란 없다고 하였으며 경전의 풀이가 다르더라도 해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수용했다. 또 무조건 본문에 빠져들기보다는 종이밖에서 스스로 궁구하는 독서 태도를 강조하였다. 상황성과 때를 중시하는 권(權)과 중(中)을 이야기한 것도 고착화된 이전의 독서 습관과는 다른 유연한 태도였다. 18세기의 새로운 독서 환경은 성리학자들에게 열린 시각에서 독서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기존의 전통과 새로운 독서 환경이 충돌하자 백수는 적잖은 고민을 했을 것이며, 좀더 열린 입장을 보여주는 주자의 독서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따라서 성리학 계열의 책만을 강조하는 조선중기 도학자들의 가르침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제자백가서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주자 독서론을 수용하였다. 기존의 성리학자들이 주자의 해석 자체를 절대시했다면 18세기 백수는 주자의 본질을 찾아 상대적으로 주체적인 독서 태도를 보여주었다. 백수의 독서법은 18세기 학자들이 기존의 독서전통을 잘 계승하면서도 열린 관점에서 독서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백수의 독서법을 비롯, 고전 독서론에는 오늘날에도 유효한 이론과 방법들이 많다. 고전 독서론을 체계화하여 현대의 독서론에 접맥시키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one and the contents with inspecting closely the reading method of Baeksu Yang eung-su, the 18th`s scholar. Further this checked the current meaning of classic reading theory with contrasting Chosun`s reading theory. After examining Baesu`s reading method, he succeeded the reading theory of Sung Confucianism and received open reading attitude relatively. He told that there was no book which could not read and it was not good to be differen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books. And he emphasized the self-regulating reading method that studied out of paper than concentrating text without reserve. He had flexible attitude that was different from former reading habit. He said Kwon and Jung that was important on the condition and time. 18th`s new reading conditions needed to read with open minded to Sung Confucianist. At the confusion of old tradition and new reading condition, Baesu worried and needed to receive Juja`s open reading method positively. So He received Juja`s reading theory that enlarge boundary to all classes of philosophers` books than the teaching of Chosun`s moralist that emphasized Sung Confucianism`s book only. The former Sung Confucianist regarded Juja`s interpretation as an absolute theory, but 18th`s Baeksu seeked Juja`s essence and had independent reading attitudes comparatively. Baeksu`s reading method showed that 18th`s scholars succeeded former reading tradition and received reading culture opely. There are many effective theories and methods now in old reading theory including Baesu`s. We have to systematize old reading theory and connect with the present reading theory constantly.

      • KCI등재

        박지원(朴趾源) 문학에 나타난 창조적 사유와 그 의미

        박수밀(Park, Su-mi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연암 박지원의 새로운 사유를 탐구해 가기 위한 일환으로 기획된 것이다. 연암의 창조적 사고와 글쓰기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를 살피고, 그의 새로운사유 몇 가지를 이야기했다. 먼저, 연암은 기존의 지식과 문자가 진실을 담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문자가 실제를 은폐한다고 비판했다. 연암은 문학은 과거의 윤리와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변화하는 자연 사물과 현실을 드러내야한다고 생각했다. 사물과 현실은 본체의 그림자가 아니라, 진실을 드러내는 최고의 문장이었다. 연암의 새로운 인식 중에서 주변의 중심화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연암은 중심적인 자리에서 벗어나 보이지 않는 곳, 소외된 사이를 꼼꼼히 살폈다. 연암은 표면적으로는 양쪽을 두루 보자고 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곳, 사회가 옳다고 여기는 것의 반대쪽을 제대로 보자고 하였다. 연암은 주변을 중심화 함으로써 중심에 소외되어 있던 가치와 존재의 편에 서고자 했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중심과 주변, 귀한 것과 천한 것이 서로 어울려 살아가기를 소망했다. 두 번째로 연암의 색(色)과 빛[光]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소경 비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능양시집서(菱洋詩集序)>에서 까마귀 날개 비유는 단순히 감각기관의 한계에 대한 문제 제기를 넘어 현대의 인상파 이론과도 통했다. 이 글은 연암의 창조 적 사유가 뻗어나간 높이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연암은 세상은 혼돈되고 뒤죽박죽이므로 피상적인 눈으로는 진실을 볼 수 없다고 생각했다. 연암은 보는 자가 스스로 속는 것이므로, 제대로 보는 눈을 지녀야 한다고 했다. 연암의 사유는 중세의 질서를 넘어 오늘날에도 새로운 문제의식을 던져 준다는 점에서 현재성을 지닌다. 연암은 진실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 고민했던 경계인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new thinking of Yeon Am, Park Jiwon. It proves the sources of his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and tells the several aspects connected with his new thinking. Firstly, Yeon Am thought that existing knowledge and letters did not contain the truth and criticized that the letters hided the reality. He insisted that literature is not just a tool to deliver past ethics and existing knowledge, but it should reveal the changeable things and reality. Things and reality are not just shadow of main body, but the best writings to show the truth. In his creative thinking, the centralization of surroundings is distinguished. Yeon Am left the center place and investigated into the invisible spaces and isolated conners. Superficially he seemed to insist looking into the both sides, in reality he urged to watch the invisible spaces, the place opposite to the common place agreed in a society. He provided surroundings toward the centeral place, sided for the value and existence isolated from the center. Finally, he wished that center and surrounding, valuable and humble things, all would have lived in a harmony. Secondly, this study explores his new understanding of light and color with his comparison of the blind. In his “NeungYangShiJeapSeo” the comparison of raven wings is not just problematic suggestion for the limitation of human sensory organ, but closely related with the theory of modern impressionist. This writing proves the high level of his creative thinking. He thought that the world is full of disorders and confusion, so nobody can see the world with superficial eyes. In his thinking, viewer deludes himself, so he should keep correct eyes to see the truth. His creative thinking overcame the paradigm and order of Middle Age and still today offers the present aspects and meaning with new critical mind. Yeon Am is to be considered as the marginal man who tried to create the true world.

      • KCI등재

        일반논문 :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글쓰기의 기본 방침

        박수밀 ( Su Mil Par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본 논문은 박지원의 글쓰기와 관련한 자료들을 한자리에 모은 후, 그가 어떤 태도와 정신으로 글쓰기에 임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이 전통적인 글쓰기와 차별되는 지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첫째는 진심의 글쓰기이다. 사의(寫意)와 진(眞)을 통해 이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사의(寫意)란 대상의 자연스런 모습을 진솔하게 표출하는 것이다. 또한 글쓰기에서의 진(眞)은 공안파(公安派)에서 말하는 진심(眞心)을 의미했다. 진심으로 쓴다는 것은 나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것이다. 연암은 비속어나 일상의 말도 내 진심을 드러낼 수 있다면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둘째는 아프고 가렵게 하기이다. 연암은 글은 사람을 아프게 하고, 가렵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프게 하는 글이란 인간과 사회의 비정상적인 부분을 건드리고 찔러 마음을 쓰리게 하고 아프게 하는 글이다. 연암의 사회와 인간에 대한 풍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자신이 속한 집단을 찌르는 일이기에 더더욱 아팠다. 가렵게 하는 글이란 무언가 근질거려 가만히 있지 못하게 하는 글, 자꾸 신경이 쓰이고 마음이 쓰이게 하는 글을 말한다. 연암은 주로 풍자와 골계의 방식을 이용해 이러한 글쓰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흠과 결점을 보여주기이다. 연암은 진부하지 않고 기운 생동하는 묘사를 하려면 둥근 데는 모나게 그리고 긴 것은 짧게 그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는 대상을 상투적으로 묘사하거나 관습적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흠과 결점을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흠과 결점이란 세상이 요구하는 가치와는 다른 그 사람만의 개성과 삶의 태도를 말한다. 연암은 인물들의 흠과 결점을 적극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역설적으로 더 생동감 있고 진실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연암의 글쓰기 방침은 단순한 베끼기에서 벗어나 나의 생각, 진실한 인간에 대해 들려주고자하는 의식에서 나온 것이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ttitude and spirit of Park, Ji-Won`s writing, gathering the data concerning his writing. It reveals the background of his unique writi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riting. There are several principles of his efforts to avoid well-worn way of writing. Firstly, his wholehearted writing. It`s approach is in terms of ``Sa-Eui`` and ``Jin``. ``Sa-Eui`` means presenting things as they are in real, naturally. When things are presented, in writing them in an elegance and decency in order to make them more wonderful seemingly, writing may be easily over the reality. And ``Jin`` in writing is equal to ``true heart`` mentioned among Gong-An Party. Writing with true heart is to reveal one`s thought naturally. Yeon-Am thought that even daily typical words and slang have meaning in case when they can reveal true heart. Secondly, giving pains and making an itch. Yeon-Am considered that writing should give pains and make people itchy. The writing of giving pains means that it should touch the abnormal parts in human and society, piercing people`s heart and giving pains and bitterness. Yeon-Am`s satire about society and human is painful, for it is to pierce the community and party to which he himself belonged. The writing of making an itch is that of causing an itch and making some movement, making poeple nervous and raising the attention of heart. Yeon-Am usually has practiced his writing by using satire and humor for this purpose. Thirdly, showing flaw and week point. Yeon-Am thought that ``round`` should be angulated, ``long`` should be shorted in order to make vivid description, not being stereotyped. This means not to describe things in a cut-and-dried manner and not to recite them habitually, but just to show flaw and week point as they are. Flaw and week point is personality and the attitude of one`s own unique life different from the value requested from the world. Yeon-Am tried to show the true status of human in a vivid way, paradoxically revealing the flaw and week points of figures. The principle of Yeon-Am`s writing comes out from his sense of telling about true human and his own thought, overcoming the simple making a copy.

      • KCI등재

        박지원 이용후생론(利用厚生論)의 미적 기반

        박수밀 ( Su Mil Park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본고는 이용후생의 현재적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한 것이다. 연암 이용후생론의 바탕이 되는 미적 기반을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연암의 이용후생에는 자연 사물의 본성을 존중하고자 하는 의식이 나타났다. 「洪範羽翼序」를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암은 자연 사물은 인간과 만물을 위해 쓸모 있게 활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五行을 이용할 때는 사물의 성질을 해치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했다. 馬制에서도 이와 같은 생각을 확인하였다. 둘째, 無用之用의 심미 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똥거름과 기와조각은 이용후생의 주장 가운데 연암에게만 나타나는 사물이다. 연암은 전 생애에 걸쳐 천하에는 버릴 물건이 하나도 없다는 심미의식을 갖고 있었으며 쓸모없는 사물을 잘 활용해 쓸모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목민관 시절 관아를 조성할 때도 쓸모없게 된 공간을 활용해 유용하게 만들었다. 이용후생의 상징을 똥과 기와조각으로 내세운 데에는 쓸모없는 것의 가치를 재인식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연암은 어떤 사물이든 알맞은 자리에 있으면 쓸모 있는 존재가 된다고 생각했다. 셋째, 遵守通變의 정신에 대해 살펴보았다. 준수통변의 정신이란 한 편의 입장에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양쪽을 고려하는 균형 감각을 말한다. 연암은 이용후생을 할 때 실용성과 형식미, 기술과 意境, 개발과 보존의 조화를 추구했다. 효율성과 경제적 가치만을 내세우지 않고 실질이 있되 형식미를 갖춘 이용후생을 추구했다. 요컨대 연암의 利用에는 편리성과 효율성 외에 사물의 성질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려는 생각이 담겨 있었다. 厚生에는 기술과 의경, 실용성과 미의식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심미의식을 고양시켜주려는 의미도 담겨 있었다. 이와 같은 연암의 이용후생은 미적으로 보자면 매우 생태적이었다. 이용후생의 생태적 지향을 더 풍부하게 밝혀 오늘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좋은 시사점을 주어야 하리라 본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urrent meaning of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t divides three aesthetic foundations of Yean-Am`s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heory. Firstly, it reveals the sense of respecting nature of the things in his theory. ``Hong-Beum-Ui-Ieek-Seo`` proves it. Yeon-Am thought that nature things have to be utilized usefully for human being and all the things of the world. On the use of the Five Elements, there should not be any damage of nature of the things, giving human being full use. "Ma-Je" proves it. Secondly, it finds aesthetic attitude of Useless things are useful. Such a thing like dung-manure and piece of roofing tile appear only in Yeon-Am`s theory of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Yeon-Am through all his life had the deep aesthetic sense that there is nothing in the world to be thrown away useless, rather they should make full use of useless things correctly. When he was a governor, he made full use of the useless places in building and decorating the governmental office. He had intention to remind of the value of useless things, when he used dung-manure and piece of roofing tile as symbol of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He thought that if any things in the world sit in their right position, they become useful things. Thirdly, it reveals the spirit of Jun-Su-Tong-Byun. Jun-Su-Tong-Byun means the balance of considering both sides, not being one-sided. When Yeon-Am mentioned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he deeply considered the harmony of practice and formality, technique and artful respec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He pursued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with formality in practice, not only claiming the economic value and use. Shortly, in Yeon-Am`s Li(use), there are convenience and use together with the philosophy and thought of helping the human life, sincerely respecting the nature of things. In his Hu-Seang (welfare), there are technique and artful respect, practice and aesthetic sense in harmony, having intention to raise the human aesthetic sense. Therefore, Yeon-Am`s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s ecologic in aesthetic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