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심음분석에 있어서 기록손실도가 태아심음 각 변수에 미치는 영향

        박문,양재혁,송재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현대 산과에서 산전에 전자태아심박동-자궁수축감시법은 태아의 안녕을 검사하는 유용한 검사법의 하나로 이를 이용한 비수축성검사[Nonstress test; 이하 NST]가 특히 산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NST의 결과 판독은 지금까지 육안분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육안판독시는 기본태아심박동수, 태아심음의 증가 및 감소의 정도와 그 기간, 횟수 그리고 기록손실도, 변이도 등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최근 외국에서 NST의 제변수값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객관적인 판정이 가능해 지므로서, 기존의 육안판독으로 불가능했던 측정변수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함께 태아심박동의 미세한 변화도 측정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태아심박동분석시스템[HYFM -1] 프로그램[박문일 등, 1990]에 의하여 축적된, 약 3,000여 예에 달하는 기본 자료를 이용, 기존에 무시 되었던 기록손실도가 태아심음분석에 있어서 각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1992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5년간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하거나 분만을 위해 입원한 산모 중, 진통이 없는 산모를 대상으로 NST를 실시 하였으며, 이 중 컴퓨터분석이 가능하였던 3,0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을 다시 검사 시행 당시의 임신주수를 기준으로 임신 28주에서 37주까지의 만삭전 임신 1,644예를 제1군으로, 다시 검사 당시 임신주수가 38주에서 42주까지의 만삭임신 1,394예를 제2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예에서의 평균기록손실도는 7.1% 였으며, 기록손실도의 범위는 최하 0%에서부터 최고 92.5%까지 분포하였다. 기록손실도가 0%이었던 예는 276 예로 전체의 9.1%에 해당하였으며, 전체 대상의 94.2% 에서 기록손실도는 30% 이하였다. 1. 각 주수별 FHR 각 변수의 변화는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태아심박동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기록손실도 역시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변이도와 태아심박동수증 가도 각각 미약하나마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태동은 임신주수 증 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2. 기록손실도에 따른 기본 태아심박동수는 손실 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 태아심박동수는 만삭전임 신에서 증가하고 만삭임신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 군에서는 미약하나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기록손실도에 따른 태아심박동수 증가[FHR acceleration 15sec∼15bpm] 횟수는 손실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있으나, 만삭임신에서는 증가되고 있었으며, 전체 군에서 볼 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기록손실도에 따른 태동은 손실도가 증가할수록 만삭전임신에서 증가하였고, 만삭임신에서도 증 가하고있었다. 전체 군에서 볼 때 기록손실도가 증가할수록 태동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기록손실도에 따른 태아심음변이도는 기록손실 도가 증가할수록 만삭전임신과 만삭임신에서 모두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록손실도는 태아안녕상태평가에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변수인 변이도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손실도가 증가할수록 변이도가 증가함을 보이고 있고, 결국 NST 등의 태아심음검사시 기록손실도가 높은 경우 그 판독 결과가 음성 즉, 태아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결국 태아심박동검사의 위음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태아 심음분석시에 일방적으로 무시되어 왔던 기록손실도에 대한 의미를 새로이 하는 것이며, 따라서 변이도 측정시 기록손실도의 정도와 그에 따른 영향을 감안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태아심음분석시 이러한 기록 손실도의 변이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분석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antenatal fetal well-being has become important and essential in modern obstetrics. The fetal heart rate [FHR] monitoring has gained wide acceptance as an useful clinical test for fetal well-being. The nonstress test[NST], which recognizes fetal movements associated FHR accelerations as a measure of fetal well-being and normalcy is widely used. Most results of the NST were interpreted with visual method. But the analysis of FHR records by conventional visual interpretation has many weak points, especially, in unattainable variability, mean baseline fetal heart rate, acceleration, and inevitable signal loss. The accurate data recording and analysis of FHR are now possible by using computer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bjective, precise and comparative data analysis of the records with this computerized analysis system. We had developed a computerized fetal heart rate interpretation system[HYFM-1]. The system hardware is consisted of a FHR monitor with autocorrelation[Corometrics 115] and serial board[6808] interfaced to an IBM Pentium computer. Output devices are consisted of a laser printer and a plotter.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the FHR variability, fetal movement, and acceleration, but not in the signal loss. Using the HYFM-1, the effect of the signal loss on the FHR monitoring in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was evaluated. Of 3,038 normal pregnancies, the mean signal loss was 7.1%. As the gestational age advanced, the mean baseline FHR, signal loss, and fetal movement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the signal loss, the fetal movement, mean baseline FHR and FHR variability were increased and the most sensitive NST variable with the signal loss change was FHR variability in the study.

      • 완전관해 20년 후에 재발한 막성 신병증 1예

        박문,김현정,김상현,박원도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서론: 성인에서의 막성신병증은 발생 5년 후, 환자의 35% 가량에서 자연관해, 27% 에서 약물치료 후 관해, 16% 에서 단백뇨의 지속, 16% 에서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는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막성신병증 프레드니솔론 치료 후 단백뇨 소실 및 완전관해 되었던 자로, 치료 20년 경과 후 재발한 막성신병증 환자 1예를 경험하여 국내 최초로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76세 여자환자로, 내원 20년전 전신부종을 주소로 입원, 신생검으로 막성 신병증을 진단 받았다. 당시 환자는 프레드니솔론 치료 후 부종소실 및 단백뇨 소실되어 완전관해 되었던 환자로, 외래에서 추적관찰 하던중, 최근 내원 15일전부터 다시 발생한 양측성 하지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요 검사에서 단백뇨가 관찰되어 신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광학현미경검사의 신조직 소견에서는 모세혈관 기저막의 비후와 상피하고밀도 침착이 관찰되어 막성 사구체신병증에 합당한 소견 관찰되어 막성신병증의 재발을 진단할 수 있었다. 신조직검사를 바탕으로 경구 프레드니솔론과 경구 사이클로스포린을 투여 시작하였으며, 이후 부종감소와 단백뇨 소실과 함께 치료에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국내에서는 치료 후 막성신병증의 5년간 관해유지율은 73%이었고, 관해도달 후 재발은 완전관해 5년 안에 26% 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예는 막성신병증 환자에서 치료이후 완전관해이후, 20년이 지나 재발한 막성신병증으로 다시 진단된 환자로, 국내에서 20년의 장기 추적 후 재발한 환자의 경우는 보고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관해상태에 있는 성인 환자들 또한 수 년 후 재발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완전관해 후 막성신병증 환자에서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요구 된다.

      • KCI등재

        조산통의 예방

        박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5

        일반적으로 전체적 조산의 20%는 산과적 또는 내외과적 요인에의한 불가피한 조산인 반면, 나머지 80%는 예방해야만 할 조산이다. 이 80% 중에서 약 반수는 위험요인으로서 발견될 수 있고 나머지 반은 위험요인 없이 진행되어 조산통이 있을때 비로서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조산예방에 가장 중요한 점들은 1)위험인자를 동원한 고위험임산부의 선정, 2)조산통에 대한 환자의 교육,3)빈번한 골반내진으로서 자궁 경부의 변화감지, 4)HUAM 또는 국내실정에 알맞는‘전자태아심음-자궁수축감시장치의 적절한 이용등을 동원한, 적어도 임신 3분기의 초기부터 1주간격의 객관적인 자궁수축의 평가 등이다. 따라서 상기 여러자료를 응용한, 국내실정에 알맞는 종합적‘ 조산예방 프로그램’의 설정이 조산통의 조기진단에 절대적으로 기여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