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Park, Seonhye(박선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문서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놀이와 관련된 용어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역사적 변천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 1차 유치원교육과정부터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까지 문서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놀이’와 관련된 단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장을 대상으로 단어 행렬화 작업을 하고, 네트워크 핵심 개념에 따라 분석하였다. UCINET 프로그램, Pajek 프로그램, Netdraw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각 시기별로 놀이를 중심으로 강조하는 내용이 시대 에 따라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놀이 관련어의 분포와 구조 측면에서 현재 시행 중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가장 비체계적으로 나타났으며 극놀이, 예술 및 표현, 활동 부분에 편중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놀이를 비롯한 유아교육의 핵심 개념 정의가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정치적인 이유에 의해 개정되었거나 개정 시기가 임박하여 급하게 개정된 체제를 반성하고 유아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과거의 내용 중에 지속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새로 도입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철학적, 역사적,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concerning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NKC) throughout its history, from 1969, when it was first established, to its present (eighth) version. The analysis was processed within the order of data cleaning, co-occurrence matrix an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sentences related to ‘play’ in NKC documen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varies on the words related to play in each period. After analyz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play-related keywords in the NKC documents, the text network of the eighth curriculum was found to be the most heavily slanted, focusing on only small areas compared to the earlier curricula. In terms of an unbalanced description of play, the eighth curriculum was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the seventh, especially in its focus mainly on dramatic play and activity in its documents. As the number of revisions increased, the scope of the term dramatic play became narrower, covering simply art and expression. This trend indicates that, unlike past practices, ahistoricism should be avoided when the next NKC is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basic research and field study must be carried out and philosophical, historical, and critical studies should be reviewed so that the points of dispute be resolved prior to future revisions of the NKC.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 과정의 반성적 사고 분석

        박선혜(Park, Seon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중심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설계-계획-실행-평가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30명이고, 모의수업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질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결과 첫째, 모의수업 설계 및 계획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은 유아교육 원리를 반영하여 수업을 계획해야 하며, PCK에 기반하여 수업 매체와 환경을 적절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모의수업 실행 단계에서는 유아 중심 교수법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원활하고 매끄럽게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셋째, 모의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예비교사 스스로 평가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보며 평가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모의수업 과정에서 동료와의 협력을 통해 발전하고,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역량을 갖추어 나갈 수 있는 자신감을 가졌으며, 전문성을 가진 교사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발견하였다.결론 예비유아교사가 프로젝트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적용하여 모의수업을 진행한 과정에서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모의수업 설계 및 계획, 실행, 평가 단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양성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reflective thinking by applying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n the process of design-plan-execute-evaluation of simulated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analyzed qualitativel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imulated clas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stage of designing and planning simulated classes,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y should plan classes by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properly present the teaching materials and environment based on PCK. Second,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interact and naturally proceed the class through the child-centered teaching method in the stage of simulated class execution. Third, in the evaluation stage of the simulated class, they learned how important evaluation i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proces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 만족도 분석: 경기도 권역별 구분을 중심으로

        박선혜(Park, Seon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청소년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이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참여 학생 선발 및 프로그램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2019년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 참여학생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교육단계에 따른 청소년의회교실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습경험요인에서 모의의회 역할유무와 경기도 지역 권역별 구분에 따라 만족도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부권역은 동부권역과 비교하여, 북서부권역은 동부권역과 비교하여 긍정적인 만족도가 제시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구성요인에서 참여학교 수와 참여학생 수에 따라서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넷째, 평가요인에서 자기보고식 학습이해도 수준인 의사결정과정이해도 및 지방의회이해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교육단계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권역별 구분에 따른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초등학생은 지역 권역별 구분에서 경기도 남부권역과 동부권역 그리고 남부권역과 북동부권역의 만족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농촌지역과 제한된 경제발전 권역 등 참고하여 참여학생을 모집하고 선발하여야 한다. 또한 유사 권역 안에서 학교조합시 참여학생에 맞춘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경기도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고른 학습 기회 제공을 위한 참여 학생 선발기준과 학습 만족도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설계에 대한 함의점이 제시되었다. The results of my research into the Gyeonggido Youth Council Learning Program suggests that it should be expanded in line with its importance in youth civic programs, and especially so when considering the neighborhood effect. First, the statistical comparisons of gender and schooling levels have not checked. Second, the specific roles and regions provide satisfactor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s. Third, both the number of school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have a direct statistical relationship and impact upon with satisfaction levels. Fourth,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regional assembly operates allows us further information on how and why results on satisfaction levels differ. Lastly, the neighborhood effect was regionally influenced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amongst both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type of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which derive from differing level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naturally lead to differentiated results when it comes to program satisfaction levels. A key implication is student recruit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youth programs, and these need to give due consideration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Some disputed issues remain to be discussed for youth program approaches and the neighborhoods of Gyeonggido.

      • KCI등재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모의의회) 분석: 만족도 분석 중심으로

        박선혜(Park, Seon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만18세 선거권 하향에 따라서 청소년의 참정권, 권리 및 민주시민교육 등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사례 및 문헌검토와 더불어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모의의회) 참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의회교실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과 청소년의회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회교실의 참여수준은 조작(manipulation)과 정보제공(information) 및 자문(consultation)단계가 혼재되어있다. 둘째, 성별과 교육단계별로 청소년의회교실 만족도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요인 측면에서 모의의회 역할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구성측면에서 회당 참여학생 수가 많을수록 만족도에부적 영향을 끼쳤으며, 회당 참가학교 수에 따라서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보고식(self-reported) 평가요인에서 토론 및 경청을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도 및 지방의회(경기도의회) 역할, 체계 및 기능에 대한 이해도 모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단계별로 만족도 요인을 살펴보면, 참여학생 수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소규모 집단의 단일학교로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 다수의 학생으로 지방의회이해도 관련 학습 및 토론 프로그램 설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단계별로 차별화된 청소년의회교실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청소년 참여의 수준을 제고하는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In an age of declining suffrage, a further discussion for youth civic engagement would seem necessary. This article will present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s of participants the Youth Council at the Gyeonggi-do Assembly.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Youth Council Learning Program is in the levels of manipulation including those of the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Second, the statistical comparison of schooling levels shows a number of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Third, specific roles can mak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upon satisfaction levels. Four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satisfaction levels exhibit an inverse relationship.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chool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how the regional assembly operate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levels. Lastly,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schools demonstrated differentiated results depending on schooling levels. A key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how to make tailored programs according to schooling levels in terms of program content and management. Some disputed concepts remain, to be discussed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rights and youth councils.

      • KCI등재

        Text Network Analysis of Activity Goals of Social Learning in the Teaching Manual of Korea’s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Park, Seonhye(박선혜),Cho, Woonju(조운주)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사회관계 활동 목표를 비교 · 분석하여 유아사회교육의 현황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회관계 활동 목표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가 연령별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어떠한 단어로 목표를 주로 설명하고 있는지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다량의 문서 자료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 사회관계 활동 목표를 기술할 때 연령에 따라 공통적이거나 차이가 드러나게 사용되는 단어들이 구분되어 나타났다. 또한 유아사회교육 측면에서 있어서 사회정서발달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하게 사용되었고, 상대적으로 사회과학지식과 관련된 단어는 적게 사용되어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사회 활동 목표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시각화하고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유아사회교육 및 교육과정 개정에 참고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oals of social relations activities in teaching manual for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ext network analysis of social relations activity goals by age and analyzed the tendency of what words mainly describe the goals. Methods : The research method was compare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which can analyz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 large amount of document data. It is useful method to analyze numerous text materials, giving a one-stop view of analysis result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describing the goals of social relations activities, words that are common or different in age are distinguished. Also, words related to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were mainly used in the aspect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and relatively few words related to social science knowledge were used. Conclusion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social activity goals presented in the teaching manual using text network analysis so that it can be seen at a glance and can be viewed as a whol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revision of social education and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 KCI등재

        예비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보편적 인성 및 교직 인성 요소 탐색

        박선혜(Park, Seon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어린이집 현장에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보육교사가 올바른 인성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질 높은 프로그램을 위해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조건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보편적인 인성과 교사로서의 인성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예비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바를 탐색해보았다. 보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 39명의 반성적 저널과 실습일지의 평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예비교사는 영유아와 교사, 어린이집의 다양한 상황을 보육실습 기간 동안 겪으 며 보편적인 인성과 교사로서의 인성의 요소를 자연스럽게 경험하였다. 보육교사 인성 요소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는 실습의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는 향후 좋은 교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보육실습에 참여하는 예비 교사와 실습지도교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조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It is a basic condition for the quality program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living with the infants and toddlers in the day care center must have the right pers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based on the importance of universal personality and personality as a teacher.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reflective journal and the practice journal of 3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hild care practice were derived.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s of infants,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during the day-care training period and naturally experienced elements of universal personality and personality as a teacher. It is sugges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will be able to become good teachers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 personality factor of the child car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preparing preliminary teachers and practical guidance teachers to participate in child care practice.

      • KCI등재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관점 성향 분석

        박은혜(Park, Eunhye),박선혜(Park, Seonhy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및 어린이집교사의 교수관점에 대한 성향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직 교사 357명을 대상으로 Collins와 Pratt이 개발한 교수관점측정도구(TPI)의 문항을 온라인 설문조사 형식으로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TPI는 교육내용 전달, 실제 연계, 발달 이해, 정서적 지지, 사회맥락 고려의 5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9개, 총 4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가장 중시하는 교수관점은 양육에 해당하는 ‘정서적 지지’였고 반대로 대부분 교사들이 경시하는 교수관점은 ‘발달 이해’와 ‘사회맥락 고려’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변인에 따른 차이는 대체로 담당하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교수관점별로 교사의 학력, 전공, 기관유형,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최근 유보통합 정책 추진 및 유치원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 시행 등 유아교육 분야의 변화가 예측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가 가장 중시하는 양육과 돌봄 관점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직전 및 현직교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of teaching perspective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57 in-service teachers and Teaching Perspective Inventory(TPI) was implemented via on-line survey. TPI is divided into 5 categories- Transmission, Apprenticeship, Developmental, Nurturing, and Social Reform. It consists of 9 questions per each category, which makes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4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3.0.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tend to attach importance to Nurturing, while they disregard consideration on Developmental and Social Refor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perspective among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depending on age of the infants they teach, and each category of perspectives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s, major,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o have a meaning change of the current policy regarding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n Korea. It is required to have in-depth discussion on the perspectives focusing on nurturing and caring, whic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em a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perspectives.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way organizing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sustainable lifestyles) 활동내용 분석

        박은혜(Eunhye Park),박선혜(Seonhye Par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사용 참고 자료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활동내용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활동은 전반적으로 경제범주와 사회 범주에 속한 활동이 많았고 상대적으로 환경 범주의 활동은 적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정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의 조화가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누리과정 주요영역별 분석 결과 사회관계영역에 활동이 편중되어 있었고, 셋째, 활동영역(유형)별 분석 결과 역할놀이영역에 치우쳐 있어 다양한 교수방법 및 전 영역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추후 유네스코에서 제안한 다른 주제나 우리나라의 로컬 이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적용가능성과 실천방안 등을 모색해보는 것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 olds’ ‘and ’Day Care Program based on Nuri curriculum of 5 year old’ focusing on sustainable life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in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mainly focus on economy and society rather than environment. Since the balance amo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areas is very important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urriculum is needed to be revised in a more integrated way. Second, the activities emphasiz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main learning areas of Nuri curriculum. Third,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role play area were ranked highest among the various types of activity. Therefore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areas for education in sustainable lifestyle need to be practiced in more various learning areas and activity types. The study suggested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ed to local issu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 수록된 전이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조해연(Cho, Heayoun),박선혜(Park, Seonhye),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 수록된 전이 관련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2019년 출판된 대학 교재 중 ‘전이’와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영유아교육 관련 도서 49권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이’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워드클라우드, 연결망, 시각화, 연결정도중앙성, 사이중앙성을 제시하고 ‘전이’ 관련 단어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전이’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에서 활동이 가장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시간, 유아, 전이활동, 사후, 계획, 교사, 사전, 놀이, 정리정돈 등의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다. 결론 영유아교사 양성과정 교재에서 소개되는 ‘전이’의 내용이 편중되어 나타났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전이에 대한 개념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교재 내용 구성에 있어 이론과 실제가 균형을 이루도록 집필되어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이에 대해 영아와 유아의 발달차를 고려하지 않고 유사하게 설명되고 있어 영유아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안내가 필요할 것이다. 분석 결과, 전이는 주로 교사의 원활한 일과 운영에 초점을 두어 설명되고 있었으므로 향후 영유아 중심의 전이로 전환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by extracting the keywords related to transition contained in text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Methods For this purpose, texts containing the keyword ‘transition’ in the textbooks published in 2011-2019 were extracted and used as analysis data,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activity’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word in texts containing the keyword ‘transition’, followed by time, children, transition activity, post, plan, teacher, pre, play, and clean-up time. Conclusions The contents of ‘transition’ introduced in the textbook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was found to be biased. The concepts of transi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eeds to be re-established. The textbooks should be written in such a way that theory and practice are balanced, so that it should provide practical help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since the textbooks describe ‘transition’ similarly without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betwe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differentiated guidance will be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ransition’ was mainly explained by focusing on operating the smooth daily routine for teachers, so it was suggested that ‘transition’ needs to be explained with a focus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 KCI등재

        미국(NAEYC)과 한국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부모참여 비교 연구

        유선영(Yu, Sunyoung),박선혜(Park, Seonhye),조해연(Cho, He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NAEYC의 부모관련 영역 및 부모 참여 형태를 우리나라유치원, 어린이집 평가와 비교 분석하여 평가지표 발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 NAEYC 평가인증, 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인증 중 부모관련 영역 지표가 제시되어 있는 온·오프라인 문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평가에 비해 미국 NAEYC의 평가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부모 및 가족을 참여시켰 다. 또한 NAEYC는 평가 항목에 의무적으로 부모 설문지를 포함하여 부모가 평가에 참여하게 하고 평가 결과를 상세히 공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의 경우 부모 참여 형태가 제한되고 부분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 모 참여가 문서상 형식적인 형태가 아닌 기관과 가정이 협력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을 확인하는 방안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미국 NAEYC 평가인증 지표의 부모관련 내용과 부모참여 형태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차용하여 부모만족도 조사를 강화하는 것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Major transit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recently occurred in Korea. Such changes relate to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nd now is a good time to revisit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of government-initiated policies; hence, parents are now able to choose the suitable institution from among a wide range of selections. Furthermore,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institutions and famili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 and the quality of the programs themselves. Hence, identifying how parents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s necessary. In relation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n national evaluation criteria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parents’ participation as an evaluation indicator in the NAEYC in the US and in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For the study, resources like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and web-based contents related to parents’ participation as an evaluation indicator were collected from Websites. As a result, the NAEYC provides detailed guidance to parents and families as part of evaluation indicators to determine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It is a required part of an evaluation process tool.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used to check and verify the quality of the institution being evaluated. In order to carry out the proper evaluation of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uthorities should consider parents’ participation and how they experience the improvements. Furthermore, providing the indicators to check out the co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families towards the common goal of quality improvement is also important. The study suggests that more active parents’ participation, which can be solicited through detailed surveys, should be required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Korea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