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연령 종일반에서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박부숙(Boo Sook Park),최순자(Soon Ja Choi),백지숙(Ji Sook Back)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핸드벨을 통한 음률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치원 종일반 유아들에게 적용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주1회, 12주간 서울시에 위치한 C유치원의 3~4세 종일반 유아 15명에게 누리과정을 토대로 유아들의 흥미와 발달특성에 맞는 핸드벨음률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핸드벨의 유래, 연주 시 지켜야할 약속, 부분적 문학적 도입, 교구나 게임을 이용한 음표활동 등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와 유아의 상호 주도적인 진행으로 역동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3~4세 유아들이 핸드벨 연주에 흥미를 갖고 쉽게 접할 수 있었고, 핸드벨 연주 과정에서 협동심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였다. 종일반 교사는 특별활동에 의존했던 수업을 자신이 직접 해냄으로써 도전과 기쁨을 느꼈다. 후속연구로 종일반 교사 자신의 변화에 초점을 둔 종일반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Objective: This study composed a melody program through handbells, and applied it to the mixed-age edu-care children. Methods: This study implemented a handbell melody program suitable for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Nuri Curriculum, to 15 mixed-aged edu-care children aged 3 to 4 at C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for 12 week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5. Results: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origin of handbell, promises to keep in playing the handbell, partial literary introduction, and musical note activities using teaching aids or games in an integrated way with other areas. Through the program, dynamic class could be carried out with mutual leading participation of a teacher and children. Consequently, children aged 3 to 4 could easily encounter playing the handbell, being interested in playing, and showed cooperative spirit and society-friendly behaviors. The mixed age edu–care teacher felt pleasure and achievement of challenge by performing the class herself, which had depended up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A further study as action research for edu–care teachers, focused on change of edu-care teachers themselves, is proposed.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통합적 인성교육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행복 의미 탐색

        박부숙(Park, Boo-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통합적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행복 의미를 탐색하였다. 참여자는 S시에 위치한 K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6명으로 주 1회 1시간 30분씩 15회기를 실시하였다. 통합적 인성교육프로그램은 교사 자신이 스스로의 인성을 인식하고, 인성 함양이 행복 증진과 연결됨을 이해하였으며, 다양한 교수방법으로 진행하여 역동적인 수업이 되었다. 또한 통합적 인성교육모형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자존감 향상과 더불어 행복감을 증진하는 실천적 지식과 역량을 갖게 되었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행복 의미는 감사한 마음과 베풂의 마음, 생각과 행동 바꾸기를 통한 ‘화’ 가라앉히기, 자신의 자존감을 높여 ‘에너지’ 충전하기, 화가 나는 상대에게 행하는 배려와 존중, 교사 자신과 관련된 모든 사회구성원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관계 등에서 행복감을 느끼고 있음을 자각하였다. 또한 행복해지려는 자발적인 의지와 연습은 행복을 가져오고 행복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기 명료화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composed and conducted an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process and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ing of happin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childcare teachers of K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Concerning the study period, 15 sessions were carried out (one and a half hours per session per week). In the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teachers themselves perceived their own personality and understood that personality cultivation is connected with happiness promotion. They obtained practical knowledge and competence promoting a feeling of happiness, as well as self-esteem improvement by applying the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model to real life. As for the meaning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proces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felt a feeling of happiness in the following: thankful heart and benevolent heart, calming down through thinking and behavior change, restoring energy enhancing self-esteem, consideration and respect towards the other party bothering them, and community relationship in which all society members related with the teachers live togeth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voluntary will and practice brings happiness a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larification on happiness is important.

      • KCI등재후보

        놀이 중심 교재교구 제작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탐색

        박부숙(Boo-sook Park)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2019년에 개정된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과 제작된 교구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처럼 놀이하며 겪게 되는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교재교구 제작과정에서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를 알게 되었고, 협력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또한 결과물보다는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과정에 의미 두었다. 거듭되는 시행착오는 문제해결의 기회와 성취감을 주었다. 수업시간에 자유롭고 지지적인 분위기는 동기부여가 되었고, 몰입의 즐거움을 주었다. 제작된 교구로 유아처럼 놀이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놀이로 확장되었고, 놀이 과정에서 교구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배움의 기회가 되었다. 그동안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역량이 증진됨을 느꼈으며, 현장에서 수업할 때 교사의 역할도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이 제작한 교재교구를 활용하여 실제 유아들이 놀이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이를 보완하여 놀이중심 교재교구를 제작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that prechild teachers experienced while playing like infants by using the experience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Play-Oriented curriculum revised in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learned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aching materials, an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addition, they feel more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aching materials than the results. Repeated trial and error gave them a sense of achievement and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 The free and supportive atmosphere in class motivated students and gave them the pleasure of immersion. Students expanded to another play in the process of playing like infants with produced teaching aids, and they discovered problems with teaching aids in the process of playing, which became an opportunity to learn. Students felt that their competency was improved by using the knowledge they had learned so far, and they learned that the role of teachers was also important when teaching in the field. This study proposes to use the teaching materials produced by students to explore the actual appearance of infants playing and to supplement them to produce play-oriented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 탐색

        김동례(Dong-Re Kim),박부숙(Boo-Sook Park),송명숙(Myung-Sook Song)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을 탐색하였다. 참여자는 G시 S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6인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습과정과 적용과정을 질적연구하였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학습과정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친화력 부족에서 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디지털 기기 다루는 방법을 실행하며 서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면서 배우는 즐거움을 느꼈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목적을 가진 모임답게 팀워크를 발휘하며 지식을 구성해 갔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현장 적용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교육을 접하면서 유아와 같은 호기심이 생겼고, 유아교육 현장과 연계하여 실천적 지식이 되도록 디지털 교육의 순기능을 살리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과목마다 디지털 교육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서 교수자를 위한 다양한 공동체 모임과 연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faculty community experience to consolidate the digital competence of S University students in G City. The participants were six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formed a program to strengthen digital capabilitie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program learn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As a result of learning process exploration of the professors for digital competence consolidation, they tried to get out of fear deriving from the lack of digital-friendliness, implemented digital devices handling methods, made creative ideas each other, and felt joy of learning. As a community with a goal of reinforcing digital competence, they demonstrated teamwork and built up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ofessors’ onsite application exploration result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they had child-like curiosities as they encountered digital education and tried to make good use of digital education’s positive function so that digital education can become practical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decided to apply digital education to the curriculum of each subject in order to enha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various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teachers are expected to be invigorated for consolidation of digital compet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