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록타임제 중학교 사회수업의 구성형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일상의 최적화론과 수업정책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선운 ( Sun Un Park ),조영달 ( Young Dal C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lock scheduling Social Studies classes. For this purpose, micro-ethnographic research such as classroom observations, videotaping,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was performed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of first-grade in a middle sch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ree concepts; ``Lesson org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 mode``, and ``Transformation of content struc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lock time classes focused on delivering knowledge and memorizing unlike its original intention because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multimedia and the Internet materials were functioning as means for class efficiency. Second, teachers run two independent but same classes repeatedly in one block scheduling class. Third, behaviors of teachers reflected the perception of the change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system; that supports Optimization in Teaching of Everyday Less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thick description about new educational policies and world of the real classes. And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goals of a new instructional policy and teachers` behaviors, we should deeply consider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eaching of everyday lessons. Finally, the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should be facilitated for teachers to accept new attempts and changes in education.

      • KCI등재

        성 소수자 관련 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 다문화 시민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선운 ( Park Sunun ),윤경 ( Park Yun-k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는 성 소수자 관련 이슈들에 대한 우리 사회 청소년들의 의견을 확인하고 이에 내재한 포용과 배제의 논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수행하고 이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성애와 관련하여, 학생들 대부분이 자연스러운 감정이자 개인의 권리라는 수용적인 입장을 제시한 반면, 일부 학생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잘못된 선택이라는 부정적인 입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동성 결혼 합법화에 대해서는 개인의 권리이자 과도기적인 혼란은 극복 대상이라는 긍정적인 입장과 사회 안정에 부정적이고 시기상조라는 부정적인 입장으로 양분되었다. 마지막으로 동성 커플의 입양 및 자녀 양육과 관련하여, 동성 부부 자녀가 겪게 될 어려움과 부모됨의 결함을 이유로 반대하는 입장이 우세한 가운데, 가족의 사랑과 유대 관계를 더 강조하는 소수의 입장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 청소년들이 성 소수자 관련 이슈들에 대해 사안에 따라 복합적인 사고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적 영역을 넘어선 제도화된 시민적 권리의 영역에서 ‘이성 부모-자녀로 구성된 가족의 정상성 규범’이 성 소수자에 대한 배제의 논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시민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dolescents’ ideas on the issues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and understand the assumptions and rationale behind their opinions. Thirty-two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had accepting attitudes toward homosexuality based on the belief that homosexuality is a natural emotion and should be respected as an individual right. A few students who had a negative view of homosexuality indicated that homosexuality is abnormal and results from a wrong personal choice. Second, regarding legalizing same-sex marriage, students who favored the legalization argued that same-sex marriage is an individual right and that any disorder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or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must be overcome.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opposition suggested that the legalization is untimely because negative attitudes toward sex minorities are still prevalent in society. Lastly, regarding the adoption and parenting of same-sex couples, most students had an unfavorable opinion; they were worried the adopted children would be bullied and raised by dysfunctional parents of an abnormal family. Only a few students emphasized love and family bonding more than parents’ sexual orientation. This study shows that adolescents have complex attitudes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sexual minorities. Furthermore, the study presents that the idea of a normative family, consisting of heterosexual parents and their children, works as the logic behind the exclusion of sexual minorities in the realm of institutionalized civil righ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연구 방향 탐색 :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의 지향을 위하여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4

        인종, 민족, 언어, 종교, 성적 정체성 등의 문화적 다양성이 계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집단 공동체 및 개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에 주목하여 다양한 배경을 지닌 집단 및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의 질적 향상과 양적인 증가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0년 후반부터 미국 교육학계에서 대두되어 논의된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culturally sensitive research, CSR)의 개념과 이의 발달과정,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연구의 전과정에서 ‘문화’를 핵심으로 두는 CSR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연구참여자와 그의 문화공동체 집단 구성원이 지닌 문화적으로 특수한 지식을 연구의 과정에서 사용하며, 문화공동체 집단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을 소외시킬 수 있는 주류지식의 지배에 대해 문화적으로 저항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하고, 보고함에 있어서 문화집단이 지닌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화적으로 민감한 방식으로 자료를 해석하며, 학계 및 실천공동체에서 문화적으로 풍부한 정보를 지닌 이론과 실천을 생산하고 공유한다. CSR의 위와 같은 특징은 연구수행의 각 세부 단계―연구 문제의 형성과 계획, 자료의 수집, 자료의 분석과 해석, 연구 결과의 보고와 전달―에서 적용되며, 전체 연구단계에서 연구자는 끊임없이 자신의 위치성과 자신의 문화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지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CSR의 아이디어를 교육 연구의 수행과정에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연구자의 양성, 연구방법론의 확장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cultural diversity, in terms of such factors as race, ethnicity, language, religion, and sexual identification, continues to grow, the number of studies on communities and individual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has been increasing in South Korea. Considering these chang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hodological ways to improve research o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ith cultural diversity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The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ly sensitive research (CSR)”, which has been discussed and developed in the late 1990s in the United States. CSR centers ‘culture’ in the entire course of the research. It adopts culturally relevant research methods, uses culturally specific knowledge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cultural group members, and resists mainstream cultural paradigms that marginaliz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It analyzes and interprets data in a culturally sensitive way, produces theories and practices with culturally rich information, and shares it with cultural communities. The characteristics of CSR permeate into each stage of research.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CSR researchers engage in ongoing reflection and research on themselves and their cultures.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idea of CSR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educational research in South Korea. It also provides recommendations to develop Korean researchers’ competence in performing CSR and advance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경제적 합리성과 형성 요인 -경제교육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박선운 ( Sun Un Park ),조영달 ( Young 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1 경제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lific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in Korean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economic rationality was carried out to 704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The survey revealed that (1) Korean students do not qualify as a high standard in economic rationality, (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content of economic rationality that students acquired; the acquired levels for each content are low except for ``cost-benefit analysis``, and (3) there are some factors that influence on each content of economic rationality such as gender, GPA, grade(school years), economic state of family, and taking economics courses. However, there is no factor that leads to ``pursuit of self-interest.`` The results of this survey might suggest that economic educ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alific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is needed for Korean adolescents in post-crisis economic world.

      • KCI등재

        사회과 서·논술형 평가 개선 방향 모색 : 한국과 미국 워싱턴주 사회과 서·논술형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박선운(Park, Sunun),황미영(Hwang, Mi-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사회과 서·논술형 평가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워싱턴주에서 개발된 사회과 서·논술형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인 구성 측면에서 한국에서는 평가와 연계한 교수·학습활동과 구체적인 피드백 내용을, 워싱턴주는 평가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학생용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문항의 형식적 측면에서 한국과 워싱턴주 평가 문항 모두 응답 제한형, 구체적 및분석적 채점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은 자료 제시형, 워싱턴주는 단독과제형으로 평가 문항이 제시되고 있었으며, 채점 기준으로 한국은 사회과의 내용적측면을, 워싱턴주는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된 지적 활동(AIW) 을 기준으로 한국과 워싱턴주의 서·논술형 평가 문항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는 자료에 제시된 학문적 내용에 대한 이해와 재구조화 능력이 주로 평가되고 있었으나, 워싱턴주에서는 선지식에 대한 종합 및 평가를 강조하며, 학문적 내용 및 탐구과정을 요구하는 문항이 제시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은 학교 너머 학생들의 삶과 관련된 내용이 평가 문항의 자료로 제시되어 세계와의 연계가 명시적으로 이루어지고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서·논술형 평가 본연의 목적과 취지를달성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ssessment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compared essay-type assessments in South Korea with those of the Washington States, U.S.A. The comparison criteria included the assessment structure, format, and content of assessment items drawing from the concept of authentic intellectual work(AIW).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Washington State assessments include items, rubric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common. While Korean assessments provid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feedback examples along with the test items, Washington state assessment offers various student resources that guide students’ completion of the assessment task. Second, both countries adopt a response-restricted, concrete, and analytic scoring system in the essay-type assessments. While the Washington State test item gave student tasks solely, the Korean essay-type assessments provide problem cases and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tasks. Third, the assessment task in Washington State required students to evaluate and synthesize prior knowledge, and to engage in the academic inquiry process. Fourth, Korean assessments have strengths in connecting students’ knowledge to their lives beyond schools. However, they mainly evaluate students’ reconstruction skills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to improve the essay-type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난민 교육 내용 분석

        박선운(Sunun Park),안소현(Sohyun An),윤경(Yun-Kyoung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난민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사회』와 『통합사회』 교과서, 미국의 50개 주 사회과 교육과정 및 주요 출판사의 교과서에 대해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 교육과정 모두에서 난민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소수 언급되고 있는 난민 교육 내용은 두 국가에서 모두 국제 사회 문제, 인구 이동과 관련된 단원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국제 사회 및 세계적 인구 이동과 관련된 내용으로, 미국에서는 미국 안보 및 미국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도 다루어지고 있었다. 난민은 주로 국제 사회의 지원을 요구하는 집단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최근 난민의 삶을 보여주는 자료를 활용하도록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명시하고, 미국 특정 주에서 난민의 사회 기여에 대해 서술하고 있었으나, 난민의 인권과 삶을 다루는 내용은 두 국가 모두에서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에서의 난민 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난민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난민과 함께하는 통합적인 교육으로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presentation of refugee-related content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outh Korea. It also examin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of 50 states in the U.S.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major U.S. publis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fugees are scarcely mentioned in both the Korean and the U.S. social studies curricula. Second, in South Korean curricula, refugees were predominantly addressed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problems and global population movements. In contrast, U.S. curricula covered refugees concerning U.S. security, U.S. history, and global and domestic population movements. Third, refugees were commonly depicted as a group requiring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there were some efforts in South Korea to incorporate learning materials depicting the lives of refugees and in the U.S. to highlight the contributions of refugees to society, there is a limited number of contents addressing the human rights and lives of refugees in both countries' curricul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ncreased attention to refuge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mphasizing in-depth discussions on the content of refugee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recommends shifting the direction of refugee-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oward education 'with' refugees.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 개념 분석 및 개선 방향 탐색: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박선운(Park, Sun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이 연구는 초등 사회과에서 ‘문화’ 개념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문화 관련 단원에 나타난 텍스트와 시각 자료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문화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활양식으로 정의되며, 문화의 주요 예시로서 의, 식, 주 방식과 사람들이 즐기는 활동이 제시되고 있었다. 문화 차이의 제시에 있어서는 출신 국가와 피부색(인종 및 민족)의 차이가 강조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 사회과에서 문화가 ‘국경’으로 작동하여 타국, 타 인종 및 민족을 구분하면서 개별 문화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그려지며, 문화 다양성은 편견이나 차별과 같이 사회 문제를 생성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제시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초등 사회과에서 제시되는 문화 개념이 다문화 사회에서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며, 문화, 문화 차이, 문화 다양성(과 존중)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사회과 교육자 및 연구자들의 협력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culture’ is presented in elementary-leve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uthor conduct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text and visual data in the Revised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for grade 4, and the teachers’ guidebook. Findings indicate that culture was defined as a lifestyle shared by people in a society. The concept of culture was exemplified by various types of food, clothes, shelter, and activities that people enjoy. The country of origin and skin color (race and ethnicity) were described as major elements that distinguish cultural difference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culture is considered as a border that distinguish nationals, races, and ethnicities, and works as a standard to evaluate individuals or groups. Moreover, cultural diversity was represented with negative images and connected wit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ion of culture, cultural difference, and cultural divers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o educate students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윤경 ( Park Yun-kyoung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 및 사회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4개에 실린 논문 125편을 크게 연구 영역,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및 연구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의 연구 영역 중에서 인종·민족 영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결혼이주 가족구성원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측면에서는 학생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그중에서도 대학생 이상 성인과 초등학생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연구 패러다임의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 관점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연구들이 많았고, 그다음 다원주의나 동화주의 관점을 반영한 연구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영역 및 참여자 확장, 질적 연구 방법의 다양성 및 엄밀성 제고, 그리고 연구 관점의 명료화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this end, 125 articles published in four journals from 2003 to 2020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areas, participants, methods, and research paradig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ace and ethnicity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area. Seco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adult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basic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Lastly, studies that did not clearly reveal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the most followed by studies that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pluralism or assimilationism.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areas and participan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enhancement of divers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larification of research perspectiv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성혁(Park, Sunghyeok),조영달(Cho, Youngdal),성경희(Sung, Kyunghee),박선운(Park, Sun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배경의 교사들이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언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적합한 연수과정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관심이나 인지도, 제도 및 연수 만족도 측면에서는 진학지도 담당/일반계고 교사, 고3 지도 경력 및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놈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수 만족도 항목은 3점대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기대효과 측면에서는 부장교사, 진학지도 담당 교사, 연수 경험이 있거나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내용의 중요도 측면에서는 세 집 단 모두 모든 항목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응답하였으며, 특히 입학사정관 전형의 실제적인 준비와 관련된 내용은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만족도가 낮으면서도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 한 인식이 높다는 점,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점에서 교원 연수가 입학사정관제의 안정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직급, 담당교과, 학교 유형, 근무지 등 다양한 배경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의 세부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맞춤형 연수 과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proper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at a general high school and in a small-sized region, have experiences of senior class,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questions of interest/recognition/satisfaction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satisfaction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Even though teachers answered each item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they were dissatisfied wi th the in-service program of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in a small-sized region,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nswered more positively to the questions of expected effects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They agreed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ould select qualified and potential students, but all the other effects would be limited. Third, in the questions of importance of training content, all the teachers answered with high scores in all the sub-item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Especially, the content related to practical preparation of college admission showed the highest sc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constructing the proper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 understanding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s follows. First of all, in order to stabilize an admission officer system,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sustained and strengthe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raining satisfaction scored low, while significance of training content scored high and the teachers who have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Nex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consist of diverse content that can meet the diverse needs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