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교육 유형에 따른 컴퓨팅 교육 학생 선호도 분석 연구

        박미현(Mihyun Park),허균(Gyun He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A)

        코로나 19 이전까지 원격교육은 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원하는 성인 학습자에게 선호되는 자기계발 교육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 교육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을 때 학습 만족도나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자발적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학습자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원격교육의 교육 서비스 향상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으로 행해진 원격교육이지만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나쁘지 않았다. 다만, 적절한 과제와 피드백, 그리고 교수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록 원격 강의의 수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수자의 역할이 단순히 수업 콘텐츠 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편리한 학습 환경을 위한 교육 통합 플랫폼의 개발이 우선 되어야 한다. 보안이 확실하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원격수업 시스템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교수자와 원활히 상호작용하며, 수업 관리 및 평가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방식은 온라인 시험보다는 대면시험을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방안으로 보인다. 차후에는 빅데이터 기반의 공정성이 보장된 온라인 평가시스템도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Hyun Park),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 계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교사 2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교수효 능감, 창의적 인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유아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의 창의적인 인성의 특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기회와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자신의 신념과 자신감을 기르기 위한 유아 교사 개인의 노력도 함께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find a way to improv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area, and data processing, including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43% were explained, followed b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upport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together with individual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ultivate their own beliefs and confidence.

      • KCI등재

        머신러닝 분류기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습 부진 예측모형 개발연구: 대구교육종단자료를 중심으로

        박미현 ( Mihyun Park ),허균 ( Gyun Heo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고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학업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대구교육종단 연구에서 수집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 부진을 겪고 있는 학생 특징을 6가지 대영역으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또한, 머신러닝 기법 중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 부진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예측 주요 변인 상위 20개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사교육 관련 요인들이 학업 부진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변수들이 학습 부진 영향 요인으로 다수 확인되었다. 이는 고교진학계획과 함께 해석되는데,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학교 성적과 연관하여 자기효능감이 떨어지고, 비관적으로 진로와 진학계획을 세울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 부진을 겪고 있는 학생은 PC나 핸드폰 사용, 오락 및 게임, 채팅 및 SNS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부진 해결 방안에 대한 제언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wing to an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underachievement in national-level academic performance test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researched the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underachievement. Accordingly, based on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 significant data on 9th grade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major categories. Furthermore, the top 20 prediction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the prediction model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random forest algorithm amo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results revealed that variables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academic underachieve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variables related to self-efficacy influence low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entrance plan, adolescent students experience a lack of self-efficacy related to academic grades and may be pessimistic about choosing their careers and approaching entrance plans. Third, underachieving students spend considerable amounts of time on their PCs and cellular phones, playing games, chatting, and SN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a proposal for solutions to academic underachiev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비전공자를 위한 SW·AI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 – P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박미현(Mihyun Park),양자영(Jayoung Yang),문경희(Kyonghi Moon),김은정(Eunjung Kim),박성호(Seongho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P 대학은 ‘SW 중심대학’ 사업 1기를 마치고, 후속 사업으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SW·AI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편하였다. 비전공자 대상 SW·AI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첫째, 1학기에 ‘컴퓨팅 사고와 인공지능’을, 2학기에 ‘기초컴퓨터 프로그래밍’과목을 나누어 이수토록 함으로써 SW·AI 기초 역량을 충분히 다지도록 하였다. 둘째,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 운영을 통해 학습자들이 충분한 학습 시간을 확보하게 하였다. 셋째, ‘컴퓨팅 사고와 인공지능’ 수업을 인문·사회·예체능 트랙과 이공계열 트랙으로 나누어 전공에 따른 난이도와 학습량을 조절하였다. 넷째, 1학기 교육과정을 컴퓨팅 사고 역량과 인공지능 역량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비전공자들이 거부감 없이 단계적으로 인공지능 개념을 배우도록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비전공자 대상의 P 대학 인문·사회·예체능 계열 SW·AI 교육과정을 공개함으로써, SW·AI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비전공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교수자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completing the first term of ‘SW-oriented university’ project, P university reorganized SW·AI curriculum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s a follow-up. To enhance efficiency of SW·AI education for non-majors, first, ‘Computational Thin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taken at the first semester and ‘Basic Computer Programming’ at the second, to improve SW·AI basic capacity. Second, flip learning class operation ensured learners to have enough learning time. Third, ‘Computing Thin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was divided into humanities·social studies·art·physical education tracks and science·engineering tracks to control difficulties and learning volume of the major. Fourth, the first semester course was divided into computational thin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pacity so that non-majors can learn the concept without repulsion. The paper is to provide specific practice for professors seeking AI education for non-majors or the public by disclosing SW·AI curriculum of P university.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hyun Park),황희숙(Heesook Hwang),황연주(Yeonju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 15명(남 5명, 여 10명), 비교집단 17명(남8명, 여9명) 총 32명의 만 5세를 대상으로 12회기 동안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창의성 총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의 저항 중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의 저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연친화적 태도의 총점과 하위요인인 자연친화적 태도, 환경보전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합인재교육(STEAM)에 기반한 텃밭활동의 실천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such activities that can be us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For this study, the program effect during 12 sessions was verified for 32 5-year-olds, with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five males, ten females)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s (eight males, nine females). For the collected data,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 s creativity, showed that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ion of the title, and resistance to hasty termin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tractness of the title and resistance to hasty termin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nature-friendly attitude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 of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sub-factors,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easibility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was confirm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field applications were derived. It can be seen that it is a meaningful educational tool to cultivate convergence talent.

      • KCI등재

        보육교사들의 심층적 이야기를 통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박미현 ( Park Mihyu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학부모-교사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질적 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현재 수원과 용인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을 개방 코딩하여 90개의 개념으로부터 27개의 하위점주와 13개의 범주를 추출하여 패러다임을 구성하였다. 중심현상은 학부모와 교사가 소비자와 서비스직과의 관계, 지나치게 친근한 관계로 교사는 학부모 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과 교사의 사회적 지위하락이며, 맥락적 조건은 교사양성기관의 문제점과 교사의 근무 조건 열악 그리고 부모의 기대와 교사가 기대하는 역할의 차이였다. 중재적 조건은 관계를 악화시키는 것으로는 편파적인 언론의 보도와 무심한 교사, 무심한 부모가 있으며 완화시키는 것은 학부모의 신뢰였다. 전략은 교사 스스로의 신념과 태도의 변화의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인식의 변화의 사회적 차원으로 볼수 있다. 결과는 학부모와 의견을 수용하는 관계를 유지하여 존중받고 신뢰받는 교사로 권리를 존중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 스스로 자신들의 권리를 인식하는 신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등 태도의 변화로 부모와 어려운 관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지원 속에서 부모와 교사 사이의 역할 기대차이를 줄여 서로의 의견을 수용하고 존중하고 신뢰하는 관계를 유지할 때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긍정적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는 핵심 범주를 추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arch their relation and establish positiv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The investigator applied to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uwon and Yongin cities. By putting the interviews to open encoding, the investigator extracted 13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out of total 90 concepts and used them to build a paradigm. Core phenomenon was extremely familiar relation due to degrade of teacher`s rights; Not parents of children to(&) teachers and consumers to(&) services, and the causal result was mistrust in their professionalism and degrade of their social posi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roblems of training academy, inferior work conditions and difference of expectation between them.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those; what to make worse for their relation were one-side broadcast, innocent teachers and parents, oppositely what to make better was parents of children` trust There were two kind of strategies. one was individual dimension for change of their attitude and belief by themselves, another was social dimension for change of social cogn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ir rights was respected like as trusted teachers by keeping relation accommodated parents` opinion. Thus this study extracted a core category that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m could be refurbished keeping them respectable and reliable accommodated their opinions each other with lessened contrast and overcoming the trouble with parents just like change of a firm faith recognizing their right, effort for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영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스마트도구 활용 교육: 어휘 학습을 중심으로

        박미현 ( Park Mihyun ),이성원 ( Lee Seongwon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6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21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using a smart device helps English underachievers learn vocabulary bet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regular middle school curriculum. Four lower level classes, each of which had 1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llowing a pre-test, ten target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textbook.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tudied the vocabulary, the former using a tablet PC and the latter through classroom instruction. However, each experimental group later became a control group in the next lesson to give every participant equal opportunity. After that, both groups studied the reading passage in the main text with the teacher and took two kinds of post-tests immediately, one was for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other for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Delayed post-tests were also administered for each lesson two weeks l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uch better grades in the receptive test than in the productive one. In addition, both groups obtained better scores in the latter lessons than in the previous ones. This may mean the English underachievers began to be motivated to learn vocabulary and develop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