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계맺음의 스토리텔링 : 시간과 공간 속 개인의 흔적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인의 연구는 본인의 작품 및 작품의 이론적 배경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일상생활이 관계를 만드는 공간이라는 맥락 안에서 일상성과 공간의 의미, 관계를 맺는 방식을 본인의 프로젝트에서 구체화하여 전개하였다. 일상은 무의미해 보이고 익숙하기 때문에 그 안에서 우리는 자신의 삶에 대해 자각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친숙한 일상의 재인식을 일상 공간에 대한 사유와 일상생활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은 본인이 경험한 공간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우리의 거주 공간 경험과, 일상성에 발견된 숨겨진 이야기들, 대화 공간에서 작품으로 발현된 다양한 관계의 스토리텔링 순서로 전개된다. 첫째, 공간 경험은 거주공간의 장소적 개념, 사회적 산물로의 사회적 공간, 그리고 이러한 고정된 실체에서 확장된 잠재적 공간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다양한 공간 경험에 의해 오히려 공간의 경계는 무의미해졌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이나 도시의 장소를 예로 들어 혼종적 공간에 내재된 잠재성, 유동성, 움직이고 살아있는 신체로서의 공간 개념을 설명하며 본인의 작품과의 연관성을 서술하였다. 이 작품들은 건축 공간을 개방적인 대상으로 인식하고 제3의 공간이라는 개방성을 유도하는데, 본인은 이 담론을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베르그송의 개념을 포괄하는 엘리자베스 그로스의 공간 개념을 주로 언급하였다. 그로스가 언급하는 공간은 내부와 외부도 또한 그 사이 경계의 공간도 아니다. 이것은 완벽히 개방적이지만 무한대로 확장되지 않는, 예측할 수 없는 살아있는 공간 개념이다. 본인은 이것을 유연하게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의 맥락으로까지 확장시켰다. 따라서 연구는 공간의 구조와 배치·배열이 제공하는 다양한 의미와 사건들을 관계미학으로 설명한다. 상호인간적인 관계들로 파악되는 관계의 미학은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 유연한 사유와 예술의 사회적 수용을 가능하게 해주었으며, 관계의 형성이 보여주는 과정과 사회적 문맥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주변의 이웃 공동체와 타인의 삶에 대한 본질적 탐구로 전개가 이루어진다. 둘째, 일상은 우리가 생활하고 시간을 보내는 모든 것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일상의 가치는 그 되풀이 되는 이미지에 가려져 하찮거나 사소하게 인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상은 사회와 개인의 상호 관계에 의해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본인의 작품은 일관되게 그것이 내재하는 인간관계의 믿음을 주장했다. 모든 것에서 본질은 결국 상호인간적인 소통이기 때문이다. 본인의 기존 작품들을 열거하여 이 관계맺음이 일상에서 어떻게 드러났는지 살펴보았다. 작품은 거대 담론에 묻혀버린 소소한 이야기들을 들춰냄으로써, 정체성의 발현으로 환기될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발로는 본인의 타문화와 타지 생활의 경험에서 시작이 되었고 타인의 삶에 대한 인정과 존중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가 개별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로부터 목소리는 온전히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인의 작품은 일상 안에 숨어있는 작은 이야기들에 천착하였으며 그것을 영상, 설치, 사운드, 드로잉의 형식으로 발전시켰다. 셋째, 세상과 관계를 맺는 방식은 본인의 대화 공간 프로젝트에서 구체화되었다. 프로젝트 <동네 다방과 동네 사람들 (Regular Cafe with Homemakers)>은 개인의 역사와 일상의 소소함을 미학적·사회적 실천의 문맥에서 전개하는 대화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본인이 아티스트 레지던스에 참가하며 지역주민이나 예술가들과 대화를 나눈 것이 중요한 기원이 된다. 거기에는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대화 공간을 만들고 이야기를 주고받았다는 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서로가 존중하고 타인의 삶을 경청하고 있다는 점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대화 공간은 그것의 형성 과정에 가치가 있고, 예술가로서 본인이 갖는 사회적 책임도 자각하게 한다. 전체적으로 작품은 내러티브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지역을 탐험하고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동안 그 대상-사물, 공간, 사람-과 나 사이에는 상호소통의 관계가 형성된다. 그들의 일상과 본인이 엮어내는 이야기들은 사실에 기반을 한 관찰 기록형 작업이다. 대화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무의식적인 기억, 환기, 추억, 흔적은 사물과 사람,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등에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요소가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학·연극·영화의 타 분야를 인용하여 본인의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내러티브적 속성을 강조하려고 했다. 그 결과 본인의 연구는 하나의 이야기에서 다른 이야기를 생산해내고 다양한 미학적 접근을 제공한다. 본인의 작업은 크게 몇 가지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다. 먼저 관찰의 방식을 이용한 실천적 프로젝트라는 점이다. 도시 공간을 관찰하고 낯선 타인의 삶에 능동적으로 다가갔다. 두 번째로, 작품의 대부분은 부재하는 주체에 대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거나 관객에게 무의식적인 기억의 환기를 일으킨다. 그러면서 작품이 갖는 상상의 결은 더욱 풍부해진다. 그리고 작업은 중심과 주변을 해체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이는 작업이 사회언어로서의 기능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사고의 해체를 통해 사소한 것들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방법으로 본인의 작품은 소리를 작품의 주요한 요소로 등장시키고 있다. 촉각 등 감각을 병행시켜 청각을 강조하여 관객에게 찰나적인 공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서 소음이나 잡음은 차단해야 할 대상이었다. 그러나 작품을 통해 이것들은 ‘소리를 보는 경험’이 되고 그래프로 분석되어 소리풍경 드로잉으로 표현된다. 목소리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음표로 가득한 악보로 치환되었다. 이 악보는 언어를 표상하지 않는다. 그러나 음표로 치환된 목소리는 목소리의 주체, 즉 그들 자체인 것이다. 결국 이러한 이론적·미학적 담론에서 본인의 연구가 함의하는 점은 항상 인간에 대한 이해이다. 이 연구가 사소한 것들의 가치만을 주장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이해, 인간에 대한 이해가 최우선이 된다. 일상담론에 있어서, 르페브르가 언급한 일상의 비극과 일상성은 우리가 그 한가운데서 서서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세르토와 르페브르의 말을 빌리자면 일상은 항상 그래왔고 도시 걷기처럼 일상의 표현을 통해서 그 무의미성을 극복할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익숙한 일상을 여행자처럼 낯설게 바라보고 발견하며, 매개자처럼 그것이 세상 밖으로 잘 드러나도록 했다. 본인이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했던 고민은 나의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 그리고 이 연구 과정은 결국 예술을 통해 사회적 경계를 무너뜨리고 경계 없음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예술 융합적인 태도를 견지하여 그것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성과를 가졌다는 점이다. 그 결과 작업은 관계미학이 지니는 인간상호관계의 신뢰가 바탕이 되어 사회성의 교감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이것은 하나의 사회 매체가 되어 동시대의 문맥의 여정을 함께 하는 시발점이 되었고 앞으로 일상적 실천을 지속하며 외부와의 공존 속에서 주체화를 확고히 해 나갈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the everyday in my artworks, particularly the way in which we form relationships within the spaces of our daily lives. Everyday life is so familiar and ubiquitous that it can often seem meaningless, but this dissertation seeks to elicit a new understanding of the everyday by contemplating the spaces of daily life and the stories of ordinary people. I begin by discussing the spaces of my own experiences, before moving on to the collective experiences of a living space and the hidden stories discovered within the everyday. Finally, I present how various relationships are formed through storytelling that takes place in “conversation spaces” (e.g. living rooms, cafés, etc) and how these relationships are materialized in my works. We experience a variety of spaces: living spaces, social spaces, as well as virtual spaces, which emerge from real spaces. Our various experiences in and of these different spaces render any attempt to delineate them with boundaries or definitions insignificant. Beginning with the spaces that we are most familiar with (e.g. a family house or a hometown), I examine the virtuality and fluidity that is inherent to hybrid spaces, evoking the concept of space as a living, moving body. My works consider architectural spaces to be implicitly open, and they evoke that openness as a third space. My theoretical basis primarily draws upon Elizabeth Grosz’s concept of space, which encompasses the ideas of Gilles Deleuze and Henri Bergson. According to Grosz, space is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nor in-between; instead, space is absolutely open, though it does not expand absolutely. It is also alive and impossible to predict. Building upon her ideas of space, my works highligh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conditions, thus utilizing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s to call for a more flexible social consideration and reception of art. In examining how my artwork represents our modes of co-existence, this dissertation fundamentally seeks a higher understanding of our neighboring communities and people. My works are imbued with a tacit trust in human relationships, which forms the basis for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we create within the everyday. By disclosing seemingly trivial stories that have been buried within the “grand narrative,” my works evoke the emergence of an identity, beginning from my own experiences living in foreign places, and evolving to accept and respect the lives of others. Above all, stories can only be fully shared when we accept and respect the value of the individual. Hence, I delve into small stories hidden in the everyday, and develop them into installations, videos, sounds, and drawings. My concept of how people form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is best represented by <Regular Cafe with Homemakers>, a conversation project that considers an individual’s history and daily minutiae in the context of aesthetic and social practices. This project is based on conversations I had with artists and locals while I was participating in artist residency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Even as complete strangers, we created our own “conversation spaces,” wherein we attentively listened to and respected each others’ lives. Regardless of the details, the process of forming a “conversation space” itself has great value, which made me keenly aware of my social responsibility as an artist. Overall, my works are driven by narrative, based largely on the relationships that emerge whenever I explore a new place or communicate with new people. In my experience of the everyday, stories emerge from facts and observations, and I use these stories to create artworks that often serve a documentary function. In the course of conversation, memories and traces are revealed—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which then form part of the narratives that arise between a person and an object, a space, or another person. Utilizing various references and approache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is narrative quality of my works, thereby producing another story from a story. My works are characterized by a few shared traits. First, they use observations of a space as a basis for imagining the lives and activities of the people living in those spaces. Second, they have a rich imaginary quality, in that they often focus on the narrative of an absent subject, or else they evoke the unconscious memories of the audience. Third, they seek to undermine the hierarch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n favor of more organic relationships. By questioning our assumptions, my works function as a kind of social language, allowing us to re-examine the value of supposedly “trivial” objects, experiences, and ideas. In this context, my works typically rely on sound as a crucial element. Specifically, sound is emphasized, along with tactile sensation,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fleeting multi-sensori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noise is something to be blocked out, but my works use different noises to help the audience to “see” sound. Various noises, including the human voice, are analyzed and visually expressed in graphs, drawings, or a musical score. A musical score created from a person’s voice does not represent language, but the voice itself, and thus, the person. In illuminating the value of the “everyday,” this dissertation seeks to prioritize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ultimately, the people occupying it. In terms of other discourses on the everyday, Henri Lefebvre commented that the “tragic” and the “everyday life” should be directly confronted and overcome. Both Lefebvre and Michel de Certeau claimed that the supposed “meaninglessness” of everyday life was something to be overcome through daily practices, such as walking through urban space. My works seek to de-familiarize and rediscover the everyday, evoking a traveler’s perspective, and thus exposing the everyday as a medium. Both my artworks and this dissertation emphasize the convergence of art, life, and society, with the ultimate aim of erasing the boundaries that delineate the spaces we occupy and thus conjuring a truly open space. Based on people’s trust in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my works deduce a social communion wherein art can serve as social media. My primary concern is with analyzing everyday practices and establishing a subject (often absent) to represent our co-existence in the spaces where we form relationships in our daily lives.

      • 이주민 건강보험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 다중흐름모형과 정책지지연합모형을 중심으로

        박성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ealth insurance system is one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s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that guarantees to live with human dignity which is a human right. In 1989, Korea achieved universal healthcare coverage by providing healthcare to all citizens. However, the health insurance system experienced poor financial management and social conflicts that a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association operation method. The integrated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0 through the endeavor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s one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s that represent Korea's social integration endeavor and is considered an excellent system worldwide. In 2019, it became mandatory for all migrants residing in Korea for six months or longer to jo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is policy was put in place about 30 years after the influx of immigrants into Korea.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s at a slower rate compared to the speed at which universal health coverage was achieved for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critical public opinion that the incorporation of migrants in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health insurance finances over the past 10 years. During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there was also a debate between candidates over the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It is against this background tha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study utilized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SF) an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o analyze the process of health insurance policy changes for migrants. The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that combines the two representative frameworks to explain policy change has the advantage of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each framework and thereby increas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in the complex modern society through its various components.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was introduced at different times with the mandatory subscription to the employee insured and self-employed insured. In this context, the process of mandatory subscription to employee insured for migrant workers was analyzed through the MSF, and the process of mandatory subscription to self-employed insured was analyzed through the ACF. The external factors of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were commonly used for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overall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The results show that external factors surrounding policy issues and the roles of various policy acto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policy changes in the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in Korea. In the process of making employee insured compulsory,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requested guarantees for the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at arose at the tim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which was highly interested in human rights, had the greatest impact. In the process of making it mandatory to subscribe to self-employed insured, the interven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over the conflict between coalitions based on differentiated public opin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igrants and the increase in contact experience between migrants and Koreans led to a policy change that required all migrants to subscribe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oretic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ramework combining the MSF and the ACF and its components in analyzing policy change in Korea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the policy entrepreneur of the MSF and the policy broker of the ACF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hint at a high possibility of a change in the migrants’ policy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the health insurance policy for migrants continue.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social costs caused by unnecessary conflict, it was recommended that provocative media reports and political statements should be avoided, and evidence-based policies should be pursued. In addition, the number of migrants entering Korean society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considering Korea’s low birth rate and aging tren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migrants would be able to easily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if various problems that arise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re actively addressed. 건강보험제도는 헌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이다. 한국은 1989년에 전 국민 의료보험을 실현함으로써 보편적 건강보장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조합주의 운영방식으로 인해 재정 운영의 비효율성과 사회 갈등적 요소 문제가 대두되었고, 국민의 투쟁 끝에 2000년부터는 통합된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국민건강보험제도는 한국의 사회통합 노력을 대표하는 제도 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도 우수한 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2019년부터 다양한 목적을 이유로 국내에 장기체류하고 있는 모든 이주민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제도 가입이 의무화되었다. 이는 한국 사회에 이주민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지 약 30년이 지나서야 시행된 것으로, 국민을 대상으로 보편적 건강보장을 달성한 속도와 비교할 때 다소 느린 속도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10년 이상 이주민이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하고 있다는 비판적 여론이 발생하고 있다. 2022년 실시된 제20대 대선에서는 이주민 건강보험정책을 두고 후보들 간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 정부가 추진해 온 이주민 건강보험정책의 변동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책 추진 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소와 그 배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 변동과정 분석을 위해 다중흐름모형과 정책지지연합모형을 결합하여 활용하였다. 정책변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두 모형을 결합한 이론적 분석틀은 각 모형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해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의 정책 변동과정 분석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의 이주민 건강보험정책은 직장건강보험과 지역건강보험 가입 의무화가 시차를 두고 각각 추진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직장건강보험 가입 의무화 과정은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지역건강보험 가입 의무화 과정은 정책지지연합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만, 건강보험정책 전반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에 대해서는 정책지지연합의 외적변수를 공통적으로 활용하였다. 한국의 이주민 건강보험정책 변동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책변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 요인은 정책문제를 둘러싼 외적변수와 다양한 정책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이다. 직장건강보험 가입 의무화 과정에서는 당시 이주노동자와 관련하여 발생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인권을 보장할 것을 요청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인권에 관심이 컸던 노무현 정부의 추진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건강보험 가입 의무화 과정에서는 이주민 건강보험정책을 둘러싼 지지연합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자 한 문재인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한국 사회의 유입된 이주민 규모 증가와 이들과의 접촉 경험을 바탕으로 분화된 국민의 여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다중흐름모형과 지지연합모형을 결합한 모형의 한국 정책변동 사례 설명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책변동 과정에서 다중흐름모형의 정책선도자와 정책지지연합모형의 정책중재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이주민 건강보험정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여전히 지속하는 양상을 보여 향후 또 다른 정책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불필요한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극적인 언론 보도와 정치적 발언을 피하고 증거에 기반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 유입되는 이주민 규모는 지속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건강보험정책 집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환류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한다면 이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로 통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참여를 지원하는 창의적사고도구 개발 연구

        박성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셜매뉴팩처링은 소비자가 자율적, 독립적, 주도적으로 아이디어를 제 안하면 다른 소비자들이 함께 선택하고, 기업은 선택된 제안을 제작하는 새로운 소비자 주도형 제작 형태이다. 이때 소비자는 소셜매뉴팩처링을 통 해 일부가 아닌 전체 제조 프로세스에 독립적 창안자로 참여한다. 역사적으로 소비자참여는 시민소비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강조와 함께 사회 책임적 소비자참여가 주목받아 왔으며, 생산과정에서도 프로슈머나 공동가치창출 활동 등을 통해 꾸준히 확대되어 왔다. 그런데 사회적 제조 네트워크로 연결된 소셜매뉴팩처링에의 소비자참여는 소비자 스스로 자율 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해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창조하고 제안하는 독 립적 창안자로서의 참여를 말한다. 이는 새로운 소비자의 정체성을 확립한 다는 점에서 기존의 생산과정의 소비자참여와 다르다. 이러한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참여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소비 자 스스로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유능감이다. 창의적인 결과 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자신감, 즉 창의적 자아효능감이 중요하며 이는 창 의성으로 요약된다. 창의성에 대한 연구접근은 창의성을 개인의 성향으로 보는 인지적 관점 과 창의적사고를 통해 도출되는 결과물로 바라보는 결과론적 두 가지로 나뉜다. 그런데 만약 창의성을 개인의 성향, 능력으로 바라본다면 소셜매 뉴팩처링 소비자참여는 창의적 능력이 있는 일부 소비자참여로 국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개인의 성향, 능력, 태도로만 한정하지 않고 창의적사고를 통해 발현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창 의적사고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CPS를 활 용해 창의적사고도구를 직접 만들어서 소비자를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첫째, 설계원리 및 지침을 도출하고 둘째,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 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설계원리 및 지침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분석과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내용분석을 통해 설계원리 및 지침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로부터 평가한 결과, 사고 발현성을 특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반영해 기존의 신제품 개발 시 활용되었던 '속성열거법'과 '유추'를 결합한 속성기반유추법(ABA)을 새 롭게 고안하고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과의 상호작용 부분을 구체화하여 설 계원리 및 지침의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이를 토대로 종이 형태로 된 개념형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전문가로부터 1차 사용성 평가를 받아 창의 적사고도구를 실제로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의 설계원리 및 지침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창의적사고도구의 설계원리 및 지침을 토대로 프로그래밍으로 실제 구현되는 실행형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사용 성 평가를,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효과 검증과 정성 평가를 하였다. 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창의적사고도구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 26명 과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실험집단의 참여 자 7명을 대상으로 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빈 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0개의 설계원리 및 세부 지침과 프로토타입이 도출되었으며, 이 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1) 구조화의 원리에 입각해 창의적사고를 돕는 키워드 변형/우연/해체/ 결합/점검/확인/정교화와 같은 구조를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소비자 정성평가에서 이 부분은 긍정적 평가를 받았는데 단계를 밟아서 새로운 생각을 좀 더 쉽게 떠 올릴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2) 우연 탐색의 원리에 입각해 세런디퍼티를 활용한 비규칙적이고 우연 한 방식으로 결합체를 탐색하도록 지원하였다. 이는 다른 창의적사고도구 에서 살펴볼 수 없는 차별화된 설계원리인데 이에 대한 소비자반응은 생 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재미있고, 다음에 뭐가 나올지 흥 미를 유발한다는 긍정적인 내용이었다. 3) 해체 결합의 원리에 입각해 두 가지 결합체를 단순히 연결시키는 것 이 아니라 계열체 수준으로 해체한 이후에 다시 결합체로 맵핑하는 과정 에서 사고의 도약이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사고의 도약이 일어날 수 있는 장점으로 평가하였고, 소비자들도 연관 되 지 않을 것 같은 단어들에서 새로운 생각을 떠올릴 수 있어서 좋았다는 반응이었다. 이처럼 사고 도약을 가능하게 하는 해체 결합의 원리는 본 연 구에서 개발한 창의적사고도구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4) 교차 반복의 원리에 입각하여 발산적, 수렴적 사고를 교차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다른 창의적사고도구에서도 발견된 설계원리로 창의 적사고도구 제작 시 1)구조화의 원리와 더불어 창의적사고를 촉진하는 기 본 원리이다. 5) 의사소통 지원의 원리와 6) 아이디어 진화의 원리는 팀을 구성해 의 사소통하고 아이디어를 진화 과정인 생성, 공유, 선택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정성평가를 통해 소비자들은 투표나 댓글로 의견을 덧붙일 수 있어서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7) 개방의 원리는 누구나 사용가능하도록 개방해 소비자 참여를 지원하 는 것으로 이에 대한 소비자 정성 평가는 다른 사람들이 낸 아이디어를 볼 수 있어서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었다. 이처럼 의사소통 지원 및 아이디 어 진화를 통한 협력과 개방에 대한 원리는 소셜매뉴팩처링의 중요 속성 을 반영한 원리로 다른 창의적사고도구와 차별화된 소셜매뉴팩처링을 위 한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에서 중요한 설계원리이다. 8) 정보 접근의 원리는 창의적사고도구 내에서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으로 소비자들로부터 개인 보기와 팀 보기가 구분되어서 좋다 는 평가를 받았다. 9) 정보 제공의 원리에 입각해 개별 단계별로 설명과 지시문으로 안내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소비자 정성 평가에서 이미지나 시각물을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고려할 때 창의적사고도구의 정보 제공은 단순히 텍스트 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10) 순환의 원리에 입각해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에서 논의된 것들 중에서 기획할 제품을 선정하기 위해 키워드로 변형하는 것을 시작으로 창의 적사고도구를 활용해 도출된 최종 산출물을 다시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으 로 보내는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이는 창의적사고도구가 소 셜매뉴팩처링플랫폼 내부에 존재할 필요 없이 외부에 단독으로 독립적이 지만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방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의 설 계원리 및 지침은 프로세스적인 측면에서 초안, 수정안, 최종안에 걸쳐 지 속적으로 발전되었다. 개발 연구에서는 설계, 개발, 평가를 수행하면서 수 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지식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도 이러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기록해 개발 연구의 연구절차를 충실히 따랐다. 또한 종이 형태로 된 개념형 프로토타입과 실제로 프로그 래밍된 실행형 프로토타입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물에 대한 효과를 검증 할 수 있었으며 개발 연구에서 프로토타입 제작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의적사고도구는 신제품 개발에 특화된 새로운 창의적사고도구의 원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지금까 지 개발되었던 창의적사고도구의 설계원리에서는 사고촉진을 위해 발산적 사고나 수렴적 사고를 활용하는 등 일반적인 설계원리를 제시하고 있지만 우연 탐색의 원리와 해체 결합의 원리는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새로운 창의적사고도구의 원리라 할 수 있다. 이는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 사고를 위해 새롭게 고안된 속성기반유추법인 ABA의 핵심 원리이다. 이 처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적사고도구는 교육학에서 다루고 있는 CPS 를 활용해 교육적 목적이 아닌 소비자 지원 목적의 새로운 도구로 개발된 것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넷째,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에 대한 소비자 효과검증 결과, 창의적사고도구 사용 후에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참여의도, 창의적 자아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더 많은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하는 긍정적인 결 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 개발된 창의적사고도구는 소비자들이 창의 적 산출물을 도출하고 창의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고 참여의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입증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창의적사고도구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 차원에서 네 가지로 제언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내용분석 결과 다수의 업체들은 소비자가 아이디어를 제출한 이후부터는 아이디어 채택, 보상, 적용 등의 일련의 과 정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아이디어 도출 부분은 지원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형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기 때문에 소셜매뉴팩처링플랫 폼 기업에서는 실무에 이를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비자 아 이디어가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소비자의 창의적 산출물을 지원하는 창의적사고도구의 중요성에 대한 내부 공감을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창의적사고도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소비자들에게 창의적사고도구를 활용해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한다 는 것이 처음에는 낯선 개념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창의적사고도구 외에 도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내부나 외부에서도 창의적사고도구 사용 및 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제공하거나 창의적사고도구 활용 교육 등을 통해 소 셜매뉴팩처링 소비자참여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셋째, 집단심층면담 결과 창의적사고도구가 이미지 없이 텍스트로만 전 달되는 것에 대해서 단점으로 지적되었고 이미지나 시각물을 쓰면 좋겠다 는 소비자의 피드백이 있었다. 추후 창의적사고도구를 실제 제작 시에는 이를 고려해 개발한다면 더욱 업그레이드 된 창의적사고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넷째, 순환의 원리에 따라 창의적사고도구는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외부 에 독립적으로 존재 가능하다. 하나의 창의적사고도구가 여러 개의 소셜매 뉴팩처링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창의적사고도구 상에서 어떠한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으로 전송할지 선택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 힘의 증진과 연관되며 이 경우 소비자 지원 창의적사고도구는 새로운 스 타트업의 사업 모델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들은 모두 실현 가능한 것들로 소셜매뉴팩 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의 새로운 성공 사례들이 개발된다면 소셜매 뉴팩처링에서 독립적 창안자로서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소비자참여는 더욱 활성화되리라 기대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매뉴팩처링 소비자 창의적사고도구는 참여의도, 창의적 자아 효능감, 창의적 산출물 측면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창의적 자아 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사용이 아니라 일정 기간을 두고 꾸준히 사용한 이후에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창의적사고도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창의적사 고도구를 제공한 실험집단 26명과 지원 도구를 제공하지 않은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하지만 정규성 분포를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의 참여자를 확보한 상태에서 비교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소셜매뉴팩처링 비사용자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향 후에는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 유경험자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혹은 소셜매 뉴팩처링플랫폼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사용하지 못한 소비자와 같이 좀 더 세분화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도 본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 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결합체와 결합체를 우연 탐색하는 단계에서 프로토타 입 상에서 제시된 단어들은 공산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는 소셜매뉴팩처 링플랫폼을 통해서 제조되는 제조품이라는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시하는 카테고리 기준으로 1~2가지씩 50여개를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합체 선택에 따른 창의적사고의 효과를 측정하지는 못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결합체 선택에 따른 창의적사고 의 효과를 측정해 결합체의 종류와 성격을 좀 더 명확하게 규정하여 창의 적사고도구를 좀 더 고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종이 형태로 된 개념형 프로토타입을 거쳐 프로그래밍 된 실행형 프로토타입까지 개발하였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제작에 그쳤지만 후속연구에서는 실제 개발로 이어진 상태에서 소비자 평 가나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더욱 유용한 소비자 지원도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창의적사고는 비단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소셜매뉴팩처링 외에 도 일상에서도 사회에서도 필요하다. 녹색소비를 포함한 일상 소비생활 등 소비자를 둘러싼 생활환경 내에서 창의적사고를 접목한 새로운 연구들이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참여를 지원하는 창의적사고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창 의적사고 모형, 과정, 기법 등을 바탕으로 소셜매뉴팩처링플랫폼에 특화된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학제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설계원리 및 지침을 실제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해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개발 연구 는 소비자학 내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연구이다. 소비자와 소비자를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 와 같이 발견한 지식을 구체적이고 유용한 형태로 바꾸는 실천 학문으로 서의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진다면 소비자학의 지평을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추후 기 개발된 창의적사고도구가 실제로 적용되어 소비자참여를 증진시키고 소비자역할의 확대와 이를 통한 소비자 주권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Social manufacturing is a new type of consumer-driven production process. A subset of consumers provides an idea in proactive, independent and autonomous manner, then rest of consumer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The industry adopts decision made by consumers onto their production. Through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 is able to participate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an independent creator. Traditional concept of consumer participation has emphasis on the citizenship-consumers’ role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Consumer participations have progressively broadened through their activities as prosumer or co-creation of value in the produc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ocial manufacturing system, consumers are connected through social manufacture network. In this system, consumers actively, and voluntarily provide ideas for manufactured goods as an independent creator,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ystem. In social manufacturing system, it is important that each and every consumers generate creative output on their own. Consumers' sense of confidence in their crea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namely "creative self- efficiency". The research for the creativity is divided into two types – one is the cognitive view of creativity as an individual's propensity, and the other is consequential view of outcome from creative thinking.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reativity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of individual or an ability of individual, the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s participations could be biased toward small subset of enthusiastic few.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we have defined creativity as a creative thinking process, a tool that can be utilized, rather than an ability based on individual’s character, intelligence or attitude.  Furthermore, in order to support consumers’ creative thoughts, I have supported consumers by utilizing self-developed creative thinking tool “CPS”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edagogy. Therefore, as to develop the consumers’ creative thinking tools in the social manufacturing, namely C-CPST(Consumer-Creative Problem Solving Tool), first, I developed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Secondly, I developed prototyp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rocedure for the research is as follows. Above all, in order to find out the principles and guidelines, we have devised the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along with analysis of a prior study.  The results of an expert evaluation of its validity, reflecting opinions on the need to specializ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we have newly designated ABA(Analogy-based Attribute enumeration Method)that combines the 'Analogy Method' and 'Attribute-enumeration Method’ that were used in the new product.  Based on this, a conceptional prototype in the form of paper was produced and an expert evaluated it for the first usability. With the evaluation, my research has compensated the defects and has led to the design principle of the consumers’ creative thinking tool and guidelines for the social manufacturing. On the basis of the design principle of creative thinking tool and guidelines, we have produced an execution type of prototype which can be actually operated by programming.  Using the prototype, we have carried out the second usability test for the group of experts and evaluations for effect verification, qualitative effect were progressed by the group of consume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thinking tool for the consumers, twenty-six (26) experimental and twenty-seven (27) control group members were tested.  Among the members, seven (7) memb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o the qualitative effect.  For data analysis method,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sponse samples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found ten (10) of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prototypes; and they have some characteristics as below. 1) Based on the principle of structuralization, structures such as keyword-variations/coincidence/deconstruction/combination/checking/confirmation/ellaboration were presented step by step to help with creative thinking.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a new idea coming up easily by taking the steps. 2) Based on the principle of coincidence explore, I have supported them to explore combinations irregularly, accidentally, using “serendipity”.  This method is a differentiated design principle that can not be found in other creative thinking tools.  Relating the principles, I have learned positive messages from consumers’ reactions, they found it fun to see things connected in unexpected ways and that guessing what would come next was intriguing. 3) Moreover, based on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combination, the two combinations were not simply connected, but were then dismantled at the level of the syntagme, and the new idea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mapping paradigme to combine.  With respect to this matter, experts have evaluated that the leap of thought as an advantage, and further, consumers also have shown that they were able to find the new thoughts from unrelated words.   4) Based on the principle of cross-recurring, cross-recurrence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were allowed. This is a design principle that can be found in other creative thinking tools.  Furthermore, with 1) the principle of structuralization, this principle basically promotes creative thinking. 5) 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support and 6) the principle of ideas evolution is to team up for communication, and to suppor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reating, sharing and choosing ideas.  Through the qualitative evaluation, consumers responded that it was good to add their opinions by voting or leaving comments. 7)  the principle of openness is to support consumers’ participations by opening things up to be accessible for anyone, and regarding this principle, consumers’ qualitative assessment showed that consumers found it helpful because they can read ideas from others.  Like this,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 openness through communication support and ideal evolution reflects the important property of social manufacturing; this is an important design principle in consumer creative thinking tools for social manufacturing,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reative thinking tools. 8) The principle of access to information is for flexible access within creative thinking tools, which were evaluated by consumers positively because of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and team views. 9) Based on the principle of information provision, we have provided them information with instruction statement and explanation for each step.  However, considering the opinion that images or virtual materials need to be used for qualitative evaluation, it is required to consider of text as well as visual images. 10) In order to select products for planning, beginning from transforming discussed materials in social manufacturing based on principle of circulation into keywords, we have suggested returning the finally derived output to the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utilizing the creative thinking tools.  And this,  this case has significant meaning that creative thinking tools are independent of the external surroundings, but they can also exchange mutual effects without having to exist inside the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Second, design principle and guideline of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s creative thinking tools(social manufacturing C-CPST)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ntinually progressed with draft – amendments – final in the light of process.  Since in the developmental research, creating knowledge based on the database collected from design/development/evaluation is important, I have systemically, performed this process with recording to follow the research procedure for the research.  Also, with a conceptual prototype on paper form and an actual-programmed actionable proto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verified.  Furthermore, this performance has shown the importance of prototype production in the developmental studies. Third, the developed creative thinking tools, C-CPST, show their differences by suggesting new creative thinking tools specialized in developing new products.  Although the design principle of creative thinking tools that have been developed so far suggests general design principles, such as using divergent or convergent thinking to promote accidents.  The principle of accidental navigation and the principle of deconstruction are parts of creative thinking tools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This is a key principle of ABA, a newly designed attribute-based analogy for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 creative thinking.  As such, the creative thinking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differentiated in that they were developed as new tools for consumer support, not for educational purposes, using CPS as covered in pedagogy. Fourth, as a result of consumer effect verification on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 creative thinking tools, we have found that consumers’ participation, creative self-efficiency were increased after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ools.  Moreover, positive results were appeared to yield more creative output.  In conclusion, newly developed creative thinking tool, C-CPST is the tools which have been verified in order for consumers to produce their creative outputs, raising their participations. With the discussion above, we hereby provide four of our proposals as well as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First, as a result of contents analysis in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most of companies offer a series of process such as adoption, reward and application of idea, whereas, idea derivation service was not provided at all.  Since, in this study, an actionable prototype has been produced,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companies will be able to apply it directly to their tasks.  Particularly, recognizing that consumers’ ideas are the starting points for social manufacturing, organizing an organization through internal empathy for the importance of the tools is required to continually develop the creative thinking tools. Second, it may be a strange concept at first time to draw creative outputs from consumers, using the creative thinking tools.  To resolve this, in addition to creative thinking tools, by providing guideline or detailed instructions or education on the use of the tool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activating consumers’ participations would be possible. Third,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ing in groups, it was indicated that delivering the creative thinking tools only by texts, without any images were demerits.  But, to compensate the demerits, using virtual materials such as images were recommended from consumers’ feedbacks.  Therefore, Considering above, if creative thinking tools are developed in the future, more upgraded tools would be possibly developed. Fourth, creative thinking tools can independently exist in the external of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 following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A single creative thinking tool is able to support various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s; consumers decide to which platform they wish to deliver in the creative thinking tools.  This behavior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enhancement of consumers’ power, and, in this case, consumer-supporting creative thinking tools can be adopted as a business model for new start-up business. Since plans for activations given in the above are all feasible, if newly successful cases are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independent consumers’ participations as independent creators may be much more activated. Opinions for future studies are follows. First, social manufacturing consumer creative thinking tool(Social manufacturing C-CPST) has all shown effects in terms of participation, creative self-efficiency and creative output.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n creative self-efficiency properly, analysis on the effect during regular period of time after constant use should be performed, rather than a one-time use.   Second,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effect of creative thinking tools, we have organized an experiment; twenty six (26) of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creative thinking tools, twenty seven (27) of controlled group who did not get support tools.  However, the experiments did not satisfy normality.  Accordingly, for the effects, it is necessary to obtain the adequate number of participations for comparisons. Third, considering that this research involved non-users of social manufacturing, we need to look at whether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for consumers who are experienced in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s, or for consumers who know about but have not used them. Fourth, in this study, the words presented in the prototype were based on industrial products at the stage of accidental exploration of the combination and the combination; this was based on the fact that products were manufactured through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s and to this end, it applied one to two categories about fifty cas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 combination choices was not evaluated; in the future studies, by measuring the effect of creative thinking on the combinations, the type and nature of the combination could be more clearly defined, further enhancing the creative thinking tool. Fifth, in this study, activation prototype was developed through a conceptual prototype in a paper type.  Although the study was limited to prototype production, subsequent studies can allow more useful consumer support tools to be developed through consumer assessment or data analysis, while leading to actual development. Sixth, creative thinking is also required even in daily life or in the society, in addition to the social manufacturing, which makes new products.  New studies, that incorporate creative thinking within living environment surrounding consumers including daily consumption such as green-consumption, could follow. In this research,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tools that support consumer participation, tools specialized in social manufacturing platforms 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models, processes and techniques were created; for this, we have used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developed actual prototype about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 to verify the effects.  This developmental research is considered as a new type of researches in Consumer Studies. Finding new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consumers and their surroundings is important. However, if more research is done as a practical study that transforms the knowledge found, such as this study, into a concrete and useful form, it could further broaden the horizons of Consumer Studies.  Eventually, I hope that the creative thinking tools can be used to enhance consumers’ participations and the tools can be applied to the expansion of consumer roles and to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rights.

      • 성인여성의 견갑대, 골반대통증유발점 수기요법이 안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박성연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est about facial asymmetry and the practice of hand therapy to do it directly are being made more often in the skin care office than through doctors or dentists. In this reality, the theory based on the scientific basis is insufficient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managing facial asymmetry. Although accurate diagnosis is very important for facial asymmetry, it is difficult to clear diagnose a specific condition in the beauty industry.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soft tissues of the face, this is a unique area of the beauty industry. And evaluation of the soft tissues of the face ma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rofession of the profession. Based on these judgments,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 points of facial soft tissue affecting facial asymmetry. This study selected trigger point of shoulder girdle and pelvis girdle among the places where trigger point arises. And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facial asymmetry improves by measuring the points where facial asymmetry can be judged. For this purpose, the standard of face was divided into upper face, middle face, and lower face, and the asymmetry factor of the face was judged by the measurement point connecting the eye and the nose and the measurement point connecting the eye and the oral angle. The right and left asymmetry was determined by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midline angle and the horizontal slope between the points. When selecting a subject, they were selected regardless of facial asymmetry. After analyzing whether the individuals were symmetrical, there was no experimenter with a symmetrical face. After taking a facial photo with a 3D scanner before the experiment, it applied a total of 5 treatments for trigger point hand therapy of shoulder muscle and trigger point hand therapy of pelvis girdle muscle. After 1 procedures, 3 procedures and 5 procedures, changes were filmed. No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was made when applying trigger point hand therapy of shoulder and pelvis girdle, and 6 points designated as trigger point hand therapy for each part of shoulder and pelvis girdle were measured. And it analyzed whether to improve each of the asymmetric factors. After 5 applications for trigger point hand therapy of shoulder girdle, a change in the angle (9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measurements (Tri-Sn) of the upper face is close to the vertical centerline. A change in the difference in symmetry between an external angle and below point under the nostril (Lc-Ans) and a change in the difference in symmetry between the external angle and the oral angle (Lc-Ch)and change in horizontal(0°) slope between below points under the nostril(Ans-Ans) and between the oral angle (Ch-Ch) were reduced. The difference in angle (90°) changes between vertical measurements (Sn-Me) on the lower face was also close to the vertical centerline. After 5 applications for trigger point hand therapy of pelvis girdle, a change in the angle (9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measurements (Tri-Sn) of the upper face, a change in the difference in symmetry between an external angle and below point under the nostril (Lc-Ans) and a change in the difference in symmetry between the external angle and the oral angle (Lc-Ch) and change in horizontal (0°) slope between below points under the nostril (Ans-Ans) and between the oral angle (Ch-Ch) showed a decrease in the slope. The difference in angle (90°) changes between vertical measurements (Sn-Me) on the lower face was also close to the vertical centerline. This study found interrelationship between common trigger point of shoulder and pelvis girdle and facial asymmetry. And it confirmed the fact that soft tissue applied by the skin care industry improve facial asymmetry through trigger point hand therapy. Key Word : shoulder girdle, pelvis girdle, trigger point, hand therapy, facial asymmetry 안면비대칭에 대한 관심과 직접 시행하는 수기요법 행위는 현장에서 의사나 치과의사 보다 피부관리실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안면비대칭을 관리 하는 과정에 대한 것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이론이 현저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안면비대칭에 있어 정확한 진단은 매우 중요하나 미용업계의 특정상 구체적 진단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얼굴의 연조직에 대한 변화의 관점 에서 미용업계의 고유한 영역이며 얼굴의 연조직에 대한 평가는 직업의 전문성을 살리는데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 안면비대칭에 영향을 미치는 안면의 연조직 계측지점들 간의 관계를 연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통증유발점이 호발 되는 곳 중 견갑대와 골반대 통증유발점을 선정하고 안면비대칭을 판단할 수 있는 지점을 지표로 측정하여 안면비대칭이 개선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면의 기준을 상안 면부, 중안면부, 하안면부로 나누고 눈과 코를 연결한 계측점과 눈과 입꼬리를 연결한 계측점으로 안면의 비대칭 요소를 판단하고 지점간 수직 정중선 각도 변화와 지점간 수평기울기로 좌우 비대칭을 판단하였다. 실험대상자의 선정 시 안면비대칭의 여부에 관계없이 선별하였고 개인 간의 대칭 여부를 분석한 결과 안면이 대칭을 가진 실험자는 한명도 존재하지 않았다. 실험방법으로 실험전 안면사진을 3D스캐너로 촬영 한 후 견갑대 근육 통증유발점과 골반대 근육 통증유발점 수기요법을 각각 총5회 적용한 후 1회 시술 후, 3회 시술 후, 5회 시술 후 과정의 변화를 촬영 하였다. 견갑대와 골반대 통증유발점 수기요법을 적용 시 두 집단 간 비교분석을 하지 않았으며 견갑대, 골반대 각 부위에 대한 통증유발점 수기요법으로 지정된 6지점을 계측하여 비대칭요소가 개선되는지 각각 분석하였고 견갑대 통증유발점 수기요법 5회 적용결과 후 상안면부 수직 계측(Tri-Sn)간 거리의 각도(90°)변화 차이는 수직중심선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외안각과 콧방울 아래 끝점(Lc-Ans)간 거리의 좌우대칭 비교차 변화와 외안각과 입꼬리점 (Lc-Ch)간 거리의 좌우대칭 비교차, 콧방울 아래 끝점(Ans-Ans)간 수평(0°) 기울기의 변화는 감소하였고, 입꼬리점(Ch-Ch)간 수평(0°)기울기 변화 또한 감소를 보였으며 하안면부의 수직 계측(Sn-Me)간 각도(90°)변화 차이도 수직 중심선에 가깝게 나타났다. 골반대 통증유발점 수기요법 5회 적용결과 후 상안면부 수직 계측(Tri-Sn) 간 거리의 각도(90°)변화 차이와 외안각과 콧방울 아래 끝점(Lc-Ans)간 거리의 좌우대칭 비교차 변화, 외안각과 입꼬리점(Lc-Ch)간 거리의 좌우대칭 비교차, 콧방울 아래 끝점(Ans-Ans)간 수평(0°)기울기 변화 차이, 입꼬리점(Ch-Ch)간 수평(0°)기울기 변화 차이의 결과도 5회 후 기울기 감소를 보였으며 하안 면부의 수직계측(Sn-Me)간 각도(90°)변화 차이에 대한 결과도 수직 중심선에 가깝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생길 수 있는 견갑대와 골반대 통증 유발점이 안면비대칭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에 의의가 있으며 통증유발점 수기요법으로 피부미용 업계에서 적용하는 연조직이 안면비대칭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정서 표현에 대한 조형 요소 연구 : 기본적 정서를 다룬 4권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ancy is when one’s emotional, imaginative and creative developments are most active. This is the period when the basis of one’s holistic – physical,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 growth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s formed. This is also the stage for one to acquire every fundamental and important human attribute. During infancy, as such, development and cultivation of emotions, which play a crucial and vital role for humans, are of great necessity. In this context, picture books that help develop emotions of infants, who have no specific experience yet, give a chance of secondhand experience while functioning as a significant medium to share experience and feelings, form images, and nurture imagination and creativity. For picture books, a tool to give infants various experiences from early on, the role of illustrations is of great importance. This is because infants of picture-book age are more interested in what they see than what they read. Thus, an efficient utilization of illustrations is a lot more demanded at this stage than ever. Previous studies on picture book illustrations conducted by Koreans focus mainly on research and analysis of infants’ preference concerning illustrative expression. On the contrary, scant studies have been done on infants’ emotional response to their most basic elements, that is, formative ones, even though picture books are for infants’ developmental stage when emotional development has especially a great emphasi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infants’ emotional response to picture book illustrations’ various formative elements. Also, it is aimed to analyze what formative qualities can be of help in conveying emotions to infants in a more effective manner. For the goal, a quant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researcher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o find out what infants’ feelings are about picture book illustrations’ visual images of various formative elements. At the same time, a qualitative study was made, by examining infants’ verbal response, to discover what elements induced a given response. Simultaneously, it was analyzed what formative elements incited infants’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by concentrating on the visual images inducing their basic emo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conducted upon 20 infants aged 6 and 7, is like the following. First. Infant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visual images with various formative elem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verbal response with regard to their emotional response, it was found out that they, as to happiness and sadness, showed the strongest response through atmospheric response. Meanwhile, concerning anger and fear, they showed the highest reaction through their response to colors and illustrated objec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y, it can be said infants are most influenced by picture books’ atmosphere in terms of happiness and sadness while by their colors and illustrated objects themselves in terms of anger and fear. This signifies that infants have different parts to respond to each emotion. Second. The study analyzed each emotion’s formative element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pages where infants felt the strongest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The illustrations of happiness showed a wide contrast in color, simplicity in form, smoothness in texture and abundance of movement alongside with scarce blanks and irregular layouts. Those of sadness revealed monotonous and unchanging tones, low levels of chroma, brightness and movement together with a lot of blanks and regular layouts. Those of anger showed a significant contrast in shade, blandness in texture, high levels of chroma and brightness and pithy lines. They were also of rich spaciousness and movement with substantial blanks and regular layouts. Those of fear had low chroma and brightness and rather rough texture, showing slightly more movement than spaciousness. From the results, it was discovered that infants’ emotions wer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in illustrations’ formative elements and that emotion-specific formative elements could be a medium to arouse their emotional response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Infants show different responses to visual images with various formative elements while each of those emotional responses stems from different parts. Also, infants’ emotions are influenced by formative elemental differences of picture book illustrations and a formative element appropriate for a certain emotion can be a medium for more effective emotional response. As such, picture book publishers and writers need to keep this in mind when making picture books for infants. It is of importance to recognize infants’ different responses from each emotion and seek more effective ways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influence illustrations’ formative elements have on infants. 유아기는 정서, 상상력, 창의성의 발달이 가장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기로, 신체 발달, 인지발달, 사회 정서발달 등 모든 발달의 기초와 인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적기이며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주요한 모든 것을 습득하는 시기이다. 이에 따라 유아기에는 인간에게 있어 공기와 같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서에 대해 정서 발달 및 정서 함양의 필요성이 강조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유아의 정서적 발달을 돕는 그림책은 구체적 경험이 없는 유아들에게 간접적 체험을 경험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사람의 경험과 느낌을 공유하면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체로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렇듯 유아에게 일찍부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인 그림책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이 시기의 유아들은 보는 것에 더욱 흥미를 갖기 때문에 일러스트레이션의 효율적인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기존의 연구 중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조사나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특히 정서 발달이 강조되는 시기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에서 정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이 담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형 요소에 따라 유아가 가질 수 있는 정서 반응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다양한 조형 요소에 따라 유아가 가질 수 있는 정서 반응에 관해 살펴보고, 유아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이러한 정서를 전달하기 위한 조형 요소의 특성은 무엇인지에 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연구 의도에 맞게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다양한 조형 요소를 갖춘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이미지에 따라 유아가 느끼는 기본 정서는 어떠한지 양적 조사하고, 유아가 보이는 언어적 반응을 통해 어떠한 부분에서 그러한 반응을 보이는지 질적 조사를 병행하도록 한다. 또한 유아가 기본 정서를 느끼는 시각 이미지를 중심으로 ‘기쁨’, ‘슬픔’, ‘분노’, ‘공포’를 나타내는 조형요소의 특성은 무엇인지 분석해본다. 이에 6, 7세 유아 총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다양한 조형 요소를 갖춘 시각 이미지에 따라 각기 다른 정서적 반응을 보였고, 유아가 이러한 정서적인 반응을 느낀 부분에 대해 유아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는 ‘기쁨’, ‘슬픔’의 정서에서는 ‘분위기에 관한 반응’을 통해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분노’의 정서는 ‘색채에 대한 반응’, ‘공포’의 정서는 ‘대상에 대한 반응’에서 가장 많은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기쁨’, ‘슬픔’의 정서에 대해서는 유아가 그림책 속의 분위기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분노’의 정서에 대해서는 색채의 영향을, ‘공포’의 정서에 대해서는 그림책 속 대상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각의 정서에 따라 유아가 반응하는 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유아가 ‘기쁨’, ‘슬픔’, ‘분노’, ‘공포’를 가장 많이 느낀 페이지를 중심으로 각 정서의 조형요소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쁨’의 정서는 색조에 있어서 대비가 크고, 형태는 단순하며, 질감이 매끄럽고, 운동감은 많다. 또한 여백이 적고, 레이아웃이 불규칙적이다. ‘슬픔’의 정서는 색조 톤이 균일하여 변화가 없고, 색상에 있어 채도는 낮고 명도는 어두웠으며, 운동감이 적다. 또한 여백이 많고, 레이아웃이 규칙적이다. ‘분노’의 정서는 색조에 있어서 대비가 크고 채도나 명도가 매우 높았으며, 선이 강하고 질감이 매우 매끄러웠다. 또한 공간감, 운동감이 많은 편이며, 여백은 보통 이상, 레이아웃은 불규칙적이다. ‘공포’의 정서는 채도는 낮고 명도는 어두웠으며, 질감이 다소 거칠었다. 또한 공간감보다는 운동감이 조금 있는 편이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정서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조형 요소에 따른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으며, 그림책에서 각 정서별로 적합한 조형 요소는 유아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는 다양한 조형 요소를 갖춘 시각 이미지에 따라 각기 다른 정서적 반응을 보이며, 각각의 정서에 따라 유아가 반응하는 부분 또한 다르다. 또한 유아의 정서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조형 요소에 따른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으며, 그림책에서 각 정서별로 적합한 조형 요소는 유아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에 그림책을 제작하는 출판사나 작가들은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유아를 위한 그림책 제작 시 각각의 정서에 따른 차이점을 인식하고,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조형 요소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정서 전달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거울을 통한 시선의 확장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기능성만을 강조하는 기하학적인 건물로 가득차 있다. 물질만능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시는 현대문명의 상징이 되었다. 현대는 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에게 계속적인 이미지의 자극을 주고 있다. 우리는 각종 매체로 인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물결은 더욱 더 많은 이미지를 보게 한다. 우리는 넘쳐나는 이미지에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얻게 된다. 테크놀로지는 발전함과 동시에 현대 사회를 더욱 획일화 시킨다. 그리고 우리는 다르게 전달하는 정보 매체를 통해 각종 이미지와 지식, 정보를 공유하며 폭 넓게 소통하고 있다. 각 장르의 구분이 없어지고 있는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황은 예술(미술)도 예외는 아니여서 다른 영역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현대는 서로 다르다고 인식해온 많은 것들이 공존하고 있다. 그 예로 예술은 컴퓨터나 비디오와 같은 영상매체, 전자예술이라든지 건축이나 영화, 음악 등의 타 분야와 연결하여 확장하고 있으며 또한 인문학의 여러 분야와도 적극적인 교류를 하고 있다. 본인은 새로운 매체를 단순히 기술의 문제로 보지 않고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인식의 틀로 간주한다. 컴퓨터는 우선 방법과 수단으로써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방법에 있어서는 컴퓨터가 그림을 그리기 위한 연필과 같은 기능적 도구(tools)라는 점이다. 불과 몇 년 전에는 종이에 연필로 그림을 그렸지만서도 최근에 들어 점점 컴퓨터를 이용하는 예가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모니터를 보고 마우스로 그림을 그리기도 한다. 컴퓨터가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자체의 이미지가 작품이 되는 경우이며 표현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하며 그것은 즉, 표현하는 방법이면서도 동시에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이는 본인의 작업이 컴퓨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인은 거울 이미지를 주 모티브로 하여 컴퓨터를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거울은 재료의 특성상 상(像)을 그대로 재현해주면서 환영(幻影) 등의 시선의 확장을 수반한다. 본 논문에서 '본다'라는 일반적인 기본 개념을 가지고 글을 시작했다. 그림에 있어서 시각은 어느 감각기관보다도 중요하다. 현 시대는 우리에게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주고 있고 눈은 광고나 상품 등을 통해 끊임없이 사물을 바라본다. 이 본다는 것에 대한 의미는 '본다'라는 바라보는 행위와 보이는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는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고 있으며 두 경계선상에서 가상의 세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거울이 자주 등장한다. 최근 들어 가상의 세계는 현실 못지 않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두 개의 이질적인 구조의 만남에서 거울이 그 특성을 보여준다. 가상과 현실처럼 거울 안의 가상과 거울 밖의 현실은 대립적이면서도 함께한다. 본인은 거울을 이용한 바라보기의 방식을 작품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거울은 왜곡 · 변형되어 보이는 이미지로 인해 여러 문학과 예술에서 소재로 삼아 왔으며 본인 작품 또한 거울의 속성을 표현한 다양한 장르를 인용하였다. 본인은 이질적인 면이 공존하고 있는 개념을 군학과 미술사적 사례들을 인용하여 거울을 통한 바라보기 방식을 뒷받침하였다. 재현하는 대상도 재현하는 주체도 없는 엇갈림을 탐구하고 이를 그려낸 작품을 살펴 보았는데 이 사례는 세계를 실상과 허상,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가상과 현실 같은 대립적인 개념이 함께 존재한다는 역설을 이야기한다. 이것을 통하여 우리는 세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의 읽기를 가능하게 하였다. 믿음으로 바라보는 세계는 예술가로서의 길을 선택하게 하였다. 본인 작업의 표현 방법은 거울을 모티브로 하여 포토샵으로 조작된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판화적 기법과 사진, 컴퓨터를 활용한 디지털 프린팅, 거울, 설치 등을 이용하여 재료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시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거울이라는 주재료를 사용하여 '재현과 환영'의 모호한 경계를 하나의 화면에 담고자 하였다. 거울은 평평한 2차원이면서도 재료의 속성상 3차원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시선은 확장되거나 축소된다. 이렇듯 '실재하는 것과 가상적인 것'의 두 영역을 동등하게 나타내는 데 기존의 예술가들은 거울이 주는 매력을 캔버스에 유화로 혹은 직접 거울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작품을 만들었다. 그런 점에서 본인도 시선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거울의 특성에 흥미를 갖고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다. 우리는 지금까지 거울이 세계를 바라보는 창이자 현실세계를 반영하는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본인의 작업도 다양한 역할의 거울로써 주변을 바라보고 일상적인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일상적인 것에는 내가 살고 있는 주변 즉 도시에서의 경험과 자극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한 도시는 문화적으로 많은 상징체계를 함유하고 문화 속에서 드러나게 된다. 본인도 도시가 갖고 있는 상징을 가지고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결국 도시의 모습과 그리고 대중 문화 속에서의 현실과 나를 들여다보는 거울로서의 반영이였다. Modern society is full of function-focused geometric buildings. The city has become a symbol of modern culture of materialism and capitalism. The modern society continuously stimulates us with the fast growing mass media. The wave of new technologies enables us to be exposed to more and more information. We can continuously be updated with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s is the time of sharing even though the overflow of mass media may bring too much standardization to the whole society. Recently, all the different areas start to get mixed together and the field of painting is not an exception. More and more modem paintings start to get mixed with many different areas such as electronic art, computer-video based visual media, movies, pop music and the liberal arts. I regard new media as conceptual frame that affects human behavior and thinking rather than the matter of technology. Media such as computer are used as a method and tools. The computer can play the same role as a pencil which is used to draw the painting. More of more people start to draw the pictures with mouse while looking into the computer screen in stead of using pencils. In the other way, it can be an object of expression, Its image can be a work by itself. I look at the media in both ways. Media can be tools of the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contents of the expression. This reflects why This reflects why I mainly used computer to create the works. I adopted the mirror image as a main motif while using computer. The mirror not only shows the things as they are but extend the view with illusions. I start my thesis by making comments on the general concept of "Seeing" . The sense of sigh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enses in terms of visual art. Our eye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countless objects by the diverse stimulators such as advertisements and the mass media. "Seeing" can be interpreted both as the behavior of seeing and as the object to be seen. Reality and unreality co-exist in this world, The mirror is often expressed to stand on the borderline of these two different worlds. Recently, the virtual reality is gaining as much attention as the real world and the mirror reflects this fact. Image in the mirror ca the reality outside the mirror are contradictary but same entity just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rtual reality and the real world. My argument is about suggesting other ways of seeing by using the mirror. The mirror which both reflect and distort the reality has been used as an object in many literature and arts. I allude to many different genres in the chapter of extension of the view through mirror. They are dealing with the irony that the world is composed of both real image and illusion, visibility and unvisibility an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his provides us the flexible ways to see and understand the world. I mainly used the virtual images processed through Photoshop as the main method of expression with the mirror as a main motif. The materials are composed of the diversity of photos, digital printing, mirror, installation, etc to extend the view of seeing. The mirror is used as a main material to express the fusion of reality and illusion. The mirror is a 2-dimension object by itself but it is also able to create 3-dimension images. The artists usually tried to express the power of mirror by painting on the canvas or using the mirror itself. I'm also motivated to create the works which can express thos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The mirror has been regarded as the window to see the world through as well as the symbol to reflect the reality. In the same way, my works are reflecting our everyday life by looking through the window. Majority of this everyday life is taken by experiences and stimulators in the city surrounding us. The city contains diverse cultural symbols. I created the works by using those symbols of the city. They worked as a mirror to look at myself and the reality in the mass culture. I want to look at myself through the mirror reflecting the city and pop-arts and my work is about this mirror.

      • The Role of CARM1 i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박성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M1은 coactivator associated arginine methyltransferase 1로써, 히스톤 3의 17, 26번째 아르기닌의 다이메틸레이션반응을 촉진하여 히스톤 리모델링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유전자 전사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들을 통해서 CARM1은 H3R17me2 통해 Yap 신호체계를 유도함으로써 쥐 배아의 발달을 조절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직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에서는 CARM1의 역할이 밝혀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 발달과정에서 CARM1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 발달과정에서 CARM1 mRNA의 발현경향은 2 세포기부터 점점 증가하면서 8 세포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고, 이후 상실배까지 감소하다가 배반포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ARM1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CARM1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돼지 난자에 정자주입 후 첫째날부터 셋째날까지 7, 14 및 21 µM 농도로 CARM1 억제제를 처리하여 농도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8 세포기에서부터 발달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CARM1 억제제가 8 세포에서부터 작동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14과 21 µM 농도에서는 배반포가 거의 형성되지 않아 CARM1 억제제의 농도를 7 µM로 설정한 후 후속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CARM1 억제제 처리시, 배반포 발달율은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8.52 ± 0.75 vs. 4.17 ± 1.01%). 또한, CARM1 억제제 처리시,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 발달과정에서 CARM1 mRNA의 발현경향과 내부세포괴 유전자인 SOX2 mRNA의 발현경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 발달과정에서 CARM1 mRNA의 발현경향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SOX2 mRNA의 발현경향 또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들은 체외에서 생산된 돼지 배아의 발달과정에서 CARM1이 배아의 발달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고 사료된다. A coactivator associated arginine methyltransferase 1, CARM1 is known to regulate gene transcription through histone modification, primarily by dimethylation of the 17th and 26th arginines of histone 3.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ARM1 regulates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by Yap signaling through H3R17me2.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the role of CARM1 in porcine embryo development. During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mRNA level of CAMR1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2-cell and showed the highest in the 8-cell stage. To examine the function of CARM1 using CARM1 inhibitor, DMSO was treated as a control, and titer test was performed by treating CARM1 inhibitor from Day 1 to Day 3 at 7, 14, and 21 µM concentrations. The development rate of 8-cell tended to decrease at higher concentrations. It is confirmed that CARM1 inhibitor works from 8-cell stage. In addition, blastocysts were hardly formed at 14 and 21 µM. Therefore, the subsequ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after setting the concentration of CARM1 inhibitor at 7 µM. Treatment with CARM1 inhibitor significantly reduced the blastocyst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8.52 ± 0.75 vs. 4.17 ± 1.01%). When treated with CARM1 inhibitor, mRNA levels of CARM1 were generally decreased during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when treated with CARM1 inhibitors, mRNA levels of ICM gene, SOX2 tended to decr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M1 regulates developmental ability of porcine preimplantation embryos during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 朝鮮後期 '女性傳'의 내용과 찬자분석

        박성연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sun(朝鮮) Period was circle of the man center than which circle. Therefore, data that woman describes and direct data about woman are limitative, and things which the data is written by man are bulk. Therefore, it strikes in fundamental limit to reconstitute present age woman's form through recording that remain present. It can speak Chosun(朝鮮) circle that it is essential area of study to understand perfectly while it is purpose of woman study to understand process that do how woman lived in such limit as historic subject. Postscript 'Woman Biographies'(女性傳) that investigate 『the collection of works in Korea』(韓國文集叢刊), 『Collection of works of scholars who live in near area in capital』(近畿實學淵源諸賢集), 『Data base for biographies that is collected in collection of works』(文集所載傳資料集) by survey is all 154 parties Chosun(朝鮮). Telegram received was continued by word that those do while increase explosively in Sukjong(肅宗) - Jungjo(正祖) age because begin to increase in Sunjo(宣祖) - Hyunjong(顯宗) age. Weight that lower layer woman occupies as weight of women's upper layer woman who become 'Woman Biographies'(女性傳) relationship target is the most and goes backward is increased. Because this upper layer women's opportunity of education was more profitable than other social position, and there are a lot of instances that practice Filial duty·keeping faithfulness with this. Also, Writers are apt to hear upper layer woman's actuality Filial duty·keeping faithfulness as 'Yangban'(兩班), and because was apt to present the standard in side of people education. The weight shows that Confucianism moral principle was reached to lower layer social position In Case of lower layer woman who grow as go by latter term. Also, the limelight is expanded to lower layer women as well as upper layer social position according to society change, and there is meaning in terms of can look furtively lower layer women's image who acted variously in social position and circumstance that oneself is placed. 'Woman who keep faithfulness' of course and showed women's activity as wise mother and good wife·filial daughter according to result that sort these 154 services 'Woman Biographies'(女性傳) relationship contents. These did active part had fair position as mother·wife·daughter-in-law·daughter within family and finish home preservation, faith about husband, filial piety about parents through this. This activity is evaluated high from the country and was recognized reception that correspond to him as receiving because drops 'Commendation'(旌閭). Also, could how whether women's resistance determination was some in the war through women's image that can know that contributes and was recognized such public moral from the country for society outside family through women who public moral is at circle, and opposes in foreign enemy's intimidation at the time of the war. Beside, could know activity of lower layer women who understand correctly sworn relation about social position and circumstance that oneself is placed despite did not take teaching that is specific through woman servants who kept sworn relation through conservation of revenge or descendants about master and practiced this actively. 'Woman Biographies'(女性傳) can know that interest about woman was increased in various hierarchical because Joong-in(中人), woman, monk etc. are included because most of the bitter hear 18th century although it is 'yangban'(兩班). When see thing which ratio of writers who live in 'Seoul' locally is high, can know that new interest about social studies·economy·cultural variation and woman who center Seoul increased. As these grow as 'Gyaenghwasajock'(京華士族) and lead learned circles, learned circles began to get divided by Seoul and local. Therefore, Seoul and same native place of scholars separated into local and same native place of 'Woman electricity' were done together. This is, plain that accommodate new teaming shows new angle and society criticism relationship about bitter woman who gouge 'Woman Biographies'(女性傳) that Geunginoron(近畿老論), 'Soron'(少論), 'Gihonamin(南人)'. Purpose was thing to praise woman's actuality Filial duty·keeping faithfulness basically and conveys in coming age. But, by praising and emphasizes woman's actuality filial duty·keeping faithfulness in circle raveling since the war more fundamentally, to peoples to encourage Confucianism moral principle. And 'Yangban'(兩班) I wished to make by opportunity that emphasize, and reflects on relationship as oneself 'Sadaeboo'(士大夫). Thus, Chosun(朝鮮) 'Woman Biographies'(女性傳) are Chosun(朝鮮) age woman's image as well as altered circle at that time as it is reflect. Woman's studies data must confirm meaning of woman relation data and necessity that appear on other recording with collection of works rather than depend on only Data recording in the country in short real. And through repletion with existent Data recording in the country, will have to reconstruct women's life at that time. Here is 'Woman Biographies'(女性傳) relationship meaning as woman study data. It was work that is necessary basically to study Chosun(朝鮮) age woman to clear personality the Korea data enemy to 'Woman Biographies'(女性傳) that is one of woman research material. forward, need deep analysis treating for collection and woman investigator fare of woman research materials of except. And this will become nature of Chosun(朝鮮) age woman history study.

      • 하천변 아파트 주동 배치에 따른 향, 조망가치 비교 분석-대구시 신천변 아파트를 대상으로-

        朴性姸 慶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out the value-change on orientation and view by analyzing the apartment layout. The case of this study is 43 and is located at waterfront of Shin-Chon river. It is surveyed the layout, mass, orientation, view axis and the day of completion etc, of the cases. Moreover,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the occupants that live in waterfront apartment, it is surveyed the occupants's conscience on the value of orientation and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able to set up the guideline for the designing apartment to build at waterfront. and to read out the value of orientation and view in recently. Moreover it is able to be used for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cene and image control of the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 ; Firstly, the apartments located at waterfront are more oriented to the river to see the excellent view than the ones that located in rear site. Secondly, the apartments located at waterfront are more frequently tower-type mass, but the apartments of the rear site are more frequently flat-type mass. Thirdly, apartments has tower-type than flat-type mass have been built in waterfront in recently. Fourth, As a results of conscious survey of the occupants, the value of orientation is conceived as functional and necessary one, but the value of view is conceived as option and bon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